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337Y1 -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 - Google Patents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337Y1
KR200248337Y1 KR2019980016589U KR19980016589U KR200248337Y1 KR 200248337 Y1 KR200248337 Y1 KR 200248337Y1 KR 2019980016589 U KR2019980016589 U KR 2019980016589U KR 19980016589 U KR19980016589 U KR 19980016589U KR 200248337 Y1 KR200248337 Y1 KR 200248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pipes
water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750U (ko
Inventor
박학선
Original Assignee
박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학선 filed Critical 박학선
Priority to KR2019980016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33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337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원통형 손잡이(51)의 양단에 오른나사(52)와 왼나사(53)가 나사결합된 구조의 턴-버클(5)은, 손잡이(51)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오른나사(52) 및 왼나사(53)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오른나사(52)와 왼나사(53)의 외측단에 한 쌍의 레버(6,7)의 상단이 힌지연결된다. 한 쌍의 레버(6,7)는 ×자형으로 교차되고 교차부는 힌지연결되어서, 턴-버클(5)의 이동 방향으로 각 레버(6,7)의 상단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각 레버(6,7)의 하단에는 상수도관(1)과 계량기(2)를 연결하는 연결관(3)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렌치부(61,71)가 형성된다. 렌치부(61,71)는 연결관(3)을 회전시켜서 상수도관(1)과 계량기(2)를 분리함과 아울러 새 계량기(2) 교체전에 양측 상수도관(1)이 안쪽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즉, 양측 상수도관(1)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특히, 레버(6,7)의 길이는, 턴-버클(5)이 계량기(2)로부터 맨홀의 외부에 위치할 정도이다.

Description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
본 고안은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수도관에서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를 교체할 때 사용하는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있고, 상수도관에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계량기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계량기에서 측정된 유량을 점검하거나 계량기 자체를 점검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 계량기는 맨홀을 통해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계량기는 교체할 수 있도록, 상수도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야만 한다.
도 1은 계량기가 상수도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2)는 2개의 상수도관(1) 사이에 한 쌍의 연결관(3)을 매개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상수도관(1)과 계량기(2)에 끼워지는 연결관(3)의 양측 외주면(31)에는 각각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어서, 각 나사부(31)가 상수도관(1)과 계량기(2)에 나사결합되므로써, 계량기(2)를 상수도관(1) 사이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렌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 연결관(3)의 나사결합을 풀어서 계량기(2)를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계량기(2)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 2개의 상수도관(1)은 계량기(2) 방향으로 인장력을 계속 받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연결관(3)을 풀어서 계량기(2)를 분리하면, 양측 상수도관(1)은 인장력에 의해, 미세하지만 1 내지 2㎝ 정도, 안쪽으로 밀려들어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새 계량기(2)는 양측 상수도관(1) 사이에 진입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즉, 규격품인 계량기(2)의 좌우길이보다 양측 상수도관(1) 사이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새 계량기(2)를 양측 상수도관(1) 사이에 진입시킬 수가 없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2)를 분리할 때, 양측 상수도관(1) 사이에 버팀목(4)을 대서, 양측 상수도관(1)이 안쪽으로 밀려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때, 버팀목(4)은 양측 연결관(3) 사이가 아니라 양측 상수도관(1)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지 못하도록 지지하므로, 양측 상수도관(1)의 중심선상에 위치한 연결관(3) 때문에 양측 상수도관(1)의 중심선상에 위치되지 못하고 편심된 위치에서 양측 상수도관(1)을 지지할 수밖에 없다. 한편, 버팀목(4)의 재질로는 목재나 강철 파이프가 사용되었다.
그런데, 계량기가 배치된 맨홀의 공간은 작업자가 겨우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각 연결관을 렌치로 돌려서 계량기를 분리시키고, 새 계량기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맨홀내의 공간 협소하므로 인해 계량기 분리 후, 양측 상수도관 사이에 버팀목을 대는 작업도 매우 힘들다. 특히, 버팀목은 양측 상수도관의 중심선상에 위치하지 못하므로, 양측 상수도관의 인장력으로 인해 버팀목이 빠지거나 뒤틀려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버팀목이 빠지거나 뒤틀려버리면, 양측 상수도관이 안쪽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새 계량기를 설치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맨홀 외부에서 연결관을 돌릴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계량기 분리 후 양측 상수도관이 안쪽으로 인장되지 못하도록 하여, 계량기 교체 작업을 한결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계량기가 상수도관 사이에 연결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계량기 분리 후, 양측 상수도관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종래의 방안인 버팀목을 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계량기 교체 공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실시예 1의 주요부인 렌치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도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 1에 따라 계량기 교체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계량기 교체 공구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수도관 2 - 계량기
3 - 연결관 5 - 턴-버클
6,7 - 레버 51 - 손잡이
52 - 오른나사 53 - 왼나사
8,9 - 힌지핀 61,71 - 렌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교체 공구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원통형 손잡이의 양단에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나사결합된 구조의 턴-버클(turn-buckle)은,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오른나사 및 왼나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오른나사와 왼나사의 외측단에 한 쌍의 레버의 상단이 힌지연결된다. 한 쌍의 레버는 ×자형으로 교차되고 교차부는 힌지연결되어서, 턴-버클의 이동 방향으로 각 레버의 상단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각 레버의 하단에는 상수도관과 계량기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렌치부가 형성된다. 렌치부는 연결관을 회전시켜서 상수도관과 계량기를 분리함과 아울러 새 계량기 교체전에 양측 상수도관이 안쪽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즉, 양측 상수도관 사이의 길이가 줄어들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특히, 레버의 길이는, 턴-버클이 계량기로부터 맨홀의 외부에 위치할 정도이다.
상기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맨홀 외부에서 각 렌치부를 각 연결관에 끼우고 턴-버클의 손잡이를 돌려서 각 레버의 상단이 벌어지게 하면, 각 렌치부도 벌어져서 양측 상수도관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버 전체를 돌려서 렌치부를 회전시키면 연결관이 회전되므로써, 상수도관에서 계량기를 분리할 수가 있다. 이때, 양측 상수도관은 렌치부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안쪽으로 밀려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새 계량기를 양측 상수도관 사이에 쉽게 설치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계량기 교체 공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 1의 주요부인 렌치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 1에 따라 계량기 교체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 1에 따른 교체 공구는,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턴-버클(5)에, ×자형으로 교차되어 교차점이 힌지연결된 한 쌍의 레버(6,7)가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턴-버클(5)은 주지된 바와 같이 공지된 기술로서, 원통형 손잡이(51)의 양단에 오른나사(52)와 왼나사(53)가 나사결합되어서, 손잡이(5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오른나사(52)와 왼나사(53)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므로써,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각 레버(6,7)의 상단이 힌지핀(8)으로 오른나사(52)와 왼나사(53)의 양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각 레버(6,7)의 교차점도 힌지핀(9)으로 연결되어서, 각 레버(6,7)의 상단이 턴-버클(5)에 의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게 되면, 그에 따라 교차점이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각 레버(6,7)의 하단에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도관(미도시)과 계량기(미도시)를 연결하는 연결관(미도시)에 끼워지는 렌치부(61,71)가 형성된다. 즉, 나사결합을 풀거나 조이는 일반적인 렌치와 마찬가지 구조인 렌치부(61,71)가 연결관에 끼워져서, 연결관을 회전시켜서 상수도관과 계량기를 나사결합시키거나 풀 수가 있게 되고, 특히 각 렌치부(61,71)는 계량기 분리 후, 양측 상수도관이 안쪽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각 레버(6,7)의 길이는, 턴-버클(5)을 맨홀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 길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 1의 동작을 도 5a 및 도 5b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계량기(2)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양측 상수도관(1) 사이에 연결관(3)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연결관(3)의 양측 외주면에는 나사부(31)가 각기 형성되어서, 각 나사부(31)가 계량기(2)와 양측 상수도관(1)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맨홀 외부에서 본 실시예 1에 따른 공구를 맨홀 내부로 진입시켜서, 각 렌치부(61,71)를 연결관(3)에 끼운다. 그런 다음, 벌어지는 방향으로 손잡이(51)를 돌려서 오른나사(52)와 왼나사(53)를 양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각 레버(6,7)의 상단이 힌지핀(9)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오른나사(52)와 왼나사(53)와 같이 이동되므로, 교차점의 힌지핀(9)은 상승하게 된다. 각 렌치부(61,71)도 벌어지게 되어, 양측 상수도관(1)의 선단에 밀착된다.
그 다음, 각 레버(6,7)의 상단을 잡고, 레버(6,7) 전체를 조금씩 돌리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렌치부(61,71)도 같이 회전하게 되므로, 연결관(3)도 같이 회전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계량기(2)가 연결관(3)에서 분리되며 분리된 계량기(2)를 맨홀 외부로 빼내면, 도 5b와 같이 된다.
이때, 양측 상수도관(1)은 인장력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 들어올려고 하는데, 렌치부(61,71)로 지지된 상태이므로, 밀려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별도의 버팀목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양측 상수도관(1) 사이의 거리는 새 계량기를 진입시킬 수 있을 정도로 유지된다. 여기서, 이러한 모든 동작은 협소한 맨홀 내부가 아니라 맨홀 외부에서 진행되므로, 한결 수월하게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새 계량기를 양측 상수도관(1) 사이로 진입시키고,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연결관(3)을 새 계량기에 나사결합시키면, 계량기 교체 작업이 완료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공구는 맨홀 내부에 배치된 계량기가 작업자의 손이 닿을 수 있을 정도로 깊지 않은 위치일 때에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손잡이(14)의 일측에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축(10)의 일단이 끼워지고, 조정축(10)에는 소정 길이로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조정축(10)의 나사부에는 고정 너트(11)가 체결되어서, 조정축(10)을 손잡이(14)내에 소정 길이만큼 진입시킨 상태에서 고정 너트(11)를 체결하므로써, 손잡이(14)에서 조정축(10)이 돌출되는 길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조정축(10)의 타단과 몸체부(14)의 타단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렌치부(12,13)가 형성된다. 렌치부(12,13)는 연결관에 끼워져서, 연결관을 풀거나 조임과 아울러 양측 상수도관이 안쪽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계량기 교체중에, 각 렌치부가 양측 상수도관을 계속 지지하고 있으므로, 양측 상수도관이 인장력으로 안쪽으로 밀려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양측 상수도관의 거리 유지를 위해, 버팀목을 대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버팀목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도 완전히 해결된다.
또한, 계량기 분리와 설치 및 양측 상수도관 지지 작업 모두가 협소한 맨홀 공간내에서 진행할 필요없이 맨홀 외부에서 실시가능하므로, 계량기 교체 작업이 한결 수월해진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맨홀 하부에 있는 양측 상수도관 사이에, 한 쌍의 연결관을 매개로 나사결합된 계량기를 교체함과 아울러 교체중에 양측 상수도관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지 않도록 양측 상수도관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공구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양단에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동시에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턴-버클;
    각 상단이 상기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각기 힌지연결되고, ×자형으로 교차된 부분도 힌지연결되며, 각 하단에는 상기 각 연결관에 끼워지는 렌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턴-버클이 맨홀 외부에 위치할 정도의 길이를 갖는 한 쌍의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각 연결관에 끼워진 각 렌치부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계량기가 양측 상수도관에서 분리되고, 계량기 교체중에 양측 상수도관이 안쪽으로 밀려 들어오지 못하게 상기 각 렌치부가 양측 상수도관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
  2. 맨홀 하부에 있는 양측 상수도관 사이에, 한 쌍의 연결관을 매개로 나사결합된 계량기를 교체함과 아울러 교체중에 양측 상수도관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지 않도록 양측 상수도관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공구에 있어서,
    손잡이와;
    일단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조정축과;
    상기 조정축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조정축을 손잡이에서 임의의 길이로 돌출된 상태하에서 고정하는 너트; 및
    상기 조정축의 타단과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에 끼워지는 한 쌍의 렌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
KR2019980016589U 1998-09-02 1998-09-02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 KR2002483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589U KR200248337Y1 (ko) 1998-09-02 1998-09-02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589U KR200248337Y1 (ko) 1998-09-02 1998-09-02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50U KR20000005750U (ko) 2000-04-06
KR200248337Y1 true KR200248337Y1 (ko) 2001-12-17

Family

ID=6952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589U KR200248337Y1 (ko) 1998-09-02 1998-09-02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3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571B1 (ko) 2005-12-13 2006-12-2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턴 버클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열 회수 보일러 튜브 점검 및정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991Y1 (ko) * 2013-05-23 2014-06-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이송을 위한 지지장치
KR200495828Y1 (ko) * 2020-12-17 2022-08-2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너트 동시 체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571B1 (ko) 2005-12-13 2006-12-2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턴 버클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열 회수 보일러 튜브 점검 및정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50U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033B1 (ko) 록 볼팅 장치와 자동화된 록 볼팅 설비 및 록 볼팅 방법
KR200248337Y1 (ko) 상수도관의 계량기 교체 공구
CN204396989U (zh) 管材钻孔定位卡套
US11338419B1 (en) Faucet cartridge removal tool and method of operation
US3533424A (en) Pipe connector machine
CN207629878U (zh) 一种拆管钳
US4996799A (en) Frost-free silcock seat repair tool
KR200483128Y1 (ko) 싱크대 및 세면대 원홀 수전 고정너트 교체용 렌치 세트
US1795048A (en) Basin wrench
US2654567A (en) Pipe puller
EP1030289A2 (de) Sensorhaltevorrichtung
AU599744B2 (en) Self-adjusting bit basket
US8371397B2 (en) Feed mechanism for drilling systems
US1007882A (en) Pipe tapping and plugging device.
CN220379342U (zh) 一种易于固定的三目相机
KR100619541B1 (ko)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US3364554A (en) Apparatus for removing a fire hydrant stem coupling
GB2119748A (en) Pipe lifting devices
KR19990007874U (ko) 맨홀뚜껑 개폐기
JP6712978B2 (ja) 水道工具
KR200232257Y1 (ko) 분기티의 플러그 마감장치
CN206608164U (zh) 一种具有夹紧功能的随钻测井仪安全保护装置
RU2161692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аведения шарового крана на устье скважины
KR200276200Y1 (ko) 밸브 개폐용 조작대
BR202019027349Y1 (pt) Configuração aplicada em fusível utilizado em tubulações destinadas a processos de perfuração por método não destrut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