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366Y1 -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366Y1
KR200245366Y1 KR2020010013977U KR20010013977U KR200245366Y1 KR 200245366 Y1 KR200245366 Y1 KR 200245366Y1 KR 2020010013977 U KR2020010013977 U KR 2020010013977U KR 20010013977 U KR20010013977 U KR 20010013977U KR 200245366 Y1 KR200245366 Y1 KR 200245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detection signal
current
rotati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인환
Original Assignee
석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인환 filed Critical 석인환
Priority to KR2020010013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36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회전과 수직회전을 하는 회전체를 이용하여 손과 손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술한 회전을 통해 발생한 전력을 이용하여 내장된 각종 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량을 파악할 수 있는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일측으로 편심을 이루면서 자성을 띠는 자성체를 띠모양으로 외부면에 형성하고 중심점과 자성체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대를 기준축으로 하여 수직회전하는 회전구, 회전구 밖으로 돌출한 중심축대 양단의 돌출부를 안착시켜 중심축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중심축대를 수평회전시키는 수평회전링, 수평회전링을 안착하고 내부면에 코일을 권취하여 전술한 편심부의 회전을 통해 발생한 전류를 이용하여 해당 소자를 구동하는 표시부를 내장하는 손잡이부, 일단이 손잡이부와 억지끼움이 이루어지고 타단은 개방되어 회전체 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덮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회전체의 수평회전력과 수직회전력을 통해 손과 손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운동량을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Sports equipment using a body of revolution}
본 고안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회전과 수직회전을 하는 회전체를 이용하여 손과 손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전술한 회전을 통해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각종 소자를 구동하여 운동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라 함은 누구나 가정 또는 헬스장 등에서 각자 원하는 운동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신체부위의 특징에 적합하도록 특별히 제작된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통상 각 개인의 신체 부위에 따라 적당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고, 특히 오늘날에 있어 사회활동 등의 바쁜 일정으로 등산이나 조깅 등의 운동을 할 수 없는 현대인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것이다.
그래서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들은 소위 헬스장이나 가정 또는 특정한 장소에서 여가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대부분의 현대인들에게는 헬스장에서의 운동이나 등산 또는 조깅을 할 수 있는 시간적, 물질적인 여유가 있는 것은 아니며, 비록 이러한 운동기구들이 현대인들에게 유익하다할 지라도 사용 비용을 지불해야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가로 구입해야 하며, 설령 운동기구를 구입했다 하더라도 집안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 또한 적지 않아서 그대로 방치해 두거나 큰 부피로 인해 휴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적은 비용으로 어디서나 손과 손목운동을 손쉽게 할 수 있어 유연성 및 악력을 높이는 한편, 사용자 스스로가 자신의 운동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동경기 전에 손목의 유연성을 강화하여 운동경기 중에 손목을 삐는 경우를 예방하는 데 있고, 본 고안에 다양한 장치를 설치하여 학생들의 교육용 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경기에서 응원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블럭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회전체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체 11 : 자성체
12 : 중심축대 12a: 돌출부
13 : 회전구 20 : 덮개
21 : 개방구 22 : 수평회전궤도부
30 : 손잡이부 31 : 수평회전궤도부
33 : 코일 40 : 수평회전링
41 : 삽입구 42 : 수직링
43 : 수평링 60 : 표시부
70 : 센서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일단이 개방된 개방구를 구비하는 덮개, 개방구를 통해 드러난 일부분에 힘을 가하면 기준축을 기준으로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기준축의 일측으로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편심부를 구비하는 회전구, 회전구의 기준축을 따라 성형되어 회전구를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중심축대, 돌출부가 삽입하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중심축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구의 회전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링, 일단이 덮개의 타단과 결합하여 수평회전링이 중심축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궤도를 형성하는손잡이부로 구성되는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에 있어서, 편심부를 자성체로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면에 코일을 권취하여 상기 회전구의 회전시 상기 코일에 발생하는 전류를 이용해 발광 및 발성하며 상기 회전구의 회전수와 회전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는 일단이 회전구(13)의 일부가 드러날 수 있도록 원주를 소정 너비로 절단한 개방구(21)를 구비하는 덮개(20), 회전체(10)를 내부에 안착시키고, 덮개(20)와 일단이 결합하며, 회전체(10)를 소정의 간격으로 안착한 손잡이부(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표시부의 블럭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는 크게 덮개(20), 회전체(10), 수평회전링(40) 및 손잡이부(30)로 이루어져 있다.
덮개(20)는 양단에 각각 개방구(21)와 수평회전궤도부(22)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체(10)는 회전구(13)와 중심축대(12)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구(13)는 중심축대(12)의 일측으로 편심을 이루는 띠형상 자성체(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중심축대(12)는 양단에 돌출부(12a)를 구비하며, 수평회전링(40)은 수평링(43), 삽입구(41), 수직링(42)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손잡이부(30)는 일단이 수평회전궤도부(31)를 구비하며, 표시부(60)와 센서부(70)를 내장하는 한편, 내부면에 코일(33)이 권취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덮개(20)는 양단이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단은 후술한 회전체(10)가 결합 후, 회전구(13)의 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소정너비의 개방구(21)를 구비하고, 타단은 후술한 수평회전궤도부(22)를 구비하는 한편, 손잡이부(30)와 억지끼움이 이루어진다. 즉, 수평회전궤도부(22)는 손잡이부(30)와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중심을 향해 원주를 따라서 형성된 홈('ㄱ'자 모양)이며, 상술한 홈의 벽이 손잡이부(30)와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회전체(10)는 회전구(13)와 중심축대(12)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구(13)는 덮개(20)와 후술한 손잡이부(30)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구(13)는 일측으로 무게중심을 이루도록 중심축대(12) 일측의 수직상부에 외주면을 따라서 소정 두께의 자성체(11)로 이루어지며 회전구(13)의 회전시 후술된 코일(33)과 함께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중심축대(12)는 회전구(13)의 중심을 관통하고, 양단이 회전구(13)의 양단을 관통하여 돌출한 돌출부(12a)를 구비하여 후술된 수평회전링(40)의 삽입구(41)에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회전구(13)가 이러한 중심축대(12)를 기준축으로 하여 회전(이하 '수직회전'이라 한다)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최초의 수직회전은 상술한 개방구(21)를 통해 일부 드러난 회전구(13)에 힘을 가하여 가능하게 된다.
중심축대(12)의 돌출부(12a) 너비는 삽입구(41)의 너비보다 조금 적도록 형성하고 수평링(43)의 너비보다는 조금 크도록 형성하는데, 이는 돌출부(12a)가 삽입구(41)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후술한 수평링(43)과 수평회전궤도부(22, 31)와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수평회전링(40)이 수평회전궤도부(22, 31)상에서 중심축대(12)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좀더 원활히 회전(이하 '수평회전'이라 한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중심축대(12) 양단부의 회전구(13) 내측에는 베어링부(17)를 설치한다. 베어링부(17)는 회전구(13)로 연결되어 있어 회전구(13)와 일체로 회전하지 않으며 회전구(13)가 더욱 강한 수직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수평회전링(40)은 삽입구(41), 수직링(42) 및 수평링(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구(41)는 중심축대(12)의 돌출부(12a)가 안착되도록 수직링(42)에 형성된 홀이다.
수직링(42)은 각 돌출부(12a)가 삽입하는 삽입구(41)가 형성되는 한편, 회전체(10)의 표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링형태를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수평링(43)은 수직링(42)의 중심에서 반대방향으로 원주를 따라서 돌출한 부분으로서 수평링(43)은 수직링(42)을 관통한 돌출부(12a)에 의해서 양 단이 절단되어 있다.
수평링(43)은 덮개(20)와 손잡이부(30)의 수평회전궤도부(22, 31)내에서 역시 이격되고 돌출부(12a)의 너비보다는 적도록 형성하므로써, 수평회전링(40)이 수평회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평회전링(40)의 수평회전은 회전체(10)의 수직회전이 더욱 고속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수평회전링(40)은 회전구(13)와 억지끼움이 이루어진 덮개(20) 및 손잡이부(3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부(3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일단이 원주를 따라서 내측으로 형성된 홈 즉 수평회전궤도부(31)가 형성되어 전술한 수평회전링(40)의 수평링(43)이 안착된다.
수평회전궤도부(31)의 반대측에는 덮개(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 역시 성형되는데, 덮개(20)의 수평회전궤도부(22)의 벽과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는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평회전궤도부(22, 31)에 의해서 수평회전링(40)의 수평링(43)이 안착되고 회전할 수 있는 궤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70)와 표시부(60)가 내장되는데, 표시부(60)는 코일(33)을 통해 발생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기(61), 정류기(61)에 의해서 정류된 전류를 충전하여 소정의 전압으로 인가하는 제 1 충전기(63), 제 1 충전기(63)의 전압이 높아 역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충방전 제어수단(62), 제 1 충전기(63)에서 인가된 소정의 전압으로 구동하는 해당 소자 예를 들면 타이머(67)와 카운터(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코일(33)은 양단이 전술한 정류기(61)에 접속되고 손잡이부(30)의 내부면에권취되어 자성체(11)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기전력을 정류기(61)에 인가한다.
정류기(61)는 코일(33)을 통해 발생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며, 제 1 충전기(63)는 이러한 직류를 충전하는 한편, 해당 소자 예를 들어 타이머(67)와 카운터(68)가 구동할 수 있는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제 1 충방전 제어수단(62)은 제 1 충전기(63)에 충전된 전압이 높아 역전류가 흘러 제 1 충전기(63)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1 충방전 제어수단(62)은 회전구(13)의 이전 회전으로 인해 제 1 충전기(63)에 충전된 전류로 회전구(13)의 최초 회전시부터 표시부(60)가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60)는 제 1 충전기(63)에 충전된 전압으로 액정표시장치(Lyquid crystal display; LCD)(69)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타이머(67)를 이용하여 회전구(13)의 수직회전 시간 즉 운동시간을 표시하며, 카운터(68)를 이용하여 회전체(10)의 회전수를 나타내도록 한다. 또한 발성부는 멜로디칩(65)을 내장하여 스피커(66)를 통해 소정의 출력레벨로 증폭한 후 출력한다.
즉, 표시부(60)는 제 1 충전기(63)를 내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센서부(70)는 정류기(61)로부터의 전류를 충전시키는 제 2 충전기(72), 제 2 충전기로부터 흐르는 역전류를 방지하는 제 2 충방전 제어수단(71), 회전구(13)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73), 감지부(73)로 통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신호 전송수단(74), 감지신호 전송수단(74)에 의해 전송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 수신부(75) 및 감지신호 수신부(75)를 감시하다가 감지신호 수신부(75)가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소자를 구동하는 제어부(76)로 이루어진다.
제 2 충전기(72)는 정류기(61)와 접속되어 회전구(13)의 이전 회전으로 미리 전류를 충전하여 회전구(13)의 회전시 전술한 정류기(61)로부터 전류가 공급되지 않더라도 회전구(13)의 최초 1회전부터 구동할 수 있다. 이는 제 2 충방전 제어수단(71)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제 2 충방전 제어수단(71)은 제 2 충전기(72)에 충전된 후 제 2 충전기(72)의 전압이 표시부(60)의 전압보다 높아서 제 2 충전기(72)로부터의 역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센서부(70)는 제 2 충전기(63)에 충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후술된 감지부(73)가 감지대기상태로 있다가 회전구(13)가 최초 회전할 경우부터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감지부(73)는 최초 회전부터 마지막 회전까지 회전구(13)의 회전을 계속적으로 감지한다. 감지부(73)가 회전구(13)의 최초 회전을 감지하면 감지신호 전송수단(74)은 이러한 감지신호를 감지신호 수신부(75)로 전송한다.
제어부(76)는 감지신호 수신부(75)를 감시하고 있다가 감지신호 수신부(75)가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카운터(68)와 타이머(67)를 동작시킨다. 회전구(13)가 계속 회전하는 동안 감지부(73)가 감지한 것을 감지신호 전송수단(74)이 감지신호 수신부(75)로 전송하면 제어부(76)에 의해서 카운터(68)는 첫번째 감지 신호부터 마지막 감지 신호까지의 횟수를 LCD(69)로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타이머(67)는 첫번째 감지 신호부터 마지막 감지 신호까지의 전송시간을 계속적으로 LCD로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76)는 감지신호 수신부(75)로부터 감지신호를 인식한 후 소정의 시각내에 다음 신호를 인식하지 않으면 회전구(13)가 회전을 멈춘 것으로 파악하여 카운터(68)와 타이머(67)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하에서는 회전체(10)의 수직회전과 수평회전링(40)의 수평회전이 발생하는 과정과 이로 인한 표시부(60)의 구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부(30)를 손으로 잡고 덮개(20)의 개방구(21)를 통해 드러난 회전구(13)의 일부에 힘을 가하면 회전구(13)는 힘을 가하는 방향으로 회전 즉 수직회전한다.
회전구(13)가 수직회전하고 있는 동안 원형을 그리듯이 손목을 돌리면 수평회전링(40)은 서서히 덮개(20)와 손잡이부(30)의 수평회전궤도부(22, 31)를 따라서 손목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평회전하기 시작한다.
수평회전링(40)의 수평회전속도가 점점더 증가할 수록 회전구(13)의 수직회전속도도 증가하는데, 손목을 회전시킬수록 회전구(13)의 수직회전속도는 수평회전속도에 비해 일정속도까지 더욱 빠르게 증가하게 된다. 즉, 회전구(13)와 수평회전링(40)의 회전속도는 서로 보완적인 관계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두 개의 회전을 통해 사용자는 계속적으로 힘을 받게 되고, 손목을 돌리면서 더욱 가속시키게 되므로 손목과 손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힘은 손목을 회전시킬 때 손목의 회전방향과 수평회전링(40)의 회전방향이 동일하고, 회전체(10)의 수직 및 수평회전하는 것에 의한 원심력과 편심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결국, 손목을 회전시킬수록 더욱 강한 회전을 하게 되므로,그만큼의 손과 손목에 힘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회전구(13)의 회전은 편심을 이루는 자성체(11)와 손잡이부(30)의 내부면에 권취된 코일(33)에 의한 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기전력은 정류기(61)를 통해 정류되어 제 1 충전기(63)에 충전되고, 제 1 충전기(63)는 액정표시장치(Lyquid crystal display: LCD)를 통해 사용자가 회전체(10)를 회전시키면서 즉, 운동하면서 원하는 기능 예를 들면 타이머(67)로 운동시간을 디스플레이하고, 카운터(68)로 총 회전수를 디스플레이하며, 멜로디칩(65)을 통한 멜로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도면 부호를 동일하게 기재한다.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를 간단히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는 표시부(60)를 손잡이부(30)에 형성하고 편심부를 자성체(11)로 하는 한편 코일(33)을 손잡이부(30)의 내부에 권취하여 회전구(13)가 회전시 발생하는 코일(33)의 전류를 충전하여 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발전이 회전구(13)의 외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에 제 2 실시예는 표시부(60)를 손잡이부(30)에 형성하는 것은 동일하나 편심을 이룰 수 있는 무거운 물질 예를 들면 강철로 편심부(19)를 이루며, 회전체(10)의 내부에 코일(33)과 자성체(11)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므로써회전체(10)의 회전시 회전체(10) 내부에서 발전된 전류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회전체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덮개(20)는 개방구(21)와 수평회전궤도부(22)를 구비하고 회전체(10)는 회전구(13)와 중심축대(12)로 이루어진다. 회전구(13)는 자성체(11)를 내장하며, 중심축대(12)는 코일(33)과 돌출부(12a)를 구비한다. 또한 수평회전링(40)은 삽입구(41), 수직링(42), 수평링(43) 및 수평회전링 도체부(44)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부(30)는 표시부(60)와 센서부(70)를 장착하고, 수평회전궤도부(31) 및 수평회전궤도 도체부(32)를 구비한다.
먼저 덮개(20)는 그 구성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중심축대(12)는 적소에 코일(33)을 권취하고 코일(33)의 양단은 돌출부(12a)와 연결된다. 돌출부(12a)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중심축대(12)는 양단부의 회전구(13) 내부에서 후술된 강판(14)과 연결되는 베어링부(17)가 각각 설치되어 중심축대(12)가 회전구(13)와 일체로 성형되지 않도록 하여 서로 다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회전체(10)는 전술한 코일(33)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중공의 원통형 자성체(11), 상술한 자성체(11)를 양단에서 고정지지하고 중심축대(12)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강판(14) 및 자성체(11)의 수직상부에 형성되어 중심축대(12)의 일측으로 무게중심을 형성하기 위해 무거운 물질로 형성되고, 소정너비의 띠 형상을 한 편심부(19)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중공의 원통형 자성체(11)는 그 중공의 부분으로 코일(33)을 권취한 중심축대(12)가 관통한다.
또한, 수평회전링(40)은 각 돌출부(12a)가 삽입하는 삽입구(41), 삽입구(41)를 구비하는 수직링(42) 및 수평링(43)의 구성 및 작용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나 삽입구(41)를 중심으로 소정 길이로 도체가 성형되어 코일(33)을 연결한 돌출부(12a)를 통해 전류를 통전시키는 수평회전궤도 도체부(32)를 더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손잡이부(30)의 코일(33)은 중심축대(12)에 권취되어 있고 자성체(11)는 두 개의 강판(14)에 고정지지되는 한편, 코일(33)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각각의 강판(14)은 중심축대(12) 양 단부의 베어링부(17)와 연결되므로, 회전구(13)는 중심축대(12)와 일체로 수직회전하지 않는다. 즉, 회전구(13)와 자성체(11), 베어링부(17)가 설치된 중심축대(12)와 코일(33)이 각각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자성체(11)와 코일(33)의 회전속도가 서로 다르게 되며, 이는 결국 코일(33)에 전류를 발생시킨다.
코일(33)의 양 단은 중심축대(12)의 양 돌출부(12a)로 연결되므로 코일(33)에서 발생한 전류는 수평회전링(40)의 삽입구(41)를 통해 수평회전링(40) 도체부로 흐르게 된다.
수평회전링 도체부(44)는 수평회전하면서 손잡이부(30)의 수평회전궤도부(31)에 형성된 네 개의 수평회전궤도 도체부(32)와 차례로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수평회전궤도 도체부(32)는 표시부(60)와 도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접속된다. 이러한 통전은 수평회전링 도체부(44)의 길이가 각 수평회전궤도도체부(32) 사이의 너비에 비해 길어서 수평회전링(40)이 수평회전하더라도 수평회전링 도체부(44)가 수평회전궤도 도체부(32) 사이에서도 계속적으로 표시부(60)에 통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표시부(60)는 제 1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은 표시부에 내장된 제 1 충전기를 이용하므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구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는 어디서나 휴대하고 다니면서 손쉽게 운동할 수 있고, 특히 테니스나 탁구와 같은 운동 전에 손목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수평회전과 수직회전을 통해 손과 손목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수직회전을 통한 발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량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타이머가 사용자가 운동한 시간을 나타내고 카운터를 통해 회전체의 수직회전횟수를 나타내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량을 파악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효과는 내부에 발광부나 발성부를 이용하여 운동경기에서 응원기구로 이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교육용 놀이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일단이 개방되는 개방구를 구비하는 덮개;
    자성을 띠는 자성체를 중심축의 일측 수직상부에 소정너비의 띠로 형성하여 편심되고, 상기 개방구로 일부가 드러나는 회전구;
    상기 회전구의 중심축을 따라서 성형하고 베어링부를 양측 적소에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며, 돌출부를 양단에 구비하여 상기 회전구의 양단을 관통하는 중심축대;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구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회전구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수평회전링;
    상기 덮개의 타단과 결합하면서 상기 수평회전링이 상기 중심축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궤도를 형성하고 내부면에 코일을 권취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구의 회전시 상기 코일에 유도된 전류를 이용해서 발광 및 발성하고 상기 회전구의 회전수와 회전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코일을 통해 발생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전류를 충전하고 소정의 전압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제 1 충전기;
    상기 제 1 충전기의 전압이 높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기로부터의 역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 1 충전기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충방전 제어수단;
    상기 제 1 충전기에 충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제 1 충전기에 충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발성하는 발성부;
    상기 회전구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간과 회전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전류를 충전시키는 제 2 충전기;
    상기 제 2 충전기로부터 흐르는 역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 2 충전기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충방전 제어수단;
    상기 제 2 충전기에 충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구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회전구의 회전을 감지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감지신호 전송수단;
    상기 감지신호 전송수단에 의해 전송된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를 감시하다가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 및 상기 카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4. 일단이 개방되는 개방구를 구비하는 덮개;
    상기 개방구로 일부가 드러나서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한편, 내부엔 두 개의 강판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중공의 원통형 자성체를 구비하는 한편, 외부는 중심축의 일측으로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편심부를 구비하는 회전구;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성형되고 양측 적소에 베어링부를 설치하여 상기 강판과 각각 연결하며 상기 회전구를 관통하는 돌출부를 양단에 형성하는 한편, 상기 자성체의 수직하부에 상기 자성체와 소정 간격을 두고 코일을 권취하여 상기 돌출부에 연결하므로써 상기 회전구의 회전시 상기 자성체와 코일의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전류를 유도하는 중심축대;
    상기 돌출부를 삽입하는 삽입구를 중심으로 소정 길이의 수평회전링 도체부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유도된 전류가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수평회전링 도체부로 흐르는 수평회전링;
    상기 덮개의 타단과 결합하면서 상기 수평회전링이 상기 중심축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궤도를 형성하고 상기 궤도를 따라서 상기 수평회전링 도체부의 길이보다 작은 간격으로 네 개의 수평회전궤도 도체부를 형성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수평회전궤도 도체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수평회전링 도체부에서 상기 수평회전궤도 도체부를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를 이용해 발광 및 발성하고 상기 회전구의 회전수와 회전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코일을 통해 발생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전류를 충전하고 소정의 전압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제 1 충전기;
    상기 제 1 충전기의 전압이 높을 경우 상기 제 1 충전기로부터의 역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 1 충전기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충방전 제어수단;
    상기 제 1 충전기에 충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제 1 충전기에 충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발성하는 발성부;
    상기 회전구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간과 회전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정류기로부터의 전류를 충전시키는 제 2 충전기;
    상기 제 2 충전기로부터 흐르는 역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 2 충전기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충방전 제어수단;
    상기 제 2 충전기에 충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구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회전구의 회전을 감지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감지신호 전송수단;
    상기 감지신호 전송수단에 의해 전송된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감지신호 수신부;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를 감시하다가 상기 감지신호 수신부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타이머 및 상기 카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KR2020010013977U 2001-05-14 2001-05-14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KR200245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977U KR200245366Y1 (ko) 2001-05-14 2001-05-14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977U KR200245366Y1 (ko) 2001-05-14 2001-05-14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366Y1 true KR200245366Y1 (ko) 2001-10-15

Family

ID=7310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977U KR200245366Y1 (ko) 2001-05-14 2001-05-14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3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8396A2 (en) * 2009-09-28 2011-03-31 Jerry Abbott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854902B1 (ko) * 2016-12-13 2018-05-04 홍승일 자이로 방식의 손목운동 충전기
KR101940813B1 (ko) * 2017-09-22 2019-01-22 월드잉 (주) 자이로스코프원리를 이용한 손목운동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8396A2 (en) * 2009-09-28 2011-03-31 Jerry Abbott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WO2011038396A3 (en) * 2009-09-28 2011-08-04 Jerry Abbott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854902B1 (ko) * 2016-12-13 2018-05-04 홍승일 자이로 방식의 손목운동 충전기
KR101940813B1 (ko) * 2017-09-22 2019-01-22 월드잉 (주) 자이로스코프원리를 이용한 손목운동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7214B1 (en) Cable exercise machine
EP1242149B1 (en) Electronic dumbbell
US7935035B2 (en) Gyroscopic exerciser
US8469872B2 (en) Magnetic therapy device
US7563210B2 (en) Gyroscopic total exerciser
US6783482B2 (en) Treadmill control system
KR20180066234A (ko) 진동 피트니스 볼
WO2022011251A9 (en) System, application and process for exercise recovery
US20090221402A1 (en) Vibration device for muscle training
US20110306435A1 (en)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unit, and a golf swing action correc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070083074A1 (en) Magnetic therapy device
KR200245366Y1 (ko) 회전체를 이용한 운동기구
JP2023182785A (ja) 動的運動抵抗モジュール
GB2603032A (en) Wrist exerciser and rotation mechanism thereof
US11690780B2 (en) Vibrating massage roller with multiple motors
KR101237595B1 (ko) 스마트 줄넘기와 이를 이용한 운동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1747056B1 (ko) Led 동적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줄넘기 줄
US20070266805A1 (en) Gyro power starter
US20050119063A1 (en) Golf stroke training device
CN112773693A (zh) 可识别按摩头的筋膜按摩设备及其识别方法
KR200236805Y1 (ko) 회전체를 이용한 소형 운동기구
US20230080370A1 (en) Therapy device with smart applicator
WO2004075997A2 (en) Volley target exercise device
WO2022072807A1 (en) Vibrating massage roller with multiple motors
JPH09285585A (ja) トップからの切り返し装置並びにダウンスイング始動装置及びゴルフスイング練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