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909Y1 - 강화유리문용 경첩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문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909Y1
KR200249909Y1 KR2020010020370U KR20010020370U KR200249909Y1 KR 200249909 Y1 KR200249909 Y1 KR 200249909Y1 KR 2020010020370 U KR2020010020370 U KR 2020010020370U KR 20010020370 U KR20010020370 U KR 20010020370U KR 200249909 Y1 KR200249909 Y1 KR 200249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glass door
coupled
bolt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석
Original Assignee
박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석 filed Critical 박현석
Priority to KR2020010020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909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첩 내부로 결합되는 강화유리문의 결합시 강화유리문의 손상 방지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화유리문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10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부(1)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그 상면에 유리문(G)이 안착되는 힌지 고정부(12)가 형성되고, 그 일면으로 결합되며 그 일면에 면접되는 유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 1보호부(14)가 부착된 제 1고정 브라켓트(10)와; 상기 제1 고정 브라켓트(10)와 대칭된 형상으로 그 일면으로 면접되는 유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 2보호부(24)가 부착되고,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의 힌지 고정부(12)와 체결수단(30)에 의해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트(20)로 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일단 내부로 암나사부(42)가 형성되고, 이에 나합되어 체결되는 볼트(40)와; 상기 볼트(40)가 체결되는 암나사부(42)의 상면과 이격되고, 그 일단으로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상면 타단으로 부착 고정된 탄성부재(52)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받침대(50)가 상기 볼트(12)에 의해 유리문(G)의 일단에 견고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힌지 고정부 상면으로 안착되는 강화유리문의 절개면이 면접되거나 또는 틈새가 생길 경우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 받침대가 상기 강하유리문의 절개면으로 밀착되어 견고이 지지함으로서 기존과는 달리 별도의 받침대를 일일이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화유리문용 경첩{A Hinge for Glass Door}
본 고안은 강화유리문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첩 내부로 결합되는 강화유리문의 결합시 강화유리문의 손상 방지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화유리문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현관 또는 집안 내부에 사용되는 문짝들은 대부분 금속재, 목재, 합성수지재, 유리재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문짝들은 거의 대부분 문틀이 형성되고, 바닥면 내부에 고정된 힌지에 문짝에 결합된 경첩을 결합하여 회전 개폐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리 재질로 형성된 강화 유리문을 문틀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틀과 바닥면 내부에 고정 설치된 힌지에 경첩을 결합하고, 결합된 경첩에 상기 강화유리문을 결합함으로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경첩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10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부(1)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그 상면에 유리문(G)이 안착되는 힌지 고정부(12)가 형성되고, 그 일면으로 결합되며 그 일면에 면접되는 유리문(G)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 1보호부(14)가 부착된 제 1고정 브라켓트(10)와; 상기 제1 고정 브라켓트(10)와 대칭된 형상으로 그 일면으로 면접되는 유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 2보호부(24)가 부착되고,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의 힌지 고정부(12)와 체결수단(30)에 의해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트(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강화유리문에 경첩을 결합하는 방법은, 상기 유리문(G)의 하단 일측을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보다 다소 작게 절개를 한다.
그리고, 상기 유리문(G)의 하단 일측이 절개된 절개면을 바닥면(100)에 고정 설치된 힌지부(1)에 결합되는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상면으로 안착시킨 다음 그 일면으로 결합된 제 1고정 브라켓트(10)의 제 1보호부(14)에 유리를 면접되게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의 힌지 고정부(12) 상면으로 상기 유리문(G)의 절개면을 안착시킨 다음에는 상기 제 2고정 브라켓트(20)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26)과 상기 힌지 고정부(12) 타면에 형성된 체결공(16)으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30)을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서 경첩이 조립되어진다.
그러나,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상기 유리문(G)의 절개면이 직접 힌지 고정부(12) 상면과 면접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유리문(G)의 절개면의 상태에 따라서 손상되거나 균열이 발생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유리문(G)의 절개면과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상면과 간격차가 발생될 경우 그 간격과 동일한 받침대(18)를 별도로 제작하여 간격차를 없에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힌지 고정부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강화유리문의 절개면 손상 방지 및 상기 힌지 고정부와 그 상면으로 안착되는 강화유리문의 절개면과 발생되는 간격차를 줄일수 있도록 상기 힌지 고정부 상면으로 받침대를 구비하며, 위치 조절이 되는 강화유리문용 경첩을 재공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경첩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경첩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힌지부 10: 제 1고정 브라켓트
12: 힌지 고정부 14: 제 1보호부
16, 26: 체결공 20: 제 2고정 브라켓트
24: 제 2 보호부 30: 체결수단
40: 볼트 42: 암나사부
50: 받침대 52: 탄성부재
100: 바닥면 G: 유리문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부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그 상면에 유리문이 안착되는 힌지 고정부가 형성되고, 그 일면으로 결합되며 그 일면에 면접되는 유리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 1보호부가 부착된 제 1고정 브라켓트와; 상기 제1 고정 브라켓트와 대칭된 형상으로 그 일면으로 면접되는 유리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 2보호부가 부착되고,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의 힌지 고정부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트로 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힌지 고정부의 일단 내부로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이에 나합되어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암나사부의 상면과 이격되고, 그 일단으로 상기 힌지 고정부의 상면 타단으로 부착 고정된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받침대가 상기 볼트에 의해 유리문의 일단이 견고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유리강화문용 경첩을 제공한다.
(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경첩의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종래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경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경첩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경첩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문용 경첩의 구성은,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10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부(1)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그 상면에 유리가 안착되는 힌지 고정부(12)가 형성되고, 그 일면으로 결합되며 그 일면에 면접되는 유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보호부(14)가 부착된 제 1고정 브라켓트(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와 대칭된 형상으로 그 일면으로 면접되는 유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 2보호부(24)가 부착되고,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의 힌지 고정부(12)와 체결수단(30)에 의해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트(20)로 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일단 내부로 암나사부(42)가 형성되고, 이에 나합되어 체결되는 볼트(40)가 구비되며, 상기 볼트(40)가 체결되는 암나사부(42)의 상면과 이격되고, 그 일단으로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상면 타단으로 부착 고정된 탄성부재(52)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받침대(5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유리강화문용 경첩의 작용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문짝은 강화유리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우선 상기 유리문(G)의 하단 일측을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보다 다소 작게 절개를 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보다 다소 작게 절개되어진 유리문(G)의 절개면을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의 일면에 일체로 결합된 힌지 고정부(12)의 상면과 일정 폭으로 이격된 받침대(50) 상면으로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받침대(50)는 상기 유리문(G)보다는 그 지름이 다소 크고, 일정 길이로 제작되어진 다음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일단으로 그리고, 그 상면과 일정 폭으로 이격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상면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위치된 받침대(50)의 일단 저면으로 탄성부재(52) 본 고안에서는 판 스프링의 일단을 연결하고, 그 타단은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상면 타단으로 부착하여 용접을 통해 견고이 고정함으로서 항상 상기 받침대(50)가 힌지 고정부(12)의 상면과 이격된 거리로 고정하게 한다.
한편,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일단으로는 암나사부(42)를 관통되게 형성하되 그 상면으로 위치되는 받침대(50)의 중심에서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일단으로 약간 편심된 위치에 암나사부(42)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부(42)에 대응하여 체결되는 볼트(40)를 구비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힌지 고정부(12)의 일단으로 형성된 암나사부(42)와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볼트(40) 그리고, 상기 힌지 고정부(12) 상면으로 받침대(50)가 이격된 거리로 위치되고 이를 고정하는 탄성부재(52)가 상기 받침대(50)의 저면 일단과 힌지 고정부(12)의 상면 타단으로 부착 고정되어진 것으로, 상기 암나사부(42), 볼트(40), 받침대(50), 탄성부재(52)는 종래의 경첩 구조에서 새로 추가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의 일면에 결합된 힌지 고정부(12)를 바닥면(100) 내부에 고정 설치된 상기 힌지부(1)에 결합을 한다.
그리고, 힌지부(1)에 결합된 힌지 고정부(12)의 상면과 이격된 거리로 위치된 상기 받침대(50)의 상면으로 상기 유리문(G)의 하단 일측에 절개되어진 절개면을 안착시키고, 이때 상기 받침대(50)와 그 저면으로 위치되는 힌지 고정부(12)의 상면과 틈새가 생길 경우 상기 힌지 고정부(12) 일단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42)에 체결된 볼트(40)를 상기 받침대(50)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받침대(50)를 유리문(G)의 절개면과 말착되게 하여 견고이 지지하고, 이와 반대로 틈새가 발생되지 않을시에는 상기 볼트(40)를 상기 받침대(50)로 약간 회전시켜 밀칙시키는 정도로만 조여준다.
그런 다음, 상기 제 2고정 브라켓트(20) 일면에 형성된 체결공(26)과 상기 힌지 고정부(12) 타면에 형성된 체결공(16)으로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30)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을 하며, 고정과 동시에 제 1, 제 2고정 브라켓트(10,20) 내부 일면으로 부착된 제 1, 제 2보호부(14,24)에 의해 상기 받침대(50) 상면으로 안착된 유리문(G)의 일면과 타면에 면접되어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 고정부(12)와 유리문(G)의 절개면과 틈새가 생길 경우 볼트(40)의 회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 받침대(50)가 상기 유리문(G)의 절개면으로 밀착되어 견고이 지지함으로서 기존과는 달리 별도의 받침대(50)를 일일이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유리강화문용 경첩은, 상기 힌지 고정부의 일단으로 형성된 암나사부와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볼트 그리고, 상기 힌지 고정부 상면으로 받침대가 이격된 거리로 위치되고 이를 고정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받침대의 저면 일단과 힌지 고정부의 상면 타단으로 부착 고정됨으로서, 상기 힌지 고정부 상면으로 안착되는 강화유리문의 절개면이 면접되거나 또는 틈새가 생길 경우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 받침대가 상기 강하유리문의 절개면으로 밀착되어 견고이 지지함으로서 기존과는 달리 별도의 받침대를 일일이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바닥면(10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힌지부(1)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그 상면에 유리문(G)이 안착되는 힌지 고정부(12)가 형성되고, 그 일면으로 결합되며 그 일면에 면접되는 유리문(G)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 1보호부(14)가 부착된 제 1고정 브라켓트(10)와; 상기 제1 고정 브라켓트(10)와 대칭된 형상으로 그 일면으로 면접되는 유리문(G)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제 2보호부(24)가 부착되고, 상기 제 1고정 브라켓트(10)의 힌지 고정부(12)와 체결수단(30)에 의해 결합되는 제 2 고정 브라켓트(20)로 구성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일단 내부로 암나사부(42)가 형성되고, 이에 나합되어 체결되는 볼트(40)와;
    상기 볼트(40)가 체결되는 암나사부(42)의 상면과 이격되고, 그 일단으로 상기 힌지 고정부(12)의 상면 타단으로 부착 고정된 탄성부재(52)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받침대(50)가 상기 볼트(12)에 의해 유리문(G)의 일단에 견고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강화문용 경첩.
KR2020010020370U 2001-07-06 2001-07-06 강화유리문용 경첩 KR200249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370U KR200249909Y1 (ko) 2001-07-06 2001-07-06 강화유리문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370U KR200249909Y1 (ko) 2001-07-06 2001-07-06 강화유리문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909Y1 true KR200249909Y1 (ko) 2001-11-16

Family

ID=7310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370U KR200249909Y1 (ko) 2001-07-06 2001-07-06 강화유리문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9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5928A (en) Concealed architectural hinge assembly
US20090140228A1 (en) Fence hinge
US5419085A (en) Interior shutter with concealed hinges
AU2023100032B4 (en) Hinge
US4776061A (en) Articulated furniture hinge pivotally connected to a base
US5454144A (en) Furniture hinge including base plate with claw member
US20060278796A1 (en) Hinge
US4956940A (en) Bottom offset door pivot and spline threshold
KR200249909Y1 (ko) 강화유리문용 경첩
JP2008184835A (ja) 門装置
EP1061219A1 (en) Hinge for casements
KR101077529B1 (ko) 유리문용 경첩
US6644803B1 (en) Structure for fixing side shield for glasses
KR20000021221A (ko) 도어용 경첩
JP2002235483A (ja) ドア構造
US20020166209A1 (en) Hinge
US6883203B2 (en) Universal jamb bracket for a door closing system
JP4405444B2 (ja) 連窓における嵌め殺し窓の障子取り付け構造
KR930006460Y1 (ko) 창문의 목재비드 조립장치
US20190003187A1 (en) Variable Angle Stair Railing Bracket Hinge
KR20020080651A (ko) 글라스 도어용 힌지
KR102247630B1 (ko) 방화문용 피봇힌지장치
KR200312751Y1 (ko) 가구용 경첩
KR200233669Y1 (ko) 문짝설치용 경첩
KR200325016Y1 (ko) 도어 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