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035Y1 - 각탕욕기 - Google Patents

각탕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035Y1
KR200246035Y1 KR2020010017817U KR20010017817U KR200246035Y1 KR 200246035 Y1 KR200246035 Y1 KR 200246035Y1 KR 2020010017817 U KR2020010017817 U KR 2020010017817U KR 20010017817 U KR20010017817 U KR 20010017817U KR 200246035 Y1 KR200246035 Y1 KR 200246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main body
bath
fo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양서
Original Assignee
구양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양서 filed Critical 구양서
Priority to KR2020010017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0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035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탕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단에 힌지결합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다리의 부피로 인해 본체부 외부로 넘쳐 흐르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통과 경사면에 지압돌기를 다수 형성한 발받침판을 구비함과 아울러, 착탈이 용이한 온도조절장치와 저면부에 내장,보호된 히터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체부(10)를 살펴보면, 두 다리의 무릎밑 종아리가 들어가는 곡선부 (10a) 사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에서 직선부(10b)를 형성하고, 상기 곡선부 (10a)는 상단에 종아리받침부(10c)와 결합가이드(12)를 형성하며, 곡선부 (10a)와 마주보는 내면상에 수위표시부(16)를 구비한 일체형내통체(10-1)가 일체화되며, 외측면 좌,우 양측에 손잡이(1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단에는 힌지(13)를 지점으로 여닫을 수 있고, 다리를 넣은 상태에서 다리를 제외한 부분만 밀폐되도록 닫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뚜껑(20)이 구비되어 따뜻한 물의 열손실을 방지하며, 바닥상에는 지압돌기(72) 및 통공(73)을 다수 형성하고 경사부(71)를 이루는 타원형의 발받침판(70)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저면은 내측으로 일정 깊이만큼 파여지고, 그 중앙에 히터부(40)를 구성, 사각형상의 히터수용개방부(41)에 히터 (42) 및 온도감지센서(43)를 삽입한 다음, 양단을 볼트(45)로 고정하고, 그 위에 하부가 개방되어 히터(42)를 수용하는 육면체의 돌출수용부(44a), 전,후측으로 통공(44d)을 형성한 고정플랜지(44c)로 이루어진 히터수용커버(44)를 구비하여 볼트 (45)를 조아 고정하며, 일측에는 라인홀더(4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결합가이드(12) 상에는 전원스위치(53), 경고알람(51) 및 작동표시LED(55), 온도설정기(54) 및 온도표시창(52)이 구비된 온도조절장치(50)가 결합되어 하부에 고정되고, 연결케이블(57)이 구비되어 히터(42) 및 온도감지센서 (43)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10)의 직선부(10b)상측에 하부로 꺽어진 짧은 배수관(14)과, 그 아래편에 상부로 꺽어진 2개의 고리(15)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15)에 걸림되는 통공(31)을 후면에 형성하고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물받이통(3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은 누구나 손쉽게 가장 편안한 자세로 발부터 무릎밑까지 각탕의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증진에 기여함과 동시에 히터부를 보호하여 보다 오래 각탕욕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부에서 넘쳐흐른 물을 받아 바닥에 물이 흘러 청소를 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없애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탕욕기{foot bath}
본 고안은 각탕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단에 힌지결합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함과 아울러, 착탈이 용이한 온도조절장치와 하부 내장된 히터부, 물받이통 및 지압돌기를 형성한 발받침판을 구비함으로써, 가장 편안한 자세로 발뿐 아니라 무릎밑까지 각탕의 효과를 체험하도록 하며, 히터부를 보호하여 보다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각탕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은 제 2의 심장이라 불리우며, 옛부터 머리는 차게 다리는 따뜻하게 하라(頭寒足熱)고 하였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발건강을 중시하여 발마사지를 전문적으로하는 발건강관리실도 많이 생겨나고, 바쁜 현대인의 건강증진과 피로회복 차원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족탕법은 민간요법의 하나로써, 간단하게 말하면 발을 42℃정도의 따뜻한 물에 15분 정도 담가두는 것을 말하는데, 하루종일 피로에 지친 몸으로 집에 와서 잠자기 전에 뜨거운 물에 발을 담근 상태에서 뽀드득, 뽀드득 소리가 나도록 주물러 주거나, 발바닥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약간 띄운 상태에서 발을 앞뒤로 움직이거나 발가락을 꼼지락 거리면 혈액순환이 잘 되어 훨씬 효과적이며, 이러한 발마사지를 통해 당뇨, 고혈압 등 각종 성인병 및 공해나 스트레스로 병든 우리 몸의 자기 치유력을 높여주게 된다.
대개 발이 피로를 느낄 때 해주는 족탕법에는 3가지가 있는데, 그 첫번째는 따뜻한 물을 이용한 방법으로, 각질이 심한 발이나 차가운 발, 불면증, 생리통, 신경통, 변비, 만성피로한 발 등 혈액순환의 장애를 가진 사람은 물의 온도를 약 42℃로 유지하고 15분 내외로 발을 담가두면 동맥을 확장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주며, 냄새나는 발, 무좀이 심한 발, 화끈거리는 발, 세균성 발 등을 가진 사람은 물의 온도를 15℃∼18℃로 하여 갑자기 찬물의 자극에 의하여 동맥을 수축시킨 후 점차로 확장시키는 차가운 물을 이용한 족탕법이 있는데, 이는 혈액순환을 높임으로써 혈관의 기능을 더욱 더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차가운 물과 따뜻한 물을 동시에 이용하여 따뜻한 물에 5분 정도 담가 두었다가 다시 차가운 물에 10초 정도담근 후 다시 한번 똑같은 방법으로 반복하여 실시하는 방법이 있는데, 우리 몸의 혈관이 확장과 수축을 반복해주므로 혈액순환에 도움을 준다.
상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미열 또는 고열의 환자가 족탕을 하는 경우에는, 뜨거운 물에 발을 담근 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환자의 몸에서 땀이 발생하며, 이때 발생되는 땀은 몸 속의 노폐물과 함께 외부로 배설되도록 하여 원기를 회복시켜 주고, 환자의 신체로부터 발산되는 땀으로 인해 감기 또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된 열을 내려가도록 해서 몸의 피로가 풀리도록 하며, 그 외에도 소화기능의 활성화와 열나는 발, 찬 발, 부은 발, 피로한 발 등의 기능 회복 효과가 있다.
이러한 족탕을 하기 위해서 보통 일반 가정에서는 세면대나 세수대야, 양동이 등에 뜨거운 물을 붓고 발을 담구어 족탕을 하였으며, 발마사지를 전문으로 하는 관리실에서는 별도의 족탕기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별다른 특징이 없이 두 발이 여유있게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일자형 플라스틱통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따뜻한 물을 넣어 발을 담그는 일반적인 족탕기를 사용하기도 하고, 상기 플라스틱통의 하부에 물을 데우기 위해 온도조절스위치와 연결된 발열체를 별도로 설치하여 적정온도로 물을 데워 발을 담글 수 있게 한 족탕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족탕기는 단지 발 부분에만 냉,온탕의 효과가 집중적으로 가해지므로 하체에 대한 전체적인 혈액순환의 흐름을 유도하지 못해 하체의 피로를 원활하게 풀어 주지 못하므로 그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발에 대한 깊이가 비교적 얕은 종래 족탕기의 경우에는 따뜻한 물이 빨리 식어 버리기 때문에 따뜻한 물을 재보충하거나 온도조절스위치를 조절하여 식은 물을 데워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통의 하부에 발열체를 내장하고 온도조절스위치 등을 부착하여 일체화된 구성을 갖는 종래 족탕기는, 넓은 통형태의 플라스틱통으로 인해 필요이상으로 많은 물이 소비되며, 하부에 히터가 내장되어 있어 발바닥이 통체에 닿으면 뜨거워 편하게 사용할 수가 없고, 사용도중 온도조절을 위해서는 허리를 많이 굽혀 바닥부에 고정된 온도조절장치를 조절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후에는 물기를 잘 닦아 건조한 후 보관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게다가,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히터에 손상이 생기기 쉬운데 손상된 히터만을 교체할 방법이 없어, 작은 파손이나 손상에도 족탕기 전체를 새 것으로 바꿔 주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며, 족탕기 내에 눈짐작으로 일정량의 물을 채워 발을 담그면 다리의 부피만큼 수위가 높아져 족탕기 밖으로 물이 넘쳐 바닥을 젖게하고 실내가 더럽혀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본체부 상단에 힌지결합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함과 아울러, 착탈이 용이한 온도조절장치와 연결된 히터, 물받이통, 경사면에 지압돌기를 다수 형성한 발받침판을 구비함으로써, 가장 편안한 자세로 각탕의 효과를 체험하고, 히터부를 보호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각탕욕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송 및 사용이 간편하도록 좌,우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가장 편안한 자세로 두 다리의 무릎밑까지 들어가는 깊이에 종아리가 수용되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 상단 종아리받침부를 형성한 외형에, 일체형 내통체를 구비하여 이중으로 형성한 본체부를 제공하고, 상단 일측에 힌지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하여 따뜻한 물의 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발뿐만 아니라 무릎밑까지 효과적인 각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부의 바닥부에 발바닥이 자연스럽게 놓이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고, 경사바닥부상에 발마사지시 지압효과를 위한 지압돌기 및 통공을 다수 형성한 발받침판을 구비함으로써, 발마사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건강증진 효과를 배가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부 저면에 히터를 내장하고 히터수용커버를 씌워 히터를 보호한 히터부를 구성하고, 상기 히터부가 구성된 본체부 전면에 결합,고정되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중에 원하는 상태의 온도로 자동조절,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부에 다리를 넣었을 때 높은 수위로 인해 외부로 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받을 수 있도록 직선부 상측에 착탈이 용이한 물받이통을 구비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각각의 구성부를 따로 제작하여 조립, 부착하여 생산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이고, 장시간 사용에 의해 새 것으로 바꾸고자 할 경우에도 본체부나 히터 등 필요한 것만 교체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사용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실용성 및 각탕욕기의 상품가치를 높여 사용성을 증대시킴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각탕욕기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각탕욕기 본체 저면부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의 B-B′선 단면도
도4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본체부 일부 절취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각탕욕기의 입력부 및 표시부의 구성도
도7는 본 고안에 따른 각탕욕기의 온도조절과정을 도시한 제어 블록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각탕욕기의 사용 상태도
도9는 본 고안의 각탕욕기 바닥에 구비되는 발받침판의 전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0a : 곡선부 10b : 직선부
10c : 종아리받침부 10-1 : 일체형내통체 11 : 손잡이
12 : 결합가이드 13 : 힌지 14 : 배수관
15 : 고리 16 : 수위표시부 20 : 뚜껑
30 : 물받이통 31 : 결합공 32,58 : 결합돌기
40 : 히터부 41 : 히터수용개방부 42 : 히터
43 : 온도감지센서 44 : 히터수용커버 45 : 볼트
46 : 라인홀더 47 : 연결통공 50 : 온도조절장치
51 : 경고알람 52 : 온도표시창 53 : 전원스위치
54 : 온도설정기 55 : 작동표시LED 56 : 절삭부
57 : 연결케이블 60 : 교류전원기 61 : 정류기
62 : 제어기 63:직류전원출력제어기 64 : 입력부
65 : 표시부 70 : 발받침판 71 : 경사부
72 : 지압돌기 73 : 통공
본 고안은 각탕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 상단에는 힌지결합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종아리부가 편안하게 들어가도록 곡선부를 형성한 외형에, 다리의 부피로 인해 본체부 외부로 넘쳐 흐르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통 및 일방향으로 경사지고 지압용 돌기를 형성한 발받침판을 구비함과 아울러, 착탈이 용이한 온도조절장치와 저면부에 내장,보호된 히터부를 구비함으로써, 가장 편안한 자세로 발에서부터 무릎밑까지 각탕의 효과를 체험하고, 히터부를 보호하여 보다 장시간 각탕욕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체적인 형태가 도1의 전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본체부(10)와 뚜껑(20), 물받이통(30), 저면부에 내장,보호된 히터부(40), 온도조절장치(50), 발받침판(70)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그 각각의 자세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부(10)를 살펴보면, 두 다리의 무릎밑까지 들어가는 깊이에, 종아리가 들어가는 부분은 볼록한 곡선부(10a)를 형성하고, 그 상단은 외측으로 경사져 향하며 높이를 약간 낮게 형성한 종아리받침부(10c)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10) 내에 다리를 담근 상태에서 종아리부의 유동을 편하게 하고, 상기 곡선부(10a) 사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에서 직선부(10b)를 형성하며, 본체부(10) 내면에는 일체형 내통체(10-1)를 구비하여 일체화하고, 상기 곡선부(10a)와 마주보는 일체형 내통체 (10-1)의 내면상에는 눈금표시가 된 수위표시부(16)를 구비하며, 본체부(10) 외측면 좌,우 양측에는 돌출되어 걸림될 수 있는 손잡이(1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발바닥이 놓이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부에는 도4의 A-A′선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받침판(70)을 삽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발받침판(70)은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71)를 이루고, 상기 경사부(71)상에 발마사지시 발바닥 지압효과를 갖는 볼록한 지압돌기(72) 및 통공(73)을 다수 형성하며, 상기 발받침판(70)은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도4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부(71)가 발꿈치부에서 발가락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삽착할 수도 있고, 반대로 발가락부에서 발꿈치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삽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경사부(71)의 경사방향에구애받지 않고 발과 종아리부의 피로를 풀어줄 수 있는 가장 편안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발받침판(70)의 구성은 도9에 도시된 사시도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상단에는 힌지(13)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 (13)를 지점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뚜껑(20)이 구성되는데, 상기 뚜껑(20)은 무릎밑까지 다리를 넣은 상태에서 다리를 제외한 부분만 밀폐되도록 닫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상이며, 따뜻한 물의 열손실을 방지하여 각탕욕기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저면 중앙에는 가열 히터부(40)가 내장되는데, 도2의 저면부 분해 사시도를 보면, 본체부(10) 저면이 내측으로 일정 깊이만큼 파여지고, 그 중앙에 사각형상의 히터수용개방부(41)를 형성, 상기 히터수용개방부 (41)에 히터(42) 및 온도감지센서(43)를 구비하여 삽입한 다음, 양단을 볼트(45)로 고정하고, 그 위에 히터수용커버(44)를 씌우는데 상기 히터수용커버(44)는 하부가 개방되어 히터(42)를 수용하는 육면체의 돌출수용부(44a)를 형성하고, 그 양측면에는 취급이 편리하도록 반원홈(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측으로는 고정플랜지 (44c)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플랜지(44c)에 형성된 체결공(44d)에 볼트(45)를 삽입, 나사조임하여 고정한다.
상기 저면부 히터(42)가 히터수용커버(44)에 의해 보호되는 일측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와 같은 형태로 코드선을 감아 정리할 수 있는 라인홀더(46)가구비되어 있고, 상기 히터(42)가 수용된 본체부(10)의 직선부(10b)상에 연결통공 (47)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통공(47)을 통해 히터(42) 및 온도감지센서(43)가 외부에 장착된 온도조절장치(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히터부(40)의 구성은 도3의 저면부 단면도에도 잘 나타나 있으며, 도8의 사용상태도에서도 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곡선부(10a)에서 직선부(10b)로 이어지는 곡선부 (10a) 내측에는 상단에서 하부로 길게 홈이 파져 결합가이드(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10)의 결합가이드(12) 상에는 온도조절장치(50)가 결합되어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가이드(12)상에는 온도조절장치(50) 외에도 상측에 사각형상의 물받이통(30)이 결합,구비되는데, 상기 본체부(10)의 직선부(10b)상측에 하부로 꺽어진 짧은 배수관(14)을 형성하고, 그 아래편에 상부로 꺽어진 2개의 고리(15)를 형성,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물받이통(30) 후면에 상기 2개의 고리(15)에 걸림되는 결합공(31)을 형성하고,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32)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10)의 결합가이드(12)에 끼움된다.
즉, 물받이통(30)은 양측 결합돌기(32)를 본체부(10)의 결합가이드(12) 상단에 끼운 상태에서 후면 통공(31)이 본체부(10)의 고리(15)에 걸리도록 하부로 내려 고정시키며, 이를 통해 본체부(10) 내에 차 있다가 수위가 높아져 넘쳐 흐르는 물이 배수관(14)을 통해 유출되어 물받이통(30)에 담겨짐으로써, 바닥부로 물이 흘러 실내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는 도5의 본체부 일부 절취 사시도에 보이는 것과 같다.
상기 온도조절장치(50)는 그 상면에 전원스위치(53), 경고알람(51) 및 작동표시LED(55), 온도설정기(54) 및 온도표시창(52)이 구비되어 있고, 후측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고 상기 물받이통(30)이 결합되는 고리(15)에 걸림되지 않도록 중앙에 2개의 절삭부(56)를 형성하며, 연결케이블(57)이 연결되어 히터(42) 및 온도감지센서(43)와 연결되며, 양측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58)가 상기 본체부(10)의 곡선부(10a) 내측 결합가이드(12)상에 끼워져 결합된 후, 상기 결합가이드(12)상에서 가이드되어 하부로 내려가 결합가이드(12) 하단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각탕욕기의 사용상태가 도8에 도시되어 있는데, 본체부(10)에 일정수위까지 물을 담아 온도조절장치(50)를 작동시켜 적정온도로 물을 데운 다음, 설정된 온도만큼 물이 데워지면 의자나 쇼파에 편안한 자세로 앉거나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가장 편안한 너비로 다리를 벌린 상태로 양 곡선부(10a)에 종아리가 향하도록 무릎밑까지 다리를 넣은 다음, 다리를 제외한 공간부분에 뚜껑(20)을 덮어 열손실에 의해 물이 식는 것을 방지하여 따뜻한 물의 상태를 유지한채로 종아리까지 물에 잠기도록 하여 각탕을 하며, 하부 바닥부상에 구비되는 발받침판(70)상의 지압돌기(72)에 의해 발바닥에 지압이 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장치(50)의 작동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도6에서와 같이, 상기의 전원스위치(53), 온도설정기(54)를 갖는 입력부(64)와, 작동표시LED(55), 경고알람(51), 온도표시창(52)을 갖는 표시부(65)로 나누고, 내부 동작을 도7의 제어블록도를 참고로 하여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를 꽂고, 입력부(64)에서 전원스위치(53)를 ON시키고, 온도설정기(54)로 원하는 적정온도를 설정하면, 표시부(65)의 작동표시LED(55)가 ON됨과 동시에 온도표시창(52)에 설정온도가 표시되며, 교류전원기(60)에 220V(110V)의 교류전원이 인가되고, 정류기(61)를 거쳐 교류전원이 직류전원으로 정류되어 출력된다.
그런 다음, 직류전원출력제어기(63)에서 제어기(62)의 신호에 따라 히터(42)에 직류전원을 공급하여 히터(42)를 가열하게 되며, 온도감지센서(43)가 히터(42)의 온도를 검출하여 제어기(62)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기(62)에서는 검출된 온도를 입력부(64) 설정온도와 비교한 후, 설정온도와 동일하면 표시부(65) 작동표시LED(55)를 OFF시킴과 동시에 경고알람 (51)을 울리고,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시에는 직류전원출력제어기 (63)의 출력신호를 차단하여 히터(42)가 가열되는 것을 차단하며, 검출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아지면 직류전원출력제어기(63)에 다시 출력신호를 인가하여 히터 (42)를 재가열함으로써,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탕욕기를 동작시켜 각탕을 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약 15분에서 20분 정도)하면 다리나 발에서 땀이 베어 나오게 되며, 이때 베어 나오는 땀은 신체의 불필요한 노폐물과 함께 배설되어 냉(冷)하기 쉬운 하지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발한을 촉진시키게 됨으로써, 피로회복이나 기침, 감기, 신장병, 신우염, 수종, 부종, 당뇨, 수족냉증, 불면증, 신경통, 변비 등의 혈액순환 장애를 완화시켜 준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각탕욕기는 상기와 같이 따뜻한 물에 하는 각탕법 외에 그냥 차가운 물에 발을 담궈 냄새나고 무좀 등의 세균성이 있거나 화끈거리는 발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각탕법은 물론이고,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을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우리 몸의 혈관이 확장, 수축을 반복하여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각탕법을 사용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반 가정용 전력 외에 차량용 시거잭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정이나 실내의 특정 장소뿐만 아니라 자동차 안에서도 의자에 앉은 상태로 각탕을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은 일반 수돗물을 데워 사용하는 온수 대신에 미세황토분말을 이용한 지장수 또는 녹차, 마늘대 삶은물 등을 사용할 경우, 발의 건강과 피부미용에 좋을 뿐 아니라, 동절기시 발의 동상 치료와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본 고안은 본체부 상단에 힌지결합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함과 아울러, 내장, 보호된 히터와 착탈이 용이한 온도조절장치 및 물받이통, 지압돌기를 형성한 발받침판을 구비한 각탕욕기를 구성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가장 편안한 자세로 발부터 무릎밑까지 각탕의 효과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증진에 기여함과 동시에 히터부를 보호하여 보다 오래 각탕욕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본체부는 가장 편안한 자세로 두 다리의 종아리가 들어가도록 곡선부를 형성하고, 곡선부 상단에 외측으로 경사져 높이를 낮춘 종아리받침부를 형성한 외형을 가지므로, 사용상태가 편안하며, 바닥부에는 발바닥이 자연스럽게 놓이도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상면에 발마사지시 지압효과를 위한 지압돌기를 형성한 발받침판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회복과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건강증진 효과를 배가한다.
그리고, 본체부의 직선부 상측에 착탈이 용이한 물받이통을 구비하여, 본체부 내에 물을 채운 후 다리를 넣었을 때, 다리의 부피만큼 높아지는 수위로 인해 외부로 물이 넘쳐 흐를 경우, 넘쳐흐른 물을 받아 바닥에 물이 흘러 청소를 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없애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체부의 상단에 힌지결합으로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하여 따뜻한 물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이송 및 사용이 간편하도록 본체부의 좌,우 외측면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증대시킨다.
뿐만 아니라, 생산과정에서 본체부, 뚜껑, 히터부, 온도조절장치, 물받이통 등 각각의 구성부를 따로 제작하여 조립, 부착하여 각탕욕기를 완성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높이고, 장시간 사용에 의해 새 것으로 바꾸고자 할 경우에도 본체나히터, 물받이통 등 교체가 필요한 것만 새 것으로 바꾸어 사용하면 되므로 사용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실용성 및 각탕욕기의 상품가치를 높여 사용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두 다리의 종아리가 들어가는 곡선부(10a)와, 그 상단에 높이를 낮춰 외향경사진 종아리받침부(10c)를 형성하며, 상기 곡선부(10a) 사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에서 직선부(10b)를 형성하고, 외측면 좌,우 양측에는 돌출되어 걸림될 수 있는 손잡이(11)를 구비하며, 상기 곡선부(10a) 내측에 상단에서 하부로 길게 결합가이드(12)를 형성, 다리의 무릎밑까지 들어가는 깊이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일측 상단에 구비된 힌지(13)를 지점으로 여닫을 수 있고, 다리를 넣은 상태에서 다리를 제외한 공간부만 밀폐되도록 닫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뚜껑(20)과,
    상기 본체부(10) 저면 히터부(40)와 연결되는 온도조절장치(50), 물받이통 (30) 및 발받침판(70)을 구비함으로써, 발뿐만 아니라 무릎밑까지 다리를 넣어 사용할 수 있는 각탕욕기.
  2.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 저면은 내측으로 일정 깊이만큼 파여지고, 그 중앙의 히터부(40)는 사각형상의 히터수용개방부(41)에 히터(42) 및 온도감지센서(43)를 삽입하고, 그 위에 히터수용커버(44)를 씌워 고정하고, 일측에 라인홀더(46)를 구비하며, 상기 히터(42) 및 온도감지센서(43)와 연결되고, 상면에 전원스위치(53), 경고알람(51) 및 작동표시LED(55), 온도설정기(54) 및 온도표시창(52)을 구비하고, 후면 중앙에 2개의 절삭부(56)와 양측 결합돌기(58)를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10)의 결합가이드(12) 하단에 고정되는 온도조절장치(5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탕욕기.
  3.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직선부(10b)상측에 하부로 꺽어진 짧은 배수관(14)을 형성하며, 그 아래편에 상부로 꺽어진 2개의 고리(15)를 형성, 상기 2개의 고리(15)에 걸림되는 통공(31)을 후면에 형성하고,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32)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가이드(12)에 끼움되며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상의 물받이통(3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탕욕기.
  4.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하향경사를 이루는 경사부(71)상에 볼록한 지압돌기(72) 및 통공(73)을 다수 형성한 발받침판(70)을 발바닥이 놓이는 상기 본체부(10)의 바닥상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탕욕기.
KR2020010017817U 2001-06-14 2001-06-14 각탕욕기 KR200246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817U KR200246035Y1 (ko) 2001-06-14 2001-06-14 각탕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817U KR200246035Y1 (ko) 2001-06-14 2001-06-14 각탕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569A Division KR100430693B1 (ko) 2001-06-14 2001-06-14 각탕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035Y1 true KR200246035Y1 (ko) 2001-10-31

Family

ID=7306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817U KR200246035Y1 (ko) 2001-06-14 2001-06-14 각탕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0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967B1 (ko) * 2015-03-27 2016-08-30 유창아이엔(주) 차량 내의 족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967B1 (ko) * 2015-03-27 2016-08-30 유창아이엔(주) 차량 내의 족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058B1 (ko)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KR200406632Y1 (ko) 족욕기
KR100430693B1 (ko) 각탕욕기
KR200246035Y1 (ko) 각탕욕기
KR101720894B1 (ko) 무좀치료에 도움을 주는 건식 족욕기
KR200246034Y1 (ko) 내부통체가 분리되는 각탕욕기
KR200376748Y1 (ko) 건식 족욕기
KR200396928Y1 (ko) 수족온탕장치
KR101393368B1 (ko) 하체용 온열기
JP3131608U (ja) 身体装着用の足湯器具又は腰湯器具
KR100829991B1 (ko) 족열 찜질기
KR200406633Y1 (ko) 족욕기용 가열관
KR200414192Y1 (ko) 온열 찜질기
KR200409558Y1 (ko) 발 온열기
JPH024661Y2 (ko)
KR200349099Y1 (ko) 개량형 전자 족탕욕장치
KR100668495B1 (ko) 상처 부위에 대한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505766B1 (ko) 가정용 좌훈욕기
KR100494715B1 (ko) 족탕기
JP2002263161A (ja) 発汗用ベッド
CN217793780U (zh) 一种带有按摩的养生桶
KR200363512Y1 (ko) 족욕기
KR200305996Y1 (ko) 매트
KR200306914Y1 (ko) 족탕기
KR20060103609A (ko) 냉온 발마사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