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818Y1 -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 - Google Patents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818Y1
KR200247818Y1 KR2020010018635U KR20010018635U KR200247818Y1 KR 200247818 Y1 KR200247818 Y1 KR 200247818Y1 KR 2020010018635 U KR2020010018635 U KR 2020010018635U KR 20010018635 U KR20010018635 U KR 20010018635U KR 200247818 Y1 KR200247818 Y1 KR 200247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golf
hood cover
golf bag
club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흥국
Original Assignee
권흥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흥국 filed Critical 권흥국
Priority to KR2020010018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818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골프채(C)를 보관하는 골프백(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전면이 지퍼에 의해 상부로 개구되며, 내부에는 각 골프채(C)의 클럽헤드를 분리하여 수납하도록 다수개의 수납부(32)가 형성된 골프백용 후드커버에 있어서, 상기 각 수납부(32)의 상면과 전면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부(34)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4)에는 상기 개구부(34)를 개폐하기 위하여 지퍼(40) 또는 후크/루프 테이프(50A,50B)로 이루어진 개폐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각 클럽헤드를 각각 별개로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드커버(30)를 골프백(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후드커버(30)를 후방으로 젖혀 각 클럽헤드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음으로 골프채(C)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또한 키가 작은 사람도 골프채(C)를 수납시키거나 꺼내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golf club head custody structure of hood cover for golf bag}
본 고안은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드커버의 수납부가 상면에서 전면으로 절개되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골프채를 넣고 꺼내는 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후드커버를 골프백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후방으로 젖혀 골프채의 잦은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백은 골프채를 보관하도록 형성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골프백에는 다양한 종류의 골프채를 수납되는데, 공을 티 그라운드에서 타격하여 비교적 먼거리의 페어웨이로 날려보내는 드라이버, 브라시, 스픈, 배피와 같은 우드와, 페어웨이나 벙커 및 러프 등에서 홀컵이 형성된 그린으로 공을 날려보내는 아이언 및 샌드웨지와, 그린 위에서 공을 홀컵에 삽입하는 퍼터 등 적개는 7, 8종류의 골프채에서 많게는 10여 종류의 골프채를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골프백의 상부에는 골프백을 이동시킬 경우에 골프백에 수납된 골프채가 쏟아지거나 기타의 여건에 의하여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후드커버를 골프백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골프백의 상부에 결합되어 우드와 같은 클럽의 헤드를 보호하기 위한 후드커버가 설치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백(1)의 상부에 후드커버(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드커버(2)의 전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개방되도록 지퍼(2)가설치되며, 상기 후드커버(2)의 내부에는 각 우드의 클럽헤드를 보호하기 위한 수납부(3)가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수납부(3)의 상부에는 상기 후드커버(2)를 골프백(1)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골프채를 꺼내기 위한 개구부(3-1)가 클럽헤드용 지퍼(3-2)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후드커버(2)를 이용하여 클럽헤드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골프채를 골프백(1)에 수납시키되, 골프채의 손잡이를 개구부(3-1)에 먼저 삽입하여 클럽헤드가 상기 수납부(3)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클럽헤드용 지퍼(3-2)를 채워 개구부(3-1)를 폐쇄하게 되면, 각각의 클럽헤드는 각각 격리된 수납부(3)에 수납되어 서로 부딪힘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후드커버(2)는 상기 수납부(3)의 상부만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골프채를 수시로 교체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드커버(2) 자체를 골프백(1)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해야 했으나, 골프경기는 그 특성상 골프장에서 자주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골프백(1)으로부터 분리된 후드커버(2)를 별도로 보관하거나 들고 다니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후드커버(2)는 상기 수납부(3)의 상부만 개구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골프백(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각 골프채의 클럽헤드를 노출시키기 곤란하였고, 골프채의 클럽헤드를 노출시켜 각각의 골프채를 자유로이 수납시키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후드커버(2)를 골프백(1)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후드커버(2)는 상기 개구부(3-1)가 상부에만 형성된 관계로 골프채를 받드시 상기 개구부(3-1)로 통과시켜 수납시켜야 했기 때문에 키가 작은 사람은 골프채를 수납시키거나 꺼내는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각 클럽헤드를 각각 별개로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드커버를 골프백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각 클럽헤드를 외부로 노출시켜 골프채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키가 작은 사람도 골프채를 수납시키거나 꺼내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골프백의 후드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후드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3b,3c는 본 고안에 의한 후드커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3a는 골프채의 클럽헤드가 후드커버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3b는 후드커버의 수납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3c는 후드커버가 골프백의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골프백 30 : 후드커버
32 : 수납부 34 : 개구부
40 : 지퍼 50A : 후크 테이프
50B : 루프 테이프 C : 골프채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골프채를 보관하는 골프백의 상부에 결합되고, 전면이 지퍼에 의해 상부로 개구되며, 내부에는 각 골프채의 클럽헤드를 분리하여 수납하도록 다수개의 수납부가 형성된 골프백용 후드커버에 있어서, 상기 각 수납부의 상면과 전면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개폐부재는 지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일측 외측면에 부착되는 후크 테이프; 및 상기 개구부의 타측 외측면에 일단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 테이프에 부착되기 위한 루프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후드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3b,3c는 본 고안에 의한 후드커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3a는 골프채의 클럽헤드가 후드커버의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3b는 후드커버의 수납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3c는 후드커버가 골프백의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는 후드커버(30)의 각 수납부(32) 전면과 상면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부(34)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4)에는 개구부(34)를 완전하게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골프백(10)의 후드커버(30)는 하단부가 단추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골프백(10)에 결합되고, 이러한 후드커버(30)의 전면은 하부에서 상부로 개방되도록 지퍼가 설치된다.
상기 후드커버(3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수납부(32)가 각각 격리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각 수납부(32)에는 골프채(C)의 클럽헤드가 각각 수납되어 보호된다.
한편, 상기 각 수납부(32)에는 개구부(34)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개구부(34)는 수납부(32)의 상면에서 전면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개구부(34)는 수납부(32)의 상면과 전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완전히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골프채(C)의 손잡이가 골프백(10)에 수납된 상태에서 클럽헤드 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납부(32)에 수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납부(32)의 개구부(34)에는 개폐부재가 설치되어 개구부(34)를 개폐하게 되는데, 일 실시예에 의한 개폐부재는 지퍼(40)로 구성된다.
상기 지퍼(40)는 서로 맞물리는 부재가 절개된 개구부(34)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개구부(34)의 하단부에서 지퍼(40)의 각 부재를 결합한 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34)를 폐쇄하는 구조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후드커버(30)의 각 수납부(32)에 골프채(C)의 클럽헤드가 수납되어 보관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40)의 슬라이더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34)를 완전하게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골프채(C)의 클럽헤드가 노출된다. 이와 같이 클럽헤드가 노출되면 상기 골프채(C)의 클럽헤드를 수납부(32)로부터 꺼낼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수납부(32)의 상면과 전면 모두가 상기 개구부(34)에 의해 개방됨으로 상기 골프채(C)를 수납부(32)의 전방부 측으로 기울인 상태(수평으로 이동시켜)에서 꺼낼 수 있게 되어 키가 작은 사람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납부(32)가 개구부(34)의 지퍼(40)에 의해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는 골프채(C)를 골프백(10)에 수납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납부(32)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40)에 의해 개구된 상태에서 골프채(C)의 손잡이를 골프백(10)에 먼저 삽입한 후에 클럽헤드 부분을 수평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납부(32)에 삽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커버(30)는 그 하부가 상기 골프백(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골프백(10)의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다.
즉, 상기 골프채(C)가 골프백(10)에 수납된 상태에서 개구부(34)를 완전히 개방시키고 상기 후드커버(30)를 후방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 후드커버(30)는 상기 각 골프채(C)의 클럽헤드에 간섭되지 않고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후드커버(30)의 하부가 골프백(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가 후방으로 젖혀지면 골프백(10)에 손잡이부분이 삽입된 각 골프채(C)의 클럽헤드는 외부로 노출되어 보다 용이하게 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골프채(C)를 자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후드커버(30)가 골프채(C)를 꺼내고 수납시키는 동작에 간섭되기 때문에 후드커버(30)를 후방으로 젖히게 되면 골프채(C)와 후드커버(30)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드커버(30)의 하단부가 골프백(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가 단순히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후드커버(30)를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부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부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34)의 일측 외측면에 부착되는 후크 테이프(50A)와, 상기 개구부(34)의 타측 외측면에 일단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 테이프(50A)에 부착되기 위한 루프 테이프(50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수납부(32)의 상면과 전면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개구부(34)를 상기 후크 테이프(50A)와 루프 테이프(50B)로 개폐함으로써 개구부(34)를 개폐하는 동작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후크 테이프(50A)에 상기 루프 테이프(50B)를 부착시키게 되면 상기 개구부(34)가 폐쇄되는 것이고, 상기 후크 테이프(50A)로부터 루프 테이프(50B)를 분리시키게 되면 개구부(34)는 개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후드커버(30)의 수납부(32)를 절개하여 완전 개방시킴으로써, 골프채(C)를 수납시키거나 꺼내는 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후드커버(30)가 골프백(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음으로 후드커버(30)를 분리하여 별도 보관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는 각 클럽헤드를 각각 별개로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드커버를 골프백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후드커버를 후방으로 젖혀 각 클럽헤드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음으로 골프채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또한 키가 작은 사람도 골프채를 수납시키거나 꺼내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골프채(C)를 보관하는 골프백(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전면이 지퍼에 의해 상부로 개구되며, 내부에는 각 골프채(C)의 클럽헤드를 분리하여 수납하도록 다수개의 수납부(32)가 형성된 골프백용 후드커버에 있어서,
    상기 각 수납부(32)의 상면과 전면이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부(34)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4)에는 상기 개구부(34)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지퍼(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구부(34)의 일측 외측면에 부착되는 후크 테이프(50A); 및
    상기 개구부(34)의 타측 외측면에 일단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 테이프(50A)에 부착되기 위한 루프 테이프(50B);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
KR2020010018635U 2001-06-21 2001-06-21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 KR200247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635U KR200247818Y1 (ko) 2001-06-21 2001-06-21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635U KR200247818Y1 (ko) 2001-06-21 2001-06-21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818Y1 true KR200247818Y1 (ko) 2001-10-18

Family

ID=73066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635U KR200247818Y1 (ko) 2001-06-21 2001-06-21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8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92B1 (ko) 2010-12-23 2013-03-25 최성배 골프백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92B1 (ko) 2010-12-23 2013-03-25 최성배 골프백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686B2 (en) Golf bag assembly having a main bag and a removable accessory bag
US6712205B2 (en) Golf club bag
JP2004532056A5 (ko)
GB2254262A (en) Golf club protector
US20070068611A1 (en) Head cover for golf clubs
US5220950A (en) Golf bag cover
US5597363A (en) Golfer&#39;s accessory
US20080047639A1 (en) Magnetic golf related devices
KR20060043513A (ko) 다용도 골프 클럽 가방
US6158581A (en) Golf bag
US20040026279A1 (en) Golf club carrier
KR200247818Y1 (ko) 골프백용 후드커버의 클럽헤드 수납구조
US5954199A (en) Golf bag with club separator
KR102509708B1 (ko) 최적화된 수납공간을 갖는 하드 골프 백
US5050730A (en) Golf club storage and transport container
US20020144917A1 (en) Auxiliary golf bag
US20130153615A1 (en) Golf cart club rack
KR101046427B1 (ko) 스윙웨이트 기능을 갖는 골프클럽용 헤드커버
JP3128053U (ja) ヘッドカバー保持具
KR102454835B1 (ko) 하프백 착탈형 캐디백
KR19990033775U (ko) 우드클럽을보호하도록내부에수납부를가지는골프백의후드커버
JP2505947Y2 (ja) ゴルフボ―ルのホルダ―
KR200364689Y1 (ko) 아이언헤드를 내부로 수납하는 골프백
KR200403054Y1 (ko) 골프가방의 일체형 보호커버
WO2021114304A1 (zh) 一种球拍类运动器械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