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194Y1 -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 - Google Patents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194Y1
KR200247194Y1 KR2020010016879U KR20010016879U KR200247194Y1 KR 200247194 Y1 KR200247194 Y1 KR 200247194Y1 KR 2020010016879 U KR2020010016879 U KR 2020010016879U KR 20010016879 U KR20010016879 U KR 20010016879U KR 200247194 Y1 KR200247194 Y1 KR 200247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weaving
mobile phone
copper wire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규
Original Assignee
이완규
이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규, 이재영 filed Critical 이완규
Priority to KR2020010016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19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더형으로 된 휴대폰을 수납 및 착용하기 위한 주머니를 뜨게질용 섬유사로 직조할 때 연성을 구비한 미세한 구리선을 일체로 직조되게 하여 휴대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한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즉, 통화시 액정 표시창을 열 수 있게 된 이른바 폴더형 휴대폰을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한 주머니본체를 뜨게실로 직조하되 이 뜨게실에 유연성을 가지는 미세한 구리선을 일체로 합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직조하고, 주머니본체의 내측에는 휴대폰을 접고 펼 때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단말기의 몸체와 폴더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주머니본체의 외측 상부에는 벨트고리 또는 필요한 부위에 붙이고 뗄 수 있게한 걸고리를 부착함에 따라, 주머니본체에 휴대폰 단말기를 수납 보관하였을 때 전자파의 파장에 의한 영향이 집중되는 안테나 주변에 주머니본체에 직조된 구리선이 위치되어 전자파를 흡수 및 소멸시키게 되며,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에서도 폴더를 자유로이 개폐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Handphone pocket for shielding of Electric frequency wave}
본 고안은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형으로 된 휴대폰을 수납 및 착용하기 위한 주머니를 뜨게질용 섬유사로 직조할 때 연성을 구비한 미세한 구리선을 일체로 직조되게 하여 휴대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한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파(電磁波 ; Electric Magnetic Frequency Wave )란 전기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자기 에너지로써 전압의 크기에 따른 전기파(電氣波)와 전류의 크기에 따른 자기파(磁氣波)로써, 그 특성에 있어 전기파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급격히 소멸되고, 자기파는 거리에 반비례하여 반경이 넓은 범위에 영향을 미치며, 예컨데 음파는 공기 (340 m/sec), 물(1540 m/sec)과 같이 매질에 따라 속도가 변하지만, 전파의 속도는 매질에 상관없이 빛의 속도와 같이 300,000 Km/sec 로 전파된다.
전자파는 주파수(Hz ; 초당 진동하는 횟수)에 따라 가정용 전원 주파수 60Hz인 극저주파 (0~1,000 Hz), 저주파 (1~500 KHz), 통신주파 (500 KHz ~ 300 MHz ; AM, FM, TV방송), 마이크로 웨이브 (300 MHz ~300 GHz ; G=109 )로 분류되고,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X선, 감마선 순으로 파괴력이 증가한다.
상기 X선, 감마선등의 방사선은 세포의 분자결합을 파괴하여 DNA 구조에 이상을 초래함은 널리 알려져 있고, 햇빛과 같은 자외선은 여름에 조금만 노출되어도 피부가 타 버리는 특성을 가지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핸드폰, 가정용 무선전화기 등은 800 MHz ~ 1,950 MHz대 주파수로써 이와 동일 주파수 대인 전자레인지가 음식물을 익힐 때 초당 20억번 정도의 진동에 의해 수분이 데워져 음식물이 순간적으로 익혀지는 원리와 같은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전자파로 인한 영향을 인체가 많이 받을 경우, 인체에 고전압의 정전기가 대전됨으로 인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미치고 있음을 각종 논문 등을 통하여 발표된 바 있다.
따라서, 휴대폰 등의 전기·전자제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의 발생량을 가능한 한 줄여 인체에 해를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큰 결실을 보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며, 휴대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전자파의 위험에 여전히 노출되어 있다.
한편, 휴대폰의 보급이 확산되고 그 사용이 일상생활의 일부분으로 자리잡게되면서 사람들이 보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에서 여러 종류의 케이스가 등장하였으나, 이경우 단말기의 보관과 휴대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전자파에 대한 대책은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었다.
설령, 휴대폰 케이스에 전자파 차폐기능이 부여된 것이라 해도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에는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케이스로부터 꺼내야만 가능하게 되었으므로, 이 경우 전자파로부터 자유로워 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가진 주머니에 휴대폰을 수납되게 한 상태에서 통화를 할 수 있는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화시 액정 표시창을 열 수 있게 된 이른바 폴더형 휴대폰을 수납 및 보관하기 위한 주머니본체를 뜨게실로 직조하되 이 뜨게실에 유연성을 가지는 미세한 구리선을 일체로 합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직조하고, 주머니본체의 내측에는 휴대폰을 접고 펼 때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단말기의 몸체와 폴더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며, 주머니본체의 외측 상부에는 벨트고리 또는 필요한 부위에 붙이고 뗄 수 있게한 걸고리를 부착함에 따라, 주머니본체에 휴대폰 단말기를 수납 보관하였을 때 전자파의 파장에 의한 영항이 집중되는 안테나 주변에 주머니본체에 직조된 구리선이 위치되어 전자파를 흡수 및 소멸시키게 되며, 휴대폰이 수납된 상태에서도 폴더를 자유로이 개폐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의 전개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의 휴대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주머니본체 11 : 섬유사
12 : 구리선 20, 21 : 수용부
30 : 걸고리
이하, 본 고안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의 전개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구성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의 휴대상태와 그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주머니본체(10)는 뜨게용 면사 또는 나이론 등의 섬유사(11)를 주요 소재로 하여 이에 유연성을 가진 미세한 구리선(12)을 일체로 합쳐 망사형태로 직조되어 있다.
상기 섬유사(11)에 합쳐진 구리선(12)은 직조된 상태에서 섬유사로 된 원단의 물리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전자파의 차폐가 가능한 정도의 굵기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주머니본체(10)의 내측에는 휴대폰을 접고 펼 때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단말기(H)의 몸체(1)와 폴더(2)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수용부(20)(21)가 형성되고, 주머니본체(10)의 외측 상부에는 단말기(H)를 휴대할 때 사람이 착용하는 옷의 벨트고리 및 기타 필요한 부위에 붙이고 뗄 수 있게한 걸고리(30)가 부착되어 있다.
즉, 주머니본체(10)는 폴더형으로 된 휴대폰 단말기(H)를 사용하거나 대기중인 상태에서 그 외측면을 항상 감쌀 수 있도록 되고, 휴대시에는 주머니본체(10)의 외측면에 부착한 걸고리(30)를 이용하여 허리 또는 행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부위에 착용하게 된다.
위에서는 주머니본체(10)가 구리선(12)이 포함된 섬유사(11)가 망사형으로 직조된 것임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리선이 포함되게 직물로 직조하여 이를 봉재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주머니본체(10)에 휴대폰 단말기(H)를 수납 및 휴대하거나 사용하게 될 때 단말기의 전부분이 전자파 차폐기능을 가진 주머니본체에 의해 감싸지거나 근접된 상태에 위치되므로, 휴대폰으로 인하여 인체에 전자파가 전도됨을 차단할 수 있다.
만약, 주머니본체(10)에 의해 감싸지지 않은 단말기의 노출된 부분, 즉 안테나에 전자파가 미치게 될 경우에도 인체보다는 이의 주변에 근접된 주머니본체(10)의 구리선에 의해 전자파가 흡수 및 소진되어 전자파로 인한 악영향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는 폴더형으로 된 휴대폰을 수납 및 착용하기 위한 주머니에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부여하여 휴대폰 단말기(H)를 사용하거나 대기중인 상태에서도 그 외측면을 항상 감싸지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효율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뜨게용 면사 또는 나이론 등의 섬유사(11)를 주요 소재로 하되 이에 유연성을 가진 미세한 구리선(12)을 일체로 합쳐지게 하여 망사형태로 된 주머니본체(10)를 직조하고, 상기 주머니본체(10)의 내측에는 휴대폰을 접고 펼 때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단말기(H)의 몸체(1)와 폴더(2)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수용부(20)(21)가 형성되며, 주머니본체(10)의 외측 상부에는 단말기(H)를 휴대할 때 사람이 착용하는 옷의 벨트고리 및 기타 필요한 부위에 붙이고 뗄 수 있게한 걸고리(40)가 부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
KR2020010016879U 2001-06-07 2001-06-07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 KR200247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79U KR200247194Y1 (ko) 2001-06-07 2001-06-07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79U KR200247194Y1 (ko) 2001-06-07 2001-06-07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194Y1 true KR200247194Y1 (ko) 2001-10-22

Family

ID=7306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879U KR200247194Y1 (ko) 2001-06-07 2001-06-07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1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7841B2 (en) SAR optimized receptacle for mobile devices
US20030119459A1 (en) Device for radiation shielding wireless transmit / receive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cellular telephones from close proximity direct line-of-sight electromagnetic fields
US20020009976A1 (en) Radiation protection device for cellular telephones
US20120114270A1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attenuator pouch
US7099631B2 (en) Mobile phone having reduced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using an antenna housed to ensure enhanced antenna gain
WO2014063008A1 (en) Radio frequency shielded clothing
JP2014501044A (ja) 電磁波を吸収する紡織繊維表層及び紡織繊維材料、及び紡織繊維表層又は紡織繊維材料を有する保護器具
US20130122975A1 (en) Radiation protector for mobile devices
KR200247194Y1 (ko) 전자파 차폐용 휴대폰 주머니
RU113897U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34;экран&#34; для пользователей мобильными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ими радиосредствами (варианты)
KR100421737B1 (ko) 도전성 차폐회로를 갖는 무선이동통신단말기
US9642293B2 (en) Multilayer casing device for attenuating electromagnetic waves
KR200365341Y1 (ko) 전자파 차폐를 위한 휴대폰 단말기 커버
US20130117915A1 (en) Radiation protector for mobile devices
KR200316015Y1 (ko)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는 가발
KR100363286B1 (ko) 휴대폰 전자파 제거용 링
KR200234564Y1 (ko) 전자파 차단 셔츠
KR200178317Y1 (ko) 전자파 차폐능을 갖는 핸드폰 케이스
CN216393260U (zh) 消静电钥匙扣
JP3049522U (ja) スラックスの電磁波シールドポケット
JP3156616U (ja) 携帯電話機用電磁波抑制袋
GB2363003A (en) An anti-radiation shield
JP2005042223A (ja) 電磁波防護衣服
KR200178942Y1 (ko) 양복의 휴대폰 포켓
KR101239174B1 (ko) 전자파 차단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