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846Y1 -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846Y1
KR200249846Y1 KR2020010019190U KR20010019190U KR200249846Y1 KR 200249846 Y1 KR200249846 Y1 KR 200249846Y1 KR 2020010019190 U KR2020010019190 U KR 2020010019190U KR 20010019190 U KR20010019190 U KR 20010019190U KR 200249846 Y1 KR200249846 Y1 KR 200249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andle
skipping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김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호 filed Critical 김태호
Priority to KR2020010019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846Y1/ko

Link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줄넘기의 줄과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회전구를 각각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줄넘기 줄의 꼬임을 방지하여 운동의 의욕을 고취시킴과 아울러, 부품의 조립을 분업화하여 줄넘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알루미늄과 금속의 재료로 손잡이를 성형할 때 연결구와 연결봉으로 분리되게 성형함으로서 원재료를 줄이고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 of use a handle for rope jumping}
본 고안은 줄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의 내부에 볼베어링을 삽입하여 줄넘기의 줄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줄넘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넘기는, 남녀노소가 기초 체력을 단련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한편, 여성들도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줄넘기를 함으로서, 순발력, 지구력 및 근력을 강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몸을 건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줄넘기 운동은, 일정한 목표량을 정해 놓고 실시하되, 그 목표량을 숫자를 세어 가면서 운동량과 시간을 사용자의 몸상태에 따라 무리하지 않게 운동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줄넘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줄(11)의 양단부에 형성된 손잡이(12)를 양손으로 잡고 사용자가 공중으로 뛴 후, 손잡이(12)를 사용하여 줄(11)을 전. 후방으로 1회전 또는 2회전 이상을 반복하는 운동으로 모든 운동의 기초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줄넘기(10)의 줄(11)과 손잡이(12)를 연결하는 방법은, 줄(11)의 단부를 지지부재(13)의 내부를 관통하게 끼우고, 관통된 줄(11)의 단부를 매듭으로 하여 지지부재(13)의 단부에 걸리게 한 후, 못과 같은 고정부재(14)로 손잡이(12)의 단부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줄넘기는, 줄이 고정부재에 밀착되어 고정되어 있어 줄넘기의 회전으로 인해 줄의 꼬임이 발생하여 운동의 의욕을 감퇴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제품을 생산할 때, 일률적으로 작업을 해야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줄넘기의 줄과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회전구를 각각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줄넘기 줄의 꼬임을 방지하여 운동의 의욕을 고취시킴과 아울러, 부품의 조립을 분업화하여 줄넘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과, 알루미늄과 금속의 재료로 손잡이를 성형할 때 연결구와 연결봉으로 분리되게 성형함으로서 원재료를 줄이고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는, 줄넘기에 있어서, 봉체형상의 몸체가 구비되고, 이 몸체의 일측 단부에 내측으로 나사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착용감을 좋게 하는 고무발포스펀지가 끼워지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줄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줄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구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구조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구조의 손잡이를 나타내는 다른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손잡이 200: 연결부
210: 고정구 220: 회전구
230: 볼베어링 240: 고정캡
300: 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구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줄넘기에 있어서, 봉체형상의 몸체(110)가 구비되고, 이 몸체(110)의 일측 단부에 내측으로 나사공(120)이 형성되며, 타측에 착용감을 좋게 하는 고무발포스펀지(130)가 끼워지는 손잡이(100)가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100)와 줄(300)을 연결하는 연결부(2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부(200)는, 상기 손잡이(100)의 나사공(120)에 삽탈되는 볼트(21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수용공간(212)이 형성되는 고정구(21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210)의 수용공간(212)에 안착되도록 일측면에 고정편(221)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된 고정홀(222)이 형성된 회전구(22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22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볼베이링(23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구(220)의 단부가 끼워지는 관통공(241)이 형성되며, 고정구(210)의 수용공간(212)에 안착된 회전구(220)와 볼베이링(23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캡(24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00)를 나타내는 다른실시예의 손잡이(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할 때는, 일측면에 내측으로 나사공(141)이 형성되고, 타측의 외주연에 나사산(142)이 형성되는 연결구(140)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산(142)에 결합되도록 나사산(151)이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봉(150)이 각각 분리되게 구성함으로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고정구(210)의 수용공간에 회전구(220)의 고정편(221)을 안착시킨 후, 고정편(221)의 상부에 다수개의 볼베이링(230)을 안착시킨다. 상기 볼베이링(230)이 안착된 회전구(220)의 상부에서 고정캡(240)을 하부로 이동시켜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면 연결부(200)가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줄(300)의 단부를 일정길이 접고, 접혀진 부분에는 고정고리(310)로 2군데 이상 고정시키며, 고정고리(310)로 고정되어 원형의 공간이 형성된 부분의 줄에는 연결고리(320)를 끼워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줄(300)에 끼워진 연결고리(320)에 연결부(2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연결고리(320)는 회전구(220)의 고정홀(22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이다.
이렇게 줄(300)에 결합된 연결부(200)를 고무발포스펀지(130)가 끼워진 손잡이(100)의 나사공(120)에 고정구(210)의 볼트(211)를 끼워 일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점프를 한 후에 줄넘기를 앞으로 돌리거나 뒤로 돌려서 줄넘기를 하거나, 공중에 점프를 한 후에 줄넘기를 2~3회 회전시키면서 줄넘기를 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줄(300)은, 연결고리(320)가 고정홀(222)에 끼워진 회전구(220)의 고정편(221)이 볼베이링(230)에 밀착되면서 적은 마찰력으로줄(300)이 회전될 때, 같이 회전함으로서, 사용자가 줄넘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는, 줄넘기의 줄과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회전구를 각각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줄넘기 줄의 꼬임을 방지하여 운동의 의욕을 고취시킴과 아울러, 부품의 조립을 분업화하여 줄넘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과 금속의 재료로 손잡이를 성형할 때 연결구와 연결봉으로 분리되게 성형함으로서 원재료를 줄이고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줄넘기에 있어서,
    봉체형상의 몸체(110)가 구비되고, 이 몸체(110)의 일측 단부에 내측으로 나사공(120)이 형성되며, 타측에 착용감을 좋게 하는 고무발포스펀지(130)가 끼워지는 손잡이(100)와;
    상기 손잡이(100)의 나사공(120)에 삽탈되는 볼트(211)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수용공간(212)이 형성되는 고정구(21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210)의 수용공간(212)에 안착되도록 일측면에 고정편(221)이 형성되고, 일측에 관통된 고정홀(222)이 형성된 회전구(22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편(22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볼베이링(230)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구(220)의 단부가 끼워지는 관통공(241)이 형성되며, 고정구(210)의 수용공간(212)에 안착된 회전구(220)와 볼베이링(23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캡(240)이 구비되는 연결부(2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0')는,
    일측면에 내측으로 나사공(141)이 형성되고, 타측의 외주연에 나사산(142)이 형성되는 연결구(140)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산(142)에 결합되도록 나사산(151)이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봉(150)이 각각 분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
KR2020010019190U 2001-06-26 2001-06-26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 KR200249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190U KR200249846Y1 (ko) 2001-06-26 2001-06-26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190U KR200249846Y1 (ko) 2001-06-26 2001-06-26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846Y1 true KR200249846Y1 (ko) 2001-11-16

Family

ID=7310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190U KR200249846Y1 (ko) 2001-06-26 2001-06-26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8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593B1 (ko) * 2017-08-09 2018-10-04 김정원 단체 줄넘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593B1 (ko) * 2017-08-09 2018-10-04 김정원 단체 줄넘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7302B (zh) 带有飞轮传动装置的螺旋工具
US20070142182A1 (en) Twisting device for climbing exercisers
US9889357B2 (en) Removable and reattachable golf club grip
US9381391B1 (en) Jump rope
US20210138326A1 (en) Removable and reattachable golf club grip
US20180126205A1 (en) Jump rope assembly
US20140121068A1 (en) Jump rope assembly
US11253760B2 (en) Removable and reattachable golf club grip
JP2024503240A (ja) シャフト取り付けシステムを備える交換可能なゴルフクラブグリップ
JP2007050228A (ja) 手首の筋力増強具
US20050116438A1 (en) Bicycle with two pedaling modes
US20050101449A1 (en) Twist stationary bike
KR200249846Y1 (ko) 줄넘기용 손잡이의 연결구조
KR20220098662A (ko) 그물 놀이기구용 로프 연결조립체
CN107930081B (zh) 一种可调节绳索长度的手柄及带手柄的健身、体育器材
US11135476B2 (en) Exercise devices for palms and fingers assemblies thereof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385816Y1 (ko) 손목운동구
KR100768284B1 (ko) 줄넘기
CN109045583B (zh) 健身用踏步机
CN110260902A (zh) 一种便携式仪器用把手结构、便携式仪器及使用方法
KR200187845Y1 (ko) 줄넘기
KR101668305B1 (ko) 역도기구
KR101629884B1 (ko) 골프채 헤드부와 샤프트부의 분리 조립 장치
KR200431281Y1 (ko) 헬스기구의 페달장치
KR100974959B1 (ko) 개량형 줄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