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193Y1 - 부항기 - Google Patents

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193Y1
KR200243193Y1 KR2020010010723U KR20010010723U KR200243193Y1 KR 200243193 Y1 KR200243193 Y1 KR 200243193Y1 KR 2020010010723 U KR2020010010723 U KR 2020010010723U KR 20010010723 U KR20010010723 U KR 20010010723U KR 200243193 Y1 KR200243193 Y1 KR 200243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cupping
cup
cupping cup
gener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형
Original Assignee
임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석형 filed Critical 임석형
Priority to KR2020010010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193Y1/ko

Links

Landscapes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개폐 밸브(13)가 내장된 부항컵(11)과; 상기 부항컵(11)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저주파 전기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수단(20)과; 상기 저주파발생수단(20)과 부항컵(11) 사이에 부항컵(11) 내측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관통된 다수의 통공(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부항치료 뿐만 아니라 전기자극에 의한 맛사지 및 안마효과를 볼 수 있도록 된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항기{Cupping glasses}
본 고안은 부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항컵의 내측에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주므로써, 부항치료 뿐만 아니라 저주파 전기자극에 의한 맛사지 및 안마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부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요법은 동서 고금 이래 가장 오래된 민간 요법으로 자연법칙에 따른 이상적인 자연 물리치료 요법으로서 인체가 평상시 느낄 수 없는 진공(저압)흡착요법이다.
부항은 인체의 혈액순환, 가스교환, 분비, 배설촉진 등으로 몸속에 잠복해 있는 정체된 독소, 만병의 근원인 어혈(병의 뿌리)을 제거함으로써, 혈액을 맑게 정화시켜 질병에서 건강체로 회복시켜 주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부항시술은 심각한 오염, 공해와 운동부족 등으로 각종 질병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이 찾고 있던 가장 이상적인 자연 물리치료 요법이다.
이와 같이, 인체에 이로운 효과가 있는 부항기는 컵 모양의 부항컵을 형성하고, 이 부항컵을 별도의 콘트롤 박스와 연결하여 인체 피부에 접촉되어 있는 부항기 내부의 압력을 상기 콘트롤 박스 작동에 의해 저하시키거나 또는 상기 부항컵만으로 구성하여 인체의 피부에 접촉시킨 후 부항컵의 내부에 뜸을 놓거나 하여 상기 부항컵에 수동식펌프를 설치하여 수동으로 부항컵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부항컵의 내부를 진공(저압)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인체에 부항시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항기는 단순히 컵 모양의 부항컵에 수동식 펌프나 자동식 콘트롤 박스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피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진공작용에 의한 부항치료만을 할 수 있을 뿐, 다른 작용은 전혀 기대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99-8479호에서는 종래의 단순한 흡착작용만을 하는 부항기를 벗어나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피부에 접촉되는 부항컵의 단부에 저주파 패드를 설치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부항치료와 동시에 저주파에 의한 맛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콘트롤 박스(5)와 흡입호스(3)으로 연결된 부항기(1)에 있어서, 부항컵(1) 단부의 피부접촉면에 저주파 패드(2)를 설치하고, 이를 콘트롤 박스(5)와 전원선(4)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부항기를 사용시에는 저면에 저주파 패드(2)를 부착한 부항컵(1)을 피부면에 부착하고, 컨트롤 박스(5)를 작동시켜 흡입호스(3)를 통해서 부항컵(1)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부항컵(1)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동시에 저주파 패드(2)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저주파가 발생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저주파가 발생되게 한 부항기는 항상 콘트롤 박스(5)를 구비해야 되거나 저주파 패드(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외부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해야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부항컵(1)을 사용할 때에는 그에 따른 다수의 전원선(4)이 지저분하게 놓여져 있어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고 치료하는데 불편한 점이 많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에 콘트롤 박스나 별도의 외부전원공급부를 따로 구비하지 않고도 부항컵의 내측에 저주파 전기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수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주므로써, 부항치료 뿐만 아니라 전기자극에 의한 맛사지 및 안마효과를 볼 수 있도록 된 부항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항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발생수단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발생수단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6a는 부항기의 초기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부항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접속부 11 : 부항컵
12 : 돌출부 13 : 개폐 밸브
14 : 통공 15 : 나사부
20 : 저주파발생수단 21 : 몸체
22 : 나사부 23 : 제 1고정막
26 : 제 2고정막 28 : 연결단자
30 : 저주파발생장치 31 : 직류 전원공급부
32 : 저주파발진회로 33 : 출력단자(+,-단자)
34 : 스위치부 41 : 접촉부재
42 : 고정축 43 : 돌기부
44 : 접촉단자부 45 : 탄성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단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개폐 밸브가 내장된 부항컵과; 상기 부항컵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저주파 전기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수단과; 상기 저주파발생수단과 부항컵 사이에 부항컵 내측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관통된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주파발생수단은 부항컵의 내측 상부에 나사 결합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고정막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그 일단부의 스위치부와 출력단자가 제 1고정막을 관통하여 구비되어서 저주파 전기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장치와; 상기 저주파발생장치의 출력단자에 접하여 통전되도록 고정막 사이에 구비된 연결단자와; 상기 몸체의 단부 내측에 승강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상승시 저주파발생장치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연결단자에 그 일측이 접하여 통전되면서 저주파를 출력하도록 구비된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와 제 2고정막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되는 접촉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된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주파발생장치는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공급부와; 상기 직류 전원공급부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으로부터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진회로와; 상기 저주파발진회로로부터 발생된 저주파를 출력시켜주는 출력단자와; 상기 저주파발진회로를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부항기는 부항 및 저주파 치료를 수행하고자 할 시에는 상기 부항컵의 내측에 상기 저주파발생수단을 결합하고, 상기 부항컵들을 치료하고자 하는 환부에 각각 올려놓고 사용함으로써, 부항 및 전기자극(저주파) 치료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부항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항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발생수단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발생수단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부항기에 구비되는 부항컵(11)은 그 상부에 수동식 진공펌프 또는 전기식 진공펌프가 호스를 매개로 끼워져 결합되는 접속부(10)가 돌출.형성되고, 이 접속부(10)는 그 하단부가 부항컵(1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부(12)를 갖으며, 그 내부에는 상하 이동가능한 개폐 밸브(13)가 수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12)는 그 외주면에 나사부(15)가 형성되는 바, 이 나사부(15) 상부의 돌출부(12)에는 다수의 통공(14)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돌출부(12)의 나사부(15)에는 저주파발생수단(20)이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바, 이때의 통공(14)은 부항컵(11) 내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저주파발생수단(20)에는 원통형의 몸체(21)가 구비되고, 몸체(21)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12)의 나사부(15)에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22)가 형성되며, 이 나사부(22)의 하방으로는 내주면을 따라 제 1고정막(23)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고정막(23)의 상면에는 저주파발생장치(3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바, 이 저주파발생장치(30)는 그 하부에 형성된 스위치부(34)와, 출력단자(33)가 제 1고정막(23)을 관통하여서 끼워진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스위치부(34)는 제 1고정막(23)을 완전히 관통하여서 돌출된 상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고정막(23)과 이격된 하방에는 제 2고정막(26)이 몸체(21)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21)내에 일체로 형성된 제 1고정막(23)과, 제 2고정막(26) 사이에는 저주파발생장치(30)에 그 일단이 접하고, 타단은 후술되는 접촉부재(41)의 돌기부(43)에 접하도록 된 연결단자(28)가 구비되는 바, 이 연결단자(28)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몸체(21)내에 내장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단자(28)는 전기가 잘 통하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21)의 타단부에는 신체부위에 직접 접촉되도록 접촉부재(41)가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재(41)의 상단면 중앙에는 상기 제 2고정막(26)을 관통하여 걸림되도록 된 고정축(42)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고정축(42) 양편의 접촉부재(41)상에는 접촉부재(41)의 승강에 따라 연결단자(28)에 접촉되도록 된 돌기부(43)가 일체로 형성되고, 접촉부재(41)의 하면에는 신체의 환부에 접촉되도록 된 접촉단자부(44)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 이 돌기부(43)와 접촉단자부(44)는 상호 통전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돌기(43)와 접촉단자(44)는 서로 전기가 잘 통하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 연결 또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41)와 제 2고정막(26) 사이에는 상승된 접촉부재(41)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45)이 개재되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21)가 원통형을 취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각형상으로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12)와 저주파발생수단(20)의 착탈 구조를 나사 체결식으로 구현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착탈 가능한 결합수단은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부항기내에 저주파발생장치를 찰탁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저주파발진회로부를 고압펄스발생부등으로 대치하여 피부에 전기적자극을 가할 수 있는 즉 당업자가 단순히 회로의 종류를 대치하여 전기적자극을 가하는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은 자명한것이다.
상기 저주파발생장치(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공급부(31)와, 직류 전원공급부(31)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으로부터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진회로(32)와, 상기 저주파발진회로(32)로부터 발생되는 저주파를 출력시켜 주는 출력단자(+,-단자)(33)와, 저주파발진회로(32)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저주파발생장치(30)의 스위치부(34)와, 출력단자(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고정막(23)에 관통되어서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저주파를 이용한 치료의 원리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우리의 몸에서 발생하는 신경전류와 매우 비슷한 작용을 하는 미약한 전기(저주파)를 인체에 통하게 하여 그 자극으로 근육을 맛사지하고, 흥분된 신경을 진정시켜 혈액을 촉진하고, 통증을 제거하여 자연회복을 도와주며 종래의 지압이나 안마, 침, 뜸의 복합적인 치료효과를 볼 수 있도록 미세한 전류를 체내에 주입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자극을 가하여 치료하는 과학적이며 현대화된 물리요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고안을 이용하여 부항 및 전기자극 치료를 수행하고자 할 시에는 상기 돌출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5)에 저주파발생수단(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2)를 나사 결합하여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부항컵(11)들을 치료하고자 하는 환부에 각각 올려놓고 수동식 진공펌프 또는 전기식 진공펌프에 호스를 매개로 접속부(10)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부항컵(11)의 내부에 분포되어 있는 공기를 다수개의 통공(14)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 각각의 부항컵(11)들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의 소정 부위에 각각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항컵(11)들의 저부로 흡입된 인체의 일부가 접촉부재(41)에 접하면서 이 접촉부재(41)를 상승시키게 되고, 상승된 접촉부재(41)의 고정축(42)이 저주파발생장치(30)의 스위치부(34)를 누르게 되고, 그로 인해서 저주파발생장치(30)가 온(ON)되어 출력단자(33)로부터 미세한 전류 즉, 저주파 전기를 출력하고, 상기 연결단자(27), 돌기부(43) 및 접촉단자부(44)를 통해 인체의내부에 주입시켜 주므로써, 부항 및 전기자극 치료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부항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을 부항치료에만 사용할 시에는 상기 저주파발생수단(20)을 돌출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5)로부터 분리시켜 부항컵(11)만으로 부항치료만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항 컵의 내측에 사람에서 유용한 전파를 주는 저주파발생수단을 간편하게 착탈하여 부항치료 뿐만 아니라 전기자극에 의한 맛사지 및 안마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보다 효과적인 작용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에 콘트롤 박스나 외부전원공급부를 따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휴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렴하게 전기자극을 이용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따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부항치료를 하는데 있어 지저분하지 않고 보다 더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상단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개폐 밸브(13)가 내장된 부항컵(11)과;
    상기 부항컵(11)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저주파 전기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수단(20)과;
    상기 저주파발생수단(20)과 부항컵(11) 사이에 부항컵(11) 내측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관통된 다수의 통공(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발생수단(20)은 부항컵(11)의 내측 상부에 나사 결합되고, 그 내주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고정막(23)(2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내측에 설치되며, 그 일단부의 스위치부(34)와 출력단자(33)가 제 1고정막(23)을 관통하여 구비되어서 저주파 전기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생장치(30)와;
    상기 저주파발생장치(30)의 출력단자(33)에 접하여 통전되도록 고정막(23)(26) 사이에 구비된 연결단자(27)와;
    상기 몸체(21)의 단부 내측에 승강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상승시 저주파발생장치(30)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연결단자(27)에 그 일측이 접하여 통전되면서 저주파를 출력하도록 구비된 접촉부재(41)와;
    상기 접촉부재(41)와 제 2고정막(26) 사이에 구비되어 승강되는 접촉부재(41)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된 탄성수단(4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발생장치(30)는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 전원공급부(31)와;
    상기 직류 전원공급부(31)에 연결되어 직류전원으로부터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발진회로(32)와;
    상기 저주파발진회로(32)로부터 발생된 저주파를 출력시켜주는 출력단자(33)와;
    상기 저주파발진회로(32)를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항기.
KR2020010010723U 2001-04-16 2001-04-16 부항기 KR200243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23U KR200243193Y1 (ko) 2001-04-16 2001-04-16 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23U KR200243193Y1 (ko) 2001-04-16 2001-04-16 부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193Y1 true KR200243193Y1 (ko) 2001-10-11

Family

ID=7306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23U KR200243193Y1 (ko) 2001-04-16 2001-04-16 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1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00B1 (ko) * 2001-12-28 2004-02-18 참제약 주식회사 저주파 자극 부항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000B1 (ko) * 2001-12-28 2004-02-18 참제약 주식회사 저주파 자극 부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0075A (ko) 피부마사지기
JPH11347097A (ja) 足裏マッサージ器
KR200276414Y1 (ko) 피부리프팅 마사지용 마스크
KR200163117Y1 (ko) 저주파를 이용한 신체자극장치
KR200243193Y1 (ko) 부항기
WO2021004460A1 (zh) 一种下肢按摩装置
KR20100124118A (ko) 부항컵을 이용한 저주파 치료기
KR101617018B1 (ko) 저주파 치료기
KR200272214Y1 (ko) 저주파가 발생되게한 부항기
KR20210027725A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KR200243194Y1 (ko) 부항기
KR200402746Y1 (ko) 휴대용 저주파 수지침 장치
CN207666846U (zh) 一种电疗足浴器
KR100623208B1 (ko) 두피 맛사지기
KR200328971Y1 (ko) 손바닥을 저주파 펄스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
KR200314243Y1 (ko) 잇몸의 혈행 촉진장치
KR20190110220A (ko) 복합 자극 방식의 무릎용 물리치료 장치
KR102408813B1 (ko) 안면부용 미용 보건 장치
KR100406085B1 (ko) 휴대용피부맛사지기
KR200318298Y1 (ko) 비만치료용 복합자극도자
KR200291466Y1 (ko) 저주파 발생기가 구비된 부항컵
CN216855519U (zh) 一种旋磁脚底按摩器
KR100503673B1 (ko) 적외선 조사기 겸용 저주파 치료기
KR200203979Y1 (ko) 발바닥용 저주파 물리치료기
KR101089737B1 (ko) 음압 및 고주파 발생형 복합 핸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