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380Y1 - Tablet - Google Patents

Tab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380Y1
KR200244380Y1 KR2020010016615U KR20010016615U KR200244380Y1 KR 200244380 Y1 KR200244380 Y1 KR 200244380Y1 KR 2020010016615 U KR2020010016615 U KR 2020010016615U KR 20010016615 U KR20010016615 U KR 20010016615U KR 200244380 Y1 KR200244380 Y1 KR 200244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light
area
light emitting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6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일
이택형
정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클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클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클론
Priority to KR2020010016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38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380Y1/en

Links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블릿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태블릿 장치는 판서유효영역 및 판서무효영역을 갖는 태블릿과, 감지센서를 갖는 전자펜을 구비하며, 상기 전자펜을 상기 태블릿의 판서유효영역에 접촉시킴에 따라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는 태블릿 장치에 있어서, 판서유효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은,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을 안내하여 판서유효영역과 판서무효영역의 경계임을 표시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송하는 광가이드와 상기 광가이드로부터 전송된 빛을 판서유효영역의 각 모서리로 투광시키는 투광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발광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판서유효영역과 판서무효영역의 경계부에 투광시키는 발광부를 구비함으로써, 판서유효영역과 판서무효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에 따라 판서무효영역에서의 입력작업으로 인한 정보입력의 중단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 device. The tabl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t having an effective writing area and an invalid writing area, an electronic pen having a sensing sensor, and a tablet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as the electronic pen contacts the writing effective area of the tablet. An apparatus comprising: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ing means capable of displaying a writing effective area, wherein the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ing means guides a light source and light of the light source to indicate a boundary between the writing valid area and the writing invalid area; In particular, the light source is a light emitting diode, the light emitting unit is a light guide for transmit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guide to the projection of each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proj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emitting portion for transmitting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to a boundary between the writing effective region and the writing invalid region are provided so that the writing valid region and the writing invalid region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interruption of information input due to the input work in the invalid writing area.

Description

태블릿 장치{TABLET}Tablet devices {TABLET}

본 고안은 퍼스널 컴퓨터나 캐드 시스템 등에 연결하여 정밀한 위치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태블릿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t device used for inputting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by connecting to a personal computer or CAD system.

최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 없이 작업자가 필기하듯이 또는 그림을 그리듯이 갖가지 모양을 스케치하면, 키보드로 입력한 것과 동일한 모양의 글씨나 기호 또는 그림을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는 태블릿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태블릿 장치는, 기판을 갖는 태블릿과 감지센서를 갖춘 전자펜을 구비하는 것으로,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판의 전기장발생부(이하, '판서(板書)유효영역'이라 함)상에 임의의 문자나 기호, 그림 등을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해당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Recently, if a user sketches various shapes as if a user writes or draws a picture without a keyboard or a mouse, a tablet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letters, symbols, or pictures having the same shape as input by a keyboard has been developed and used. Such a tablet device includes a tablet having a substrate and an electronic pen having a sensing sensor. The tablet device includes an arbitrary character on an electric field generating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riting effective area) of the substrate using the electronic pen. By freely expressing symbols, pictures, etc., the relevant information can be entered.

그러나, 이와 같은 그래픽 태블릿은 해당정보를 편안하고 자유롭게 입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전자펜의 움직임을 모니터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파악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그래픽 태블릿용 전자펜은 잉크가 유출되는 펜촉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태블릿 상의 판서유효영역에 입력할 정보를 기재하더라도 그 정보가 태블릿의 기판에서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모니터에만 표시될 뿐 태블릿 상에는 아무런 흔적도 나타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However, such a graphic table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nter the information comfortably and freely, bu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movement of the electronic pen can only be grasped indirectly through the monitor. That is, since the electronic pen for graphic tablets does not have a nib from which ink is leaked, even if the information to be entered in the writing effective area on the tablet is written, the information is only displayed on the monitor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ablet substrate. No trace will appear.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필기수단을 갖는 태블릿 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전자펜내에 잉크와 펜촉을 갖는 펜심을 설치하고, 펜심의 후방에는 상기 펜심에 의해 눌려져 정보입력상태를 인식하는 인식스위치를 설치하며, 펜심의 둘레에는 정보입력시 태블릿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을 검출하여 좌표위치를 센싱하는 위치센서를 설치한 태블릿 장치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Meanwhil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various tablet devices having writing means have recently been proposed. As an example, a pen nib having ink and a nib is installed in the electronic pen, and a recognition switch that is pressed by the pen nib to recognize an information input stat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nib. A large number of tablet devices having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oordinate posi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have been propos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먼저, 태블릿 상의 판서유효영역에 종이를 올려놓은 다음, 사용자가 전자펜을 쥐고 통상의 필기구를 사용하듯이 판서유효영역에 글씨를 쓰거나 스케치를 하면, 펜심은 후방으로 밀리면서 인식스위치를 온(ON) 시키게 되고, 인식스위치가 온 됨에 따라 태블릿의 기판에 전기장이 발생되면, 전자펜의 위치센서는 펜촉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기판의 전기장을 감지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킴으로써, 모니터상에 입력된 정보가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전자펜으로부터 돌출된 펜촉은 판서유효영역의 필기용 종이와 접촉하면서 잉크를 유출시켜 입력된 정보를 그대로 종이상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With this configuration, first, the paper is placed on the writing effective area on the tablet, and then, when the user writes or sketches on the writing effective area as if the user holds the electronic pen and uses a writing instrument, the pen nib is pushed backward and recognized.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and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on the tablet substrate as the recognition switch is turned on, the position sensor of the electronic pen detects the electric field of the substrat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en tip and inputs it to the computer. The information entered in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nib protruding from the electronic pen is in contact with the writing paper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and leaks ink so that the inpu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paper as it i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태블릿 장치는 태블릿 상의 판서유효영역 보다 큰 필기용 종이를 올려놓고 해당정보를 입력시키는 과정에서 자칫, 판서유효영역이외의 영역(이하, '판서(板書)무효영역'이라 함)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정보의 입력이 중단되는 문제를 초래한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ablet device puts a writing paper larger than the writing effective area on the tablet and inpu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other words, an area other than the writing effective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riting invalid area) If you are working on a computer, the input of information may be interrupted.

즉, 태블릿 장치는 기판의 전기장발생부, 다시말해 판서유효영역에 전자펜을 접촉시킴에 따라 해당정보가 입력된다. 그러나 태블릿 위에, 판서유효영역 보다 크고 넓은 종이를 올려놓게 되면, 판서유효영역과 판서무효영역의 경계가 뚜렷하게구별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판서유효영역 보다 크고 넓은 종이를 태블릿상에 올려놓고 정보를 입력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착오로 전자펜을 판서무효영역에 접촉시키게 되면, 해당정보가 입력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tablet device receiv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s the electronic pen contacts the electric field generating unit of the substrate, that is, the writing effective area. However, when a paper larger and wider than the writing effective area is placed on the tablet, the boundary between the writing effective area and the writing invalid area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Accordingly, when the electronic pe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riting invalid area by a user's error,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not input in the process of inputting information by placing a paper larger and wider than the writing effective area on the tablet.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태블릿 상에서 판서유효영역과 판서무효영역을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판서무효영역과 전자펜이 접촉함에 따른 정보입력의 중단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태블릿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ts purpose is to distinguish between the writing effective area and the writing invalid area on a tablet so that the writing invalid area and the electronic pe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to provide a tablet device that can prevent interruption in advan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abl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도 3은 본 고안의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5.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케이스 12: 기판10: case 12: substrate

20: 광원 30: 발광부20: light source 30: light emitting part

32: 광가이드 34: 투광판32: light guide 34: floodlight

40: 광가이드 46: 발광아암40: light guide 46: light emitting arm

A: 판서유효영역 B: 판서무효영역A: writing valid area B: writing invalid area

J: 종이 P: 전자펜J: Paper P: Electronic Pe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판서유효영역 및 판서무효영역을 갖는 태블릿과, 감지센서를 갖는 전자펜을 구비하며, 상기 전자펜을 상기 태블릿의 판서유효영역에 접촉시킴에 따라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는 태블릿 장치에 있어서, 판서유효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은,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을 안내하여 판서유효영역과 판서무효영역의 경계임을 표시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t having an effective writing area and an invalid writing area, and an electronic pen having a sensing sensor, and inputs information by contacting the electronic pen with the writing effective area of the tablet. A tablet device capable of making a tablet comprising: a writing valid area displaying means capable of displaying a writing valid area, wherein the writing valid area displaying means comprises a light source and a writing valid area and a writing invalid area by guiding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ght emitting unit for indicating that the boundary.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송하는 광가이드와 상기 광가이드로부터 전송된 빛을 판서유효영역의 각 모서리로 투광시키는 투광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ight source is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ght emitting unit comprises a light guide for transmit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transmitting plate for transmitting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guide to each corner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do.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abl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고로하여 태블릿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태블릿장치는 케이스(10)를 가지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기판(12)이 설치된다. 기판 (12)의 상면에는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장발생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장발생부(12a)의 상부는 곧 케이스(10) 상면의 판서유효영역(A)이 되는데, 이 판서유효영역(A)에 전자펜(P)이 접촉함에 따라 기판(12)의 전기장발생부(12a)는 전기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판서유효영역(A)이외의 영역은 당연히 판서무효영역 (B)이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tablet device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tablet device has a case 10, and a substrate 12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An electric field generating unit 12a for generating an electric fiel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2. 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field generating portion 12a immediately becomes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The electric field of the substrate 1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riting pen effective area A by the electronic pen P. The generator 12a generates an electric field. Here, the area other than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becomes the writing invalid area B as a matter of course.

한편, 본 고안의 태블릿 장치는 판서유효영역(A)을 표시할 수 있도록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을 갖는다. 이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은 대략 사각의 판서유효영역 (A)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데, 이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2)에 설치되는 광원(20)과, 상기 광원(20)의 빛을 안내하여 판서유효영역(A)의 모서리임을 표시하는 발광부(30)로 구성된다. 특히, 발광부(30)는 광원(20)의 빛을 소정의 위치로 전송하는 광가이드(32)와, 광가이드(32)로부터 전송된 빛을 케이스(10) 상면의 판서유효영역(A)으로 투광시키는 투광판(34)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tabl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 means to display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The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ing means is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writing valid area A, and the writing valid area displaying means is provided with a light source 20 provided in the substrate 12 as shown in Figs. And a light emitting part 30 which guides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20 to indicate that it is an edge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In particular, the light emitting unit 30 includes a light guide 32 for transmitt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2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writing effective area 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for transmitting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guide 32. It consists of a light-transmitting plate 34 to emit light.

광원(20)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며, 이 발광다이오드(20)는 전방으로 빛을 조사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20)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red LED), 녹색 발광 다이오드(green LED), 청색 발광 다이오드(blue LED), 백색 발광 다이오드(white LED) 등,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The light source 20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which emits light forward. The light emitting diode 20 may be any one of a red light emitting diode (red LED), a green light emitting diode (green LED), a blue light emitting diode (blue LED), a white light emitting diode (white LED), and the like.

광가이드(32)는 입사면(32a)과 반사면(32b)과 출사면(32c)을 갖는 광도파블럭(optical waveguide block)으로서, 광원(2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기판(12)의 밑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광가이드(32)의 입사면(32a)은 광원(20)의 빛이 보다 많이 입사될 수 있게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광가이드(32)에는 광원인 발광다이오드(2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2d)이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수용홈(32d)의 측벽면은 모두 입사면(32a)이 되며, 따라서 입사면(32a)에는 발광다이오드(20)의 빛이 보다 많이 입사되는 것이다. 그리고 광가이드(32)의 반사면 (32b)은 입사된 발광다이오드(20)의 빛을 굴절 반사시키는 것으로, 입사된 빛을 대략 직각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45°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가이드(32)의 출사면(32c)은 반사면(32b)에 반사된 빛을 기판(12)의 상면으로 출사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광가이드(32)의 출사면(32c)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돌출된 출사면(32c)은 기판(12)에 형성된 관통구멍(12b)을 통하여 기판(12)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광가이드(32)의 출사면(32c)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투광판(34)의 형상과 부합될 수 있도록 삼각형으로 형성된다.The light guide 32 is an optical waveguide block having an entrance surface 32a, a reflection surface 32b, and an exit surface 32c, and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12 so as to be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 source 20. Is installed on. Here, the incident surface 32a of the light guide 32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 area to allow mor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20 to be incident thereon. For this purpose, the light guide 32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20 as a light source. An accommodating groove 32d is formed which can be accommodated. As a result, all of the sidewall surfaces of the receiving grooves 32d become the incident surface 32a, so that mor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20 is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32a. The reflective surface 32b of the light guide 32 refracts and reflects light of the incident light emitting diodes 20 and is formed at a 45 ° angle so as to reflect the incident ligh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In addition, the emission surface 32c of the light guide 32 is configured to emit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surface 32b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2, for this purpose the emission surface 32c of the light guide 32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jected exit surface 32c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2 through the through hole 12b formed in the substrate 12. On the other hand, the emission surface 32c of the light guide 32 is formed in a triangle so as to match the shape of the floodlight plate 34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이러한 광가이드(32)는 발광다이오드(20)의 빛을 모아 기판(12)의 전자장발생부(12a)내로, 즉 판서유효영역(A)내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광가이드 (32)는 최소점유면적을 가지면서 발광다이오드(20)의 빛을 전자장발생부(12a)내로 가이드 함으로써, 넓은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는 발광다이오드(20)를 기판(12)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게 한다. 다시 말해, 발광다이오드(20)를 기판(12)의 전자장발생부(12a)내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전자장발생부(12a)를 많이 점유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전자펜(P)에 의한 센싱(sensing)영역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20)를 전자장발생부(12a)의 외측에 설치하고, 비교적 점유면적이 적은 광가이드(32)를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20)의 빛을 전자장발생부(12a)내로 안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판서유효영역(A)이 줄어들지 않게 한 것이다.The light guide 32 collect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20 and transmits the light into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portion 12a of the substrate 12, that is, into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In particular, the light guide 32 guide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20 into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portion 12a while having a minimum occupying area, thereby bringing the light emitting diode 20 that requires a large installation area onto the substrate 12. Do not need to install. In other words,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s 20 are installed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portion 12a of the substrate 12, they occupy much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portion 12a, thereby relatively sensing by the electronic pen P. The sensing area is reduced.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diode 20 is provided outside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portion 12a, and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20 is guided into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portion 12a using the light guide 32 having a relatively small occupying area. By constructing,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is not reduced.

여기서, 광가이드(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12)의 밑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데, 이를 위해 광가이드(32)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출돌기(32e)들이 형성되며, 기판(12)에는 광가이드(32)의 돌출돌기(32e)들이 끼워지는 결합구멍(12c)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가이드(32)의 돌출돌기(32e)들을 기판(12)의 결합구멍 (12c)에 끼우고, 기판(12)의 상면으로 돌출된 돌출돌기(32e)를 열융착시킴으로써, 상기 기판(12)에 광가이드(32)를 설치하는 것이다.Here, the optical guide 32 is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12 as described above,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protrusions 32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tical guide 32, the substrate 12 Coupling holes 12c into which the protrusions 32e of the light guide 32 are fitted are formed. Therefore, the projections 32e of the optical guide 32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s 12c of the substrate 12, and the projections 32e protru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2 are thermally fused to form the substrate ( 12, the optical guide 32 is provided.

한편, 투광판(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가이드(32)의 출사면(32c)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케이스(10)의 상면, 특히 판서유효영역(A)과 판서무효영역 (B)과의 경계에 투광시키는 것으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판서유효영역(A) 각 모서리에 형성된 설치구멍(14)에 설치된다. 여기서, 투광판 (34)은 사각의 판서유효영역(A)을 명확하게 표시 할 수 있도록 판서유효영역 (A)의 모서리와 부합되는 형상, 즉 두 변이 직각을 이루는 직각 삼각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투광판(34)은 광가이드(32)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케이스(10)의 상부로 확산시키면서 투광시킬 수 있도록 그 상면이 스티플(stipple)가공되어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floodlight plate 34 emits light emitted from the exit surface 32c of the light guide 32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in particular,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and the writing invalid area ( It is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hole 14 formed in each corner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 region A of the case 10, as shown in FIG. 1 and FIG. Here, the floodlight plate 34 is composed of a right triangle that form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that is, two sides at right angles, so that the rectangular writing effective area A can be clearly displayed. In addition, a top surface of the floodlight plate 34 is stippled so that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guide 32 can be transmitted while diffus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상에 판서유효영역 (A)보다 크고 넓은 종이(J)가 올려지더라도 상기와 같은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에 의해 판서유효영역(A)이 명확하게 표시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펜(P)을 이용하여 해당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작업영역이 판서유효영역(A)인가 또는 판서무효영역(B)인가를 정확하게 인지 할 수 있는 것이다.By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a paper J larger and wider than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is placed on the tablet as shown in FIG. 4, the writing valid area A is clearly displayed by the writing valid area displaying means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whether the current work area is the writing valid area A or the writing invalid area B i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using the electronic pen P. FIG.

다음으로, 도 5와 도 6에는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표시수단의 발광부(30)가 판서무효영역(B)에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특히, 다른 실시예의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투광판없이 광가이드 (40)가 케이스(10)의 상면에 직접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발광부(30)를 판서무효영역(B)에 설치함에 따라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광원(20)의 빛을 판서유효영역 (A)까지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며, 따라서 별도의 투광판없이 광가이드(32)를 직접 케이스(10)상에 설치하여 광원(20)의 빛을 케이스(10)의 상부로 직접 투광시키기 위한 것이다.Next, Fig. 5 and Fig. 6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 means. The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 means of another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part 30 of the display means is provided in the writing invalid area B,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particular, the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 means of another embodiment can be seen that the light guide 40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without a separate floodlight plate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light emitting unit 30 is installed in the writing invalid area B, it is not necessary to transmi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20 to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and thus, without a separate floodlight plate. The light guide 32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case 10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2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의 발광다이오드(20)는 도 6에서와 같이 기판(12)의 관통구멍(12b)을 통하여 기판(12)의 상부로 돌출되며, 광가이드(40)는 발광다이오드(20)의 수직 상부에 설치되며, 입사면(42)과 출사면(44)을 갖는다. 특히, 광가이드(40)는 일측으로부터 길게 뻗어 있는 발광아암(46)을 갖추고 있는데, 이 발광아암(46)의 상면은 곧 빛의 출사면(44)이 된다. 이러한 광가이드(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서유효영역(A)의 좌,우측에 상기 판서유효영역(A)의 상면과 하면의 양쪽 연장선을 따라 그 발광아암(46)이 뻗어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렇게 설치된 광가이드(32)는 발광다이오드(20)의 빛을 케이스(10)의 상부, 특히 판서무효영역(B)으로 투광시킨다. 한편, 광가이드(32)로 입사된 빛은 발광아암(46)을 따라 전송되면서 출사되는데, 이때 출사되는 빛은 발광아암(46)의 단부로 갈수록 그 밝기가 점차 약화되며, 이에 따라 판서유효영역(A)과 판서무효영역(B)의 경계부는 밝고, 이후부터는 점차 어두워진다. 이렇게 판서유효영역(A)과 판서무효영역(B)의 경계부는 밝게, 이후로는 점차 어둡게 발광하는 광가이드(32)는 사용자의 눈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판서유효영역(A)을 명확하게 표시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좋게 한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iode 20 protrudes to the top of the substrate 12 through the through hole 12b of the substrate 12 as shown in FIG. 6, and the light guide 40 is formed of the light emitting diode 20. It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upper part of), and has an entrance face 42 and an exit face 44. In particular, the light guide 40 has a light emitting arm 46 extending long from one 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arm 46 is a light emitting surface 44. As shown in FIG. 5, the light guide 32 extends the light emitting arm 46 along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Is installed. The light guide 32 installed in this way transmit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in particular, the writing invalid area B. On the other hand, the light incident on the light guide 32 is emitted while being transmitted along the light emitting arm 46, the light emitted is gradually weakened toward the end of the light emitting arm 46, and thus the effective writing area The boundary between (A) and the writing invalid area (B) is bright and gradually becomes darker thereafter. In this way, the boundary between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and the writing invalid area B is bright, and the light guide 32 which emits light gradually thereafter clearly displays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without irritating the user's eyes. This makes it visually good.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서의 광가이드(40)의 입사면(42)에는 미세한 요철 (Wave:4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미세한 요철(42a)은 입사되는 발광다이오드(20)의 빛을 산란시킨다. 물론 산란된 빛은 확산되면서 발광아암(46)의 단부까지 전송되어 전송효율을 좋게 한다.In another embodiment, minute unevenness (Wave) 42a is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42 of the light guide 40, and the minute unevenness 42a scatter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20 that is incident. Of course, the scattered light is transmitted to the end of the light emitting arm 46 to improv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이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은 판서무효영역(B)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판서유효영역(A)과 판서무효영역(B)의 경계부를 표시하게 된다. 특히, 다른 실시예의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은 판서무효영역(B)에 설치됨으로써, 판서유효영역(A)의 면적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판서유효영역(A)임을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게 넓은 센싱영역을 갖는 다는 특징을 갖는다.The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 means of another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light to be emitted from the writing invalid area B, thereby displaying the boundary between the writing valid area A and the writing invalid area B. FIG. In particular, the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 means of another embodiment can be displayed in the writing invalid area B, thereby indicating that it is the writing valid area A without reducing the area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and thus the above embodiment. Unlike, it has a wide sensing area.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specific embodiment, i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태블릿 장치는 발광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판서유효영역과 판서무효영역의 경계부에 투광시키는 발광부를 구비함으로써, 판서유효영역과 판서무효영역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에 따라 판서무효영역에서의 입력작업으로 인한 정보입력의 중단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tabl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emitting part that transmits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to a boundary between the writing effective region and the writing invalid region, thereby clearly distinguishing the writing valid region and the writing invalid reg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ruption of information input due to input work in the invalid writing area.

Claims (4)

판서유효영역 및 판서무효영역을 갖는 태블릿과, 감지센서를 갖는 전자펜을 구비하며, 상기 전자펜을 상기 태블릿의 판서유효영역에 접촉시킴에 따라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는 태블릿 장치에 있어서,A tablet device comprising a tablet having an effective writing area and an invalid writing area, and an electronic pen having a sensing sensor, the table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as the electronic pen contacts the writing effective area of the tablet. 판서유효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판서유효영역 표시수단은, 광원과, 상기 광원의 빛을 안내하여 판서유효영역과 판서무효영역의 경계임을 표시하는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장치.And a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ing means capable of displaying a writing valid area, wherein the writing effective area displaying means includes a light source and a light emitting unit for guid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to indicate a boundary between the writing valid area and the writing invalid area. Tabl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송하는 광가이드와 상기 광가이드로부터 전송된 빛을 판서유효영역의 각 모서리로 투광시키는 투광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장치.The light source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source is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ght emitting part comprises a light guide for transmit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a light transmitting plate for transmitting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guide to each corner of the writing effective area. A table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송하여 판서유효영역의 각 모서리 둘레로 투광시키는 광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장치.The table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source is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ght emitting portion is a light guide that transmits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and emits light around each corner of a writing effective are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는 일측으로부터 뻗어 있는 발광아암을 갖추고 있으며, 이 발광아암은 판서유효영역과 판서무효영역의 경계로부터 상기 판서무효영역의 양측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장치.The tablet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light guide has a light emitting arm extending from one side, and the light guide arm extends from a boundary between a writing valid area and a writing invalid area to both sides of the writing invalid area.
KR2020010016615U 2001-06-04 2001-06-04 Tablet KR20024438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615U KR200244380Y1 (en) 2001-06-04 2001-06-04 Tab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615U KR200244380Y1 (en) 2001-06-04 2001-06-04 Tab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380Y1 true KR200244380Y1 (en) 2001-10-29

Family

ID=7306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615U KR200244380Y1 (en) 2001-06-04 2001-06-04 Tab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38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4496B2 (en) Dual mode touch systems
JP48590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radiation scattering / reflecting elements
EP1936478B1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US20100214135A1 (en) Dynamic rear-projected user interface
US8890842B2 (en) Eraser for use with optical interactive surface
US9501160B2 (en) Coordinate detectio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20058594A (en) Interactive input system with improved signal-to-noise ratio (snr) and image capture method
US9383864B2 (en) Illumination structure for an interactive input system
KR100349031B1 (en) A pen type light mouse device
JP4632875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JP2014021790A (en) Coordinate input device, coordinate detection method and coordinate input system
US20110096030A1 (en) Optical position detec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position detecting function
TWI526898B (en) Optical touch panel and light guide module thereof
KR200244380Y1 (en) Tablet
KR20030062032A (en) Digital pen device
KR20120120697A (en) Apparatus for sensing multi touch and proximated object and display apparatus
AU2012227546A1 (en) Surface illumination device
JP2017027415A (en) Electronic pen, electronic pen holder and coordinate input device
JP2009180926A (en) Display unit
JPH08320207A (en) Coordinate input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body for the apparatus
US20070176853A1 (en) Control panel device and display
JP2017111589A (en) Coordinate detection device, display system, projection system and coordinate detection method
JP2009288948A (en) Position input device, position input method, and position input program
KR100375512B1 (en) Optical mouse of pen type
KR102098235B1 (en) Emit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