KR200249964Y1 - Boiler - Google Patents

Bo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964Y1
KR200249964Y1 KR2020010022102U KR20010022102U KR200249964Y1 KR 200249964 Y1 KR200249964 Y1 KR 200249964Y1 KR 2020010022102 U KR2020010022102 U KR 2020010022102U KR 20010022102 U KR20010022102 U KR 20010022102U KR 200249964 Y1 KR200249964 Y1 KR 200249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oiler
oven
communication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10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영복
Original Assignee
이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복 filed Critical 이영복
Priority to KR2020010022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96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964Y1/en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효율을 극대화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iler that maximizes thermal efficiency.

본 고안은 연소실(11)과 통해진 가스배출용 연통(30)을 물탱크(12)의 내부에 사선방향 하향되게 설치하고 그 물탱크의 양측으로 가스배출용 연통(30)을 돌출시켜 그 돌출된 가스배출용 연통(30)의 단부에 개폐가능한 각각의 뚜껑(31)을 부착함으로서 가스배출용 연통(30)속에 가스가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켜 열전달시간을 연장되도록 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뚜껑(31)을 개방하여 철브러쉬로 가스배출용 연통의 내부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 and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30 through the diagonally downward in the interior of the water tank 12, and protrudes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30 to both sides of the water tank. By attaching each of the lids 3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ends of the old gas discharge communication 30, the gas stays in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30 to extend the heat transfer time, thereby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and increasing the lid 31. ) So that you can easily clean the inside of the gas discharge barrel with an iron brush.

그리고, 화력조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화덕(20)의 바닥의 중앙부에는 화덕의 전면의 메인공기구멍(23)과 통해진 분배구멍(24)을 형성하고 그 분배구멍(24)로부터 각각의 공기구멍(25)으로 공기가 분산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연탄의 고른 연소가 되도록 하고 화력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facilitate thermal control, a central air hole 23 and a distribution hole 24 through the front of the oven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oven 20 and each air hole is formed from the distribution hole 24. Air is distributed to (25) to allow even combustion of briquettes and to control fire power.

Description

보일러{Boiler}Boiler {Boiler}

본 고안은 농업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효율을 극대화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iler that maximizes thermal efficiency.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와 같은 특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온도를 재배에 필요한 범위로 유지하기 위하여 난방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난방장치는 연료에 따라 기름보일러 가스보일러, 연탄보일러 등이 있다. 본 고안은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In general, in order to grow special crops such as plastic houses, heating facilities are provid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range necessary for the cultivation. Such heating devices include oil boilers, gas boilers, briquette boilers, etc., depending on the fu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boiler using briquettes.

연탄보일러는 연료비가 저렴한 잇점이 있기 때문에 농가에서는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탄보일러의 경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하부에 다수의 화덕을 설치하고 그 화덕속에 연탄을 적층하여 연소되는 연소열이 물탱크속을 통과하는 가스배출용 연통(30)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서 가스배출용 연통(30)에 의해 물을 가열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상기한 연탄보일러의 화덕(20)은 그속에 10∼12장의 구공탄이 동시에 안착할 수 있는 대형 화덕(20)으로 이러한 화덕(20)이 다수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가스배출용 연통(30)을 물탱크(12)를 통과하도록 한 것은 물탱크의 하측 즉 연소실(11)에서 연소된 연소열이 물탱크(12)의 저면을 가열하고 배출되는 가스속에 남아 있는 잠열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스를 배출시키는 연통(30)을 물탱크(12)속으로 통과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처럼 보일러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각도로 개발하고 있음에도불구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이 많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Briquette boilers are often used in farms because of their low cost.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riquette boiler, as shown in FIGS. 1 and 2, a plurality of furnaces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10, and the combustion heat that is burned by stacking briquettes in the furnace 10 passes through the water tank. It has a structure for heating the water by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30 by passing through the dragon communication (30). The blast furnace 20 of the briquette boiler is a large pit 20 in which 10 to 12 ball-balls can be seated at the same time, and a plurality of such pits 20 are installed.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passage 30 is passed through the water tank 12 so that the combustion heat burned in the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that is, the combustion chamber 11, remains in the gas discharged after he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12. In order to effectively use the latent heat it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barrel 30 for discharging the gas into the water tank (12). In spite of the fact that it is being developed at various angles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there are many problems caused by the improvement.

특히 종래 보일러의 개선이 요구되는 점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In particular, to summarize the point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onventional boiler is as follows.

첫째, 가스배출용 연통속을 통과하는 잠열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는 연소열이 통과되는 가스배출용 연통이 물탱크내에 상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배출을 용이하였으나 가스속에 남아 있는 잠열까지 신속히 배출시키기 때문이다.First, the latent heat passing through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speed is not effectively used. This is because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through which the heat of combustion passes is inclined upwardly in the water tank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combustion gas, but quickly discharges the latent heat remaining in the gas.

둘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스배출용 연통의 내벽이 부식되거나 불순물이 끼여 열전도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Second, as time passes, the inner wall of the gas exhaust communication is corroded or impurities are impair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rmal conductivity.

이는 연탄이 연소되는 과정에 발생되는 일산화 탄소나 아황산가스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생되면서 혹은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연탄에서 발생되는 증기등이 가스배출용 연통의 내벽에 부착되어 철을 산화시키고 그 불순물이 내벽에 붙어 열전달을 저해시키기 때문이다.This is due to the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such as carbon monoxide and sulfurous acid gas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of briquettes, or steam generated from briquettes that are not sufficiently dried, which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gas exhaust communication to oxidize iron and its impurities. This is because it adheres to the inner wall and inhibits heat transfer.

따라서 수시로 가스배출용 연통의 내부를 철 부러쉬로 청소를 해줄 필요가 있으나 물탱크를 해체하기 전에는 청소가 사실상 어려운 점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ean the inside of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from time to time with iron brush, but the cleaning is practically difficult before dismantling the water tank.

셋째, 연탄의 화력조절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다.Third, there is a difficulty in controlling the power of briquettes.

이와 같은 이유는 화덕속에 많은 장수의 연탄을 동시에 넣어 연소시키게 되지만 연소에 필요한 공기구멍이 화덕의 저면 즉, 연탄의 바로 밑부분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으로, 공기구멍과 가장 가까운 곳의 연탄은 완전연소가 되지만 먼 곳의 연탄은 공기의 공급이 적어 상대적으로 연소가 잘 안되는 불완전연소 현상이 생기게 됨으로 관리자가 연탄의 위치를 수시로 바꾸어주면서 연소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 연탄의 하부에 동일한 공기구멍을 마련해 둔 것이다. 따라서, 많은 공기구멍을 일일이 조절하 수 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공기구멍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화덕을 뒤집어야하기 때문에 연탄의 화력조절은 사실상 할 수 없는 실정이다. 결국 봄여름과 같이 기온이 상승하는 시기에는 화력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형편으로 연탄의 장수를 제한하여 연소시킴으로서 화력을 조절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많은 공기구멍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연탄이 급속히 연소되어 연탄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가 또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a lot of briquettes are put into the furnace and burned at the same time, but since the air holes necessary for combustion ar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oven, that is, just below the briquettes, the briquettes closest to the air holes are Although it is completely burned, the distant briquettes have relatively low combustion air, which leads to incomplete combustion, which causes the manag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riquettes frequently. It has a hole. Therefore, not only can not control many air holes, but also to control the size of the air holes must be upside down because the actual control of the briquettes is not practical. As a result, when the temperature rises, such as spring and summer,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thermal power, which limits the longevity of the briquettes, thereby controlling the thermal power. The problem of bringing will occur again.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연탄보일러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devise the present invention as part of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ventional briquette boiler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목적은 농가의 비닐하우스 혹은 온실과 같이 넓은 면적을 난방하기 위한 연탄보일러에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탄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quette boiler that can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in a briquette boiler for heating a large area, such as a greenhouse or a greenhouse of a farmhous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탄보일러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관 가스배출용 연통의 청소가 용이한 연탄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quette boiler that is easy to clean the pipe for gas discharge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riquette boiler.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연탄보일러의 화력조절이 용이한 연탄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quette boiler that is easy to control the power of the briquette boiler.

본 고안의 제1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물탱크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소실과 통해진 가스배출용 연통을 경사지게 설치하되 물탱크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그돌출된 가스배출용 연통에 개폐가능한 뚜껑을 부착함으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order to realiz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chamb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and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through the inclined to be installed inclin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water tank and the opening and closing lid is attached to the protruding gas discharge communication To make it happen.

여기서 상기한 가스배출용 연통의 설치를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용 연통을 하향되도록 물탱크에 설치함으로서 열이 머무르는 시간을 더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더 많은 열이 가스배출용 연통에 전달되도록 한 것이고, 보일러의 가동중에는 뚜껑을 닫아두고 청소시에는 이를 개방시켜 그 속으로 철브러쉬를 넣어 내벽의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열전도 효율을 높인 것이다.Here, the installation of the above-described gas discharge communication is to b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so that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downward so that the heat staying time is further extended so that more heat is transferred to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The lid is clo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oiler, and when it is cleaned, it is opened, and an iron brush is inserted into i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inner wall, thereby improving heat conduction efficiency.

본 고안의 제2 목적인 화력조절이 용이한 연탄보일러의 경우는 화덕의 저면에 그 중앙부에 분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분배구멍과 화덕의 전면의 공기구멍조절구와 통해지도록 바닥면을 구획형성하고 그 분배구멍로부터 각각의 공기구멍으로 공기가 분산 공급되도록 함으로서 달성되도록 하였다In the case of the coal briquette boiler which is easy to control the firepower, which is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tribution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ven and the bottom surface is partitioned so as to pass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and the air hole control unit at the front of the oven. This is achieved by distributing air into the respective air holes from the holes.

이는 메인공기구멍에서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고 분배구멍을 화덕의 중앙부에 설치함으로서 중앙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의 공급이 비교적 균일하게 함으로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공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supply air necessary for combustion by adjusting the suction amount of air in the main air hole and providing a distribution hole in the central part of the furnace so that the air is relatively uniform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따라서, 분배구멍로 유입된 공기는 그 분배구멍의 반경방향외측으로 공기를 분산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각각의 보조공기구멍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비교적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istribution hole provides the function of distributing and supplying air to the radially outward of the distribution hole, so that the air can be supplied to each of the auxiliary air holes, so that the air necessary for the relatively complete combustion can be suppli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대형 연탄보일러를 예시하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large briquette boiler,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좌측면도,6 is a left side view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 화덕의 종단면도,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boiler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보일러 몸체 11:연소실10: boiler body 11: combustion chamber

12:물탱크 15:온수파이프12: water tank 15: hot water pipe

16:회수파이프 20:화덕16: recovery pipe 20: oven

22:바닥면 23:메인공기구멍22: Bottom 23: Main air hole

24:분배구멍 25:보조공기구멍24: distribution hole 25: auxiliary air hole

30:가스배출용 연통 31:뚜껑30: gas discharge cylinder 31: lid

(실시예)(Exampl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iquett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참고로 도면에서 종래의 보일러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표기하여 설명의 명료성을 기한다.For refere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boiler in the drawings for clarity of description.

참조번호 10은 연탄보일러 본체이고, 11는 화덕이 수납되는 연소실이며, 20는 그 하부에 레일을 따라 수납되거나 인출되는 화덕이며, 12은 연소실(11)의 상측에 위치하고 내부에 물이 채워진 물탱크이다. 그리고 30은 상기 연소실과 통해져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통이다. 15는 가열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파이프로 그 온수파이프(15)상에 순환펌프가 부착되어 있다. 16은 상기 온수파이프(15)을 따라 이송된 온수가 열교환기(라디에터, 도시되지 않았음)를 지나면서 냉각된 물이 다시 물탱크(12)속으로 회수되는 회수파이프(16)이다. 이 회수파이프(16)상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물공급파이프가 연결되어 있다. 이외에도 물탱크의 외벽에는 물탱크(12)에 담긴 물을 필요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벨브도 부착되어 있다. 또 물이 끓을 경우 물이 넘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이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10 is a briquette boiler body, 11 is a combustion chamber in which the oven is accommodated, 20 is a furnace in which the oven is stored or withdrawn along the rail, and 12 is located above the combustion chamber 11 and a water tank filled with water therein. to be. And 30 is a communication in which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15 is a hot water pipe through which hot water is discharged to circulate the heated water, and a circulation pump is attached to the hot water pipe 15. 16 is a recovery pipe 16 in which hot water conveyed along the hot water pipe 15 passes through a heat exchanger (radiator, not shown) and the cooled water is recovered into the water tank 12 again. On the recovery pipe 16,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water supply pipe into which external water flows is connected. In addition, a drain valve i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water tank for discharging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12 when necessary. In addition, the overflow pip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so that water can overflow when the water boils.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물탱크(12)속을 가로지르는 연통(30)은 굴뚝(21)부위가 상대적으로 낮게 즉,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연통(30)은 물탱크(12)의 바닥면이 아닌 연소실(11)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물탱크(12)의 좌우측 벽면에는 상기한 가스배출용 연통(30)이 연장되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그 돌출된 연통(30)의 좌우 양측의 단부에는 개폐가능한 뚜껑(31)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뚜껑은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연통(30)을 폐쇄된 상태로 놓여진다.And, as shown in Figure 4, the communication (30) across the water tank 12 is formed in the chimney 21 is relatively low, that is, inclined. The communication 3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rat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12. In addition, the gas outlet communication 30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water tank 12 so as to extend and protrude. The lids 31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rotruding communication 30. It is. The lid is normally placed in a closed state by the communication 30 by its own weight.

참조번호 20은 화덕을 도시한 것으로 도4와 도6에 보다 잘 도시되어 있다. 화덕(20)의 전면에는 메인 공기구멍(23)이 형성되어 있고, 그 메인공기구멍(23)은 화덕(20)의 바닥면(22)을 구획하여 연통되어진 분배구멍(24)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분배구멍(24)은 화덕의 바닥 즉, 연탄이 안착되는 바닥면(22)에 형성된 보조공기구멍(25)들과 통해져 있다. 다시 말해서 분배구멍(24)은 화덕(20)의 바닥면(22)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된 공간사이로 공기가 통과하여 보조공기구멍(25)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화덕은 그 측면이 부분적으로 절취되어 연소가스가 연통(30)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한 메인공기구멍(23)은 슬라이드식 구멍 조절판이 부착되어져 그 조절판을 좌우로 이동시켜 공기구멍의 면적을 조절한다.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n oven and is better shown in FIGS. 4 and 6. The main air hole 23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oven 20, The main air hole 23 is connected with the distribution hole 24 which partitions and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oven 20. . The distribution hole 24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air holes 25 formed in the bottom of the oven, that is, the bottom surface 22 on which briquettes are seated. In other words, the distribution hole 24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oven 20, the air passes through the spaced space is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air hole (25). And the side of the oven is partially cut so that the combustion gas is led to the communication (30). For reference, the main air hole 23 is provided with a sliding hole control plate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area of the air ho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예를 설명한다.The operation examp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화덕을 보일러의 전방으로 끌어내면 화덕은 가이드레일(26)을 따라 인출되어지고 화덕(20)속에서 연소되고 있는 연탄 위로 연탄을 적층시킨 뒤 다시 연소실(11)속으로 수납시킨다.First, when the oven is pulled out in front of the boiler, the oven is drawn out along the guide rails 26, and the coal briquettes are stacked on the coal briquettes which are burned in the oven 20, and then stor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 again.

수납된 화덕(20)의 공기구멍을 적절히 개방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는 메인공기구멍을 통해 분배구멍(24)로 유입되는데 분배구멍(24)에서는 각각의 보조 공기구멍(25)으로 분산되어 유입되어진다. 상기한 분배구멍(24)은 화덕의 중앙부에 위치되어져 있어 중앙으로부터 그 방사방향 외측으로 공기가 분산되도록 함으로서 연탄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어느 한쪽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균일한 연소를 제공한다.The air hole of the housed oven 20 is properly opened so that air is introduced. Air flows into the distribution hole 24 through the main air hole, which is dispersed and introduced into the respective auxiliary air holes 25 in the distribution hole 24. The distribution hole 24 i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ven to distribute the air from the center to the radially outward so that the air necessary for the combustion of briquettes is not concentrated on either side to provide uniform combustion.

이와 같이 연소되는 연탄은 그 발열에 의해 물탱크의 저면을 가열하게 되는데 화덕(20)속에 안치된 연탄과 물탱크(12)의 저면과의 거리는 약 7∼10㎝정도가 바람직하다. 가장바람직한 거리는 7㎝로 하였다. 이는 연소되는 연탄과 그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전달을 가장 효과적으로 물의 가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물탱크(12)의 저면을 가열함과 아울러 연소가스는 연소실(11)과 물탱크(12)의 내부를 통과하는 연통을 통해 굴뚝으로 배출되어진다. 가스가 배출되어질 때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열기 혹은 화기는 가스배출용 연통(30)을 가열시켜 연통 표면의 물을 가열시키게 된다. 이처럼 연통속에 연소가스가 통과되는 동안 경사진 가스배출용 연통에 의해 가스가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 가스배출용 연통에 열을 전달하는 시간이 연장되는 효과를 가져온다The briquettes burned in this way heat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by the heat generat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riquettes placed in the oven 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12 is preferably about 7 to 10 cm. The most preferable distance was 7 cm. This is because the briquettes burned and the heat transfer generated therefrom can be most effectively heated. And while heating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2,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to the chimney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ing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11 and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2. When the gas is discharged, the heat or fire included therein heats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chamber 30 to heat the water on the communication surface. As the combustion gas passes through the flue gas in this way, the inclined gas discharge communication becomes longer, so that the time for transferring heat to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is extended.

따라서, 가스가 단순히 배출되었던 종래의 가스배출용 연통에 비해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가스배출용 연통의 내벽에 산화된 부식물질이나 연소찌꺼기가 달라붙은 경우 그 좌측 혹은 우측의 연통 뚜껑을 개방하여 철 브러쉬로 문질러 제거해 준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by installing inclined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as discharge communication that the gas was simply discharged. And, if oxidized corrosive substances or combustion residues adhere to the inner wall of the gas discharg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lid on the left or right side is opened and rubbed off with an iron brush.

이와 같이 연통속을 청소하는 데에도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it is very convenient to clean the communication speed as well as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는 본 고안에 의해 난방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보일러의 취급 및 관리가 매우 편리해진 효과를 제공하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able to greatly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handling and management of the boiler was very convenient.

Claims (4)

내부에 물이 채워진 물탱크(12)의 외부에 온수를 배출하는 온수 파이프(15)와 그 온수가 순환하여 회수되는 회수파이프(16)를 구비하는 물탱크(12)와, 상기 물탱크(12)의 하부를 연소실(11)로 마련하고 상기 연소실(11)과 통하는 연통(30)을 상기 물탱크(12)속으로 통과되도록 설치된 가스배출용 연통(30)과, 상기 연소실(11)에 수납 혹은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26)을 구비하고 다수의 연탄이 안치되는 복수개의 화덕(20)으로 이루어진 연탄보일러에 있어서,A water tank 12 having a hot water pipe 15 for discharging hot water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2 filled with water therein, and a recovery pipe 16 through which the hot water is circulated and recovered, and the water tank 12 ) Is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1), and the communication (30)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chamber (11) is installed so as to pass into the water tank (12) and the storage chamber (11) Or in the briquette boil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toves 20 having a rail 26 for guiding to be drawn out and a plurality of briquettes are placed, 상기 연통(30)의 일단부가 상기 연소실(11)의 측면으로 연결되고 그 연통이 사선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기 물탱크(12)를 관통하여 각각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그 단부에 개폐가능한 각각의 뚜껑(31)이 부착되며, 상기 화덕(20)의 바닥면을 구획하여 전면에 배치된 메인공기구멍(23)과 화덕(20)의 바닥에 형성된 분배구멍(24)과 통해지도록 하고, 상기 분배구멍(24)과 일정거리 이격된 바닥면상에 관통분포된 다수의 보조공기구멍(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One end of the communication (3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and the communication is inclined downward obliquely through the water tank 12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and each lid 31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end thereof. Is attached, and partitions the bottom surface of the oven 20 so as to pass through the main air hole 23 disposed in the front and the distribution hole 24 formed in the bottom of the oven 20, and the distribution hole 24.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auxiliary air holes (25) distributed through the floor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구멍(24)이 상기 화덕(20)의 바닥 중앙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2. The bo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distribution hole (24) is located at the bottom center of said firepit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30)의 양단부에 상기 뚜껑에 의해 개폐되어 청소시 양끝단의 뚜껑(31)을 개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The bo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oth ends of the communication (30)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lid to open the lids (31) at both ends during clea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20)에 안치된 연탄의 최상단과 상기 물탱크(12)의 바닥판과의 거리가 약 7∼10㎝의 간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The bo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end of the briquettes placed in the oven (20) and the bottom plate of the water tank (12) is about 7 to 10 cm.
KR2020010022102U 2001-07-21 2001-07-21 Boiler KR20024996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102U KR200249964Y1 (en) 2001-07-21 2001-07-21 B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102U KR200249964Y1 (en) 2001-07-21 2001-07-21 Boi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964Y1 true KR200249964Y1 (en) 2001-11-17

Family

ID=7310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102U KR200249964Y1 (en) 2001-07-21 2001-07-21 B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96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12A (en) * 2002-02-05 2002-04-04 조정래 Briquet fired boiler for a vinyl ho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12A (en) * 2002-02-05 2002-04-04 조정래 Briquet fired boiler for a vinyl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9964Y1 (en) Boiler
KR100870434B1 (en) Firewood boiler
KR101148696B1 (en) Wood-pellet boiler
KR101009260B1 (en) Boiler for solid fuel
KR100799196B1 (en) Boiler for solid fuel
KR20090010845U (en) A waste heat exchanger for dust collection
KR100502545B1 (en) A briquet boiler for warm wind maker
KR101607448B1 (en) Force-Emissions of exhaust gas multi functional boiler
KR200321866Y1 (en) Tunnel-type briquet boiler for agriculture
KR100302345B1 (en) boiler
KR200247577Y1 (en) A briquet boiler
KR200379084Y1 (en) a firewood boiler
KR200381890Y1 (en) A boiler
KR200256836Y1 (en) Green house boiler
KR200202960Y1 (en) A heater
KR200412325Y1 (en) boiler
KR200412326Y1 (en) boiler
KR200346080Y1 (en) Apparatus to supply hot water of washing dish
KR100607025B1 (en) Boiler
KR20110092428A (en) Wood pellet boiler
KR200243221Y1 (en) Briquet boiler
KR200304671Y1 (en) A briquet boiler for warm wind maker
KR200220776Y1 (en) Briquet Boiler
KR19990037631U (en) fire
JPH022940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