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752Y1 - 야외용 전기히터 - Google Patents

야외용 전기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752Y1
KR200242752Y1 KR2020010002639U KR20010002639U KR200242752Y1 KR 200242752 Y1 KR200242752 Y1 KR 200242752Y1 KR 2020010002639 U KR2020010002639 U KR 2020010002639U KR 20010002639 U KR20010002639 U KR 20010002639U KR 200242752 Y1 KR200242752 Y1 KR 200242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main body
column
pres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기
고융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비드
Priority to KR2020010002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75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이 용이하도록 저면에 복수의 휠(12)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결되고, 고정핀(22)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컬럼(20); 컬럼(20)의 상단에 반사헤드(30)를 개재하여 복수로 장착되고, 전원의 투입으로 근적외선을 방사하는 근적외선 램프(40); 및 상기 근적외선 램프(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스위치 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찬공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장소에서도 짧은 파장의 근적외선 방사에 의한 복사열이 도달되도록 하여 신속하고 고 효율의 히팅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야외용 전기히터{Electric Heater for Outdoor Use}
본 고안은 야외용 전기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찬공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장소에서도 짧은 파장의 근적외선 방사에 의한 복사열이 도달되도록 하여 신속하고 고 효율의 히팅을 가능하도록 하는 야외용 전기히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고청정한 열원으로서 300∼400℃ 온도 범위의 가스히터나 400∼500℃ 온도 범위의 원적외선 히터가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스히터의 경우 부산물이 생성되므로 자주 실내를 환기시켜야 하고, 원적외선 히터의 경우 부산물은 없으나 때때로 환기를 시켜야 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히터는 공기를 가열하면서 물체를 가열하는 대류방식이므로 열손실이 큰 편이고 바람 등 공기의 유동이 있으면 가열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므로 실내 난방으로만 용도가 국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대출력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가스히터가 대략 3분, 원적외선 히터가 대략 5분이 소요되므로 순간적으로 난방하고자 하거나 자주 온오프하는 용도로는 부적절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의 찬공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장소에서도 짧은 파장의 근적외선 방사에 의한 복사열이 도달되도록 하여 신속하고 고 효율의 히팅을 가능하도록 하는 야외용 전기히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히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히터의 평면을 부분 절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의 스위치 박스의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히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본체 12 : 휠
14 : 스토퍼 16 : 접촉자
20 : 컬럼 22 : 고정핀
24 : 걸림쇠 30 : 반사헤드
35 : 단자대 40 : 근적외선 램프
50 : 스위치 박스 60 : 구동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이동이 용이하도록 저면에 복수의휠(12)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결되고, 고정핀(22)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컬럼(20); 컬럼(20)의 상단에 반사헤드(30)를 개재하여 복수로 장착되고, 전원의 투입으로 근적외선을 방사하는 근적외선 램프(40); 및 상기 근적외선 램프(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스위치 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본체(10)에는 나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14)와, 상기 스토퍼(14)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촉자(16)가 더 구비되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히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히터의 평면을 부분 절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본체(1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저면에 복수의 휠(12)을 구비한다. 본체(10)는 안정감을 위하여 다른 부분에 비하여 비교적 중량을 크게 하고 이동중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급적 둥근 모양으로 성형한다. 휠(12)은 안정감을 고려하여 적어도 4개소 이상 설치하며 본체(10)를 방향성 없이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는 방식을 택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핀(22)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컬럼(20)이 상기 본체(1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결된다. 컬럼(20)은 관부재를 사용하며 상하의 관경을 달리하여 일측이 타측을 동일축 상에서 수용하도록 한다. 상하의 연결 부분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고정핀(22)을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컬럼(20)의 전체 높이를 수시로 조절하고 고정핀(22)을 끼워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전원의 투입으로 근적외선을 방사하는 근적외선 램프(40)가 컬럼(20)의 상단에 반사헤드(30)를 개재하여 복수로 장착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반사헤드(30)의 저면에 4개의 근적외선 램프(40)를 설치하며, 모든 근적외선 램프(40)는 단자대(35)를 통하여 결선되도록 한다. 근적외선 램프(40)는 내열유리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택하여 신체접촉시 화상이나 우천시 누전을 방지한다. 근적외선 램프(40)의 개당 용량은 개당 1.2∼2㎾ 범위가 적절하며 방수형은 IP55 등급을 적용한다.
전기로 발열체를 히팅하는 경우 그 발열체의 온도에 따라 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 등으로 구분되는데, 오직 근적외선만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직진하는 파장을 가진다. 즉, 중적외선이나 원적외선의 파장을 이용하여 아무리 방수형의 히터의 구조를 가지더라도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바람이 불면 공기가 바람의 영향을 받아 유동되므로 그 효과가 저하된다. 그러나 근적외선 파장(0.8 - 1.2㎛)의 경우에는 그 열이 대류에 의한 전열이 아닌 복사열의 전달 방식이기 때문에 아무리 바람이 불어도 그 열이 직진하여 도달되므로 근적외선 할로겐 램프를 이용하면 야외에서 추위를 이기는 용도로 적절하다.
이때, 상기 본체(10)에는 나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14)와, 상기 스토퍼(14)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촉자(16)가 더 구비되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토퍼(14)는 본체(10)와 나선으로 결합되며 수직으로 설치된다. 스토퍼(14)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촉자(16)는 우레탄 고무 등 마찰저항 계수가 크고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도 2의 상태로 컬럼(20)을 최대한 낮게 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며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고, 이동후에는 스토퍼(14)를 돌려 접촉자(16)가 지면에 닿도록 한 다음 다시 컬럼(20)을 적절한 높이로 늘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의 스위치 박스의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근적외선 램프(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스위치 박스(50)가 구비된다. 스위치 박스(50)는 본체(10) 상에 두는 것이 안정적이지만 컬럼(20)이나 반사헤드(3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치 박스(50)는 트라이악(TRIAC), 다이악(DIAC), 저항, 콘덴서, 가변저항을 이용한 전원 회로를 구비하며 AC 전원을 사용한다. 사용자는 메인 스위치를 사용하여 온오프하고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근적외선 램프(4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먼거리에서도 히터 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위치 박스(50)에 리모콘 수신회로를 부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5는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전자기력은 스프링 대신 모터를 이용하고, 유압력은 스프링 대신 유압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처럼 히터의 이동시 전원 케이블(55)의 보호를 위해 컬럼(20) 상에 걸림쇠(24)를 설치한다. 야외를 이동하는 경우 물기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전원 케이블(55)의 끝단은 가급적 높은 위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히터를 사용하면 1800∼2200℃인 상태에서 발생되는 태양의 복사열에 가까운 적외선이 방사되어 야외에서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 안전하다. 근적외선은 일부의 질병에 대하여 완화 또는 치료하는 효능을 지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부의 찬공기가 유입되는 개방된 장소에서도 짧은 파장의 근적외선 방사에 의한 복사열이 도달되도록 하여 신속하고 고 효율의 히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이동이 용이하도록 저면에 복수의 휠(12)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결되고, 고정핀(22)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컬럼(20);
    컬럼(20)의 상단에 반사헤드(30)를 개재하여 복수로 장착되고, 전원의 투입으로 근적외선을 방사하는 근적외선 램프(40); 및
    상기 근적외선 램프(40)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스위치 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전기히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나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14)와, 상기 스토퍼(14)의 저면에 부착되는 접촉자(16)가 더 구비되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전기히터.
KR2020010002639U 2001-02-05 2001-02-05 야외용 전기히터 KR200242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639U KR200242752Y1 (ko) 2001-02-05 2001-02-05 야외용 전기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639U KR200242752Y1 (ko) 2001-02-05 2001-02-05 야외용 전기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752Y1 true KR200242752Y1 (ko) 2001-09-25

Family

ID=7306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639U KR200242752Y1 (ko) 2001-02-05 2001-02-05 야외용 전기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7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804B1 (ko) * 2008-05-26 2010-09-07 한국과학기술원 복사를 이용한 발열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야외 난방장치
KR101168913B1 (ko) 2011-07-18 2012-08-02 이승현 살균 및 치료 기능을 겸비한 전기 히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804B1 (ko) * 2008-05-26 2010-09-07 한국과학기술원 복사를 이용한 발열기구 및 이를 이용한 야외 난방장치
KR101168913B1 (ko) 2011-07-18 2012-08-02 이승현 살균 및 치료 기능을 겸비한 전기 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3217B2 (en) Infrared heating system for patio umbrella
CN1256059C (zh) 液体加热器皿
US8723086B2 (en) Heat lamp
KR200242752Y1 (ko) 야외용 전기히터
US5863111A (en) Lamp with safety features
US6304719B1 (en) Radiant heater with halogen lamp
US4933533A (en) Demisting mirror
US5902037A (en) Lamp with safety features
CA3099379A1 (en) Electric heating apparatus with multiple heating lamps
KR200396229Y1 (ko) 옥외용 전기가든히터
US20070145043A1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microwave energy to heat a target
KR101501755B1 (ko) 텐트용 난방장치
KR200444152Y1 (ko) 근 적외선 발열기의 지지장치.
US5758019A (en) Radiative keyboard heating apparatus
KR200463717Y1 (ko) 히터 작동용 페달을 갖는 전기 스토브
KR200233471Y1 (ko) 근적외선 복사열히터
CN100430013C (zh) 温控结构的电热水壶
KR101741095B1 (ko) 전기 버너
KR200229274Y1 (ko) 전기 열풍기
KR200242792Y1 (ko) 전기히터
CN2473844Y (zh) 反射型电加热器
KR200253807Y1 (ko) 복합형 발열체를 구비한 히터
CN1373497A (zh) 带卤素灯的辐射加热器
KR200214852Y1 (ko) 할로겐램프가 장착된 난방장치
KR200315629Y1 (ko) 소켓전구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