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128Y1 -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128Y1
KR200246128Y1 KR2020010015996U KR20010015996U KR200246128Y1 KR 200246128 Y1 KR200246128 Y1 KR 200246128Y1 KR 2020010015996 U KR2020010015996 U KR 2020010015996U KR 20010015996 U KR20010015996 U KR 20010015996U KR 200246128 Y1 KR200246128 Y1 KR 200246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ressing member
liquid container
han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응규
Original Assignee
정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응규 filed Critical 정응규
Priority to KR2020010015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128Y1/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손으로 액체용기내의 액체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한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에 설치되고 누름부재의 하방 이동시에 액체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흡인하여 상기 누름부재에 형성된 배출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액체배출장치(40)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48)에 상단이 접속되고 하단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누름부재에 하방 가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재(20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A LIQUID DISCHARGEABLE APPARATUS FOR LIQUID RECEPTACLE}
본 고안은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손으로 액체용기내의 액체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부피가 작아지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한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푸와 같은 세제류 등의 액체를 담아서 사용하는 용기는 대략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몸체와, 이 용기몸체의 상측 입구부에 체결되는 마개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된 용기는 그 사용시에 사용자가 마개를 돌려 입구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용기몸체를 들어 올려 기울인 다음 내부의 액체를 배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액체용기(10)는 그 사용시에 여러번의 손동작이 필요하고 불편하므로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30)의 상면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이 관통공에 용기몸체(20) 내부의 액체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액체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액체배출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30)의 관통공(3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형의 상부몸체(42)와, 그 상부몸체(42)에 삽입 결합되는 대략 파이프 형상의 하부몸체(44)와, 상기 하부몸체(44)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몸체(42)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파이프 형상의 이송부재(46)와, 이 이송부재 (46)의 상단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결합되고 일측으로 배출노즐(48a)이 돌출 형성된누름부재(48)와, 이 이송부재의 하측 외주연에 삽입 설치되는 밀착패드 (50)와, 상기 밀착패드(50)의 하측 내부 및 이송부재(46)의 내부 구멍에 삽입되는 밀착패드고정부재(52)와, 상기 밀착패드고정부재(52)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압축스프링(54)과, 상기 압축스프링(54)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몸체(44)의 하단 구멍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볼(5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체배출장치(40)는 마개(30)를 매개하여 용기몸체(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부재(48)의 상면에 가압력을 인가하면 이와 결합된 이송부재(46)가 하방 이동되고 이 이송부재에 의해 밀착패드가 하부몸체(44)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하방 이동되는 한편 압축스프링(56)이 하방으로 압축되므로 볼(56)이 하부몸체(44)의 하단 구멍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하부몸체(42)내의 액체는 상기 밀착패드(50)의 압축력에 의해 이 밀착패드와 밀착패드고정부재의 사이를 통해 이송부재내로 유입되어 누름부재의 배출노즐(48a)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누름부재에 인가되던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스프링(54)이 팽창되면서 밀착패드고정부재(52)에 탄성력을 인가하게 되어 밀착패드(50)가 하부몸체 (44)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하부몸체(44)의 하단 구멍을 통해 용기몸체(20)의 액체가 하부몸체내에 흡인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액체배출장치가 구비된 액체용기의 사용시에는 한 손으로 누름부재(48)의 누름동작을 반복 수행하고 다른 한 손으로 배출되는 액체를 받아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액체용기를 이용하고자 할 때는 항상 두 손모두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노즐(122)에 상방을 향해 소정 곡률로 만곡되어 그 끝단이 누름부재(120)의 상면을 향하도록 된 연장부 (140)를 형성한 상향식 배출노즐 구조를 출원(국내 특허출원 제1998-41578호) 한 바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체용기의 상향식 배출노즐구조는 한 손으로도 용기내의 액체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연장부(140)가 상방으로 높게 돌출되는 구조이므로 액체용기의 패킹시에 부피가 커지게 되어 포장비가 증가되고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그 보관시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 손으로 액체용기내의 액체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한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액체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에 설치되고 누름부재의 하방 이동시에 액체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흡인하여 상기 누름부재에 형성된 배출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액체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에 상단이 접속되고 하단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누름부재에 하방 가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부재는 누름부재에 하방을 향해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종부재와, 이 종부재의 하단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접촉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체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를 나타내는 액체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액체배출장치, 48:누름부재,
200:가압부재, 210:종부재,
220:접촉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30)에 설치되고 누름부재(48)의 하방 이동시에 액체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흡인하여 상기 누름부재에 형성된 배출노즐(48a)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액체배출장치(40)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누름부재(48)에 상단이 접속되고 하단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 누름부재에 하방 가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재(2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부재(200)는 하방을 향해 외측으로 만곡되게 연장 형성되는 종부재 (210)와, 이 종부재(210)의 하단에 접속되고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도록 대략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부재(220)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접촉부재(220)는 타원의 만곡부가 종부재(210)에 접속되어 좌우방향으로 넓은 접촉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 (200)의 접촉부재(220)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타원의 평행부측이 종부재(210)에 접속되어 좌우방향으로는 좁고 전후방향으로 폭이 넓은 접촉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200)는 종부재(210)와 접촉부재(220)로 형성되고, 상기 종부재(210)는 누름부재(48)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단부에 타원형 형상의 접촉부재(220)가 접속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부재가 수직방향으로 하방 연장 형성되므로 이 종부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행정거리에 해당되는 만큼 액체용기의 형태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용기의 내부에 특정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액체용기 내부의 액체를 배출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는 가압부재 (200)의 접촉부재(220)에 손등을 밀착시키고 하방으로 가압력을 인가하게 되면 종부재(210)를 매개로 누름부재(48)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되고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액체배출장치의 이송부재가 하방 이동되고 이 이송부재에 의해 밀착패드가 하부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하방 이동되는 한편 압축스프링이 하방으로 압축되므로 볼이 하부몸체의 하단 구멍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하부몸체내의 액체는 상기 밀착패드의 압축력에 의해 이 밀착패드와 밀착패드고정부재의 사이를 통해 이송부재 내로 유입되어 누름부재의 배출노즐로 배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손바닥으로 자연스럽게 낙하하는 액체를 취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왼손 또는 오른손 중의 어느 한 손 만으로 가압부재(200)를 누르는 동작과 동시에 배출되는 액체를 받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조에서도 도 4에서와 동일하게 작동시키게 되면 한 손 만으로 액체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에 의하면, 한 손으로도 액체용기 내부에 보관된 액체를 배출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부재가 배출노즐의 하부에 구성되므로 부피가 작아지고 보관과 취급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액체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에 설치되고 누름부재의 하방 이동시에 액체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흡인하여 상기 누름부재에 형성된 배출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액체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에 상단이 접속되고 하단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누름부재에 하방 가압력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누름부재에 하방을 향해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종부재와, 이 종부재의 하단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접촉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
KR2020010015996U 2001-05-30 2001-05-30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 KR200246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996U KR200246128Y1 (ko) 2001-05-30 2001-05-30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996U KR200246128Y1 (ko) 2001-05-30 2001-05-30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128Y1 true KR200246128Y1 (ko) 2001-10-17

Family

ID=7306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996U KR200246128Y1 (ko) 2001-05-30 2001-05-30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1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02755A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装置
US20170326578A1 (en)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KR200439351Y1 (ko) 디스펜서 용기
US6932247B2 (en) Gripping device for flexible bag dispenser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200246128Y1 (ko)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액체배출장치
US20220160183A1 (en) Fluid dispenser
KR100895882B1 (ko) 화장품 용기의 슬라이딩 펌핑장치
KR101832086B1 (ko) 컵 세척수단
KR100766797B1 (ko) 유체 토출 장치
KR20000024832A (ko)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상향식 배출노즐구조
KR200374615Y1 (ko) 한 손 사용이 가능한 펌프식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JP2002249186A (ja) 液体収納容器の液体注出装置
KR20080023974A (ko) 주름유도관이 적용된 배출용기
KR200235790Y1 (ko) 용기의 상단이나 측면을 누르면 내용물이 분출되는 용기.
KR102265746B1 (ko) 스탬프 용기
CN215902011U (zh) 泵式容器
KR102583672B1 (ko) 도포모듈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200301598Y1 (ko) 한 손 사용이 가능한 액체용기의 배출노즐
CN219877652U (zh) 一种便捷式按压香水瓶
JP2004350711A (ja) 液体洗剤供給装置
JP4519522B2 (ja) 液体注出容器
KR102331010B1 (ko) 에어리스 다용도 용액토출 용기
CN207748252U (zh) 一种凝胶敷药装置
KR200376971Y1 (ko) 상향식 압출노즐을 구비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