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879Y1 - A wardrobe - Google Patents

A wardro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879Y1
KR200248879Y1 KR2020010018822U KR20010018822U KR200248879Y1 KR 200248879 Y1 KR200248879 Y1 KR 200248879Y1 KR 2020010018822 U KR2020010018822 U KR 2020010018822U KR 20010018822 U KR20010018822 U KR 20010018822U KR 200248879 Y1 KR200248879 Y1 KR 200248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rizontal portion
storage cabinet
divided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8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2020010018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87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879Y1/en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시각적으로 단조롭기만 했던 문을 경계면이 사선으로 형성된 두개의 문으로 나누어 작업자가 작업에 불편함이 없도록 문의 상하부가 독립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고 시각적인 단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와 문으로 구성된 통상의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개방부에 힌지로 장착되는 문은 상부 문과 하부 문으로 나누어져 각각 열리도록 하되 나누어지는 경계선은 사선으로 되어 있으며, 손잡이는 각각 상기 경계선과 인접하여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끝에 형성되어 문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수직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abinet, which is divided into two doors, each of which has a conventional rectangular shape, which is visually monotonous. In order to escape from the roaming, in a common cabinet consisting of a body and a door, the door hinged to the opening of the body is divided into an upper door and a lower door to open each, but the dividing boundary is a diagonal line , The handle relates to a storag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orizontal portion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djacent to the boundary line and a vertical portion formed on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to be mounted to the door.

Description

수납장{A wardrobe}Cabinet {A wardrobe}

본 고안은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시각적으로 단조롭기만 했던 문을 경계면이 사선으로 형성된 두개의 문으로 나누어 작업자가 작업에 불편함이 없도록 문의 상하부가 독립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고 시각적인 단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abinet, which is divided into two doors, each of which has a conventional rectangular shape, which is visually monotonous, and has two diagonally bordered border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so that the operator does not have any inconvenience. It relates to a storage cabinet configured to escape from monotony.

수납장의 용도는 주방의 싱크대나 옷장, 장식장 등 많은 부분에 쓰이고 있다.Cabinets are used in many areas such as kitchen sinks, wardrobes, and cabinets.

이러한 수납장은 거의 대부분이 사각형의 문의 내부에 직육면체형의 수납공간을 가지고 있다.Most of these cabinets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pace inside a rectangular door.

수납공간의 경우 수납하는 물건이 안정적으로 수납되도록 하고 공간을 활용한다는 목적에 직육면체가 가장 이상적이나, 기능적인 면뿐만 아니라 외관적으로 장식의 역할을 하는 문의 경우 사각의 형상은 지나치게 단조로운 경향이 있다.In the case of the storage space,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most ideal for the purpose of stably storing the objects to be stored and utilizing the space, but the shape of the square tends to be too monotonous in the case of the door serving as a decorative appearance as well as the functional surface.

또한 작업에 따라 단일로 되어 있는 문을 열고 작업을 할 경우 방해가 될 경우도 많으며 바닥에 놓여 있는 물건 때문에 문을 열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work, opening a single door is often interrupted, and often the door can not be opened due to objects placed on the floo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자가 작업에 불편함이 없도록 문을 상하부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enable the operator to open and close the door independently to divide the door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work.

또한 기존의 단조로운 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문에 변화를 주는데 있다.It is also about changing the existing monotonous square do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와 문으로 구성된 통상의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개방부에 힌지로 장착되는 문은 상부 문과 하부 문으로 나누어져 각각 열리도록 하되 나누어지는 경계선은 사선으로 되어 있으며,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storage cabinet consisting of a body and a door, the door is hinged to the opening of the body is divided into an upper door and a lower door to open each, but the dividing boundary line is diagonal ,

손잡이는 각각 상기 경계선과 인접하여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끝에 형성되어 문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수직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The handle relates to a storage cabi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orizontal portion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djacent to the boundary line and a vertical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mounted to the doo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2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몸체 2 : 문1: body 2: door

3 : 힌지 4 : 경계선3: hinge 4: border line

5 : 손잡이 21 : 상부 문5: handle 21: upper door

22 : 하부 문 51 : 수평부22: lower door 51: horizontal portion

52 : 수직부52: vertical part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몸체(1)와 문(2)으로 구성된 통상의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개방부에 힌지(3)로 장착되는 문(2)은 상부 문(21)과 하부 문(22)으로 나누어져 각각 열리도록 하되 나누어지는 경계선(4)은 사선으로 되어 있으며, 손잡이(5)는 각각 상기 경계선(4)과 인접하여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51)와 상기 수평부(51)의 양끝에 형성되어 문(2)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수직부(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을 나타내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mmon storage cabinet consisting of a body (1) and a door (2), the door (2) mounted by a hinge (3) to the opening of the body (1) ) Is divided into an upper door 21 and a lower door 22 so as to be opened respectively, but the dividing boundary line 4 is an oblique line, and the handle 5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4, respectively. The storage cabin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portion 51 and the vertical portion 52 formed on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51 and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door 2.

또한 상기 문(2)은 같은 방향으로 열리도록 할 수 도 있으며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또는 사용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열리도록 힌지(3)의 위치를 바꾸어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or 2 may be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may be manufactur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inge 3 so as to be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onsumer or the use environment.

이 경우 상기 손잡이(5)는 여러 방향으로 열릴 수 있도록 수평부(51)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예일 것이다.In this case, the handle 5 will be a preferred embodiment to form a long horizontal portion 51 to be opened in various directions.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싱크대와 같은 곳에서 조리를 할 경우 수납장을 열어 놓고 할 때 기존의 사각형의 문은 상부가 팔이나 기타 부분에 걸려 작업이 불편하나 상기 도면과 같이 하부 문(22)을 열어 놓고 작업을 할 경우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Figure 2 is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oking in the same place as the sink when opening the cabinet, the existing rectangular door is uncomfortable to work on the upper part of the arm or other parts as shown in the lower door ( 22) This problem can be solved when working with open.

또한 바닥에 물건이 쌓여 문을 열기가 곤란한 경우 물건을 치우지 않고도 상부 문(21)을 열어 수납장 내부의 물품을 꺼내서 사용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ings are stacked on the floor, it is difficult to open the door to open the upper door 21 without having to remove the goods can be used to take out the goods inside the cabine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자가 작업에 불편함이 없도록 문을 상하부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for the operation by allowing the operator to open and close the door independently by the upper and lower parts so as not to inconvenience the operation.

또한 기존의 단조로운 사각형으로 되어 있는 문을 사선으로 처리하여 시각인 효과와 독창성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monotonous square doors can be processed diagonally to give visual effects and originality.

Claims (1)

몸체(1)와 문(2)으로 구성된 통상의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개방부에 힌지(3)로 장착되는 문(2)은 상부 문(21)과 하부 문(22)으로 나누어져 원하는 방향으로 열리도록 하되 나누어지는 경계선(4)은 사선으로 되어 있으며,In a conventional storage cabinet composed of a body (1) and a door (2), the door (2) mounted to the opening of the body (1) by a hinge (3) is an upper door (21) and a lower door (22) Divided to open in the desired direction, but the dividing boundary line (4) is a diagonal line, 손잡이(5)는 각각 상기 경계선(4)과 인접하여 평행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51)와, 상기 수평부(51)의 양끝에 형성되어 문(2)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수직부(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The handle 5 has a horizontal portion 51 which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boundary line 4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vertical portion 52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51 and mounted on the door 2. Cabinet comprising a).
KR2020010018822U 2001-06-22 2001-06-22 A wardrobe KR2002488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822U KR200248879Y1 (en) 2001-06-22 2001-06-22 A wardro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822U KR200248879Y1 (en) 2001-06-22 2001-06-22 A wardro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879Y1 true KR200248879Y1 (en) 2001-11-16

Family

ID=7310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822U KR200248879Y1 (en) 2001-06-22 2001-06-22 A wardro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87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3419S1 (en) Spout lid with handle
KR200248879Y1 (en) A wardrobe
USD411392S (en) Computer cabinet
US2723894A (en) Kitchen sink cabinet
USD366250S (en) Personal computer cabinet
KR20200001622U (en) Furniture-combinable Closet
US6804860B2 (en) Wide angled hinge for container
JPH0548740U (en) Storage rack
JP2001286357A (en) Housing furniture with drawer
RU12586U1 (en) DOOR WITH ADDITIONAL USEFUL VOLUME
JPH0889350A (en) Sink cabinet
JPS58212410A (en) Counter with movable table
CA101332S (en) Tool case
JPS5825879Y2 (en) kitchen furniture
KR200295141Y1 (en) reading room desk
JPS60103912A (en) Furniture apparatus
JPS6142438Y2 (en)
USD488327S1 (en) Invisible lazy Susan cabinet
USD572805S1 (en) Storage closure
JPH0332268Y2 (en)
JPH05228034A (en) Container
JPS62243525A (en) Tableware dryer
JPH0350763Y2 (en)
TWM586987U (en) Storage cabinet
JPS6237486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