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693Y1 -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693Y1
KR200242693Y1 KR2020010016074U KR20010016074U KR200242693Y1 KR 200242693 Y1 KR200242693 Y1 KR 200242693Y1 KR 2020010016074 U KR2020010016074 U KR 2020010016074U KR 20010016074 U KR20010016074 U KR 20010016074U KR 200242693 Y1 KR200242693 Y1 KR 2002426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pening
water
fil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0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영 filed Critical 박진영
Priority to KR2020010016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69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6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693Y1/en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 본체의 교체 또는 수리시 그 본체를 상부매니폴드에서 탈거함과 동시에 개폐장치에 의해 인입관과 송출관의 상호 연통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정수물의 외부로의 누출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장치를 제공한다. 그 필터장치는 원수가 공급되며, 하나 이상의 원수 공급포트를 구비한 하부매니폴드; 상기 하부매니폴드의 공급포트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인입포트를 구비한 관부재와, 상기 인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와, 상기 관부재의 타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배출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중앙에서 일정 높이를 갖는 스토퍼를 일체로 구비하는 커버를 구비한 복수개의 본체; 및 상기 각각의 본체의 커버에 형성된 배출관에 삽입되어 관통공과 연통하는 인입관과, 상기 인입관과 연통하는 송출관과, 상기 인입관과 송출관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상부매니폴드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main body from the upper manifold when the filter body is replaced or repair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outgoing pipe is automatically block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reby completely preventing leakage of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There is provided a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The filter device includes a lower manifold supplied with raw water and having one or more raw water supply ports; A pipe member having an inlet port releasably fixed to a supply port of the lower manifold, a filter member for purifying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and for discharging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ip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pipe member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passes, and a stopp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ipe. A plurality of main bodies having a cover to be provided; And an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formed in the cover of each of the main bodies and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an out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and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electively block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It consists of an upper manifold.

Description

정수기용 필터장치{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정수기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로 필터장치의 본체를 교체할 때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정수기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configured so that water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when replacing the main body of the filter device periodically or arbitrarily.

일반적으로, 일부 가정 또는 사업장에서는 깨끗한 물을 음용하고 또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경제적인 이유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 수돗물 또는 지하수를 끓이거나 정수한 뒤 음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돗물 또는 원수의 정화를 위해 가정 또는 사업장에는, 수도꼭지 또는 수도파이프나 원수파이프에 정화전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수를 연결한 후 그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아 이를 정화시킨 후 그 정화된 물을 음용자에게 공급하는 형태로 구성된 다양한 종류의 정수기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some homes and businesses drink and drink fresh water to drink clean water and maintain health. However, most households boil or purify tap water or groundwater for economic or other reasons. In order to purify tap water or raw water, a home or a workplace is connected to a tap or a lake for supplying water before purification to a water pipe or raw water pipe, and then supplied with tap water to purify the purified water. Various types of water purifiers are installed, which are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users.

이와 같은 정수장치 또는 정수기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호스에 의해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인입포트(1)와, 그 인입포트(1)로 공급된 원수를 실제적으로 정수화기 위한 본체(2)와, 그 본체(2)로부터 정수된물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포트(3)로 구성된다. 또한, 배출포트(3)에는 실제로 운용자 또는 사용자에게 정수된 물을 제공하기 위해 송출호스의 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호스를 통해 수돗물 또는 원수가 인입포트(1)를 지나 공급되어, 본체(2)내의 필터부재에서 정수된 후, 그 정수된 물이 배출포트(3)를 거쳐 송출호스를 통해 음용자 도는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such a water purifier or water purifier basically purifies the inlet port 1 for receiving raw water by a hose not shown and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inlet port 1. And a discharge port 3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from the main body 2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3 is detachably insert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hose to provide purified water to the operator or the user.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after tap water or raw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inlet port 1 through a hose, and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in the main body 2, the purified water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ort 3 to discharge the discharge hose. It is supplied to the drinker or the user.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의 필터장치들은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정수기의 장기간 사용시 또는 정기적인 필터 교환시 그 필터본체를 교체하기 위해 배출포트로부터 송출호스의 단부를 탈거할 때 그 송출호스내에 남아 있는 물이 외부로 분출되거나 누수되어 주변을 적시거나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은, 송출호스에 또는 그 단부에 외부로의 물의 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such conventional water purifier filter devices have caused some problems. First, when removing the end of the discharge hose from the discharge port to replace the filter body during long-term use of the water purifier or during regular filter change, water remaining in the discharge hose is ejected or leaked to the outside to wet or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There is a problem. This problem has been found to be due to the fact that no discharge means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hose or at the end thereof to prevent wat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임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송출호스의 단부를 배출포트로부터 탈거한 후 나무토막, 고무패킹 등과 같은 임시적 수단을 이용하여 송출호스의 단부를 폐쇄한 후 필터를 교체하고 있으나, 이는 완전한 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없으며,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위생상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temporarily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fter removing the end of the discharging hose from the discharge port, the filter is replaced after closing the discharging hose by using temporary means such as wood chips, rubber packing, etc. This can not prevent the complete leakage of water, there is a problem of long working time and inadequate hygiene.

이에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필터본체의 교체시 물의 분출 또는 누출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that can completely prevent the ejection or leakage of water when the filter body is replac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터본체의 교체시 필터를 분리하는 경우 송출호스 의 단부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상부매니폴드를 구비한 정수기용 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having an upper manifold that can automatically close the end of the discharge hose when the filter is separated when the filter body is replaced.

도 1은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conventional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사용상태에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in the use state of the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필터장치의 본체의 상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filter device of FIG.

도 4는 도 2의 필터장치의 사용상태에서의 상부매니폴드의 일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확대단면도.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upper manifold in detail in use of the filter device of FIG.

도 5는 도 2의 필터장치의 본체의 교체상태에서의 상부매니폴드의 일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upper manifold in a replacement state of the main body of the filter device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하부매니폴드 12 : 공급파이프10: lower manifold 12: supply pipe

14 : 호스 16 : 공급포트14 hose 16 supply port

18 : 본체 20 : 인입포트18: main body 20: inlet port

22 : 관부재 24 : 필터부재22: pipe member 24: filter member

26 : 배출포트 28 : 커버26: discharge port 28: cover

30 : 관통공 32 : 배출관30: through hole 32: discharge pipe

34 : 스토퍼 36 : 상부매니폴드34: stopper 36: upper manifold

38 : 인입관 40 : 송출관38: incoming pipe 40: discharge pipe

42: 개폐장치 44 : 개폐부재42: opening and closing device 44: opening and closing member

46 : 탄성부재 48 : 마개46: elastic member 48: stopper

이 같은 목적들은, 정수기용 필터장치에 있어서, 원수가 공급되며, 하나 이상의 원수 공급포트를 구비한 하부매니폴드; 상기 하부매니폴드의 공급포트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인입포트를 구비한 관부재와, 상기 인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와, 상기 관부재의 타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배출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중앙에서 일정 높이를 갖는 스토퍼를 일체로 구비하는 커버를 구비한 복수개의 본체; 및 상기 각각의 본체의 커버에 형성된 배출관에 삽입되어 관통공과 연통하는 인입관과, 상기 인입관과 연통하는 송출관과, 상기 인입관과 송출관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상부매니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Such objects include, in a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a raw manifold having a lower manifold having at least one raw water supply port; A pipe member having an inlet port releasably fixed to a supply port of the lower manifold, a filter member for purifying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and for discharging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ip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pipe member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passes, and a stopp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ipe. A plurality of main bodies having a cover to be provided; And an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formed in the cover of each of the main bodies and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an out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and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electively block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It can be achieved by a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pper manifol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는 기본적으로 하우징 또는 박스형 통 또는 용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즉, 하부매니폴드(10)를 포함한다. 이 하부매니폴드(10)는 수도꼭지나 수도파이프 또는지하수 등이 공급되는 공급파이프(12)에 호스(14)를 통해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받는다. 물론, 하부매니폴드(10)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수 공급포트(16)가 구비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s 2 to 5, the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base, that is, the lower manifold 1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or box-shaped barrel or container. The lower manifold 10 is connected to a supply pipe 12 through which a faucet, a water pipe, or groundwater is supplied through a hose 14 to receive raw water. Of course, the lower manifold 1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raw water supply port 16.

하부매니폴드(10)에는 실제로 그 하부매니폴드의 원수 공급포트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 또는 정수하기 위한 본체(18)가 설치된다. 본체(18)는 기본적으로, 일단부에서 하부매니폴드(10)의 공급포트(16)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인입포트(20)를 구비한 관부재(22)와, 인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실제로 정화하거나 정수하기 위한 필터부재(24)와, 그 필터부재(24)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26)와 상기 관부재(22)의 타단부를 폐쇄하고 배출포트(26)를 지지하기 위한 커버(28)를 구비한다.The lower manifold 10 is actually provided with a main body 18 for purifying or purifying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ort of the lower manifold. The main body 18 is basically a pipe member 22 having an inlet port 20 that is releasably fixed to the supply port 16 of the lower manifold 10 at one end thereof, and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A filter member 24 for actually purifying or purifying raw water, a discharge port 26 for discharging the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24, and the other end of the pipe member 22, and a discharge port. A cover 28 for supporting the 26 is provided.

특히, 커버(28)의 중앙부에는 배출포트(26)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30)이 형성된 배출관(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출관(32)의 중앙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스토퍼(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배출포트(26)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는 관통공(30)을 통해 배출관(32)을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28, the discharge pipe 32 is formed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0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 passes. In addition, a stopper 34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ipe 32.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 is to exit the discharge pipe 32 through the through hole (30).

각각의 본체(18)의 상부에는 그 본체에서 정화된 물을 외부로 공급하여 음용자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부매니폴드(36)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매니폴드(36)에는 각각의 본체(18)의 커버(28)에 형성된 배출관(32)에 삽입되어 그곳의 관통공(30)과 연통하는 인입관(38)과 그 인입관(38)에 대해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그 인입관과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송출관(40)이 형성된다. 물론,그 송출관의 단부에는 음용자 또는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part of each main body 18 is provided with an upper manifold 36 for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from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to be supplied to the drinker or the user. In more detail, the upper manifold 36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32 formed in the cover 28 of each of the main body 18 and the inlet pipe 38 and the inlet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 hole 30 therein. A delivery pipe 40 is formed which is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pipe 38 and is in sel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incoming pipe. Of course, the supply hose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so that the drinker or the user can receive purified water.

특히, 상부매니폴드(36)에는 그곳에 설치된 인입관(38)과 송출관(40)을 선택적으로 폐쇄 또는 연통시키기 위한 개폐장치(42)가 설치된다. 개폐장치(42)는 상기 인입관(38)의 내부에서 왕복동가능하고 본체(18)의 스토퍼(34)에 대해 연동가능하며 실제로 상기 송출관(40)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재(44)와, 상기 개폐부재(44)에 왕복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46)와, 상기 개폐부재의 상방이동을 제한함은 물론 탄성부재(46)를 탄지하고 상기 인입관(38)을 폐쇄하기 위한 마개(48)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upper manifold 36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42 for selectively closing or communicating the inlet pipe 38 and the delivery pipe 40 installed t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42 is reciprocating within the inlet pipe 38 and interlockable with the stopper 34 of the main body 18, and actually opens and closes the member 4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livery pipe 40; An elastic member 46 for providing a reciprocating force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4, and limi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4 as well as a stopper for holding the elastic member 46 and closing the inlet pipe 38 (48).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퍼(34)의 상단(34a)은 라운딩 처리되어 있으며, 그 스토퍼(34)와 접촉하는 개폐부재(44)의 하부는 상기 스토퍼(34)에 상단에 상응한 수용홈(4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ptionally, the upper end 34a of the stopper 34 is round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4 in contact with the stopper 34 has a receiving groove 44a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34. It is preferable that this be form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3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수도꼭지 또는 다른 공급파이프(12)로부터 호스(14)를 통해 하부매니폴드(10)의 원수 공급포트(16)를 통해 본체(18)의 인입포트(20)를 통해 관부재(22)로 유입된다. 관부재(22)로 유입된 원수는 그 관부재의 중앙에 설치된 필터부재(24)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는 방식으로 원수를 정화된다.First, as indicated by the arrows in FIG. 3, raw water is drawn from the faucet or other supply pipe 12 through the hose 14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ort 16 of the lower manifold 10 and through the inlet port of the body 18. It is introduced into the pipe member 22 through the (20). The raw water introduced into the pipe member 22 is purified in such a way that the raw water passes i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member 24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pipe member.

이와 같이 정화된 정수된 필터부재(24)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포트(26)를 통해 배출되어, 커버(28)의 관통공(30)을 지나 배출관(32)을 통해 상부매니폴드의 인입관(38)을 지나 그것과 대체로 수직하게 연통하는 송출관(40)을 통해 음용자 또는 정화수의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다.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6 installed on the purified filter member 24 purified as described above,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0 of the cover 28 through the discharge pipe 32 through the inlet pipe of the upper manifold ( 38) is supplied to the drinker or the user of the purified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ipe 40 which is generally in vertical communication with it.

이와 같이, 상부매니폴드(36)가 본체에 설치되어 정화수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42)의 개폐부재(44)가 스토퍼(34)에 의해 상방으로 강제되어 탄성부재(46)가 압축됨으로써 인입관(38)과 송출관(40)이 완전 연통함으로써 정화된 물이 원활하게 공급자에게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manifold 36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the purified water is normally supplie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4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42 is moved upward by the stopper 34 as shown in FIGS. 2 and 5. It is forced to the elastic member 46 is compressed so that the inlet pipe 38 and the discharge pipe 40 is in complete communication with the purified wat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supplier.

한편, 정기적인 필터의 교체시 또는 정수기 및 필터장치의 청소를 위해 필터 본체(18)를 상부매니폴드(36)로부터 제거하게되면 개폐장치(42)에 의해 상부매니폴드(36)의 인입관(38) 및 송출관(40)이 폐쇄되어 상부매니폴드(36)의 송출관(40) 또는 송출관에 연결되어 있던 호스속의 정화수가 외부로 분출되거나 누출되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ter body 18 is removed from the upper manifold 36 for periodic filter replacement or cleaning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filter device, the inlet pipe of the upper manifold 36 is opened by the switch 42. 38) and the discharge pipe 40 is closed to completely prevent the purified water in the hos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40 or the discharge pipe of the upper manifold 36 to be discharged or leaked to the outsid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작업자 또는 사용자가 상부매니폴드(36)로부터 본체(18)를 탈거하면, 개폐장치(42)의 개폐부재(44)가 스토퍼(34)와의 접촉이 해제됨과 동시에 탄성부재(46)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강제되어 인입관(38)과 송출관(40)의 연통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어, 송출관 내부의 정화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more detail, when the operator or user removes the main body 18 from the upper manifold 36,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4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42 releases contact with the stopper 34 and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member 46. Forc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 automatically bloc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pipe 38 and the delivery pipe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rified water inside the delivery pipe to leak to the outside.

이후, 새로운 본체(18)를 상부매니폴드(36)에 설치하면 개폐장치(42)의 개폐부재(44)가 커버(28)의 스토퍼(34)에 의해 다시 강제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며, 이에따라 인입관(38)과 송출관(30)은 다시 상호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when the new main body 18 is installed in the upper manifold 36,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4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42 is forced again by the stopper 34 of the cover 28 to move upward. Pipe 38 and the discharge pipe 30 is to maintain the mutually open again.

이와 같이, 필터장치의 본체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부매니폴드의 인입관과 송출관의 연통이 자동으로 페쇄됨으로써 상부매니폴드영역에 존재하는 정화수의 외부로의 분출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main body of the filter device is rem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of the upper manifold is automatically closed, thereby preventing the outflow of the purified water existing in the upper manifold region to the outside.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에 의하면, 필터 본체의 교체 또는 수리시 그 본체를 상부매니폴드에서 탈거함과 동시에 개폐장치에 의해 인입관과 송출관의 상호 연통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정수물의 외부로의 누출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filter device fo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lter body is replaced or repaired, the main body is removed from the upper manifold and at the same tim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is automatically block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ince the leakage of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can be completely prevented, the product quality is improved.

또한, 본체의 탈거와 동시에 상부매니폴드의 송출관이 완전히 폐쇄되어 별도의 폐쇄수단 없이도 물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t the same time the main body is removed, the delivery pipe of the upper manifold is completely closed to prevent leakage of water to the outside without a separate closing means,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3)

정수기용 필터장치에 있어서,In the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원수가 공급되며, 하나 이상의 원수 공급포트를 구비한 하부매니폴드;A raw manifold, the lower manifold having one or more raw water supply ports; 상기 하부매니폴드의 공급포트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인입포트를 구비한 관부재와, 상기 인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정화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와, 상기 관부재의 타단부를 폐쇄하고 상기 배출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된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배출관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의 중앙에서 일정 높이를 갖는 스토퍼를 일체로 구비하는 커버를 구비한 복수개의 본체; 및A pipe member having an inlet port releasably fixed to a supply port of the lower manifold, a filter member for purifying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and for discharging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ip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pipe member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passes, and a stoppe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ipe. A plurality of main bodies having a cover to be provided; And 상기 각각의 본체의 커버에 형성된 배출관에 삽입되어 관통공과 연통하는 인입관과, 상기 인입관과 연통하는 송출관과, 상기 인입관과 송출관의 연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개폐장치를 구비하는 상부매니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장치.An upper portion having an inlet pipe inserted into a discharge pipe formed in a cover of each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 through hole, an outlet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and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electively block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nifol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인입관의 내부에서 왕복동가능하고 본체의 스토퍼에 대해 연동가능하며 상기 송출관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에 왕복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상방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탄성부재를 탄지하며 상기 인입관을 폐쇄하기 위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장치.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reciprocable in the inlet pipe, interlockable with the stopper of the main body,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elivery pipe, and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reciprocating force to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 stopper for limiting upward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holding the elastic member and closing the inlet pip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상단은 라운딩 처리되며,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개폐부재의 하부는 상기 스토퍼의 상단에 상응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장치.3. The filt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topper is rounded, and a lower end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contacting the stopper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stopper.
KR2020010016074U 2001-05-30 2001-05-30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KR20024269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074U KR200242693Y1 (en) 2001-05-30 2001-05-30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074U KR200242693Y1 (en) 2001-05-30 2001-05-30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693Y1 true KR200242693Y1 (en) 2001-10-17

Family

ID=7310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074U KR200242693Y1 (en) 2001-05-30 2001-05-30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69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8958C2 (en) Water treatment system for local application
KR100439432B1 (en) Water-bottle support dividing device for duplex stopper
KR200242693Y1 (en)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KR100576353B1 (en) A potable water clarifier
KR101964770B1 (en) Water filter for preventing remaining water drop
CN216191253U (en) Faucet water softener, control valve for faucet water softener and valve assembly for control valve
CN215756572U (en) Faucet water softener and counter-flow control valve for faucet water softener
KR100922592B1 (en) Water Softener having Bathing Materials
KR100367233B1 (en) Water purifier with readily replaceable filter
KR102326205B1 (en) Filter cartridge for water purifing
KR100499804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filter in water purifier
KR200285193Y1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KR0156714B1 (en) Apparatus for filter of water dispenser
CN217015578U (en) Filter element subassembly and water purification unit
KR200240602Y1 (en) a
JP7133868B2 (en) Cartridge for water purifier
JPH0642786Y2 (en) Water purifier
KR102005770B1 (en) potable water purifier with dispenser
KR0161085B1 (en) Apparatus for filter of water purifier
KR200237670Y1 (en) Portable water purifier
JP7320313B2 (en) Cartridge for water purifier
JP7401086B2 (en) portable water purifier
CN218923208U (en) Liquid storage structure and nose washing device
JP3642763B2 (en) Stationary water purifier
CN211393899U (en) Water filter and valve sea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