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310Y1 -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 Google Patents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310Y1
KR200249310Y1 KR2020010016025U KR20010016025U KR200249310Y1 KR 200249310 Y1 KR200249310 Y1 KR 200249310Y1 KR 2020010016025 U KR2020010016025 U KR 2020010016025U KR 20010016025 U KR20010016025 U KR 20010016025U KR 200249310 Y1 KR200249310 Y1 KR 200249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cylinder
fishing
l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규
이윤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베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베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베이트
Priority to KR2020010016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31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 및 통발 어로에서 수생 생물을 유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미끼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는, 내부에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담는 방수재질의 용기형 통체(10); 상기 통체(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방수재질의 뚜껑(20); 및 상기 통체(10) 내부로 물이 유통되어 미끼가 통체(10) 밖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통체(10)의 원주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통공(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방향에 따르면, 통체(10)의 단부면과 뚜껑(20)의 단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낚시줄이나 통발의 고정줄을 묶기 위한 고리(4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통체(10) 및 뚜껑(20)의 단부면 중앙에 고정줄 통과용 구멍(14)(2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저렴하고, 미끼가 유통공을 통하여 확산됨으로써 미끼의 확산이 균일하면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과 아울러, 미끼의 재충전이 가능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고리나 구멍을 통하여 낚시줄이나 통발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의 위치조절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Bait Kit for Fish Hook and Fish Trap}
본 고안은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재충전 가능하고, 미끼가 물속에서 급속히 확산되어 소진되지 않고 통체에 형성된 다수의 유통공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면서, 낚시 및 통발에 장착하기도 쉬운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에 관한 것이다.
낚시 및 통발 어로에서 천연 미끼로 사용되는 어종은, 멸치, 꽁치, 정어리, 고등어, 전갱이, 오징어, 꼴뚜기 등이 있다. 이러한 천연 미끼는 어류의 후각 또는 미각을 자극하여 어류를 유인하므로, 냄새와 맛이 강할수록 미끼로서의 작용 효과가 우수하다.
이와 같이 천연 미끼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되는 미끼의 신선도가 나쁠 경우 미끼가 부패하면서 내는 물질에 의하여 어류가 근접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되는 미끼의 신선도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미끼로 사용되는 어종을 냉동 상태로 보관하였다가, 사용시 물을 사용하지 않고 대기 중에 해동시켜서 사용하였다. 해동시 물을 사용하지않는 것은, 미끼에 포함되어 있는 냄새 등의 수용성 유인 물질이 해동시 물에 용해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로 인하여 어선에는 미끼를 보관하고 해동하는 등의 미끼를 관리하기 위한 설비와 인력이 상당히 소요된다.
또한, 신선도가 높은 미끼를 구입하는데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아서, 낚시 및 통발 어업에서 미끼 비용은, 연근 어업의 경우 경비의 30~40%, 원양 어업의 경우 경비의 20~30%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천연 미끼를 사용하는데에 따른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인공 미끼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인공 미끼는 천연 미끼의 엑기스, 향 또는 맛을 내는 물질 등을 담아서 오랜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행태의 인공 미끼 키트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 특허 제3,835,572호(Reginald), 제4,602,453호(Polly)에서는, 작은 구멍을 가진 인공 낚시 미끼에 속이 빈 튜브를 연결하여, 튜브를 통하여 인공 낚시 미끼에 냄새와 향을 공급하는 인공 미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기계적인 장치이고 미끼 자체가 향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외부 공급형이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해양에서 사용시 튜브의 가격이 비싸서 해양용 상업 낚시 조업에 적용하기 부적절하다.
미국 특허 제4,138,794호(Chiodini), 제4,809,455호(Smart)에서는, 외부와 연결되는 작은 구멍을 가지는 통의 내부에 스폰지를 넣은 형태의 인공 미끼를 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스폰지에 들어있는 향취 물질이 희석되어 어류 유인 효과가 급격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재충전을 위하여 사용된 스폰지를 건조시켜야 하는 공정상의 불편함이 있다.
미국 특허 제3,958,357호(Frank)에서는, 작은 구멍이 있거나 물이 잘 스며드는 직물망 등으로 이루어진 가요성의 속이 빈 원통형 팩키지 내부에 반죽 형태로 된 미끼를 담고 양끝을 묶어 낚시바늘에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미끼 세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미끼 세트의 주목적은, 떡밥과 같은 반죽 형태의 미끼가 물 속에서 급속하게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물속에서의 급속한 확산을 어느 정도 저지할 수 있으나, 지속적으로 일정한 양이 흘러나오게 할 수는 없다. 그 이유는 원통형의 중간 원통면으로 물이 드나들게 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끼 재료와 물이 접촉하는 면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사용 초기에는 향이 강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그 향이 미약해져서 잔존 미끼의 효용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밖에도, 천이나 종이 재질로 만든 티백 형태의, 일명 'Bait bag' 타입의 인공 미끼들이 알려져 있다(미국특허 제2,555,088호, 제3,047,975호, 2,869,279호, 제2,780,021호, 독일특허 제2,124,864A호, 캐나다특허 제1,152,745호). 그러나, 이들은 역시 사용 초기에는 물과의 접촉면이 크고 나중에는 접촉면이 작아지게 되므로 미끼의 냄새가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해양에서 목적 어류가 유인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이와 같이 유인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실용성이 없다. 또한, 이러한 경우, 한 번 사용후에 반복 사용하는 경우 어류 유인 효과가 차이가 나므로 매번 내용물을 다시 충전하여야 하는 등 반복적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기타, 미국 특허 제5,216,829호(Peter Morton)에서는, 망사형의 보강 그룹 위에 콜라겐으로 만들어진 반투과성 막을 입혀서, 발산되는 천연 미끼의 향과 냄새를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 미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가 물속에서 급속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확산될 수 있고, 미끼의 재충전으로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면서도 간편하고 저렴한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미끼 키트를 낚시나 통발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미끼 키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a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끼 키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미끼 키트를 낚시에 사용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c는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한 미끼 키트를 낚시에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3a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끼 키트의 제3실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미끼 키트를 낚시에 사용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미끼 키트를 낚시에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d는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미끼 키트를 낚시에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체 14,24 : 구멍
20 : 뚜껑 30 : 유통공
40 : 고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는, 내부에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담는 방수재질의 용기형 통체; 상기 통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방수재질의 뚜껑; 및 상기 통체 내부로 물이 유통되어 상기 미끼가 통체 밖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통체의 원주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통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방향에 따르면, 통체의 단부면과 뚜껑의 단부면 중 적어도하나에 낚시줄이나 통발의 고정줄을 묶기 위한 고리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방향에 따르면, 통체 및 뚜껑의 단부면 중앙에 고정줄 통과용 구멍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방향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유통공을 상기 통체의 단부면과 상기 뚜껑의 단부면에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미끼 키트의 제1,2,3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에 의한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하게 고체 상태 또는 반죽(겔) 상태가 될 수 있는 재료에 인공 미끼 또는 천연 미끼를 혼합하여, 점도 5pcs 이상의 오일, 반죽 상태 또는 고체 상태로 만들어진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사용한다.
고체 상태 또는 반죽 상태가 될 수 있는 재료로는 녹말(전분), 사탕 등이 있고, 인공 미끼는 아미노산, 헥산을 포함하는 수용성 물질 또는 인지질을 포함하는 반수용성 물질일 수 있다.
상기에서 완성된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는 점도가 5cps 이상의 오일, 반죽 상태 또는 고체 상태인데, 이와 같은 점도를 요구하는 것은 미끼가 물과 접촉하였을 때, 수생 생물 유인 물질이 너무 급속히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수생 생물 유인 물질이 물속에서 방출되는 속도는 미끼의 점도 및 물과의 접촉 면적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미끼의 점도는 정상 상태(절대 온도 293.15K, 1기압)에서 5cps 이상으로 하여, 원하는 방출 속도를 가지도록 조절하고, 물과의 접촉 면적은 후술하는 통체(미끼통)의 크기, 그리고 통체에 형성된 유통공의 크기와 수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내부에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담는 방수재질의 용기형 통체(10)와, 이 통체(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방수재질의 뚜껑(20)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통체(10)에는 통체(10)가 물속에 침강되었을 때 그의 내부로 물이 유통되어 상기한 미끼가 통체(10) 밖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통체(10)의 원주둘레에 다수의 유통공(30)이 형성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유통공(30)은 상기 통체(10)의 원주둘레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10)의 단부면과 뚜껑(20)의 단부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통체(10)와 뚜껑(20)에는 대응하는 나사부(12)(22)를 형성하여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통체(10)와 뚜껑(20)에 각각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억지적/탄성적으로 가압결합시킬 수도 있는 등 다른 결합방식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통체(10) 및 뚜껑(20)은 금속과 같은 것이 아니라 성형성이 좋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통체(10)의 원주둘레에만 다수의 유통공(30)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서만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가 서서히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상기 통체(10) 내에 담은 후 뚜겅(20)을 결합시켜 낚시줄이나 통발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미끼 키트가 물속에 침강되면 통체(10)에 형성된 다수의 유통공(30)을 통하여 통체(10) 내부로 물이 유통된다. 따라서 내부의 미끼는 상기 유통공(30)을 통하여 물속으로 서서히 확산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바, 이는 통발 내부의 고정줄이나 낚시줄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통체(10)의 단부면과 뚜껑(20)의 단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즉 통채(10)의 단부면에, 또는 뚜껑(20)의 단부면에, 또는 통체(10)와 뚜껑(20)의 단부면 모두에 고리(40)를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리(40)는 통발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통체(10) 또는 뚜껑(20) 중 하나에만 형성할 수 있으며, 낚시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통체(10)와 뚜껑(20) 모두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도 2b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미끼 키트를 낚시에 사용하는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10)나 뚜껑(20) 중 하나의 고리(40)에 바늘(50)측 목줄(52)을 묶고, 나머지 하나에 원줄(54)을 묶어 장착하며, 내부에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통체(10)와 뚜껑(20)을 분리시켜 충전한다.
첨부도면 도 2c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미끼 키트를 낚시에 사용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낚시바늘(50)이 원줄(54)의 여러곳에 목줄(52)로 연결된 형태의 낚시에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바, 이 경우에는 원줄(54)의 끝에 통체(10)나 뚜껑(20) 중 하나의 고리(40)를 묶어 장착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는 미끼 키트의 장착위치를 일반적인 낚시 채비 용품을 이용하여 낚시줄이나 통발의 고정줄에 유동식으로 설치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제시한다.
본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10)와 뚜껑(20)의 단부면 중앙에 낚시줄 등의 고정줄 통과가 가능한 구멍(14)(24)을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b는 이러한 제3실시예에 의한 미끼 키트를 낚시줄에 설치하는 한 예를 나타내고 있는 바, 통체(10)와 뚜껑(20)에 형성된 구멍(14)(24)으로 낚시줄(56)을 통과시키며, 이 통체(10)와 뚜껑(20)이 이루는 미끼 키트의 상,하부 낚시줄(56)에 낚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멈춤부재(60)를 장착시키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끼 키트는 위 아래의 멈춤부재(60) 사이에서 유동가능하면서 아래쪽의 멈춤부재(60)에 걸려있게 된다. 낚시도중 미끼 키트의 장착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멈춤부재(6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낚시줄(56)로부터 미끼 키트를 분리하지 않고도 매우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멈춤부재(60)는 낚시 채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찌 멈춤고무'를 이용할 수 있고, '면사 매듭'과 '유동 구슬'을 이용할 수도 있다. 낚시도중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뚜껑(20)의 나사결합을 풀어 분리한 다음 통체(10) 내부에 미끼를 충전하여 다시 결합시킨다.
도 3c는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미끼 키트를 낚시줄에 장착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는 도 3b에서 설명한 낚시채비에서 낚시줄을 미끼 키트에 통과시켜 장착하지 않고, 원줄(56a)의 단부를 상기 통체(10)의 구멍(14) 또는 뚜껑(20)의 구멍(24) 중 하나에 묶고, 바늘(50)의 목줄(56b)을 나머지 하나의 구멍에 묶어 장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3d는 상기 제3실시예에 의한 미끼 키트를 낚시줄에 장착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는 낚시바늘(50)이 원줄(56a)의 여러곳에 목줄(56b)로 연결된 형태의 낚시에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바, 이 경우에는 원줄(56)의 끝을 통체(10)나 뚜껑(20) 중 하나의 구멍(14)(24)에 묶어 장착한다.
첨부도면에서는 직경이 균일한 원통형의 통체(10)와 뚜껑(20)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에 따르면, 대상 어종, 대상 어종이 서식하고 있는 지역 또는 조류특성, 미끼의 바람직한 확산정도, 사용의 편리성 등에 따라서 그의 단면적을 상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플라스틱 등으로 저렴하고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미끼가 미끼 키트에 형성된 유통공을 통하여 확산됨으로써 미끼의 확산이 급격 내지 짧지 않고 균일하면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과 아울러, 미끼의 재충전이 가능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고리나 구멍을 통하여 낚시줄이나 통발에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의 위치조절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담는 방수재질의 용기형 통체(10);
    상기 통체(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방수재질의 뚜껑(20); 및
    상기 통체(10) 내부로 물이 유통되어 미끼가 통체(10) 밖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통체(10)의 원주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통공(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2. 내부에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담는 방수재질의 용기형 통체(10);
    상기 통체(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방수재질의 뚜껑(20);
    상기 통체(10) 내부로 물이 유통되어 미끼가 통체(20) 밖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통체(10)의 원주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통공(30); 및
    상기 통체(10)의 단부면과 뚜껑(20)의 단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고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3. 내부에 수생 생물 유인용 미끼를 담는 방수재질의 용기형 통체(10);
    상기 통체(1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방수재질의 뚜껑(20);
    상기 통체(10) 내부로 물이 유통되어 미끼가 통체(10) 밖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통체(10)의 원주둘레에 형성되는 다수의 유통공(30);
    상기 통체(10) 및 뚜껑(20)의 단부면 중앙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줄 통과용 구멍(14)(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10)의 단부면과 상기 뚜껑(20)의 단부면에도 다수의 유통공(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KR2020010016025U 2001-05-30 2001-05-30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KR200249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025U KR200249310Y1 (ko) 2001-05-30 2001-05-30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025U KR200249310Y1 (ko) 2001-05-30 2001-05-30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310Y1 true KR200249310Y1 (ko) 2001-11-16

Family

ID=73066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025U KR200249310Y1 (ko) 2001-05-30 2001-05-30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3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02Y1 (ko) 2009-10-16 2011-06-01 김형락 미꾸라지 양식 장치
KR200480591Y1 (ko) 2016-02-24 2016-06-13 이철웅 통발 미끼 자동 공급장치
KR200497196Y1 (ko) * 2023-03-22 2023-08-28 박지성 집어 효율성이 향상된 낚시용 집어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02Y1 (ko) 2009-10-16 2011-06-01 김형락 미꾸라지 양식 장치
KR200480591Y1 (ko) 2016-02-24 2016-06-13 이철웅 통발 미끼 자동 공급장치
KR200497196Y1 (ko) * 2023-03-22 2023-08-28 박지성 집어 효율성이 향상된 낚시용 집어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2811A (en) Fishing lure and lure enhancement kit
US5471780A (en) Fishing lure with rechargeable container for an attractant
US3835572A (en) Fishing lure
US4777757A (en) Enclosed bait fishing lure
US4993183A (en) Banana oil impregnated fishing lures
CA2450180C (en) Disposable, buoyant scented lure
US6922937B1 (en) Baitfish lure
US5155947A (en) Scented fishing lure
US4133134A (en) Fishing lure
US6393756B1 (en) Fishing lure
US5461822A (en) Fly-catcher with bait
US6779293B1 (en) Fish attractant dispenser
NZ233419A (en) Fish bait: includes porous casing with mesh reinforcement
US20050268525A1 (en) Bait holding system
US6102301A (en) Hunter&#39;s reconfigureable scent-handling device
US7296378B1 (en) System for attracting fish
US6247260B1 (en) Fish bait protector
KR200249310Y1 (ko) 낚시 및 통발용 미끼 키트
US3958357A (en) Fish bait package
US6092325A (en) Fishing jug
GB2196821A (en) Fish food dispenser/swimfeeder
US6161324A (en) Scent tab for fishing lure
US6676033B1 (en) System for dispensing animal scent attractant
US4890411A (en) Fish attracting pellet
US7146764B1 (en) Rattle cage fishing l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