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125Y1 -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 Google Patents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125Y1
KR200244125Y1 KR2019970012205U KR19970012205U KR200244125Y1 KR 200244125 Y1 KR200244125 Y1 KR 200244125Y1 KR 2019970012205 U KR2019970012205 U KR 2019970012205U KR 19970012205 U KR19970012205 U KR 19970012205U KR 200244125 Y1 KR200244125 Y1 KR 200244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aking
ring
shap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620U (ko
Inventor
셔제 호
Original Assignee
셔제 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셔제 호 filed Critical 셔제 호
Priority to KR2019970012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12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76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6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60Damping means,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65H2403/725Brakes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다수의 제동부재를 설치하여 균일한 장력으로 제품을 감을수 있게 하는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재료를 일정한 장력으로 감을 수 있도록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에 있어서, 차축구멍이 형성되고 그 원주 테두리를 따라 고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리홈의 양쪽으로 돌출된 고리테두리에 다수의 핀구멍이 형성되는 관상본체와, 상기 고리홈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부재와 제동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부재는 둥근구멍과 호형(활모양)홈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동부재는 타원구멍과 경사진 호형(활모양)홈구멍이 형성되고 밖 테두리에 다수의 래칫기어가 형성되는 제동조합과, 상기 제동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의 타원구멍 및 둥근구멍을 통과하는 중심핀과, 상기 제동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의 호형홈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관상본체에 형성된 핀구멍을 관통하는 정위핀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본 고안은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제동부재를 설치하여 균일한 장력으로 재품을 감을 수 있게 하는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얇은 박막(薄膜)재료를 둥글게 말아서 제품의 한 단위 또는 제품을 형성하는 설비로는 분조기(分條機), 검품기(檢品機), 첩합기(貼合機), 권취기(捲取機)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설비에는 수료축(收料軸) 또는 권료축(捲料軸)이 설치된다.
수료축에는 종이관을 씌우고 박막제품을 제품별로 분류하여 종이관(종이 수료관)에 감아 제품의 보관과 납품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박막제품을 적당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하여 종이 수료관에 감게 하기 위해서 종래의 습지제동기(習知制動機)는 종이 수료관을 3개의 판용수철이 설치된 제동기를 씌워 설치한 다음 회전했었다.
도1은 종래의 습지탄편제동기(習知彈片制動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에서와 같이 이러한 습지탄편제동기(習知彈片制動器)(10)는 관상본체(11)와 3개의 판용수철(12)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상본체(11)에는 회전축(14)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관상본체(11)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차축구멍(13)이 있으며, 관상본체(11)의 외경면에는 120°등간격으로 3개의 경사홈(16)을 형성하여 상기 3개의 판용수철(12)을 6개의 나사(15)로 체결했다.
특히 판용수철(12)이 탄력을 지니고 종이관을 지지하도록 판용수철(12)을 경사홈(16)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판용수철(12)의 탄력에 의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치했다.
따라서 상기 습지탄편제동기(習知彈片制動器)(10)에 종이 수료관이 씌워질 경우 3개의 판용수철(12)이 종이관의 내경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다층막이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감길 때 장력이 불규칙한 제품을 균일한 장력으로 감길 수 있도록 유지하게 된다.
즉 종이관이 판용수철(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한계치 이상으로 제품의 장력이 초과할 경우에는 판용수철(12)이 더 이상 종이관을 지지하여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종이관은 회전을 멈추고 회전축이 헛돌게 되어 초과된 장력이 즉시 떨어지고 또한 회전축의 회전보다 제품이 감기는 회전수가 클 수는 없으므로 결국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제품을 감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습지탄편제동기(習知彈片制動器)는 원통형의 종이관 내경을 단지 3군데로 지지하기 때문에 동심도(同心度)가 좋지 않아 종이관이 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완성된 제품이 원형도가 떨어지고 감길 때 비틀어져서 양끝단이 맞지 않으므로 자동포장이나 자동봉투제작 등의 후속 가공이 불가능하여 폐기해야하는 불량품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또한 3개의 뾰죽한 판용수철의 끝에 응력이 집중되므로 종이관에 흠집이 발생하고 흠집에 의한 종이조각으로 제품이 오염되어 식품이나 진공살균포장을 위한 제품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흠집이 생긴 종이관은 재사용이 불가능했다.
또한 판용수철이 항상 종이관에 의해 끼워져 압축상태에 있으므로 장기간의 사용으로 판용수철이 탄성을 상실하여 제동력을 읽어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 개의 종이관을 제동관에 끼워 넣거나 뺄 때 판용수철에 걸리는 경우가 빈번하여 준비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수의 래칫기어가 동시에 밖으로 향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종이관의 내경을 지탱하기 때문에 제동력이 강하고 종이관의 동심도(同心度)를 완전하게 유지시켜 측면이 가지런한 제품을 생산하게 하는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래칫기어는 제동기의 회전에 따라 신장 및 수축하고 날카롭지 않으므로 종이관의 내면이 손상을 입지 않게 하고 영구적이며 신축성이 좋기 때문에 종이관의 착탈이 용이하여 준비시간을 단축하게 하는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조기(分條機), 검품기(檢品機), 첩합기(貼合機), 권취기(捲取機) 등에 재료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재료의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2차 가공에 대해서도 균일한 장력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식품포장이나 진공살균포장 인쇄도안 등의 다양한 제품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습지탄편제동기(習知彈片制動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권취기(捲取機)의 수료관(收料管) 제동기(制動機)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의 조립도이다.
도4는 도2의 제동부재가 밖으로 펼쳐진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 본 부분단면도이다.
도5는 도2의 제동부재가 안으로 줄어든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 본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습지탄편제동기 11, 20: 관상본체
12: 판용수철 13, 21: 차축구멍
14, 41: 회전축 15: 나사
16: 경사홈 22: 고리홈
23, 24: 고리테두리 25: 핀구멍
30: 제동조합 31: 고리부재
311: 둥근구멍 312, 313, 322, 323: 호형홈구멍
32: 제동부재 321: 타원구멍
324: 래칫기어 33: 중심핀
34: 정위핀 42: 탄력성부품
43: 종이관
상기의 목적은 재료를 일정한 장력으로 감을 수 있도록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에 있어서, 중심부에 차축구멍이 형성되고 그 테두리에 오목한 고리형태의 고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리홈의 양쪽 고리테두리에는 축 방향으로 핀구멍이 형성되는 관상본체와, 상기 고리홈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부재와 제동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부재는 측면 중앙에 원형의 둥근구멍과 상기 둥근구멍의 양측에 각각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호형(활모양)홈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동부재는 측면 중앙에 타원형 타원구멍과 상기 중앙구멍의 양측에 각각 중심축으로부터 경사진 호형(활모양)홈구멍이 형성되고 밖 테두리에 다수의 래칫기어가 형성되는 제동조합과, 상기 제동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의 타원구멍 및 둥근구멍을 통과하는 중심핀과, 상기 제동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의 호형홈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관상본체에 형성된 핀구멍을 관통하는 정위핀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는 관상본체(20)를 구비하며 상기 관상본체(20)는 중앙에 차축구멍(21)이 있고 테두리에는 고리모양의 고리홈(22)이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동조합(30)이 있다. 상기 제동조합(30)은 120°등간격으로 3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한 개의 제동조합(30)은 한 개의 고리부재(31)와 두 개의 제동부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부재(31)는 중앙에 중심핀(33)이 관통하는 둥근구멍(311)이 있고 양쪽에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정위핀(34)이 관통하는 2개의 호형홈구멍(312)(31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동부재(32)는 중앙에 중심핀(33)이 관통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타원구멍(321)이 있고 양쪽에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정위핀(34)이 관통하는 2개의 호형홈구멍(322)(323)이 형성되고 밖의 테두리에는 래칫기어(324)를 형성한다.
이러한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관상본체(20)는 중심축방향으로 회전축(41)이 연결될 수 있도록 차축구멍(21)이 형성되고 외경면에는 고리모양의 오목한 고리홈(22)이 있고 양측에는 일정높이의 고리테두리(23)(24)가 있다. 상기 고리테두리(23)(24)에 축방향으로 정위핀(34)이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핀구멍(25)이 형성된다.
상기 관상본체(20)는 공정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또는 경금속 등의 가벼운 재료가 바람직하다.
상기 관상본체(20)에 형성된 고리홈(22)에 3개의 제동조합(30)이 결합되며 한 개의 제동조합(30)은 양쪽에 두 개의 제동부재(32)와 가운데 한 개의 고리부재(31)로 이루어진다.
상기 3개의 제동조합(30)은 고리홈(22)의 원주의 길이보다 약간 작게 하여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120°등간격으로 고리홈(22)에 설치한다.
상기 제동조합(30)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동조합(30)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부위에는 합성수지나 고무 등의 탄성재료를 도포하거나 탄력성부품(4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부재(31)는 그 중앙부에 둥근구멍(311)이 형성되고 그 양쪽에는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며 길게 형성된 호형홈구멍(312)(31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동부재(32)는 상하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타원구멍(321)이 그 중앙부에 형성되고, 이 타원구멍(321)의 양쪽에는 중심축으로부터 점진적으로 거리차를 유지하며 경사지도록 길게 형성된 호형홈구멍(322)(323)이 구비되며 밖의 테두리 면에는 종이관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래칫기어(324)가 형성된다.
상기 중심핀(33)은 고리부재(31)와, 상기 고리부재(31)의 양쪽에 위치한 2개의 상기 제동부재(32)를 관통하므로 중심핀(33)의 길이는 고리부재(31)와 2개 제동부재(32) 폭의 총합과 같으며 고리부재(31)의 둥근구멍(311)과 제동부재(32)의 상하로 긴 타원구멍(321)에 관통됨으로써 제동부재(32)가 직경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리홈(22)의 표면을 따라 자유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위핀(34)은 관상본체(22)의 고리테두리(23)(24)에 형성된 핀구멍과, 상기 2개의 제동부재(32)에 형성된 2개의 경사진 호형홈구멍(322)과, 상기 고리부재(31)에 형성된 호형홈구멍(312)을 관통하므로써 고리부재(31)가 고리홈(22)에 고정되고, 관성에 의해 회전시에 제동부재(32)가 경사진 호형홈구멍(322)을 따라 유도되어 외측으로 신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위핀(34)은 상기 제동부재(32)가 균형을 이루어 신장 및 수축되도록 1개의 제동조합(30)에 2개씩 설치되므로 관상본체(20)에는 도합 6개가 결합된다.
이러한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동조합(30)은 정위핀(34)에 의해 관상본체(20)의 고리홈(22) 내에 고정되며 상기 고리부재(31)와 제동부재(32)는 중심핀(33)에 의해 연결된다.
도4에서와 같이 상기 제동부재(32)는 관상본체(20)의 회전시 그 관성에 의해 미끄러져 정위핀(34)을 경사진 호형홈구멍(322)(323)의 가장자리(a)에 위치시키면 각 제동부재(32)가 직경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제동부재(32)의 외측면에 형성된 래칫기어(324)가 고리테두리(23) 밖으로 솟아 나와 종이관(43)의 내주면에 접촉 지지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5에서와 같이 제동조합(30)이 종이관(43)에 대해 상대적으로 역회전할 때 제동부재(32)가 관성에 의해 회전방향의 반대로 미끄러져 정위핀(34)을 경사진 호형홈구멍(322)(323)의 가장자리(b)에 위치시키면 각 제동부재(32)이 중심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제동부재(32)의 외측면에 형성된 래칫기어(324)가 고리테두리(23)의 안으로 수용되어 지나친 장력을 약화시키고, 상기 제동조합(30)이 회전을 멈추면 래칫기어(324)가 완전하게 수축하여 종이관(43)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는 다수개를 연결하여 한 개의 재료를 감는 것이 가능하며, 제동기의 필요 수량은 권료축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취기 수료관 제동기는 회전하기 전에 제동부재가 수축되어 있으므로 종이관을 끼우기 수월하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제동부재의 래칫기어가 신장되어 종이관을 밀착 지지되므로 일정한 장력으로 감기게 되고, 재료가 일정한 장력을 초과하면 래칫기어의 위치가 수축되어 지지력을 약화시키면서 제동기를 헛돌게 하여 일정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정지시에는 손쉽게 종이관을 빼낼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에 의하면, 다수의 래칫기어가 동시에 밖으로 향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종이관의 내경을 지탱하기 때문에 제동력이 강하고, 종이관의 동심도(同心度)를 완전하게 유지시켜 측면이 가지런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다수의 래칫기어는 제동기의 회전에 따라 신장 및 수축하고, 그 형상이 날카롭지 않으므로 종이관의 내주면이 손상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신축이 자유로워 종이관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준비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재료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재료의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2차 가공에 대해서도 균일한 장력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식품포장이나 진공살균포장, 인쇄도안 등의 다양한 제품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재료를 일정한 장력으로 감을 수 있도록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에 있어서,
    중심부에 차축구멍이 형성되고 그 테두리에 오목한 고리형태의 고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홈의 양쪽 고리테두리에는 축 방향으로 핀구멍이 형성되는 관상본체;
    상기 고리홈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부재와 제동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부재는 측면 중앙에 원형의 둥근구멍과 상기 둥근구멍의 양측에 각각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호형(활모양)홈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동부재는 측면 중앙에 타원형 타원구멍과 상기 중앙구멍의 양측에 각각 중심축으로부터 경사진 호형(활모양)홈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동부재의 밖 테두리에 다수의 래칫기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동조합;
    상기 제동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의 타원구멍 및 둥근구멍을 통과하는 중심핀; 및
    상기 제동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의 호형홈구멍을 통과하고 상기 관상본체에 형성된 상기 핀구멍을 관통하는 정위핀;
    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조합은 120°의 등간격 폭으로 분할 형성되고, 이들 3개의 제동조합이 상기 고리홈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조합은 각 접촉부위에 소음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KR2019970012205U 1997-05-28 1997-05-28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KR200244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205U KR200244125Y1 (ko) 1997-05-28 1997-05-28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205U KR200244125Y1 (ko) 1997-05-28 1997-05-28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620U KR19980067620U (ko) 1998-12-05
KR200244125Y1 true KR200244125Y1 (ko) 2001-12-17

Family

ID=5389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205U KR200244125Y1 (ko) 1997-05-28 1997-05-28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1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620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30094C (en) Yarn winding tube with removable end ring
US3815836A (en) Sleeve chuck for thread winding device
KR840000180Y1 (ko) 지관제작기의 와인더 스핀들 프레스로울러
JP3612333B2 (ja) 紙その他のシート材料のロール用のチューブ状コア集成体
US3567146A (en) End core for rolls of paper
US11787103B2 (en) Core with improved chuck interaction
US3106363A (en) Plastic core for roll labels
KR200244125Y1 (ko) 권취기의 수료관 제동기
JP3143523B2 (ja) 巻心締付け装置
US4519620A (en) Core chuck with resilient rollers
US1005787A (en) Fabric-package.
US4949913A (en) Yarn carrier with anti-nesting rib
KR910009386A (ko) 원통형 연마장치
US4711406A (en) Coreholder
US4759284A (en) Dampener roller apparatus
US6749147B2 (en) Friction winding shaft for reversible rotation
US3831869A (en) Holding means for yarn winding carrier which is to rotate at high speeds
EP1365982A1 (en) Handle for roll core
US2639576A (en) Spindle adapter for high-speed strand twisting machines
US20030141406A1 (en) Handle for roll core
CN209871962U (zh) 一种络筒机卷筒固定装置
US3291405A (en) Winding machine
CA2617764C (en) Bag machine having a spindle
US3614017A (en) Pirn
JPS622549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