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381Y1 -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 - Google Patents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381Y1
KR200245381Y1 KR2020010015513U KR20010015513U KR200245381Y1 KR 200245381 Y1 KR200245381 Y1 KR 200245381Y1 KR 2020010015513 U KR2020010015513 U KR 2020010015513U KR 20010015513 U KR20010015513 U KR 20010015513U KR 200245381 Y1 KR200245381 Y1 KR 200245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icrocontroller
control
recording
alcohol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미
Original Assignee
이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미 filed Critical 이선미
Priority to KR2020010015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381Y1/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디오 레벨 제어부의 제어로 콘덴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레벨의 음성과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로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재생되어 오디오 파워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증폭하여 AD-DA 변환기에 제공하는 마이크 앰프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로 상기 마이크 앰프로부터의 음성을 디지털 상태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 출력하거나 아날로그 상태로 변환하여 파워 앰프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하는 AD-DA 변환기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로 상기 AD-DA 변환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녹음하거나 저장된 음성을 재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플래쉬 메모리와, 본체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알콜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제공하는 알콜 센서와, 음성의 녹음과 재생 및 알콜 농도 측정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음성의 녹음 및 재생 동작과 알콜 농도를 표시하기 위해 LCD 디스플레이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제어로 음성의 녹음 및 재생 동작과 알콜 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방향에 관계없이 콘덴서 마이크에 의해 수집되는 음성을 녹음할 수 있으며,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에 연결하여 녹음(저장)된 음성을 편집하거나 다시 재생할 수 있을 뿐더러 음주자의 알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digital voice recorder}
본 고안은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플래쉬 메모리에 녹음(저장)하였다가 편집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음주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레코더는 음성을 녹음 및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하지만, 마이크를 통해 음성뿐만 아니라 잡음까지도 수집되기 때문에 필요한 음성만을 녹음하는데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녹음된 음성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이용해야만 가능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음주 운전자를 검문하는 과정에서 음주자의 음성을 녹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음주 측정기와 레코더가 분리되어 있어, 음주자의 음성을 정확하게 녹취하지 못할뿐더러 녹취 작업 자체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향에 관계없이콘덴서 마이크(condenser mic)에 의해 수집되는 음성을 녹음할 수 있으며,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nputer)에 연결하여 녹음(저장)된 음성을 편집하거나 다시 재생할 수 있을 뿐더러 음주자의 알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고안이 채용된 본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b는 도 1의 본 고안이 채용된 본체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원 변환부 2 : EL 드라이버
3 : CPU 클럭 발진기 4 : 알콜 센서
5 : 오디오 파워 제어부 6 : 외부 마이크 잭
7 : 마이크 앰프 8 : 콘덴서 마이크
9 : 오디오 레벨 제어부 10 : LCD 디스플레이
11 : 마이크로 콘트롤러 12 : 플래쉬 메모리
13 : AD-DA 변환기 14 : 모드 키
15 : USB 드라이버 16 : USB 잭
17 : 디지털 신호 처리기 18 : DSP 클럭 발진기
19 : 이어폰 잭 20 : 스피커
21 : 파워 앰프 22 : 흡입구
23 : 흡입기 24 : 본체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a,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오디오 레벨 제어부(9)의 제어로 콘덴서 마이크(8)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레벨의 음성과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플래쉬 메모리(12)로부터 재생되어 오디오 파워 제어부(5)(audio power control)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증폭하여 AD-DA 변환기(13)에 제공하는 마이크 앰프(7)(mic amplifier)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상기 마이크 앰프(7)로부터의 음성을 디지털 상태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7)(digital signal processor)로 출력하거나 아날로그 상태로 변환하여 파워 앰프(21)를 통해 스피커(20)(speaker)로 출력하는 AD-DA 변환기(13)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상기 AD-DA 변환기(1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녹음하거나 저장된 음성을 재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7) 및 플래쉬 메모리(12)와, 본체(24)의 흡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알콜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마이크로 콘트롤러(11)에 제공하는 알콜 센서(4)와, 음성의 녹음과 재생 및 알콜 농도측정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음성의 녹음 및 재생 동작과 알콜 농도를 표시하기 위해 LCD 디스플레이(10)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11)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음성의 녹음 및 재생 동작과 알콜 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디스플레이(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micro controller)에는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와의 연결을 위한 USB 잭(16) 및 USB 드라이버(15)가 연결되어, 플래쉬 메모리(12)(flash memory)에 저장된 음성을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편집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 입력에 따른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EL 백 라이트를 소정시간(5 초) 동안 점등시키게 되는 EL 드라이버(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1은 마이크 앰프(7)나 파워 앰프(21), 마이크로 콘트롤러(11), 디지털 신호 처리기(17) 등에 구동전원을 공급되는 전원 변환부이고, 3은 CPU 클럭 발진기, 18은 DSP 클럭 발진기, 6은 외부 마이크와의 연결을 위한 외부 마이크 잭, 19는 이어폰과의 연결을 위한 이어폰 잭, 14는 본 고안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키이다. 위의 전원 변환부(1)에는 배터리(BA)로부터 공급되는 소정 레벨의 DC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모드 키(14)의 위치에 따라 녹음 및 재생모드인 경우, 고감도 무지향성 마이크인 콘덴서 마이크(8)나 외부 마이크 잭(6)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이 마이크 앰프(7)에서 증폭되어 AD-DA 변환기(13)에 입력된다. 여기서, 오디오 레벨 제어부(9)에 의해 마이크 앰프(7)에 입력되는 음성은 소정 레벨로 일정하게 조정되어 입력되어진다.
이렇게 입력된 음성은 AD-DA 변환기(13)에 의해 디지털 상태로 변환된 후 디지털 신호 처리기(17)에 제공 처리되어 플래쉬 메모리(12)에 저장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17)는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에 따라 SP모드 혹은 LP모드로 음성을 처리하여 플래쉬 메모리(12)에 저장한다. 즉, SP모드시에는 음성을 1/6로 압축하여 플래쉬 메모리(12)에 저장하고, LP모드시에는 음성을 14/1로 압축하여 플래쉬 메모리(12)에 저장함으로써 저장용량을 늘린다.
뿐만 아니라, 음성의 저장용량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플래쉬 메모리(12)의 용량을 선택할 수 있는데, 위의 플래쉬 메모리(12)로는 4M, 8M, 16M, 32M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USB 잭(16)에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를 연결하게 되면, 퍼스널 컴퓨터와 마이크로 콘트롤러(11) 사이에 온라인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플래쉬 메모리(12)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을 다운로드 받아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다. 물론, 다운로드 받아 편집된 음성을 다시 플래쉬 메모리(12)에 저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 다음으로 재생모드에서는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17)가 구동되어 플래쉬 메모리(12)에 저장된 음성 중 특정 음성이 재생되고, 이는 마이크로 콘트롤러(11)와 오디오 파워 제어부(5)를 통해 마이크 앰프(7)로 출력되게 된다. 특히, 오디오 파워 제어부(5)에 의해 음성은 후단에서 필요로 하는 일정한 레벨을 유지한 상태에서 마이크 앰프(7)에 제공되게 된다.
이어서, 음성은 위에서와 같이 마이크 앰프(7)에서 증폭되고, AD-DA 변환기(13)에서 아날로그 상태로 변환된 후 파워 앰프(13)에서 다시 증폭되어 이어폰 잭(19)에 연결된 이어폰이나 스피커(20)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모드 키(14)(mode key)의 조작으로 음주 측정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흡입기(23)를 물고 불어 흡입구(22)로 공기가 유입되면 알콜 센서(4)는 공기 중의 알콜 농도에 대응하는 전류값을 검출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11)에 공급하게 된다.
그리하면, 제어부(11)는 전류값과 알콜 농도에 대한 테이블에 공급된 전류값을 적용하여 운전자의 알콜 농도를 읽어낸다. 이때 측정 가능한 알콜 농도의 범위로는 0.01에서부터 0.2 %까지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렇게 측정된 운전자의 알콜 농도는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음성의 녹음 및 재생 동작을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LCD 디스플레이(10)에 디스플레이되어진다.
특히, 야간에 EL 백 라이트를 점등하기 위한 키를 조작함으로써 마이크로 콘틀로러(11)의 제어로 EL 드라이버(2)가 구동되어 EL이 소정시간(5초) 동안 점등되기 때문에 야간에도 사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방향에 관계없이 콘덴서 마이크에 의해 수집되는 음성을 녹음할 수 있으며,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에 연결하여 녹음(저장)된 음성을 편집하거나 다시 재생할 수 있을 뿐더러 음주자의 알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오디오 레벨 제어부(9)의 제어로 콘덴서 마이크(8)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레벨의 음성과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플래쉬 메모리(12)로부터 재생되어 오디오 파워 제어부(5)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증폭하여 AD-DA 변환기(13)에 제공하는 마이크 앰프(7);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상기 마이크 앰프(7)로부터의 음성을 디지털 상태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7)로 출력하거나 아날로그 상태로 변환하여 파워 앰프(21)를 통해 스피커(20)로 출력하는 AD-DA 변환기(13);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상기 AD-DA 변환기(1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녹음하거나 저장된 음성을 재생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7) 및 플래쉬 메모리(12);
    본체(24)의 흡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알콜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마이크로 콘트롤러(11)에 제공하는 알콜 센서(4);
    음성의 녹음과 재생 및 알콜 농도 측정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음성의 녹음 및 재생 동작과 알콜 농도를 표시하기 위해 LCD 디스플레이(10)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11);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음성의 녹음 및 재생 동작과 알콜 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LCD 디스플레이(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에는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와의 연결을 위한 USB 잭(16) 및 USB 드라이버(15)가 연결되어, 플래쉬 메모리(12)에 저장된 음성을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편집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입력에 따른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의 제어로 EL을 소정시간 동안 점등시키게 되는 EL 드라이버(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
KR2020010015513U 2001-05-25 2001-05-25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 KR200245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13U KR200245381Y1 (ko) 2001-05-25 2001-05-25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513U KR200245381Y1 (ko) 2001-05-25 2001-05-25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381Y1 true KR200245381Y1 (ko) 2001-10-29

Family

ID=7308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513U KR200245381Y1 (ko) 2001-05-25 2001-05-25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3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1744B2 (en) 2016-03-31 2021-06-22 Lg Innotek Co., Ltd. Composite sensor pack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1744B2 (en) 2016-03-31 2021-06-22 Lg Innotek Co., Ltd. Composite sensor pack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9893A (en) Memory-type recording/playback device used by fitting a milk bottle
US7187775B2 (en) Audio signal recording apparatus
EP0766190A3 (en) IC card reader with audio output
KR200245381Y1 (ko) 음주측정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음성 레코더
US20010032071A1 (en) Portable data recording and/or data playback device
US20020111703A1 (en) Musician's practice recorder
FI98981C (fi) Kädessä pidettävä tallentava audiovisuaalinen stetoskooppi
US20040007119A1 (en) Sound recording/playing jewelry case
CN200966159Y (zh) 内置dvd播放器的有源音箱
US20040028384A1 (en)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20020084334A1 (en) Digital electronic audio player with cassette tape simulation feature and compatible with cassette tape players, and method therefore
KR20070046462A (ko) 청력 보호를 위한 오디오 재생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재생장치
CN2208256Y (zh) 数字录音语言学习机
KR200247349Y1 (ko) 입냄새 및 알코올 측정이 가능한 녹음기
CN201741380U (zh) 一种校音器
KR200191270Y1 (ko) 소리감지장치를 이용한 완구용 음성녹음 재생기
CN2417544Y (zh) Mp3数码录放复读机
CN2669312Y (zh) 带有音频功放电路的静声乐器
CN2333049Y (zh) 智能型外语学习机
JP4187444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
US20050283261A1 (en) Speaking thermometer
KR200272490Y1 (ko) 휴대용 구간반복 학습기
JPH0174621U (ko)
JP2007140063A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3077772U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