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514Y1 - 산소흡입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산소흡입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514Y1
KR200249514Y1 KR2020010019893U KR20010019893U KR200249514Y1 KR 200249514 Y1 KR200249514 Y1 KR 200249514Y1 KR 2020010019893 U KR2020010019893 U KR 2020010019893U KR 20010019893 U KR20010019893 U KR 20010019893U KR 200249514 Y1 KR200249514 Y1 KR 200249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hose
cradle
suction
dischar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찬
유상우
차희상
Original Assignee
(주)버추얼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버추얼메디 filed Critical (주)버추얼메디
Priority to KR2020010019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514Y1/ko

Link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가능한 산소공급기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전방 중앙은 산소 배출구를 지닌 산소 배출부재가 설치되는 흡입부로 구성되어 있고, 후방 양단은 사용자 얼굴의 관자놀이 부분에 거치할 수 있도록 마운팅부로 구성되어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산소흡입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이 거치대는 전방 중앙의 흡입부(31c)와 후방 양단의 마운팅부(31d)로 이루어진 본체(31)와, 상기 흡입부(31c)에 내장되며 산소배출구(38b)를 갖는 산소 배출부재(38)와, 일단은 산소공급용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운팅부(31d)에 형성된 호스 삽입구(34)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산소 배출부재(38)에 연결되는 호스(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산소흡입용 거치대{FACE MOUNTING SET FOR AN OXYGEN SUPPLING DEVICE}
본 고안은 산소흡입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능한 산소공급기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전방 중앙의 흡입부에는산소 배출구를 지닌 산소 배출부재가 내장되어 있고, 후방 양단의 마운팅부에는 사용자 얼굴의 관자놀이 부분에 거치할 수 있도록 패드가 끼워져 있어 사용시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산소흡입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병원의 응급실이나 구급차에는 응급환자에게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산소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가령, 병원의 벽면에는 산소방출공을 지닌 O2채널이 부착되어 있어, 필요시에는 커넥터를 이용하여 산소공급관을 산소방출공에 연결시켜서 산소를 환자에게 공급한다. 산소공급관에는 연장튜브가 연결되어 있고, 이 연장튜브로 유입된 산소가스는 카테터(catheter)를 통해서 환자의 코로 주입되어 호흡을 가능케 한다.
종래의 산소공급장치는 병원의 응급실과 같이 지정된 곳에만 설치되어 있어 병원에서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서 사고를 당한 경우에는 산소공급장치를 이용하기가 매우 힘들다. 또한, 응급환자가 아니라도 그날의 컨디션이나 바이오리듬에 따라서 산소결핍증을 느낄 때가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간단히 산소를 구입하여 마신다면 스트레스의 해소 측면이나 기분전환 및 건강유지 차원에서 상당히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종래에는 병원의 응급실이나 구급차 이외에는 특별히 산소공급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일반사람들이 이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은 공원이나 고속도로와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상소 공급장치를 개발하여 출원한 바 있다.
또한, 이를 보다 발전시켜 원격지에서도 응급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용기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응급환자들 뿐만 아니라, 수혐생들도 깨끗한 산소를 흡입하여 머리를 맑게 할 수 있는 휴대가능한 산소공급장치도 개발하여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산소공급장치에는 흡입용 호스가 구비되어 있긴 하나, 양손의 사용의 불편한 환자가 이용하려면 주위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며, 시간에 ??기는 수험생이 양손을 사용하면서 산소를 흡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대도시의 많은 직장인들은 자가용 등으로 출퇴근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트레스가 많이 쌓이는 운전중에는 적절한 흡입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운전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산소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절한 가압력으로 사용자의 관자놀이부에 간단히 고정한 상태에서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양손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나, 시간에 쫓기는 수험생, 운전자들도 편리하게 거치하여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산소흡입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산소흡입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산소흡입용 거치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채용한 산소 배출부재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선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관자놀이부 20:산소용기 결합기
22:조작버튼 26:레버
30:거치대 31:본체
31a:요홈 31b:절결홈
31c:흡입부 31d:마운팅부
42: 향기캡슐 44: 밀봉캡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산소흡입용 거치대는 전방 중앙의 흡입부와 후방 양단의 마운팅부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흡입부에 내장되며 산소배출구를 갖는 산소 배출부재와, 일단은 산소공급용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운팅부에 형성된 호스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산소 배출부재에 연결되는 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산소흡입용 거치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산소흡입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환자나 수험생, 기타 일반 사용자(10)가 산소흡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얼굴 양측면의 관자놀이부(12)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30)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산소흡입용 거치대(30)를 귀에 걸지 않고 관자놀이부(12)에 거치함으로써, 안경을 쓰고 있는 사람이라도 이용하는데 전혀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이 산소흡입용 거치대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착용시에는 거치대(30)의 양단을 손으로 벌린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끼우면 된다. 이때, 거치대(30)의 후방 내측에 각각 부착된 패드(32)가 착용자의 관자놀이부(12)에 밀착되므로 압박감을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대(30)의 후방단을 관자놀이부(12)에 고정한 다음, 전방단은 코 밑에 오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연결호스(40)를 산소용기 결합기(20)에 연결시킨다. 산소의 흡입시에는 산소용기 결합기(20)에 있는 구비된 작동버튼(22)을 눌러 산소를 들이마시면 된다. 산소용기 결합기(20)에는 호스(40)가 삽입되는 연결구(28)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힌지(24)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26)가 장착되어 있어 산소용기의 교체시에는 레버(26)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회동시켜 기존의 용기와 분리시키고 새로운 용기를 장착한 다음, 레버(26)를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위치시켜 고정하게 된다.
다음에,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산소흡입용 거치대(30)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산소흡입용 거치대(30)는 개략적으로, 전방 중앙의 흡입부(31c)와 후방 양단의 마운팅부(31d)로 이루어진 본체(31)와, 이 본체(31)의 흡입부(31c)에 내장되며 산소배출구(38b)를 갖는 산소 배출부재(3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산소용기 결합기(20)로부터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호스(40)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이라 함은 사용자(10)의 코 아래부분에 위치되는 부분을 말하며, 후방이라 함은 사용자(10)의 관자놀이부(12)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본체(31)의 마운팅부(31d)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용시에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이기 위한 패드(3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마운팅부(31d)에는 호스(40)가 삽입되는 호스 삽입구(3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미사용시에 호스(40)를 빼낸 상태에서는 끈(35a)으로 연결되어 있는 마개(35)를 이용하여 호스 삽입구(34)를 막을 수 있도록 하였고 그 내부에는 향기캡슐(42)을 내장하여 유입되는 산소에 각종 향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호스(40)의 일단은 산소공급용기에 직접 결합되거나 도 1에서 설명한 산소용기 결합기(20)를 통해서 산소공급용기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호스 삽입구(34)를 통해서 삽입된 다음, 흡입부(31c)의 산소배출부재(38)와 연결된다.
한편, 호스 삽입구(34)의 전방측 본체(31)에는 절결홈(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홈(31b)은 본 고안의 거치대(30)구성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강도의 보강 및 중량 감소를 통한 경량화를 목적으로 형성하여 놓았다.
거치대(30)의 전방에 배치되며 제작시에 본체(31)내에 삽입되어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산소배출부재(3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산소배출부재(38)의 양측면에는 각각, 산소공급용기로부터 공급된 산소를 유입하기 위한 2개의 유입공(38a)이 형성되어 이 2 개의 유입공(38a)중 어느 하나에 산소의 공급통로인 호스(40)가 결합되고 사용치 않는 유입공(38a)은 밀봉캡(44)를 통하여 밀봉시키게 된다.
또한 그 상부에는 유입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2개의 배출구(3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38b)는 사용자의 콧구멍 간격과 일치하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다음에, 도 4에는 본체(31)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홈(31a)이 도시되어 있다. 이 요홈(31a)에는 호스(40)가 삽입 고정됨으로써, 호스(40)가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의 산소흡입용 거치대(30)를 이용하여 산소를 흡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산소 공급용 호스(40)의 일단은 산소배출부재(38)의 양 유입공(38a)중 어느 하나의 유입공(38a)에 삽입되어 있으며, 타단은 요홈(31a)에 매설되면서 후방으로 연장된 다음, 본체(31)의 호스 삽입구(34)를 통해 배출되어 길게 연장된다. 이후, 호스(4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소용기 결합기(20)의 연결구(28)에 접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산소흡입을 위해서 작동버튼(22)을 누르게 되면, 산소용기결합기(20)에 연결된 산소공급용기(도시생략)로부터 배출되는 산소는 호스(40)를 통해서 본체(31)의 전방에 내장된 산소배출부재(38)로 공급된다.이때 산소배출부재(38)로 유입된 산소는 본체(31)의 호스삽입구(34)내에 장착되어진 향기캡슐(42)를 통과하게 되면서 방향제가 포함되어진 상태이므로 향기로운 상태로 배출구(38b)를 통해서 사용자의 콧속으로 배출되며, 또한 사용자는 배출구(38b)를 통해 배출되는 산소를 코로 쉽게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마운팅부에 부착된 패드를 이용하여 적절한 가압력으로 사용자의 관자놀이부에 간단히 고정한 상태에서, 산소배출부재에 형성된 산소배출구를 사용자의 코에 대고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양손의 사용이 불편한 환자나, 시간에 ??기는 수험생, 운전자들도 본 고안의 페이스 마운팅 세트를 얼굴의 전면부에 거치하여 편리하게 산소를 흡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전방 중앙의 흡입부(31c)와 후방 양단의 마운팅부(31d)로 이루어진 본체(31)와; 상기 흡입부(31c)에 내장되며 산소배출구(38b)를 갖는 산소 배출부재(38)와; 일단은 산소공급용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운팅부(31d)에 형성된 호스 삽입구(34)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산소 배출부재(38)에 연결되는 호스(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흡입용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31d)에는 사용자 얼굴의 관자놀이부(12)와 접촉되는 패드(32)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흡입용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1)의 내측면에는 상기 호스(40)가 삽입되는 요홈(3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흡입용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31d)에 형성된 호스 삽입구(34)에는 그 내부에 향기캡슐(42)이 내장되고 후방으로는 마개(35)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흡입용 거치대.
KR2020010019893U 2001-07-02 2001-07-02 산소흡입용 거치대 KR200249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893U KR200249514Y1 (ko) 2001-07-02 2001-07-02 산소흡입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893U KR200249514Y1 (ko) 2001-07-02 2001-07-02 산소흡입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514Y1 true KR200249514Y1 (ko) 2001-11-16

Family

ID=7310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893U KR200249514Y1 (ko) 2001-07-02 2001-07-02 산소흡입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5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314A (ko) * 2020-02-24 2021-09-01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공기청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314A (ko) * 2020-02-24 2021-09-01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공기청정장치
KR102399763B1 (ko) * 2020-02-24 2022-05-1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공기청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2659A (en) Oxygen and inhalant mask
US5425359A (en) Nose plug structure with filter
CA2350351A1 (en) Nasal mask
WO1996002300A1 (en) Co2 gas sampling mask having a bevelled sampling tube extending into the mask
KR100900317B1 (ko) 콧물 흡인 장치
KR200249514Y1 (ko) 산소흡입용 거치대
KR200434575Y1 (ko) 코 마스크
CN218280080U (zh) 一种口呼气传感的电动鼻腔冲洗器
CN214912227U (zh) 一种鼻塞式和口吸式两用的呼吸面罩
CN215608557U (zh) 一种气体吸入装置
CN213554576U (zh) 一种吸氧鼻塞装置
CN2364903Y (zh) 鼻罩
CN2905087Y (zh) 一种医疗用雾化器
CN215608463U (zh) 一种医用面罩
CN218652054U (zh) 一种方便呼气和喷气输入的医用咬口器
CN217430622U (zh) 一种耳挂式口腔吸氧雾化面罩
KR102380977B1 (ko) 비강용 마스크 장치
CN215840977U (zh) 一种改良雾化器
CN215690734U (zh) 一种重症科呼吸恢复器
CN211188612U (zh) 一种可随新生儿体位变化使用的面罩雾化器
CN213994496U (zh) 一种新型雾化吸氧装置
CN215459287U (zh) 一种新型耳道冲洗器
CN214232370U (zh) 一种呼吸内科用输氧管
CN212522640U (zh) 一种心肺复苏气囊急救面罩
CN219681121U (zh) 一种连贯可调式鼻腔冲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