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390Y1 -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390Y1
KR200243390Y1 KR2020010013666U KR20010013666U KR200243390Y1 KR 200243390 Y1 KR200243390 Y1 KR 200243390Y1 KR 2020010013666 U KR2020010013666 U KR 2020010013666U KR 20010013666 U KR20010013666 U KR 20010013666U KR 200243390 Y1 KR200243390 Y1 KR 200243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 pipe
water tank
tank
sa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관
Original Assignee
김윤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관 filed Critical 김윤관
Priority to KR2020010013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390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물탱크(10)와, 상층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물탱크(10)로 유입시키는 제1배수관(12)과, 상기 물탱크(10)의 물이 소정 수위에 다달으면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14) 및 상기 물탱크(10)의 물을 하층의 수조(16)로 보내는 제3배수관(18)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물탱크(10)에 제1, 2, 3배수관(12,14,18)을 각각 연결시켜 상층으로부터의 물을 적절히 저수 및 배수시킴으로써 변기 수세를 위해 사용되는 수도물의 소비량을 극도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절수장치{Water saving device}
본 고안은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층으로부터 배수되는 빗물이나 목욕수 등의 물을 물탱크에 저장시켰다가 변기 수세용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등의 다가구 주택은 수도배관을 통해 식수, 세정수, 변기 수세수 등으로 수돗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렇게 사용된 물은 각 가정의 배수관을 통해 하수도로 배수된다. 이러한 각 가정의 배수관은 다층건물 중 종방향으로 같은 라인 상에 배관된 하나의 공동배수관에 연결되고 이 공용배수관을 통해 하수도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공동배수관을 통해 최상층에서 수집된 빗물 등이 또한 배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배수관 구조는 각 가정에서 수돗물을 공급받아 필요한 용도로 사용하고 난 물이 배수관을 통해 공동배수관으로 직접 배출되기 때문에 버려지는 물의 재활용은 전혀 불가능하게 되고 이런 이유에서 수돗물의 절약을 꾀할 수가 없었다.
특히, 변기 수세용 물 조차 수돗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각 가정당 이 변기 수세용으로 소비되는 물의 양이 상당히 많으며, 변기용 수조에 별도의 질량체를 채워넣음으로써 저장되는 물의 양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물의 소비량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은 있었지만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다량의 수돗물 소비는 피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층으로부터 버려지는 물을 이용하여 변기 수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돗물의 소비량을 극도로 감소시킬 수 있게 한 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장치를 나타낸 개략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절수장치 중 물탱크와 제1, 2, 3배수관 등이 나타나도록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절수장치 중 제3배수관의 배수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탱크 12 : 제1배수관
12a : 유입관 14 : 제2배수관
16 : 수조 18 : 제3배수관
18a : 배수구 20 : 차단밸브
22 : 보조캡 22a : 배출공
24 : 부력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절수장치는 물탱크와, 상층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상기 물탱크로 유입시키는 제1배수관과, 상기 물탱크의 물이 소정 수위에 다달으면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 및 상기 물탱크의 물을 하층의 수조로 보내는 제3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관에는 상층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동시에 상기 물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차단밸브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수조내로 연통되는 제3배수관의 단부에는 이 제3배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수조로 배출시키기 위해 그 외주면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보조캡이 설치되고, 이 보조캡의 내부에는 수조의 물이 소정수위에 다달으면 수면과 같이 상승하여 상기 제3배수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동시에 물의 유입이 중단되도록 하는 부력체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절수장치는 물탱크(10)와, 이 물탱크(10)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12)과, 이 제1배수관(12)과 상기 물탱크(10)와 연결되는 제2배수관(14) 및 상기 물탱크(10)와 하층의 수조(16)를 연결하는 제3배수관(1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10)는 변기 수세를 위해 소정량의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그 상단 일측벽에는 제1, 2배수관(12,14)이 각각 연통되어 있고 하단 일측벽에는 하층의 수조(16)로 연결되는 제3배수관(18)의 일단부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1배수관(12)은 상층으로부터 배수되는 물(특히, 목욕수)이 유입되도록 그 상단부가 상층의 배수구(미도시)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제1배수관(12)의 소정 부위에 상층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차단밸브(20)가 설치되고, 이 차단밸브(20)의 상부측에 이 차단밸브(20)에 의해 외부로의 배수가 차단된 물을 물탱크(10)로 유입시키는 유입관(12a)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배수관(12)은 목욕수 이외에 빗물을 유입시키기 위해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관(미도시)에도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배수관(14)은 물탱크(10)의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수위까지 다달으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일단부가 상기 물탱크(10)의 상단부와 연통되고 그 타단부가 차단밸브(20)의 하부인 제1배수관(12)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3배수관(18)은 물탱크(10)의 물을 하층의 수조(16)로 보내기 위해 일단부가 이 물탱크(10)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인 배수구(18a)가 상기 하층의 수조(16)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하층의 수조(16)로 연결되는 제3배수관(18)의 배수구(18a)에는 그 외주면에 배출공(22a)이 형성되고 내직경이 상기 제3배수관(18)의 직경보다 큰 원통형상의 보조캡(22)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보조캡(22)내에는 상기 하층 수조(16)내로 소정량의 물이 채워지면 물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도록 수면과 같이 상승하여 상기 제3배수관(18)의 배수구(18a)를 밀폐시키는 부력체(2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력체(24)의 상면은 제3배수관(18)의 배수구(18a)를 정확히 밀폐시킬 수 있게 고무등의 방수재질(미도시)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별도의 방수재질(미도시)을 부착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절수장치는 상층으로부터 배출되는 목욕수가 제1배수관(1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차단밸브(20)에 의해 유입관으로 흘러 물탱크(10)로 보내진다. 그리고, 물탱크(10)에 저수량이 증가하다가 소정수위에 다달으면 이 물은 제2배수관(14)을 통해 다시 제1배수관(12)으로 배수되어 소정의 수위를 유지시킨다. 한편, 이 물탱크(10)의 하단부에 연통되어 있는 제3배수관(18)을 통해서도 하층의 수조(16)로 물이 유입된다. 여기서, 제3배수관(18)의 배수구(18a)에 설치된 보조캡(22)의 배출공(22a)으로 물이 배수되어 수조(16)에 물이 채워지다가 소정 수위에 다달으면 상기 보조캡(22) 내의 부력체(24)가 수위와 같이 상승하여 상기 제3배수관(18)의 배수구(18a)를 밀폐시켜 물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상기 물탱크(10)와 하층의 수조(16)에서 각각 변기 수세에 필요한 양의 물이 저장되고 나면 물의 공급을 중단시켜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물탱크(10)와 하층의 수조(16)에는 상층으로부터의 목욕수나 빗물의 공급 이외에도 각각 기존의 부력체(미도시)와 물공급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어 항상 변기 수세를 위한 소정량의 물이 물탱크(10)와 수조(16)에 각각 저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절수장치는 물탱크에 제1, 2, 3배수관을 각각 연결시켜 상층으로부터의 물을 적절히 저수 및 배수시킴으로써 변기수세를 위해 사용되는 수도물의 소비량을 극도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를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물탱크;
    상층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물탱크로 유입시키는 제1배수관;
    상기 물탱크의 물이 소정 수위에 다달으면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배수관; 및
    상기 물탱크의 물을 하층의 수조로 보내는 제3배수관;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관에는 상층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물탱크로 유입되도록 하는 차단밸브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수조내로 연통되는 제3배수관의 단부에는 이 제3배수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수조로 배출시키기 위해 그 외주면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보조캡이 설치되며, 이 보조캡의 내부에는 수조의 물이 소정수위에 다달으면 수면과 같이 상승하여 상기 제3배수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동시에 물의 유입이 중단되도록 하는 부력체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수장치 .
KR2020010013666U 2001-05-10 2001-05-10 절수장치 KR200243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66U KR200243390Y1 (ko) 2001-05-10 2001-05-10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66U KR200243390Y1 (ko) 2001-05-10 2001-05-10 절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181A Division KR20020086190A (ko) 2001-05-16 2001-05-16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390Y1 true KR200243390Y1 (ko) 2001-10-15

Family

ID=7310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666U KR200243390Y1 (ko) 2001-05-10 2001-05-10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3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45201Y (zh) 家庭废水利用装置
CN202202382U (zh) 一种智能节水装置
CN203475536U (zh) 再生水利用节能系统
KR200243390Y1 (ko) 절수장치
CN202430776U (zh) 一种二次水、自来水配合使用的节水蓄水冲厕装置
CN2846526Y (zh) 楼层生活废水再利用集排管道系统
CN2892995Y (zh) 一种家庭生活洗刷水再利用装置
CN206554179U (zh) 一种用于卫生间的侧立式中水储水及处理回用系统
KR20020086190A (ko) 절수장치
CN207512850U (zh) 一种中间水箱式节水型坐便器
CN205822365U (zh) 家用节水器
CN206986984U (zh) 废水利用节水装置
CN102330458B (zh) 防返溢防淤泥管道接入装置
CN2818588Y (zh) 马桶用水箱及使用该水箱的马桶和马桶洗脸盆联用节水装置
CN206829275U (zh) 一种节水马桶
CN201447754U (zh) 一种坐便器、蹲便器水箱自动冲水装置
CN212612812U (zh) 一种一体化节水卫浴设备
CN211523393U (zh) 能利用废水且连通的坐便器双水箱
CN214090162U (zh) 一种新型的水资源节能设备
KR100274537B1 (ko) 허드렛물을 이용하는 수세식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KR200281573Y1 (ko) 수세식 변기의 재활용 절수구조
CN203270723U (zh) 冲水水箱
CN211006881U (zh) 一种水资源再利用节水卫浴系统
CN201474013U (zh) 马桶水箱节水器
KR0130567Y1 (ko) 오수를 세정수로 이용한 수세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