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612Y1 - umbrella pouch - Google Patents

umbrella pou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612Y1
KR200244612Y1 KR2020010015246U KR20010015246U KR200244612Y1 KR 200244612 Y1 KR200244612 Y1 KR 200244612Y1 KR 2020010015246 U KR2020010015246 U KR 2020010015246U KR 20010015246 U KR20010015246 U KR 20010015246U KR 200244612 Y1 KR200244612 Y1 KR 200244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up
rain
cups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24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한
Original Assignee
이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한 filed Critical 이재한
Priority to KR2020010015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61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612Y1/en

Link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을 수납하는 우산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하여 비에 젖은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적절히 수납하여 실내에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우산 주머니에 관한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bag for storing an umbrell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mbrella bag for properly storing rain water flowing down from an umbrella wet with rain so that rain water does not flow down inside.

본 고안은 선단보다 종단이 큰 직경으로 되어 동심으로 포개어지는 다수의 외컵(22)과, 상기 외컵(22)의 안에 포개어지는 내컵(21)과, 상기 내컵(21)의 선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되는 돌출단부(23)로 되는 컵(2)이 우산(1)의 선단부인 꼭지(11)에 장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outer cups 22 concentrically overlapped with a larger end diameter than the tip, inner cups 21 superimposed in the outer cups 22, and integr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tip of the inner cups 21. The cup 2, which is a protruding end portion 2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mbrella 1, is attached to the tip 11 of the umbrella.

따라서, 본 고안은 빗물에 젖은 우산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도록 하여 휴대하고 이동할 시에도 빗물이 외부로 흘러내리거나, 주변인에게 묻게 하거나 하는 문제가 전혀 없으며, 특히 그러한 대비가 우산에 일체화되어 사용자에게 휴대의 불편이나 사용의 번잡함을 느낄 수 없도록 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of completely blocking the rain wet umbrella from the outside and carrying rain and rain water flowing to the outside, or to ask people around, even when moving, especially such a contrast is integrated into the umbrella to carry to the user It is a useful and effective design so that you do not feel inconvenience or troublesome to use.

Description

우산 주머니{umbrella pouch}Umbrella pouch}

본 고안은 우산을 수납하는 우산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하여 비에 젖은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적절히 수납하여 실내에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우산 주머니에 관한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bag for storing an umbrell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mbrella bag for properly storing rain water flowing down from an umbrella wet with rain so that rain water does not flow down inside.

우산은 비가 올 때(눈이나 햇빛 차단용의 우산 또는 양산도 동일함)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하는데, 빗속에서는 요긴한 우산이지만 사용 후 빗물에 젖은 우산은 빗물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는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데, 특히 실내 청결을 중요시하는 빌딩 등에서는 이러한 젖은 우산을 소지하는 사람들이 실내에 빗물을 흘리지 않도록 입구에 우산 수납용 비닐봉지를 준비하여 이에 우산을 수납시키도록 하고 있다.Umbrellas are used when it rains (same as umbrellas or sunshades for snow or sun protection), and when not in use, they are folded and stored. It is a useful umbrella in the rain, but an umbrella soaked in rainwater until it is completely removed On the contrary, i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particular, in buildings where importance of indoor cleanliness is important, people who have such wet umbrellas prepare an umbrella storage plastic bag at the entrance to store rain so that rainwater does not flow in the interior.

그러나, 이러한 비닐봉지는 일회용이며, 사용 후 수거도 제대로 되지 않아서 공해를 발생하는 쓰레기화 되고 있어서 경제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으며, 사용자에게도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However, these plastic bags are disposable, and are not properly collected after use, and are becoming wastes that generate pollution, causing economic and industrial damage, and causing problems for users.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은 아니나, 우산에 적용되는 진보된 고안으로는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13738호의 우산받침구가 있으며,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소57-116108호의 물받이 우산이 있는데, 상기 전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의 꼭지부(2)에 있어서, 상기 꼭지부(2)를 지름이 큰 원반형으로 구성하여 꼭지부(2)의 중앙에 너트부(13)를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고, 상기 후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1)의 선단인 볼트부(12)에 우산(1)을 사용 후에 우산(1)의 물방울이 충분히 들어갈 크기의 용기(2)를 취부한것이고,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intended to improve such a problem, an advanced design applied to the umbrella is the umbrella support of th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98-13738, and the water umbrella of the Japanese Utility Model No. 57-116108 However, as shown in FIG. 5, in the stem 2 of the umbrella 1, the stem 2 is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large diameter, and a nut part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tem 2. 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atter, as shown in FIG. 6, after the use of the umbrella 1 in the bolt portion 12 which is the tip of the umbrella 1, the water droplets of the umbrella 1 are sufficient. The container (2) of the size which fits in is attached and it is comprised so that it can take out.

따라서, 상기 전자는 사용하지 않는 우산을 그 선단에 형성되는 넓은 원반형의 꼭지부(2)에 의해서 손쉽게 세움으로서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며, 상기 후자는 세워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2; 본 고안의 컵에 상응됨)에 의하여 우산에 묻은 빗물이 보관시 흘러내려서 수용됨으로서 실내에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erefore, the former has the advantage of easy storage by setting up an unused umbrella by the wide disk-shaped stem 2 formed at the tip thereof, and the latter can be stored upright as well as the container 2; Corresponding to the cup of the invention) by rain is stored in the rain is stored in the umbrella is sto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from raining down the room.

그러나, 상기 양 고안 공히, 젖은 우산(1)이 그대로 노출되어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주변인과의 거리가 밀접하게 위치되는 장소에서는 주변사람의 옷이나 물품에 빗물을 묻히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으며, 비록 상기 후자가 빗물을 수용하는 용기(2)를 부착하고 있으나, 이는 똑바로 세웠을 때에나 가능한 것이고 실내에서 휴대하고 이동하는 중에는 이러한 대비가 전혀 무용지물이 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었다.However, in both cases, the problem that the wet umbrella 1 is exposed as it is and the distance to the surrounding people such as subways and buses are closely located, the rain water is buried in the clothes or goods of the people around it is still not solved. Although the latter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2) for receiving rainwater, this is possible only when upright, and the problem that this contrast becomes completely useless while carrying and moving indoors has not been solv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빗물에 젖은 우산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도록 하여 휴대하고 이동할 시에도 빗물이 외부로 흘러내리거나, 주변인에게 묻게 하거나 하는 문제가 전혀 없으며, 특히 그러한 대비가 우산에 일체화되어 사용자에게 휴대의 불편이나 분실의 염려가 없고, 사용의 번잡함을 느낄 수 없도록 하는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는데, 이하에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rain water flows to the outside or asks people around, even when carrying and moving the umbrella so that the wet umbrella completely blocked from the outside. Such a contrast is integrated into an umbrella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user's inconvenience or loss of carrying, without feeling the complexity of us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same.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1 is a configu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도,Figure 3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4 is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design,

도 6은 종래 다른 고안의 구성상태도.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another conventional desig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우산Umbrella

11. 꼭지 12. 볼트부 13. 너트부11. Faucet 12. Bolt section 13. Nut section

2. 컵2. Cup

21. 내컵 22. 외컵 221. 결착띠 222. 돌기21. Inner cup 22. Outer cup 221. Binding band 222. Projection

23. 돌출단부23. Protruding end

3. 뚜껑3. lid

31. 절결부 32. 천공 33. 결착턱31. Notch 32. Perforated 33. Binding Jaw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로서 도 1a는 2단으로 접히는 반우산에 적용한 이고, 도 1b는 접히지 않는 장우산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is applied to a half umbrella folded in two stages, Figure 1b shows a state applied to the unfolded rain umbrella,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보다 종단이 큰 직경으로 되어 동심으로 포개어지는 다수의 외컵(22)과, 상기 외컵(22)의 안에 포개어지는 내컵(21)과, 상기 내컵(21)의 선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되는 돌출단부(23)로 되는 컵(2)이 우산(1)의 선단부인 꼭지(11)에 장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outer cups 22 concentrically overlapped with a larger end diameter than the tip, the inner cup 21 is nested in the outer cup 22, and the inner cup 21 The cup 2, which is a protruding end portion 23 protruding integr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the tap 11,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umbrella (1).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외컵(22)중 최외각 외컵(22)에는 결착띠(221)와 돌기(222)가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utermost outer cup 22 of the outer cup 22 is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band 221 and the projection 222 is attached.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도이다.3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원반상의 중앙에 천공(32)이 형성되고, 일단의 외주에서 상기 천공(32)으로 이어지는 절결부(31)가 형성되며, 일면에는 돌출 되는 결착턱(33)이 형성되는 뚜껑(3)이 상기 외컵(22)에 착설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 perforation 3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c shape, a cutout portion 31 leading to the perforation 3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y, and a binding jaw 33 protruding from one surface is formed. More preferably, the lid 3 is installed on the outer cup 22.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인 도 4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ure 4 of th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우산 주머니가 부착된 본 고안은 사용 전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외컵(21, 22)들이 포개어진 상태로 있으며, 이 상태에서는 우산(1)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이고{내외컵(21, 22)의 하단에 부착되는 꼭지(11)를 약간 길게 함으로서 우산(1)이 펼쳐질 때 우산(1)의 꼭지부가 내외컵(21, 22)들과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하는 조절은 손쉽게 이루어지며}, 사용 후 빗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보관할 시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가장 외컵(22)을 잡아 뽑으면 외컵(22, 22, …)들이 줄줄이 딸려 나오면서 연신되어 우산(1)을 씌우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우산(1)의 빗물을 머금은 천부분까지 외부와 차단되어 빗물이 흘러내리거나 주변사람에게 물을 묻히는 등의 불편을 말끔히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1a는 2단으로 접혀지는 반우산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하고, 도 1b에는 접혀지지 않는 장우산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인데, 본 고안은 어떠한 형태의 우산(1)이라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umbrella bag before us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inner and outer cups (21, 22) are in a superimposed state, in this state the use of the umbrella (1) {Adjustment so that the top of the umbrella 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ner and outer cups 21 and 22 when the umbrella 1 is opened by slightly lengthening the tap 11 attached to the lowe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cups 21 and 22. Is easily made}, and when stored so that rain water does not flow down after use,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outer cup (22, 22,. ) And stretched out with a string, covering the umbrella (1), in this state is blocked from the outside to the cloth containing the rainwater of the umbrella (1), the rainwater flows down or buried water around people, etc. Will be blocked. And, Figure 1a shows an example applied to the half umbrella folded in two stages, Figure 1b shows an example applied to the rain umbrella not folded,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y type of umbrella (1) This is possible.

이하에 각 구성부분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is described below.

본 고안의 기본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우산(1)의 선단부인 꼭지(11)에 장착되는 컵(2)이 선단보다 종단이 큰 직경으로 되어 동심으로 포개어지는 다수의 외컵(22)과, 상기 외컵(22)의 안에 포개어지는 내컵(21)과, 상기 내컵(21)의 선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되는 돌출단부(23)로 되는 것인데, 내컵(21)의 최소 직경이 우산(1)을 접었을 때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이로부터 점점 확대하는 직경을 가지는 통상적인 사다리상의 컵으로 되는 것이고, 이 내컵(21)의 외주에 다수의 외컵(22)이 포개어져 있으므로 외컵을 뽑으면 순차적으로 뽑혀서 안테나와 같이 연결된 채로 연장되게 되며, 접으면 포개어져서 최소 길이로 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basic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outer cups 22 concentrically overlapped with cups 2 mounted on the faucet 11, which is the tip end of the umbrella 1, having a larger end diameter than the tip, and The inner cup 21 is superimposed in the outer cup 22 and the protruding end portion 23 protruding integr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tip of the inner cup 21, the minimum diameter of the inner cup 21 is an umbrella (1). ) Is a cup of a conventional ladder hav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when folded, and the outer cup 22 is stack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cup 21, so when the outer cup is pulled out sequentially It extends while being connected with the antenna, and when folded, it overlaps and becomes the minimum length.

또한, 컵(2)은 우산(1)의 꼭지(11)에 일체로 형성하면, 통상적인 꼭지(11)는 우산(1)의 선단에 나합되도록 제작되므로, 착탈이 손쉬우며(이는 일반적인 꼭지 대신 본 고안의 컵이 부착된 것을 그대로 착설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우산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물론 통상적인 꼭지(11)에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컵(2)이 착탈되는 구조로 하는 것을 그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when the cup 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ap 11 of the umbrella 1, since the conventional tap 11 is manufactured to be joined to the tip of the umbrella 1, detachment is easy (this is a common tap) Instead of all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ttached as it is so that it can be easily used in a general umbrella), of course, to the structure of the removable cup (2)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ventional tap (11) It is not excluded from the scope.

그리고, 내외컵(21, 22)들은 직경이 점점 넓어지는 상태로 포개어지므로 일정길이 이상 뽑히면 내컵(21)의 장직경부가 외컵(22)의 단직경부에 걸려서 더 이상 뽑히지 않도록 되며, 따라서 내외컵(21, 22)은 공히 단직경부와 장직경부의 직경차이가 당해 내외컵(21, 22)의 두께 이상이 되어야 길이를 연신시킬 때 내외컵(21, 22)이 탈락하지 않게 되며, 접었을 때에는 내컵(21)의 선단에 형성되는 돌출단부(23)가 내컵(21)에서 외컵(22, 22, …)들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항상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In addition, the inner and outer cups 21 and 22 are stacked in a state where the diameter is gradually widened, so when the pulled out over a certain length, the long diameter portion of the inner cup 21 is caught by the short diameter portion of the outer cup 22 so that the inner and outer cups are not pulled out anymore. (21, 22) is that the diameter difference between the short diameter part and the long diameter part must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ner and outer cups 21 and 22 so that the inner and outer cups 21 and 22 do not fall off when the length is extended. The protruding end 23 formed at the tip of the inner cup 21 prevents the outer cups 22, 22,... From the inner cup 21 from being kept connected at all times.

본 고안의 추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기본 구성과 아울러, 상기 외컵(22) 중 최외각 외컵(22)에는 결착띠(221)와 돌기(222)가 부착된 것인데, 이는 사용전이라면, 내외컵(21, 22)들이 포개어진 상태에서 결착띠(221)가 우산(1)의 측면을 타고 가로질러 외컵(22)의 돌기(221)에 걸리도록 하여 내외컵(21, 22)들이 포개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며, 사용 후 내외컵(21, 22)들을 연신하여 우산(1)을 씌운 상태에서도 결착띠(221)가 우산(1)의 손잡이 측면을 타고 가로질러 외컵(22)의 돌기(221)에 걸리도록 하여 우산(1)의 윗부분 천에 결착띠(221)가 가로질러 걸리도록 함으로서 외컵(22, 22, …)들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결착띠(221)와 돌기(222)는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fur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outermost outer cup 22 of the outer cup 22 is a binding band 221 and the projection 222 is attached, which is before use, inner and outer cup In the state in which the (21, 22) are stacked, the binding band 221 is caught across the side of the umbrella (1) to the projection 221 of the outer cup 22, the inner and outer cups (21, 22) are stacked After use, the inner and outer cups 21 and 22 are stretched to cover the umbrella 1 even in a state where the binding belt 221 rides on the handle side of the umbrella 1 and crosses the projections 221 of the outer cup 22. ) So that the binding strip 221 is caught across the fabric of the upper part of the umbrella 1 to prevent the outer cups 22, 22,. Accordingly, the binding strip 221 and the protrusion 222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each other.

본 고안의 또 다른 추가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기본 구성과 아울러, 원반상의 중앙에 천공(32)이 형성되고, 일단의 외주에서 상기 천공(32)으로 이어지는 절결부(31)가 형성되며, 일면에는 돌출 되는 결착턱(33)이 형성되는 뚜껑(3)이 상기 외컵(22)에 착설되는 것인데, 이렇게 형성된 뚜껑(3)은 그 절결부(31)를 통해 천공(32)에 우산이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최외컵(22)의 단부를 막아줌으로서 빗물이 이 단부를 통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외컵(21, 22)이 포개어지거나 연신된 상태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결착턱(33)은 최외컵(22)의 외주 단부가 끼워지는 것과 내컵(21)의 내주 단부가 끼워지는 것 2개로 형성되어야 포개어지거나 연신된 상태를 지지하는 기능을 적절히 발휘하게 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 perforation 3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c, and a cutout portion 31 leading to the perforation 3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y. There is a lid (3) is formed on the outer cup 22 is formed a protruding binding jaw (33), so that the lid (3) formed so that the umbrella is fitted into the perforation 32 through the cutout (31) By blocking the end of the outermost cup 22 in one state, the inner and outer cups 21 and 22 support the stacked or stretched state while preventing rain water from flowing down through the end. In addition, the binding jaw 33 should be formed with two outer peripheral end portions of the outermost cup 22 and the inner peripheral end portions of the inner cup 21 to be properly exerted to support the overlapped or elongated state.

또한, 상기 뚜껑(3)은 상기 컵(2)과 적절한 끈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은, 본 업계의 통상적인 전문가라면 상식이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임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lid 3 is connected to the cup 2 and the appropriate straps to prevent loss, it is common sense if the ordinary expert in the ar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빗물에 젖은 우산을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도록 하여 휴대하고 이동할 시에도 빗물이 외부로 흘러내리거나, 주변인에게 묻게 하거나 하는 문제가 전혀 없으며, 특히 그러한 대비가 우산에 일체화되어 사용자에게 휴대의 불편이나 분실의 염려가 없고 사용의 번잡함을 느낄 수 없도록 하는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rainwater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or asks neighbors, even when carrying and moving the umbrella so that it is completely blocked by the rain. It is a useful and effective design so that there is no fear of loss or loss and the complexity of use.

Claims (3)

선단보다 종단이 큰 직경으로 되어 동심으로 포개어지는 다수의 외컵(22)과, 상기 외컵(22)의 안에 포개어지는 내컵(21)과, 상기 내컵(21)의 선단에서 원주방향으로 일체로 돌출 되는 돌출단부(23)로 되는 컵(2)이 우산(1)의 선단부인 꼭지(11)에 장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주머니.A plurality of outer cups 22 concentrically overlapped with a larger end than the tip, inner cups 21 superimposed in the outer cups 22, and protruding integrally from the tip of the inner cups 2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Umbrella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cup (2) to be a protruding end (23) is mounted on the tap (11), which is the tip of the umbrella (1).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컵(22)중 최외각 외컵(22)에는 결착띠(221)와 돌기(222)가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주머니.Umbrella 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most cup 22 of the outer cup 22 is attached to the binding band 221 and the projection 22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원반상의 중앙에 천공(32)이 형성되고, 일단의 외주에서 상기 천공(32)으로 이어지는 절결부(31)가 형성되며, 일면에는 돌출 되는 결착턱(33)이 형성되는 뚜껑(3)이 상기 외컵(22)에 착설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주머니.A perforation 3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c, and a cutout portion 31 leading to the perforation 3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y, and a lid 3 having a protruding binding jaw 33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Umbrella pouch,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outer cup (22).
KR2020010015246U 2001-05-23 2001-05-23 umbrella pouch KR20024461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246U KR200244612Y1 (en) 2001-05-23 2001-05-23 umbrella p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246U KR200244612Y1 (en) 2001-05-23 2001-05-23 umbrella pou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612Y1 true KR200244612Y1 (en) 2001-10-15

Family

ID=7310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246U KR200244612Y1 (en) 2001-05-23 2001-05-23 umbrella pou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612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8166A (en) Umbrella with a wind escape
US6701947B1 (en) Wet umbrella carrying bag
KR100647075B1 (en) Umbrella cover for preventing dripping rainwater from umbrella
KR200244612Y1 (en) umbrella pouch
WO2008010791A1 (en) Safety umbrella with water collecting and drainage mechanism
GB2340749A (en) Self rolling umbrella
JP2001186912A (en) Umbrella with brim
KR101911064B1 (en) Umbrella for removing water
KR200239197Y1 (en) An umbrella be combined umbrella cover
JP2006247149A (en) Umbrella
KR200233782Y1 (en) An umbrella completely sealed with case
KR200313434Y1 (en) An umbrella with case of the handle
KR200338904Y1 (en) The umbrella having a cover to block off a rain water
KR200268406Y1 (en) An easy folding umbrella configured built-in type of cover and its body
EP1030570B1 (en) Device for protecting umbrellas with a ferruled tip
EP0049226A2 (en) Improvements in and/or related to umbrellas and large umbrellas
KR200167450Y1 (en) Function unbrella of rain water tank
JPH02126803A (en) Cover for umbrella
KR200244327Y1 (en) Umbrella having case to keep umbrella sheath
KR200165481Y1 (en) Foldaway umbrella case
JPH1057129A (en) Umbrella cover
KR200172871Y1 (en) An umbrella
KR20230096154A (en) umbrella cover
KR200370078Y1 (en) Water drop protected umbrella
JPH11103916A (en) Air umbrella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