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700Y1 - a concrete tank - Google Patents

a concrete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700Y1
KR200242700Y1 KR2020010016089U KR20010016089U KR200242700Y1 KR 200242700 Y1 KR200242700 Y1 KR 200242700Y1 KR 2020010016089 U KR2020010016089 U KR 2020010016089U KR 20010016089 U KR20010016089 U KR 20010016089U KR 200242700 Y1 KR200242700 Y1 KR 200242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all
sheet
landel
effl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0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오규
김상용
Original Assignee
박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오규 filed Critical 박오규
Priority to KR2020010016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7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700Y1/en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벽체(1)와, 상기한 벽체(1)의 안쪽면을 따라 설치되어 유출수를 흡수하는 부직포(2)와, 상기한 유출수가 관내부로 들어오도록 하기 위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벽체(1)의 하부 모서리와 부직포(2)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공관(3)과, 상기한 부직포(2)의 안쪽면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란델(4)과, 상기한 란델(4)이 부직포(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와셔(5) 및 네일(6)과, 상기한 부직포(2)의 안쪽면을 따라 설치되면 상기한 란델(4)에 의해 고정되는 벽체 시트(7)와, 상기한 벽체 시트(7)와 접합부위가 열융착됨으로써 안쪽면이 밀봉되도록 하면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 시트(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저가의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하여 내부 라이닝을 시공함으로써 초기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와 유공관을 이용하여 유출수를 외부로 배수시킴으로써 내부 라이닝이 쉽게 분리 및 파손되지 못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를 제공한다.A wall 1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nonwoven fabric 2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1 to absorb the effluent,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allowing the effluent to enter the pipe. Landfill pipe 3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wall (1) and the nonwoven fabric (2) for discharging outflow water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landels are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2) (4), a washer (5) and a nail (6) for fixing the said landel (4) to the nonwoven fabric (2), and the landel (4) described above when install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2). It comprises a wall sheet (7) fixed by the) and the bottom sheet (8)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while sealing the inner surface by heat-sealing the above-mentioned wall sheet (7) and the bonding portion, Low initial construction cost by constructing inner lining using polyethylene sheet In addition to providing a concrete sump apparatus, the inner lining is not easily separated and broken by draining outflow water to the outside using a nonwoven fabric and a perforated pipe.

Description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a concrete tank}Concrete collecting tank device {a concrete tank}

이 고안은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저가의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하여 내부 라이닝을 시공함으로써 초기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와 유공관을 이용하여 유출수를 외부로 배수시킴으로써 내부 라이닝이 쉽게 분리 및 파손되지 못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sump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lower the initial construction cost by constructing an inner lining using a low-cost polyethylene sheet, and to drain the outflow water to the outside by using a nonwoven fabric and a perforated pipe. It relates to a concrete sump device, which does not allow easy separation and breakage.

콘크리트 집수조는 예를 들어 산, 염기와 같은 내화학성이나 약품성 물질을 저장하기 위하여 내부에 라이닝 공사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내부 라이닝으로서는 FRP를 벽체에 밀착하여 부착하거나, 테프론 시트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벽체에 밀착 접착하거나, 특수 내약품성에 맞는 특수 안료를 벽체에 코팅하는 방법이 사용된다.Concrete sump tanks have lining construction inside to store chemical or chemical substances such as acids and bases, and such inner linings can adhere FRP to walls, or Teflon sheets can be glued to walls. A method is used in which the wall is coated with a special pigment that adheres closely to or adheres to special chemical resistanc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는, 내부 라이닝으로서 고가의 자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 시공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바닥이나 벽면의 누수에 의한 유출수의 압력으로 내부 라이닝이 쉽게 분리 및 파손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보수비용이 과다하게 드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oncrete sump apparatus has a high initial construction cost because it uses expensive materials as the inner lining, and the inner lining is easily separated and broken due to the pressure of the effluent caused by leakage of the floor or wall. There was an uneconomical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is excessive due to the inability to function.

이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가의 폴리에틸렌(PE) 시트를 이용하여 내부 라이닝을 시공함으로써 초기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와 유공관을 이용하여 유출수를 외부로 배수시킴으로써 내부 라이닝이 쉽게 분리 및 파손되지 못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t is possible to lower the initial construction cost by constructing the inner lining using a low-cost polyethylene (PE) sheet, and to discharge the outflow water to the outside by using a nonwoven fabric and a perforated pipe. It is to provide a concrete sump device, by draining the inner lining is not easily separated and broken.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의 외부 구성도이다.1 is an ex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crete sump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crete sump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의 란델의 설치 구성도이다.Figure 3 is an installation configuration of Landel of the concrete sump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의 브리더 밸브의 설치 구성도이다.Figure 4 is an installation configuration of the breather valve of the concrete sum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의 브리더 밸브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breather valve of a concrete sump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벽체 2 : 부직포1: wall 2: nonwoven fabric

3 : 유공관 4 : 란델3: merit 4: Landel

5 : 와셔 6 : 네일5: washer 6: nail

7 : 벽체시트 8 : 바닥시트7: wall sheet 8: floor sheet

9 : 저장조 10 : 펌프9: reservoir 10: pump

11 : pH 미터 12 : 브리더 밸브11: pH meter 12: breather valve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 Other objects, features, and operational advantages, including the purpose, operation, and effect of this desig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For refere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only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possible example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is embodiment. However, various changes, addi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의 구성은,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벽체(1)와, 상기한 벽체(1)의 안쪽면을 따라 설치되어 유출수를 흡수하는 부직포(2)와, 상기한 유출수가 관내부로 들어오도록 하기 위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벽체(1)의 하부 모서리와 부직포(2)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공관(3)과, 상기한 부직포(2)의 안쪽면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란델(4)과, 상기한 란델(4)이 부직포(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와셔(5) 및 네일(6)과, 상기한 부직포(2)의 안쪽면을 따라 설치되면 상기한 란델(4)에 의해 고정되는 벽체 시트(7)와, 상기한 벽체 시트(7)와 접합부위가 열융착됨으로써 안쪽면이 밀봉되도록 하면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 시트(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constitution of the concrete sump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wall (1)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1) It is installed along the non-woven fabric (2) to absorb the effluent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to allow the effluent flow into the tube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wall (1) and the nonwoven fabric (2) Perforated pipe (3) for discharging the effluent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Landel (4)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2), washer for fixing the landel (4) to the nonwoven fabric (2) 5) and the nail 6, the wall sheet 7 which is fixed by the said landel 4 when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nonwoven fabric 2, and the said wall sheet 7 and the junction part Bottom sheet (8)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while being thermally sealed to seal the inside surface It is made, including.

상기한 벽체 시트(7) 및 바닥 시트(8)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The wall sheet 7 and the bottom sheet 8 described above are preferably made of polyethylene.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유공관(3)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9)와, 상기한 저장조(9)의 물을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10)와, 상기한 저장조(9)의 물의 산성도를 검출하기 위한 pH 미터(1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storage tank (9) for storing the outflow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oil hole (3), and the pump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water of the storage tank (9) 10) and a pH meter 11 for detecting the acidity of the water in the reservoir 9 is further preferred.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트의 내부 레벨과 저장조(9)내의 레벨이 항상 같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자동 브리더 밸브(12)를 바닥면의 한구석에 설치하여 유출수의 압력이 자동적으로 내부 시트 내로 흘러가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ensure that the inner level of the seat and the level in the reservoir 9 are always the same, an automatic breather valve 12 is installed at one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pressure of the effluent. More preferably, it is allowed to flow into the sheet.

상기한 자동 브리더 밸브(12)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바디(121) 및 하부 바디(122)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한 상부 바디(121) 및 하부 바디(122)의 사이에 플로터(123)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5, the upper body 121 and the lower body 122 are screwed together, and the upper body 121 and the lower body 122 are illustrated in FIG. 5. The plotter 123 is disposed between the structures.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ction of the concrete sum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벽체(1)의 안쪽면에 부직포(2)를 설치한 뒤에, 와셔(5)와 네일(5)을 이용하여 란델(4)을 화약총으로 쏘아 벽면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란델(4) 대신에램머(rammer)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After installing the nonwoven fabric 2 on the inner side of the wall 1, the washer 5 and the nail 5 are used to shoot the randel 4 with a gun powder and fix it to the wall. Instead of the above-described Landel 4, a rammer may be used.

다음에, 란델(4)에 벽체 시트(7)를 열접합기로 열접합하여 설치하고, 상기한 벽체 시트(7)와의 접합 부위를 자동 용접기로 열융착하여 접합함으로써 내부가 밀봉되도록 라인닝 공사를 한다.Then, the wall sheet 7 is thermally bonded to the landel 4 by means of a thermal bonder, and the line construction work is sealed so that the inside is sealed by heat-sealing and joining the above-mentioned joining portion with the wall sheet 7 by an automatic welding machine. do.

이와 같이 공사가 끝나면, 내부에는 화학성 물질(산, 염기) 또는 약품성 물질의 저장이 가능하다.In this way, when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store chemical substances (acids, bases) or chemical substances inside.

이때, 벽체(1)를 통해 유출되는 유출수는 부직포(2)에 의해 흡수되어 유공관(3)을 통해 외부의 저장조(9)로 집수된다.At this time, the outflow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wall (1) is absorbed by the nonwoven fabric (2) and is collected into the outer storage tank (9) through the hole pipe (3).

사용자는 펌프(10)를 이용하여 저장조(9)에 저장되어 있는 유출수를 자동적으로 레벨에 의해 강제 배출할 수가 있다.The user can forcibly discharge the effluent stored in the reservoir 9 by the level by using the pump 10.

또한, 사용자는 pH 메터(11)를 이용하여 저장조내부의 화학성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determine whether the chemical substance in the reservoir is leaked to the outside using the pH meter (11).

바닥면의 한구석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 브리더 밸브(12)는, 시트의 내부 레벨과 저장조(9)내의 레벨이 항상 같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유출수의 압력이 자동적으로 내부 시트 내로 흘러가도록 하여 수압에 의한 내부 시트의 파열을 방지한다.The automatic breather valve 12 installed at one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ensures that the inner level of the seat and the level in the reservoir 9 are always the same, so that the pressure of the effluent flows automatically into the inner seat, and the inner seat by hydraulic pressure. To prevent rupture.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저가의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하여 내부 라이닝을 시공함으로써 초기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와 유공관을 이용하여 유출수를 외부로 배수시킴으로써 내부 라이닝이 쉽게분리 및 파손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와 같은 효과는 집수조 시설 분야에서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lining is not only lowered by constructing the inner lining using a low-cost polyethylene sheet, but also the inner lining is easily separated by draining the effluent to the outside using a nonwoven fabric and a hole. And it can provide a concrete water tank device having an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his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within the sump facilitie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벽체(1)와, 상기한 벽체(1)의 안쪽면을 따라 설치되어 유출수를 흡수하는 부직포(2)와, 상기한 유출수가 관내부로 들어오도록 하기 위한 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벽체(1)의 하부 모서리와 부직포(2)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출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유공관(3)과, 상기한 부직포(2)의 안쪽면을 따라 다수 설치되는 란델(4)과, 상기한 란델(4)이 부직포(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와셔(5) 및 네일(6)과, 상기한 부직포(2)의 안쪽면을 따라 설치되면 상기한 란델(4)에 의해 고정되는 벽체 시트(7)와, 상기한 벽체 시트(7)와 접합부위가 열융착됨으로써 안쪽면이 밀봉되도록 하면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 시트(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A wall 1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nonwoven fabric 2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1 to absorb the effluent,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allowing the effluent to enter the pipe. Landfill pipe 3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wall (1) and the nonwoven fabric (2) for discharging outflow water to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landels are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2) (4), a washer (5) and a nail (6) for fixing the said landel (4) to the nonwoven fabric (2), and the landel (4) described above when install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2). Wall sheet 7 is fixed by a) and the bottom sheet 8 whi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while sealing the inner surface by heat-sealing the above-mentioned wall sheet 7 and the join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crete sump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의 내부 레벨과 저장조(9)내의 레벨이 항상 같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자동 브리더 밸브(12)를 바닥면의 한구석에 설치하여 유출수의 압력이 자동적으로 내부 시트 내로 흘러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2. An automatic breather valve (12) is provided at one corner of the bottom to ensure that the pressure of the effluent automatically flows into the inner seat, as set forth in claim 1, in order to ensure that the inner level of the seat and the level in the reservoir (9) are always the same. Concrete su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유공관(3)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유출수를 저정하기 위한 저장조(9)와, 상기한 저장조(9)의 물을 강제로 배출하기위한 펌프(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The storage tank (9) for storing the outflow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oil hole (3), and the pump (10)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water of the storage tank (9). Concrete sump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조(9)의 물의 산성도를 검출하기 위한 pH 미터(1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4. Concrete sump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pH meter (11) for detecting the acidity of the water in said reservoir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란델(4) 대신에 램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집수조 장치.A concrete sump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rammer is used instead of said landel (4).
KR2020010016089U 2001-05-30 2001-05-30 a concrete tank KR2002427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089U KR200242700Y1 (en) 2001-05-30 2001-05-30 a concrete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089U KR200242700Y1 (en) 2001-05-30 2001-05-30 a concrete 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700Y1 true KR200242700Y1 (en) 2001-10-17

Family

ID=7306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089U KR200242700Y1 (en) 2001-05-30 2001-05-30 a concrete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70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523B1 (en) 2006-05-04 2007-01-16 주식회사 현진기업 Filtration plant and water tank of stainless lining reinforce a method of construction
KR101813861B1 (en) 2017-07-25 2018-01-02 조태영 Repairing storage tank with lining mea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523B1 (en) 2006-05-04 2007-01-16 주식회사 현진기업 Filtration plant and water tank of stainless lining reinforce a method of construction
KR101813861B1 (en) 2017-07-25 2018-01-02 조태영 Repairing storage tank with lining mea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44389B (en) Sleeve grouting fullness observer and observation method
US4787772A (en) Device for detecting leaks in underground fluid tanks
JP5768807B2 (en) Filter device
US8028713B2 (en)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US5252000A (en) Free product collector and method
GB2428032A (en) Collector for machine fluids
KR200242700Y1 (en) a concrete tank
CN209992504U (en) Sleeve grout plumpness monitor
US6431793B1 (en) Containment system for spills
CA2846823A1 (en) Cover systems, tank covering methods, and pipe retention systems
RU2470138C2 (en) Mud fluid manifold
US5002429A (en) Evacuation hose for fluids
AU2011201690B2 (en) Distributor Cap for a Falling Film Water Heater
US1521883A (en) Roof drain
CN216381763U (en) Sewage drainage system
KR20210048127A (en) Method of constructing leakage water guide using mesh type stainless steel landfill sump and polyethylene sheet
CN219952189U (en) Environment-friendly drainage tank device for municipal engineering
JP6353297B2 (en) Drainage equipment for oil storage facilities
CN213268143U (en) Water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for toilet
JP2008128155A (en) Engine power generator with in-door fuel tank
CN209164876U (en) Multifunctional pipeline positioning integration device
JP7365258B2 (en) Sloshing absorption mechanism of heat storage tank
JP5840156B2 (en) Leakage storage tank for engine work equipment
SU1158978A2 (en) Stabilizer of liquid flow rate
CN109403270B (en) Construction method for geomembrane fixing leakage detection drainage exhaust member of pumped storage power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