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295Y1 - Badminton ball - Google Patents

Badminton b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295Y1
KR200243295Y1 KR2019980016316U KR19980016316U KR200243295Y1 KR 200243295 Y1 KR200243295 Y1 KR 200243295Y1 KR 2019980016316 U KR2019980016316 U KR 2019980016316U KR 19980016316 U KR19980016316 U KR 19980016316U KR 200243295 Y1 KR200243295 Y1 KR 2002432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stant voltage
switch
lighting devic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3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5487U (en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박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규 filed Critical 박진규
Priority to KR2019980016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295Y1/en
Publication of KR20000005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48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2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295Y1/en

Link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드민턴 라켓으로 배드민턴 공의 헤드부를 가격함에 따라 배드민턴 공에 내장된 스위치가 자동으로 접촉되어 내장된 발광체가 수초간의 점등되도록 한 조명 배드민턴 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badminton ball that the switch embedded in the badminton ball is automatically contacted as the badminton racket hits the head of the badminton ball so that the light emitter is lit for several seconds.

본 고안의 특징은, 날개부와; 날개부에 접착 고정되고,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조명장치와; 조명장치가 투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결합홈이 가공되고, 조명장치를 결합홈에 투입한 상태에서 날개부에 접착 고정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조명장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에 의해 점등되는 발광소자와; 스위치를 통하여 정전압이 공급되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발광소자에 배터리에서 발생된 정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IC 집적회로로 구성되어 배드민턴 공을 라켓이 가격하였을 때의 충격에 따라 스위치가 접촉되어 IC 집적회로를 트리거시켜 조명장치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배터리에서 발생된 정전압을 공급하여 점등되도록 한 점에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ortion; A lighting device adhesively fixed to the wing and driven by a battery; The coupling groove is proces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lighting device is input, and the head portion is adhesively fixed to the w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lighting device is put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lighting apparatus includes a switch for switching a constant voltage supplied from a battery; A light emitting element lit by a constant voltage supplied from a battery; When a constant voltage is supplied through the switch, the IC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constant voltage generated from the battery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witch is contacted according to the impact when the racket hits the badminton ball. The circuit is triggered so that the lighting device is turned on by supplying a constant voltage generated from the battery for a predetermined time.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발광소자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에 의해 점멸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가 진행되지 않을 때에는 소등되어 있다가 라켓으로 셔틀콕을 가격하였을 때 이 충격으로 인해 트리거되어 수초동안 점등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한 이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not flickered by the user's separate operation, but is turned off when the game is not in progress, and when the shuttlecock is hit by the racket, it is triggered by this shock and turned on for several seconds. There is a convenient advantage.

Description

조명 배드민턴 공Lighting badminton ball

본 고안은 조명 배드민턴 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드민턴 라켓으로 배드민턴 공의 헤드부를 가격함에 따라 배드민턴 공에 내장된 스위치가 자동으로 접촉되어 내장된 발광체가 수초간의 점등되도록 한 조명 배드민턴 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badminton b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badminton ball in which a switch embedded in a badminton ball is automatically contacted by lighting a head of a badminton ball with a badminton racket so that the built-in illuminator is lit for several seconds. will be.

통상의 배드민턴 공은, 새의 깃털이나 합성수지로 사출 형성된 그물 망 형태의 날개부 아래에 고무밴드가 형성되어 있어 날개부의 하방부를 견고히 고정시켜 주며, 고무밴드의 아래에는 반구형의 고무탄성체로 이루어진 헤드부가 부착되어 있다.A common badminton ball has a rubber band formed under a wing portion of a net shape formed by injection of a bird feather or synthetic resin, thereby firmly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wing portion, and a head portion made of a hemispherical rubber elastic body under the rubber band. Attached.

이와 같은 배드민턴 공을 사용하여 배드민턴 경기를 하는 경우, 배드민턴 라켓의 타격력으로 인해 비교적 고속으로 비행하는 배드민턴 공은 주변의 밝기가 밝은 주간이나 조명시설이 구비된 곳에서는 경기를 즐기기에 무리가 없으나, 조명시설이 없는 곳에서 야간에 경기를 즐길 때는 배드민턴 공의 위치에 대한 육안식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인 경기를 즐길 수 없다는 불편함이 발생한다.When playing badminton using such a badminton ball, the badminton ball flying at a relatively high speed due to the badminton racket's hitting power is enough to enjoy the game in the daytime where the surrounding brightness is bright or equipped with lighting. When playing a game at night where there is no facility, it is not easy to visually recognize the badminton ball position.

또한, 시합 등과 같은 대규모 행사를 위한 장소 이외에 일반 사용자가 배드민턴 경기를 즐기기 위해 조명시설을 설치한다는 것은 낭비이며, 사용자에게도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venue for large-scale events such as competitions, it is wasteful for ordinary users to install a lighting system for playing badminton games, which adds to the economic burden on the users.

또한, 배드민턴 공에 발광체를 도포하거나 발광소자를 내장한 형태가 다수 출원된 바 있으나, 발광체를 도포한 경우에는 시각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발광소자를 내장한 형태는 사용자가 발광소자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경기를 진행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실제 경기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발광소자는 점등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have been many applications in which a light emitter is applied to a badminton ball or a light emitting device is built-in. However, when the light emitter is applied, a visually sufficient effect is not obtained. The user must feel uncomfortable because the game must be performed in a turned on state, and even when the actual game is not in progress,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turned on, caus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또한,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라켓이 배드민턴 공을 가격하였다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발광소자를 점등시키도록 한 선행출원이 있으나, 이는 센서를 내장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배드민턴 공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고, 발광소자의 구동전원을 축적된 태양 광을 이용하므로 태양 광을 축적하기 위한 수단을 구성함에 따른 가격상승의 문제점을 발생하며, 흐린 날에는 태양 광이 충분하게 축적되지 않아 경기를 수행할 정도의 충분한 조명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ior application to detect that the racket hit the badminton ball by using the vibration sensor, and to use the same to turn on the light emitting device, but because it is built in the sensor is very complicated to configure the price of the badminton ball It provides a direct cause of the increase, and because the driving power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uses the accumulated solar light, there is a problem of price increase by configuring a means for accumulating solar light, and the sunlight is not accumulated enough on cloudy days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provide enough lighting to perform the game.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드민턴 공의 헤드부에 발광소자를 내장하고, 사용자가 라켓으로 배드민턴 공을 가격함에 따라 발광소자가 수초간 자동으로 발광하도록 한 조명 배드민턴 공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orporate a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head of the badminton ball, the light emitting device automatically for several seconds as the user hits the badminton ball with a racket To provide a light badminton ball to emit light.

제1(a)도 내지 제1(c)도는 배드민턴 공의 각 구성부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1 (a) to 1 (c) is a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each component of the badminton ball,

제1(d)도는 제1(b)도의 평면도이며,FIG. 1 (d) is a plan view of FIG. 1 (b),

제2도는 제1(b)도의 회로도이고,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FIG. 1 (b),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 배드민턴 공의 결합상태도이다.3 is a coupling state diagram of the lighting badminton 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날개부 200 : 헤드부100: wing 200: head

300 : 조명장치 301 : 인쇄회로기판300: lighting device 301: printed circuit board

302 : 배터리 303 : 발광소자302: battery 303: light emitting element

304 : 스위치 305 : IC 직접회로304: switch 305: IC integrated circuit

306 : 제1 지지부 307 : 진동자306: first support portion 307: vibrator

308 : 제2 지지부308: second support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날개부와, 날개부에 접착 고정되고,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조명장치와; 조명장치가 투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결합홈이 가공되고, 조명장치를 결합홈에 투입한 상태에서 날개부에 접착고정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조명장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에 의해 점등되는 발광소자와; 스위치를 통하여 정전압이 공급되면,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발광소자에 배터리에서 발생된 정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IC 집적회로로 구성되어 배드민턴 공을 라켓이 가격하였을 때의 충격에 따라 스위치가 접촉되어 IC 집적회로를 트리거시켜 조명장치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배터리에서 발생된 정전압을 공급하여 점등되도록 한점에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s), and the wing portion, the lighting device adhesively fixed to the wing portion, driven by a battery; The coupling groove is proces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lighting device is input, and includes a head portion fixed to the w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lighting device is put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lighting apparatus includes a switch for switching a constant voltage supplied from a battery; A light emitting element lit by a constant voltage supplied from a battery; When a constant voltage is supplied through the switch, the IC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of the constant voltage generated from the battery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switch is contacted according to the impact when the racket hits the badminton ball. One point is to trigger the circuit to supply the constant voltage generated from the battery for a preset time to the lighting device to be turned on.

여기서, 스위치는, 정전압(V+)이 공급되는 배터리 또는 IC 집적회로의 트리거 단자(TG) 중 어느 한 곳에 접속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융착된 제1 지지부와; 제1 지지부에 일 측면이 부분 접합된 스프링구조의 진동자와; 진동자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진동자 내에 삽입되고 정전압(V+)이 공급되는 배터리 또는 IC 집적회로의 트리거 단자(TG) 중 다른 한 곳에 접속되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융착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witch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connected to either a battery to which a constant voltage V + is supplied or a trigger terminal TG of an IC integrated circuit and fus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 vibrator having a spring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partially joined to the first support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support part which is inserted into the vibrator without contact with the vibrator and is supplied with a constant voltage V + or is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trigger terminal TG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and is fu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Do.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 (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components of a specific circuit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a)도 내지 제1(c)도에는 배드민턴 공의 각 구성부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제1(d)도에는 제1(b)도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2도에는 제1(b)도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고, 제3도에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 배드민턴 공의 결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1 (a) to 1 (c) show the exploded state of each component of the badminton ball, FIG. 1 (d) shows the top view of the first (b) diagram, and FIG. FIG. 2 shows a circuit diagram of FIG. 1 (b), and FIG. 3 shows a coupling state diagram of the lighting badminton 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배드민턴 공을 상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adminton bal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적용된 배드민턴 공은,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의 깃털이나 합성수지로 사출 형성된 그물 망 형태의 날개부(100)와, 라켓에 의해 가격되는 헤드부(200)와, 헤드부(200) 및 날개부(100) 사이에 설치되는 조명장치(300)로 구성된다.The badminton bal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c), is a net-shaped wing portion 100 formed by injection into a bird feather or synthetic resin, and a head portion 200 that is priced by a racket and , The lighting device 300 is installed between the head 200 and the wing 100.

이때, 헤드부(200)는 조명장치(300)로부터 방사된 빛을 투과함과 동시에 라켓에 의해 가격되었을 때 충분한 탄성을 얻을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연성재질(예를 들면, 투과성 실리콘)로 구성한다.In this case, the head part 20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transparent silicone) having elastic force so as to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device 300 and at the same time obtain sufficient elasticity when it is priced by the racket. .

또한, 헤드부(200)에는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300)가 인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201)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the head part 20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201 to allow the lighting device 300 to be retracted.

한편, 조명장치(300)는 제1(b)도 및 제1(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태의 인쇄회로기판(301)의 소정위치에 배터리(302)가 설치되고, 인쇄회로기판(301)의 대략 중앙부위에 조명장치(303)가 설치되며, 배터리(30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304) 및 IC 집적회로(305)가 인쇄회로기판(301)상에 설치된다. 이때, 조명장치(300)는 배터리(302)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V+)은 스위치(304)와 IC 집적회로(305) 및 조명장치(303)에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ing device 300, as shown in Figure 1 (b) and 1 (d), the battery 302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01 in the form of a disc, the printed circuit An illumination device 303 is provid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substrate 301, and a switch 304 and an IC integrated circuit 30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302 a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1. In this case, the lighting device 3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stant voltage V + supplied from the battery 302 is sequentially supplied to the switch 304,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and the lighting device 303.

이때, 제2도를 참조하여 조명장치(300)의 회로구성을 설명하면, IC 집적회로(305)의 전원입력단자(Vdd)는 배터리(302)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V+)을 입력받도록 연결되어 있고, 접지단자(Vss)는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배드민턴 공을 라켓으로 가격함에 따라 접점이 이루어져 조명장치(300)의 작동을 트리거하는 스위치(304)는 정전압(V+)이 IC 집적회로(305)의 트리거단자(TG)에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발광소자(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LED) 등)(303)는 정전압(V+)을 공급과는 배터리(302)와 IC 집적회로(305)의 출력단자(OUT) 사이에 순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In this case, referring to FIG. 2,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The power input terminal Vdd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is connected to receive the constant voltage V + supplied from the battery 302. The ground terminal Vss is grounded to ground. In addition, the switch 304 which makes contact with the badminton ball as the racket triggers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300 to switch the constant voltage V + is supplied to the trigger terminal TG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diode (LED), etc.) 303 supplies a constant voltage V + and is forward between the battery 302 and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Is connected.

한편, 스위치(304)는 제1(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압(V+)아 공급되는 배터리(302) 혹은 IC 집적회로(305)의 트리거 단자(TG) 중 어느 한 곳에 접속되고 인쇄회로기판(301)상에 융착된 제1 지지부(306)와, 이 제1 지지부(306)에 일 측면이 부분 접합된 스프링구조의 진동자(307)와, 이 진동자(307)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진동자(307) 내에 삽입되고 정전압(V+)이 공급되는 배터리(302) 혹은 IC 집적회로 (305)의 트리거 단자(TG) 중 다른 한 곳에 접속되며 인쇄회로기판(301)상에 융착된 제2 지지부(308)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2 지지부(308)는 진동자(307) 내에 삽입되고 인쇄회로기판(301) 상에 융착할 수 있도록 대략 중앙부위가 2중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304 is connected to either the battery 302 or the trigger terminal TG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which is supplied with a constant voltage (V +) as shown in FIG. The first support part 306 fused on the circuit board 301, the spring structure vibrator 307 of which one side part was joined to the first support part 306, and the state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is vibrator 307 A second electrode inserted into the furnace vibrator 307 and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battery 302 to which the constant voltage V + is supplied or the trigger terminal TG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and fu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301. The support part 308 is comprised.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 part 308 is formed in the form of a double bent approximately the cent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vibrator 307 and fus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301.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조과정 및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subject innova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인쇄회로기판(301)의 평면에 IC 집적회로(305) 발광소자(303) 및 스위치(304)와 배터리(302)를 장착한 후, 각각 앞서 설명한 접속관계에 따라 배치한다.After mounting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the light emitting element 303, the switch 304 and the battery 302 on the plan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301, they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onnection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제작된 조명장치(300)를 날개부(100)에 접착 고정하고, 헤드부(200)를 날개부(100)와 접착 고정하면(제3도 참조), 조명장치(300)는 헤드부(200)의 결합홈(20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When the lighting device 30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adhesively fixed to the wing unit 100, and the head unit 200 is adhesively fixed to the wing unit 100 (see FIG. 3), the lighting unit 300 includes a head unit. It is fix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01 of the (200).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작된 배드민턴 공을 이용하여 배드민턴경기를 하게 되면, 경기자가 라켓으로 배드민턴 공을 가격함에 따라 진동자(310)의 전체부분 중 제1 지지부(306)에 융착되지 않은 잔여부분이 관성에 의해 상하 또는 기타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진동자(307)는 제2 지지부(308)와 적어도 한번 이상 접촉하는 상태가 발생한다.When a badminton game is played using the badminton ball produced by the above process, as the player strikes the badminton ball with the racke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entire portion of the vibrator 310 that is not fused to the first support part 306 is inertia. By vib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other direction, thereby causing the vibrator 307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308 at least once or more.

진동자(307)와 제2 지지부(308)가 접촉하면, 배터리(302)로부터 공급된 정전압(V+)이 IC 집적회로(305)의 트리거단자(TG)로 공급되면서 IC 집적회로(305)를 트리거시키고, 이에 따라, IC 집적회로(305)의 출력단자(OUT)는 기 정의된 시간만큼 로직 “로우”상태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발광소자(303)는 IC 집적회로(305)의 출력단자(OUT)에서 출력되는 일정 주기의 펄스신호의 전압레벨에 의해 IC집적회로(305)에 설정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5초)동안 점등된다.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IC 집적회로(305)의 출력단자(OUT)에는 로직 “하이”상태의 출력신호가 발생하여 발광소자(303)는 소등된다. 그리고, 발광소자(303)가 점등된 상태에서 스위치(304)가 접촉되면, IC 집적회로(305)는 다시 트리거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When the vibrator 307 and the second support part 308 contact each other, the constant voltage V + supplied from the battery 302 is supplied to the trigger terminal TG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to trigger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Accordingly,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outputs a control signal in a logic "low"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ly, the light emitting device 303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time (eg, 3) set in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by a voltage level of a pulse signal of a predetermined period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5 seconds). Thereafter,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 output signal having a logic “high” state is generated at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so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303 is turned off. When the switch 304 contacts with the light emitting device 303 turned on, the IC integrated circuit 305 is triggered again to repeat the above-described process.

결국, 발광소자(303)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에 의해 점등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가 진행되지 않을 때에는 소등되어 있다가 라켓으로 배드민턴 공을 가격하였을 때 이 충격으로 인해 트리거되어 수초동안 점등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하다.As a result, the light emitting element 303 is not turned on by the user's separate operation, but is turned off when the game is not in progress, and is triggered by this shock when the badminton ball is hit by the racket, and is lighted for several seconds. Do.

결국, 본 고안에 의한 조명기능을 갖는 셔틀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shuttlecock having an illumin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advantage (s) occurs.

즉, 발광소자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에 의해 점멸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가 진행되지 않을 때에는 소등되어 있다가 라켓으로 셔틀콕을 가격하였을 때 이 충격으로 인해 트리거되어 수초동안 점등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하다.That is,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not flickered by a user's separate operation, but is turned off when the game is not in progress, and is triggered by this shock when the shuttlecock is hit by the racket and is lit for several seconds, which is convenient for use.

Claims (2)

날개부; 상기 날개부에 접착 고정되고,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조명장치 ; 및 상기 조명장치가 투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결합홈이 가공되고, 상기 조명장치를 상기 결합홈에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에 접착 고정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장치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정전압에 의해 점등되는 발광소자; 및 상기 스위치를 통하여 정전압이 공급되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발광소자에 상기 배터리에서 발생된 정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IC 집적회로로 구성되어 배드민턴 공을 라켓이 가격하였을 때의 충격에 글라 상기 스위치가 접촉되어 상기 IC 집적회로를 트리거시켜 상기 조명장치에 상기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배터리에서 발생된 정전압을 공급하여 점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고 하는 조명 배드민턴 공.Wing; A lighting device adhesively fixed to the wing and driven by a battery; And a head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illumination device is input, and which is adhesively fixed to the wing in a state where the illumination devic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lighting device includes a switch for switching a constant voltage supplied from a battery; A light emitting device that is lit by a constant voltage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an IC integrated circuit configured to control supply of the constant voltage generated from the battery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constant voltage is supplied through the switch, so that the switch hits a badminton ball when the racket strikes the ball. Illuminates to trigger the IC integrated circuit to supply a constant voltage generated from the battery for the predetermined time to the lighting device to be turned 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정전압(V+)이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또는 상기 IC 집적회로의 상기 트리거 단자(TG) 중 어느 한 곳에 접속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융착된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일 측면이 부분 접합된 스프링구조의 진동자; 및 상기 진동자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진동자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정전압(V+)이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또는 상기 IC 집적회로의 상기 트리거 단자(TG) 중 다른 한 곳에 접속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융착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명 배드민턴 공.The switch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 comprises: a first support part connected to either the battery to which the constant voltage V + is supplied or the trigger terminal TG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and fu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vibrator of a spring structure, one side of which is partially joined to the first support; And a battery inserted into the vibrator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vibrator and connected to another one of the battery or the trigger terminal TG of the IC integrated circuit supplied with the constant voltage V + and fused o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lluminated badminton ball comprising a second support.
KR2019980016316U 1998-08-31 1998-08-31 Badminton ball KR2002432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316U KR200243295Y1 (en) 1998-08-31 1998-08-31 Badminton 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316U KR200243295Y1 (en) 1998-08-31 1998-08-31 Badminton b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487U KR20000005487U (en) 2000-03-25
KR200243295Y1 true KR200243295Y1 (en) 2001-12-17

Family

ID=6952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316U KR200243295Y1 (en) 1998-08-31 1998-08-31 Badminton b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295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487U (en)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0651A (en) Illuminated non-motor powered flying device
US5236383A (en) Illuminated toy ball
US7297089B2 (en) Lighted trampoline
US4307538A (en) Lighting system for disc toys
US6712487B2 (en) Light emitting golf ball
US6482071B1 (en) Lighted coil spring amusement device
US20080011244A1 (en) Sound producing pet toy
US20140221134A1 (en) Light-up table tennis paddle and method
US5653640A (en) Illuminated pool game apparatus
US6802755B2 (en) Light illuminated toy device
US20050261083A1 (en) Modified ball structure
US20110053716A1 (en) Golf disc
US5779574A (en) Electronic game footbag
US6758773B1 (en) Flashing dart
KR200243295Y1 (en) Badminton ball
US20090042658A1 (en) Light Up Billiard Ball
WO2009075498A2 (en) Golf tee with loss prevention function
KR200221479Y1 (en) Shuttlecock having lighting function
KR100251815B1 (en) Shuttle cock
KR200210053Y1 (en) Light Emitting Device for Transparent Punch Ball
KR200164733Y1 (en) Ball for decoration
KR100366558B1 (en) Shuttle cock having radiation device
KR200265354Y1 (en) Shuttlecock for badminton
KR200444508Y1 (en) Golf tee with loss prevention function
US11412587B2 (en) Animated firefly novel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