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674Y1 - Protecting apparatus for tire - Google Patents

Protecting apparatus for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674Y1
KR200242674Y1 KR2020010015687U KR20010015687U KR200242674Y1 KR 200242674 Y1 KR200242674 Y1 KR 200242674Y1 KR 2020010015687 U KR2020010015687 U KR 2020010015687U KR 20010015687 U KR20010015687 U KR 20010015687U KR 200242674 Y1 KR200242674 Y1 KR 200242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ire
support
spring
assembl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6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푸 치우
Original Assignee
유-푸 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푸 치우 filed Critical 유-푸 치우
Priority to KR2020010015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67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674Y1/en

Links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防失控) 장치로, 타이어의 휠(wheel)에 움직이는 지지대(支架)를 장착하고 이 지지대 끝에 덮개(頂塊)를 장착하여, 타이어의 고속 회전 시 타이어 파열과 압력 상실이 발생했을 경우, 지지대가 휠 근방에서 신속히 밖을 향해 확장되어 덮개가 타이어 안쪽에서 이를 지탱하거나 직접 지면쪽으로 붙어 적당한 지탱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교통 수단의 고속 주행시 타이어 파열 또는 압력 상실로 인한 교통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preventing tire loss. It is equipped with a moving support on the wheel of the tire and a cover at the end of the support, so that the tire bursts and pressures when the tire rotates at high speed. In the event of a loss, the support quickly extends outward near the wheels, allowing the cover to support it from the inside of the tire or directly to the ground, providing a suitable bearing effect, which can prevent traffic accidents due to tire rupture or pressure loss at high speeds. To prevent it.

Description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Protecting apparatus for tire}Protective apparatus for tire

본 고안은 자동차 제어상실 방지 장치로써, 타이어 안쪽 휠에 장착되어 타이어의고속 회전시 타이어 파열 사고 순간 이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가 휠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적당한 지탱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고 발생 빈도를 줄여준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loss of control of the vehicle, which is mounted on the wheel inside the tire, and at the time of the high speed rotation of the tire, the tire loss prevention device is extended outward from the wheel to provide an adequate support effect, thereby reducing the frequency of accidents. .

초기 솔리드(solid) 타이어에서 지금의 공기압 타이어까지 타이어 설계의 발전을 살펴보면 가히 많은 진보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공기압 타이어는 우수한 진동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리드 타이어 제조시 고무 유화라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솔리드 타이어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열량 축적이 초래하는 재질 노화 문제를 극복하였다. 물론 전문적인 각도로 보면 더 많은 여러 우수성을 제공할 수 있어 이런 여러 가지 이유로 현재 대다수의 교통 수단에서 공기압 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Looking at the evolution of tire design, from the early solid tires to today's pneumatic tires, we see a lot of progress. Because pneumatic tires can not only provide an excellent anti-vibration effect, but also solved the technical problem of rubber emulsification in the production of solid tires, and overcome the material aging problem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calories due to long-term use of solid tires. Of course, from a professional angle it can offer many more excellence, which is why most vehicles now use pneumatic tires.

하지만 교통 수단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인해 타이어의 회전 속도가 날로 향상되었고 이로 인해 공기압 타이어로서는 해결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인 “고속 파열'이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일반 공기압 타이어는 주로 고무로 제작된 타이어 커버가 휠 바깥에 장착되고 타이어와 휠 사이에 공기압 공간을 형성되어 고압의 기체가 이 공기압 공간으로 주입될 때 타이어 재질 탄성으로 인해 교통 수단에 대한 적절한 지탱 효과와 진동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교통 수단이 공기압 타이어를 사용할 때에는 타이어 파열 또는 공기압 상실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교통 수단의 저속 주행시에는 이런 현상이 나타날 위험빈도가 낮지만 고속 주행시에는 그 위험도가 크게 늘어가게 된다.However, du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ires has been improved day by day, resulting in a problem called "fast burst", another problem that cannot be solved by pneumatic tires. In general pneumatic tires, a tire cover made mainly of rubber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wheel, and a pneumatic space is formed between the tire and the wheel so that when the high-pressure gas is injected into the pneumatic space, the elasticity of the tire material provides an adequate support effect for transportation. It will be able to provide the anti-vibration effect with. However, when the vehicle uses pneumatic tires, a situation such as a tire rupture or a loss of air pressure may occur. At low speeds of transportation, the risk of this phenomenon is low, but at high speeds, the risk increases significantly.

일반 소형차의 고속도로 주행 상황을 분석해 보면, 시속 100킬로미터 정도로 주행할 경우 만약 타이어 파열이 발생한다면 이 타이어는 휠이 땅에 떨어지게 될 것이분명하며 자동차 네 바퀴의 속도의 불균형으로 인해 네 바퀴의 마찰력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이때 만약 뒷 바퀴의 타이어가 파열된 경우라면 차량 뒷부분이 흔들릴 수 있고, 앞바퀴의 경우라면 자동차가 뒤집히는 등의 위험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analysis of the highway driving conditions of ordinary compact cars, it is clear that if a tire breaks down when driving at 100 kilometers per hour, the tires will fall to the ground. Will be different. At this time, if the tire of the rear wheel is ruptured,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may be shaken, and in the case of the front wheel, a dangerous accident such as the car overturning may occur.

일반 소형차 외에도, 화물차나 여객차의 고속도로 주행시에도 타이어 파열로 인한 차량 충돌 또는 차도 이탈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 공기압 타이어를 사용한 고속전철(捷運)시스템이나 항공기 또한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는 데 이는 꼭 해결되어야 될 과제인 것이다.In addition to the general compact car, an accident such as a vehicle crash or driveway off due to a tire rupture may also occur during the highway driving of a van or passenger car. In addition, high-speed train system using pneumatic tires and aircraft may also have the same problem, which i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타이어 파열 또는 공기압 상실로 인한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대만 실용신안 출원 제 87213473 호 「타이어 안전 구조(輪胎安全結構)」가 제시된 바가 있다. 이 구조는 또 대만 실용신안 출원 제 87214934 호 「타이어 안전 구조(1)」 및 제 87216150 호 「타이어 안전 구조(2)」까지 파생되었는 데, 이는 모두 타이어 안쪽에 라이너(liner)를 장착하는 것이다. 이 라이너는 적정 강도의 나일론·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으로, 이 라이너와 타이어 튜브 내면 사이에는 적당한 간격이 형성되게 되어 차량의 정상 주행시에는 타이어는 타이어 내부 기압으로 인해 차체 중력을 견디게 되고, 주행 차량의 타이어가 갑자기 파손되어 공기가 샐 경우에는 이 라이너가 바깥으로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안으로는 힘을 보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차체를 지탱하여 차량이 계속 주행하게 함으로써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다.Taiw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87213473 "Tyre Safety Rescue"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risk of tire rupture or loss of air pressure. This structure is also derived from Taiw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87214934 "Tyre Safety Structure 1" and 87216150 "Tyre Safety Structure 2", both of which incorporate a liner inside the tire. The liner is made of nylon, plastic, or metal of appropriate strength in one piece, and a proper distance is formed between the lin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ire tube. When the tire of the driving vehicle is suddenly damaged due to the air leakage, the liner has a moderate elasticity on the outside and reinforces the force on the inside to support the vehicle body and keep the vehicle running.

전술한 설계는 타이어 파손으로 인한 공기 누출 시 효과가 있다. 왜냐하면 이 라이너는 타이어 바깥에 둘려져 장착되어야 효과가 있기 때문에 차량 고속 주행시 타이어가 파열되면 이 라이너는 바깥쪽에서의 타이어 속박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라이너는 차체에 어떠한 지탱 효과를 제종하지 못하며 휠과 같이 지면에 접근해 마찰을 일으킬 뿐이다. 차량 고속 주행시 타이어가 파열되었을 경우, 이 라이너는 타이어와 같이 휠과 분리됨으로 그 실질적인 효과가 크지 않다.The above design is effective in air leakage due to tire breakage. Because this liner must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tire to be effective, if the tire ruptures at high speeds, the liner loses its tire restraint function from the outside. In this situation, the liner doesn't have any supportive effect on the car body and just rubs against the ground like a wheel. If the tire ruptures at high speeds of the vehicle, the liner is separated from the wheel like the tire, so the practical effect is not great.

대만 실용신안 출원 제 86105693 호 「타이어 안전 타이어 인 타이어 지속 주행 장치」가 제시되었는 데, 또 다른 전형적인 안전 설계로써 타이어 안에 여러 개의 「工」자형의 가로 단면을 보이는 메인 구조를 장착하고, 각 메인 구조들을 타이어 속에서 서로 연결함으로써 타이어 파열 시 이 메인 구조가 지면에 접근하게 되어 휠과 타이어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차량의 지속적인 주행을 유지함으로써 고속주행시 차량의 무게중심 상실로 인한 뒤쪽 흔들림 또는 전복 등의 사고를 막을 수 있다. 하지만 개념적으로는 실행 가능성을 갖추고 있을 지는 몰라도 그 메인구조가 타이어 안쪽 휠 주위 표면에 장착됨으로 타이어와 휠 간의 조립 문제를 야기하였다.Taiw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86105693 `` Tyre safety tire in tire continuous running device '' has been proposed. As another typical safety design, the tire is equipped with a main structure showing several `` 工 '' shaped cross sections, and each main structure. 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in the tire, this main structure approaches the ground when the tire is ruptured, protecting the wheel and the tire. 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continuous running of the vehicle can prevent the back shake or overturning accident due to the los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during high-speed driving. Conceptually, however, it may be feasible, but its main structure is mounted on the surface around the inner wheel of the tire, causing assembly problems between the tire and the wheel.

전술한 타이어와 휠 간의 조립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고안인은 대만 실용신안 출원 제 87110429 호 「타이어 지속주행 장치의 설치 ·분해 공구조」를 제시하였다. 설치·분해 공구조의 구조는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작 방법이 기존 설비와 달라 지속주행 장치를 갖춘 타이어에만 쓰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 업체가 이 타이어 전용설비를 구매하려 들지 않을 것이다. 즉, 이 종류의 타이어를 장착한 차주는 특정한 장소에서만 타이어를 설치·분해할 수 있다는 말인데 이렇게 될경우 소비자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장 보급도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assembly problem between the tire and the wheel, the inventor proposed a Taiw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87110429,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tool group of a tire continuous running device." Not only is the structure of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tool set complicated, but also the operation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quipment, and it is only used for tires with continuous driving equipment, so the tire makers will not want to purchase the equipment exclusively for the tire. In other words, the owner of this type of tire can install and disassemble the tire only in a specific place. This will not only cause inconvenience to consumers but also make it difficult to spread the market.

상술한 여러 사례들로 볼 때, 타이어의 설계는 공기압 타이어가 가져야 되는 하중과 진동 방지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발휘하여야 됨은 물론 타이어 파열시 적당한 안전 보호 성능을 제공함으로써 사고의 위험성을 줄여야 된다. 또, 타이어의 설계시 설치와 분해의 편리성도 고려해야 하는 데, 기존의 관련 설계는 이로 볼 때 이상적이지 못하다고 볼 수 있다.In view of the various cases described above, the tire design should not only perform the basic functions such as the load and vibration prevention that a pneumatic tire should have, but also reduce the risk of an accident by providing appropriate safety protection performance when the tire is ruptured. In addition, the design of the tire should also take into account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and the existing related design may not be ideal.

본 고안은 기존 타이어의 미비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타이어의 휠에 움직이는 지지대를 장착하고 그 지지대 끝에 덮개를 조립하여, 타이어의 고속 회전으로 인한 파열 또는 공기압 상실 시 지지대가 원래의 휠에 가까운 위치에서 신속하게 밖으로 확장되고 덮개가 타이어 안쪽에서 지탱하거나 또는 직접 지면에 접근하게 됨으로써 적당한 지탱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교통 수단의 고속 주행시 타이어 파열 또는 공기압 상실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tires, by mounting a support on the wheel of the tire and assembling the cover at the end of the support, the support is closer to the original wheel in case of rupture or loss of air pressure due to the high-speed rotation of the tire Tire control extends quickly out of position and the cover can be supported from the inside of the tire or directly approaching the ground to provide a moderate support effect, helping to prevent accidents due to tire rupture or loss of air pressure at high speeds in transport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ss prevention device.

상기 목적 및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이해를 위해 이하 첨부한 도면과 실시예가 자세히 설명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for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above objects and configurations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 분해 설명도이며,1 is a structural explanatory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완성시 지지대과 덮개 측면 설명도이며,Figure 2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ide of the support and the cover when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완성시 제어 부속품 구조 배치 설명도이며,3 is an explanatory view of a control accessory structure arrangement when completing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어 부속품이 풀린 순간의 상태 설명도이며,4 is a state explanatory diagram of the moment when the control accesso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환(作動環) 위치 이동시의 동작 설명도이며,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when the operating ring position m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지지대가 덮개를 확장위치까지 밀어냈을 때의 측면 설명도이며,Figure 6 is a side explanatory view when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pushed the cover to the extended position,

도 7은 본 고안의 지지대가 덮개를 확장 위치까지 밀어냈을 때의 입체 설명도이며,Figure 7 is a three-dimensional explanatory diagram when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pushed the cover to the extended position,

도 8은 본 고안의 지지대가 덮개를 확장 위치까지 밀어냈을 때의 해부 구조 설명도이며,8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anatomy when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pushes the cover to the extended position,

도 9는 본 고안의 작동환 구조 설명도이다.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working r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2: 부호 10: 휠2: code 10: wheel

12: 고정좌(固定座) 14: 축구멍12: fixed seat 14: shaft hole

16: 스프링 잠금쇠 20: 작동환(作動環)16: spring clamp 20: operating ring

22: 작동쇄(作動鎖) 24: 스프링 잠금쇠22: working chain 24: spring clamp

26: 제어편(控制片) 260: 잠김 홈26: control piece 260: locked groove

28: 조립부 280: 조립구멍28: assembly unit 280: assembly hole

30: 지지대 32: 고정쇄30: support 32: fixed chain

34: 결함쇄 36: 작동 구멍(作動長孔)34: defective chain 36: working hole

40: 덮개(頂塊) 42: 결합좌(結合座)40: cover 42: coupling seat

44: 결합구멍 46: 고무패킹44: engaging hole 46: rubber packing

50: 작동스프링 60: 탄력 부속품50: working spring 60: resilient accessory

600: 조립실 62: T자 막대600: assembly chamber 62: T-shaped rod

620: 압력 막대 622: 유도 막대(導桿)620: pressure bar 622: induction bar (導 桿)

624: 밀판(推頂板) 64: 스프링624: wheat plate 64: spring

66: 캡(cap) 70: 압력 부속품66: cap 70: pressure accessory

700: 조립실 72: T자 막대700: assembly chamber 72: T-shaped rod

720: 압력 막대 721: 잠김 돌출부720: pressure bar 721: locked protrusion

722: 유도 막대 724: 밀판722: guide bar 724: plate

74: 스프링 76: 캡74: spring 76: cap

78: 밀폐 와셔 79: 공기 구멍(透氣孔)78: sealed washer 79: air hole (透氣孔)

80: 타이어80: tire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 분해 설명도이며, 본 고안의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는 휠(10) 원주의 바깥 표면 위(공기압 타이어와 휠 조립 완성시의 타이어 안쪽 공간에 위치)에 장착된다. 이 휠(10) 원주의 바깥 표면(이하 '외주면'으로 약칭한다)위에는 여러 개의 고정좌(12)가 고정되는 데, 이 고정좌(12)는 휠(10)을 외주면의 중심선을 따라 양측으로 교차 배열 될 수 있으며, 휠(10) 외주면 중심선을 따라 적당한 거리를 두고 각 고정좌(12) 위에 각각 두 개의 축 구멍(14)을 형성하고 휠(10) 바깥 표면의 적당한 부위에 일체형의 스프링 잠금쇠(16)를 둔다.1 is a structural explanatory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ire control loss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10 circumference (located in the tire inner space at the time of assembling the pneumatic tire and the wheel). A plurality of fixed seats 12 are 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10 circumferentially (hereinafter abbreviated a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ch fixed the wheel 10 to both sides along the centerli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can be arranged in a cross, forming two axial holes (14) on each of the fixing seats 12 at appropriate distances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10) and integral spring clamps in the appropriat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10) Put (16).

휠(10) 외주면은 그 중심선을 따라 작동환(20)이 장착되는 데 이 작동환(20)은 휠(10)의 바깥쪽을 돌고 휠(10)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행동환(20) 양측에서 고정좌(12) 축구멍(14)의 위치와 대응하여 측면으로 튀어나온 작동쇄(22)를 형성하고 작동환(20) 위의 적당한 위치에는 일체형의 스프링 잠금쇠(24)를 둔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10 is mounted to the operating ring 20 along its center line, the operating ring 20 may rotate around the outside of the wheel 10 and rotate about the wheel 10. On both sides of the actuating ring 20, the actuating chain 22 protruding to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ed seat 12 shaft hole 14 is formed, and an integral spring clamp 24 is formed at a proper position on the actuating ring 20. ).

휠(10)과 대응하는 각 고정좌(23)에는 한 조의 지지대(30)를 장착한다. 이 지지대(30)의 안쪽에는 각각 휠(10) 고정좌(12) 축 구멍(14)에 장착될 수 있는 고정쇄(32)를 두고, 지지대(30)의 바깥 쪽으로는 각각 결합쇄(34)를 둔다. 또, 각 지지대(3) 중간에는 작동환(20) 작동쇄(22)의 통과에 쓰이는 작동구멍(36)을 형성한다.A pair of supports 30 are mounted on each of the fixed seats 23 corresponding to the wheel 10. Inside the support 30 has a fixed chain 32 that can be mounted to the wheel 10, the fixed seat 12, the shaft hole 14, respectively,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30, respectively, the coupling chain 34 Puts. In addition, in the middle of each support 3, the operation hole 36 used for the passage of the operation ring 20 and the operation chain 22 is formed.

지지대(30)의 바깥에는 덮개(40)를 장착하고, 각 덮개(40)의 안쪽으로는 일체형의 결합좌(42)를 둔다. 각 결합좌(42) 위에는 지지대(30) 결합쇄(34)의 장착에 사용되는 두 개의 결합구멍(44)을 각각 형성하고 각 덮개(40) 바깥쪽으로 일체형의 고무패킹(46)을 둔다.The cover 40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30, and the inner side of each cover 40 has an integral coupling seat 42. On each coupling seat 42, two coupling holes 44 used for mounting the support chain 30 and the coupling chain 34 are formed, respectively, and an integral rubber packing 46 is placed outside each cover 40.

도 2의 측면 설명도와 같이 휠(10)의 스프링 잠금쇠(16)와 작동환(20)의 스프링 잠금쇠(24)의 사이에 작동스프링(50)을 장착하면, 본 고안 조립 완성시 지지대(30) 안쪽 고정쇄(32)가 고정좌(12) 축 구멍(14)에 장착되고 지지대(30) 바깥쪽의 결합쇄(34)와 덮개(40) 결합좌(42)의 결합 구멍(44)이 서로 축연결되어, 작동환(20)의 작동쇄(22)가 지지대(30)의 작동구멍(36)을 통과하게 된다. 지지대(30) 긴 변은 휠(10) 외주면에 평행하게 붙고, 작동스프링(50)은 늘어나게 된다.When the operation spring 50 is mounted between the spring clamp 16 of the wheel 10 and the spring clamp 24 of the operating ring 20 as shown in the side explanatory drawing of FIG. The inner fixing chain 32 is mounted in the fixed seat 12 shaft hole 14, and the coupling chain 34 outside the support 30 and the coupling hole 44 of the cover 40 coupling seat 42 are mutually supported. In connection with the shaft, the operating chain 22 of the operating ring 20 passes through the operating hole 36 of the support (30). The long side of the support 30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10 in parallel, the operating spring 50 is stretched.

도 3의 본 고안의 조립상태에서의 제어 부속품 구조 배치 설명도를 보면, 본 고안의 제어 부속품은 한 개의 탄력 부속품(60)과 한 개의 압력 부속품(70)을 포함한다. 탄력 부속품(60)은 휠(10)의 조립실(600) 부위에 설치되며 이 조립실(600)은 휠(10) 외주면 상에 형성된 설치 공간이다. 탄력 부속품(60)은 한 개의 T자 막대(62)·한 개의 스프링(64) 및 한 개의 캡(66)을 포함한다. T자 막대(62)는 휠(10) 접선을 따라 확장된 한 개의 압력 막대(620)·휠(10) 반지름 방향을 따라 확장된 유도 막대(622) 및 유도 막대(622) 위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밀판(624)을 가지고 있다. 스프링(64)은 유도 막대(622) 위에 장착되어 있고 캡(66)이 유도 막대(622) 위를 덮고 있으며 유도 막대 끝은 조립실(600)을 통과해 밀판(624)과 스프링(64)이 조립실(600)에 놓이도록 한다. 캡(66)은 조립실(600) 바깥쪽에 덮이고, 스프링(64)은 캡(66)과 밀판(624) 사이에 끼어져 있다.3, the control accessory structure arrangement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3 includes one resilient accessory 60 and one pressure accessory 70. Resilient accessory 60 is installed in the assembly chamber 600 portion of the wheel 10, the assembly chamber 600 is an installation spac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10). The resilient accessory 60 includes one T-shaped rod 62, one spring 64 and one cap 66. The T-shaped rod 62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induction bar 622 and the induction bar 622 extend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heel 10 and one pressure bar 620 extending along the wheel 10 tangent. It has a close plate 624. The spring 64 is mounted on the induction bar 622, the cap 66 covers the induction bar 622, and the end of the induction bar passes through the assembly chamber 600 so that the plate 624 and the spring 64 are connected. To be placed in the assembly chamber 600. The cap 66 is covered outside the assembly chamber 600, and the spring 64 is sandwiched between the cap 66 and the mill 624.

압력 부속품은 휠(10)의 조립실(700) 부위에 설치되며, 한 개의 T자 막대(72)·한 개의 스프링(74)·한 개의 캡(76) ·한 개의 밀폐 와셔(78)를 포함한다. T자 막대(72)는 휠(10) 접선 방향을 따라 확장된 한 개의 압력 막대(720)·휠(10) 반지름 방향으로 확장된 유도 막대(722) 및 유도 막대(722) 위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밀판(724)을 가지고 있다. 압력 막대(720) 한 쪽으로는 잠김 돌출부(721)가 장착되어 있고 스프링(72)이 유도 막대(722) 위에 장착되어 있으며 캡(76)은 유도 막대(722)위를 덮고 있다. 이 유도 막대(722) 끝은 조립실(700)을 통과해 스프링(74)과 밀판(724)이 조립실(700)에 놓이도록 한다. 캡(76)은 조립실 바깥쪽으로 덮이고 스프링(74)은 밀판(724)과 조립실(700) 사이에 끼여 장착되어 있으며 밀폐 와셔(78)가 밀판(724)과 조립실(700) 입구(번호를 부여하지 않음) 사이에 끼여 있다. 이 조립실(700)은 휠(10) 벽 두께를 통과하는 공기구멍(79)을 가지고 있다.The pressure fitting is installed in the assembly chamber 700 of the wheel 10 and includes one T-shaped bar 72, one spring 74, one cap 76 and one sealing washer 78. do. The T-shaped bar 72 is integrally mounted on one pressure bar 720 extending along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10 and the guide bar 722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heel 10 and the guide bar 722. It has a close plate 724. On one side of the pressure bar 720 a locking protrusion 721 is mounted, a spring 72 is mounted over the guide bar 722 and a cap 76 covers over the guide bar 722. The end of the guide bar 722 passes through the assembly chamber 700 so that the spring 74 and the plate 724 are placed in the assembly chamber 700. The cap 76 covers the outside of the assembly chamber, the spring 74 is fitted between the plate 724 and the assembly chamber 700, and the sealing washer 78 has the plate 724 and the assembly chamber 700 inlet number. Is not given). This assembly chamber 700 has an air hole 79 passing through the wheel 10 wall thickness.

도 3에서 보면 작동환(20) 위에 일체형의 제어편(26)이 장착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제어편(26) 위로는 압력 부속품(70) T자 막대(72)의 압력 막대(720) 위 잠김 돌출부(721)에 제공되는 잠김 오목부(26)가 형성된다.In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integral control piece 26 is mounted on the operating ring 20. Above this control piece 26 is formed a locking recess 26 which is provided in the locking projection 721 on the pressure bar 720 of the pressure fitting 70 T-shaped bar 72.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압력 부속품(70) 압력 막대(620)위의 잠김 돌출부(721)는 작동환(20) 제어편(26)의 잠김 오목부(260)에 잠기게 됨으로써, 작동환이 도2·3에서 나타나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 탄력 부속품(60)의 스프링이 캡(600)과 밀판(624) 사이에서 밀리게 되어 압력 막대(620)가 압력 부속품(70)의 압력 막대(720) 위에 압박되어, 스프링(64)이 T막대(62)에 가하여져 휠(10) 방향으로 미는 힘은 스프링(74)이 T자 막대(72)에 가하여져 휠(10)을 밀어내는 힘에 작동환(20)에 가해지는 작동 스프링(50)의 당기는 힘으로 T자 막대(72)에 가해지는 힘의 합보다 크다. 이로 인해 조립이 완성된 경우 도 3에서 나타나는 위치는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타이어의 공기가 찬 후, 압력 부속품(70)은 타이어 안·바깥 압력 차의 작용을 받아 밀판(724)이 밀폐와셔(78)를 압축하게 되며 스프링(74) 부위가 압축된 상황에서 작동환(20)의 제어편(26)이 안정되게 잠기도록 한다.With the assembly completed, the locking protrusion 721 on the pressure fitting 70 and the pressure bar 620 is locked to the locking recess 260 of the control piece 26 of the operating ring 20, thereby turning the operating ring. Maintain the position shown in 2 · 3. In addition, the spring of the resilient fitting 60 is pushed between the cap 600 and the sealing plate 624, so that the pressure bar 620 is pressed over the pressure rod 720 of the pressure fitting 70, so that the spring 64 is The force applied to the T bar 62 and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wheel 10 is an actuating spring applied to the operating ring 20 by a force of the spring 74 being applied to the T-shaped bar 72 to push the wheel 10. The pulling force of (50)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forces applied to the T-shaped bar (72). Because of this, when the assembly is completed, the position shown in Figure 3 can be maintained. After the tire is filled with air, the pressure fitting 70 receives the action of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ire so that the sealing plate 724 compresses the sealing washer 78 and the spring 74 is compressed. The control piece 26 of 20 is to be locked securely.

타이어의 고속 회전 시, 탄력 부속품(60)의 T자 막대(62)는 원심력으로 인해 위치가 변하게 되고 스프링(64)을 압축되게 된다. 또 도 3에서 점선이 표시하는 위치까지 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때 T자 막대(62)의 압력 막대(620)는 압력 부속품(70)의 압력 막대(720)에 대해 더 이상 압력을 가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압력 부속품(70)은 타이어 안팎의 압력 차의 영향을 받아 도3에서 나타나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만약 이때 타이어가 파열되어 타이어 안쪽의 고압이 상실되었을 경우에는 압력 부속품(70)의 T자 막대(72)는 즉시 스프링(74)의 미는 힘과 원심력의 이중 영향을 받아 신속하게 도 3에서 나타나는 위치에서 도4에서 나타나는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T자 막대(72)의 압력 막대(720) 위 잠김 돌출부(721)는 작동환(20) 제어편 (26)의 잠김 오목부(260)에서 떨어져 나와 제어편(26)이 풀리도록 한다.At high speed of rotation of the tire, the T-shaped rod 62 of the resilient fitment 60 changes position due to centrifugal force and causes the spring 64 to be compressed. In addition, the position changes to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3. The pressure bar 620 of the T-shaped bar 62 no longer exerts pressure on the pressure bar 720 of the pressure fitting 70. However, the pressure fitting 70 is maintain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ire to maintain the position shown in FIG. If the tire ruptures and the high pressure inside the tire is lost, the T-shaped bar 72 of the pressure fitting 70 immediately appears in FIG. 3 due to the double influence of the pushing force and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spring 74. Is mov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locking protrusion 721 on the pressure bar 720 of the T-shaped bar 72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recess 260 of the control piece 26 of the operating ring 20 to release the control piece 26.

작동환(20)의 제어편(26)이 풀린 후에는 작동환(20)이 작동스프링(50)의 미는 힘을 받아 휠(10)과의 사이에서 상대적인 위치 변화(도5)를 하게된다. 작동환(20)은 휠(10)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함과 동시에 작동쇄(22)는 지지대(30)의 작동구멍(36) 가운데에서 위치가 변해, 지지대(30)가 고정쇄(32)에 의해 축 회전을 하도록 하고, 덮개(40)를 도2에서 나타내는 위치에서 도6·7·8에서 나타나는 확장 위치로 밀게 된다. 작동환(20)의 제어편(26)이 풀리는 순간 이 작동환(20)은 작동스프링(50)의 미는 힘을 받게 될 뿐 아니라 덮개(40)가 받는 원심력으로 인해 지지대(30)가 밖으로 확장되고, 지지대(30)의 작동구멍(36)을 통해 작동환(20)의 작동쇄(22)에 힘을 가하여 작동환(20)의 위치 변화를 일으키게 됨으로 이 고안의 제어상실 방지 장치가 신속히 확장된 조작 위치에 도달하도록 한다.After the control piece 26 of the operation ring 20 is released, the operation ring 20 receives a pushing force of the operation spring 50 to make a relative position change between the wheel 10 and the wheel 10 (FIG. 5). While the operating ring 20 changes its position relative to the wheel 10, the operating chain 22 changes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operating hole 36 of the support 30, and the support 30 is fixed to the fixed chain 32. ), The cover 40 is pushed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2 to the extended position shown in FIG. The moment the control piece 26 of the actuating ring 20 is released, the actuating ring 20 receives the pushing force of the actuating spring 50 as well as the support 30 extends out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exerted by the cover 40. By applying a force to the operating chain 22 of the operating ring 20 through the operating hole 36 of the support 30,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ring 20 is changed,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ach the operating position.

본 고안의 지지대(30)가 덮개(40)를 확장 위치까지 밀어 올렸을 때, 덮개(40)는휠(80) 내측면에 가까이 붙게 된다. 또는 타이어(80) 파열로 인해 휠(10)을 벗어나게 되었을 때에는 직접 덮개(40)의 고무패킹(46)이 지면에 접근하게 됨으로써 파이어 파열로 인한 제어 상실 위험을 피하도록 한다.When the suppor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pushes up the cover 40 to the extended position, the cover 40 is attached clos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heel (80). Alternatively, when the tire 80 breaks out of the wheel 10 due to rupture, the rubber packing 46 of the cover 40 directly approaches the ground, thereby avoiding the risk of loss of control due to rupture of the fire.

도9의 본 고안 작동환(20) 구조 설명도에서는 본 고안의 작동환(20)이 두 개의 반원형의 막대로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반원형의 막대 양단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는 조립부(28)가 있으며 이 조립부(28)에는 조립에 사용될 수 있는 조립구멍 (280)이 있다. 이 조립부는 나사 또는 유사한 부품으로 조립이 될 수 있으며 적절한 조립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schematic desig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ring 20 of Figure 9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ng ring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y two semi-circular rods. At both ends of the semi-circular rods there is an assembly portion 28 which engages with each other, and the assembly portion 28 has an assembly hole 280 that can be used for assembly. This assembly can be assembled with screws or similar parts and can provide adequate assembly convenience.

본 고안은 적절한 구조적인 배치를 통해 타이어의 양호한 제어상실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가 조립 완성되었을 때에는 휠(10)의 외주면 상에 접근되게 됨으로써 타이어(80)와 휠(10)의 조립과 분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타이어가 정차하거나 저속 운행시에 파열되거나 찢어져 공기압을 상실한 경우에는 위험성이 없는 관계로 본 고안은 설계에 있어 탄력 부속품(60)의 압력을 받아 확장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일반적인 설비로 타이어(80)의 분해 보수 또는 설치를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고안은 일반 타이어와 같이 조작 사용할 수 있다. 또, 고속 주행시 타이어가 파열되었을 경우에는, 본 고안은 지지대(30)가 신속하게 덮개(40)를 확장 위치까지 확장되게 하고, 또 각 덮개(40)로 하여금 휠(10) 원주밖으로 고리형의 지탱구조를 형성하여 차체가 적절한 지탱을 받도록 함으로써 제어상실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막게 되는 데 진보성과 실용성을 갖추고 있다. 물론 본 고안방치가 확장된 후에는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타이어를 분해할 수 없으며 반드시 파열된 타이어(80)를 벌이거나 잘라낸 후 휠(10) 바깥에서 이를 떼어내어야 한다. 그런 후, 다시 본 고안의 장치는 회수하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사용으로 인해 타이어(80)를 못쓰게 되어 에어백처럼 사용 후에는 다시 교체를 하여야 되지만, 안정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타이어(80) 한 개를 교체하는 것과 제어상실 상황 발생으로 인해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비교해 본 다면 본 고안의 실용적인 가치를 충분히 가늠해 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od loss control device of a tire through proper structural arrangement. When the device is assembled, the device is approach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10 so that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tire 80 and the wheel 10 are not affected. If the tire is stopped or ruptured or torn at low speeds, and the air pressure is los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tend under the pressure of the resilient accessory 60 in the design because there is no risk. Therefore, the user can disassemble and repair or install the tire 80 as a general facility. In this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like a normal tire. In addition, when the tire ruptures at high speed,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upport 30 to quickly expand the lid 40 to the extended position, and further causes each lid 40 to be annular out of the wheel 10 circumference. It is equipped with advancement and practicality in forming a supporting structure to ensure that the vehicle body is properly supported to prevent loss of control. Of course, after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the tire cannot be dismantled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dure, and must be detached from the outside of the wheel 10 after earning or cutting the ruptured tire 80. After that,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recovered. Due to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80 cannot be used and must be replaced again after use like an airbag. However, in terms of stability, a car accident occurs due to the replacement of one tire 80 and a loss of control situation. Comparing them, we can fully appreciate the practical valu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예를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embodiments. Of course, it belongs to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attached to the modification.

Claims (18)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防失控) 장치에 있어서, 타이어의 휠 외주면 상에 움직이는 지지대를 장착하고 상기 지지대 끝에 덮개를 두어 상기 지지대가 제어 부속품을 통해 상기 휠 외주면 근방에 장착됨으로써, 타이어의 고속 회전으로 인한 파열 또는 공기압 상실 시 상기 제어 부속품이 상기 지지대를 풀어 상기 지지대가 원래 휠 근방에서 신속하게 바깥으로 확장되도록 하며 상기 덮개가 휠 안쪽을 지탱하거나 지면에 직접 접근하여 지탱 효과를 나타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A tire loss prevention device comprising: a support mounted on a wheel outer circumference of a tire and having a cover at the end of the support so that the support is mounted near the wheel outer circumference through a control accessory, resulting in high speed rotation of the tire. In case of rupture or loss of air pressure, the control accessory releases the support so that the support can quickly expand outward from the original wheel, and the cover supports the inside of the wheel or directly approaches the ground for a support effect. Tire loss preven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 원주의 바깥 표면 위에 복수 개의 고정좌가 장착되고, 전술한 움직이는 지지대가 축 장착 방식으로 상기 고정좌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fixed seats are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heel circumference, and the above-described moving support is mounted to the fixed seats in an axial mounting manner. 제 2항에 있어서, 고정좌가 상기 휠 원주의 바깥 표면의 중심선을 따라 양측으로 교차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3. The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fixed seats are arranged in both sides along the centerli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circumference. 제 3항에 있어서, 고정좌가 상기 휠 외주면의 중심선 위치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fixed seat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enter line posi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제 2항에 있어서, 각 고정좌 위에 각각 축 구멍을 두고 각 지지대 한 쪽에 상기 축 구멍과 축 결합되는 고정쇄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3. The tire control loss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shaft is disposed on each of the fixing seats, and a fixing chain is coupled to the shaft hole on one side of each support. 제 1항에 있어서, 각 덮개의 안쪽에 일체형의 결합좌를 두고 상기 결합좌가 상기 지지대의 한쪽과 서로 축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seat is axi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with an integral coupling seat inside each cover. 제 6항에 있어서, 각 결합좌 위에 각각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각 지지대 한쪽에 상기 결합구멍과 서로 축결합되는 결합쇄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7. The tire control loss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coupling hole is formed on each coupling seat, and a coupling chain is axial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n one side of each support.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바깥쪽에 일체형의 고무패킹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7. The tire control loss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6, wherein an integral rubber packing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제 2항에 있어서, 각 고정좌 위에 각각 두 개의 축 구멍으로 두고 각 덮개의 안쪽에 일체형의 결합좌를 두며, 각 결합좌 위에 각각 두 개의 결합 구멍을 두고, 각 지지대 한쪽에는 고정좌의 축 구멍과 연결되는 고정쇄를 두며 각 지지대의 또 다른 한쪽으로는 덮개 결합좌 결합구멍과 서로 축연결되는 결합쇄를 두어, 각 고정좌 위에서 두 지지대로 한 개의 덮개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fixing seats with two axial holes, each cover has an integral coupling seat on the inside of each cover, and each coupling seat has two coupling holes on each support seat, and one support shaft shaft hole on each side. The other side of each support has a fixed chain connected to the cover coupling seat coupling hole and the coupling chain ax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ire control loss characterized in that one cover is mounted with two supports on each fixed seat. Preven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 외주면에 그 중심선 부위를 따라 한 개의 작동환을 장착하고, 상기 작동환은 휠에 대한 회전 위치 변화의 방식을 통해 휠 바깥으로 돌며 장착되며 상기 작동환 양측에 안쪽으로 돌출된 작동쇄를 장착하고 각 지지대 가운데 각각 작동환 작동쇄의 장착에 사용되는 작동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wheel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along the center line portion, the ring is mounted to rotate out of the wheel through a method of changing the rotati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wheel and protrude inward on both sides of the ring And an operating hole used for mounting the operating ring operating chain, respectively, of each support. 제 10항에 있어서, 휠 외주면 상에 일체형의 스프링 잠금쇠를 두고 작동환 위에 일체형의 스프링 잠금쇠를 두며 휠의 상기 스프링 잠금쇠와 작동환의 상기 잠금쇠 사이에 하나의 작동 스프링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11. The tire control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n integral spring clamp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an integral spring clamp is mounted on the operating ring, and one operating spring is mounted between the spring lock of the wheel and the lock of the operating ring. Loss preven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제어 부속품이 한 개의 탄력 부속품과 한 개의 압력 부속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2. 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accessory comprises one resilient accessory and one pressure accessory. 제 12항에 있어서, 휠 외주면 상에 설치 공간을 두는 조립실을 설치하고 상기 조립실에 휠 벽 두께를 통과하는 공기 구멍을 두고 압력 부속품이 휠의 조립실 위치에 장착되며, 한 개의 T자 막대, 한 개의 스프링, 한 개의 캡, 및 한 개의 밀폐 와셔를 포함하고, 이 T자 막대는 휠 접선 방향을 따라 확장되어 지지대에 맞물리도록 된 한 개의 압력 막대, 휠 반지름 방향으로 확장되는 한 개의 유도 막대, 및 유도막대 위에 장착되는 한 개의 밀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압력 막대 한쪽으로는 잠김 돌출부가 있고, 스프링 덮개가 유도 막대 위에 있고 캡이 유도막대를 덮고 상기 유도막대 끝은 조립실을 지나 스프링과 밀판이 상기 조립실에 위치하도록 하며, 캡은 조립실 바깥을 덮고, 스프링이 밀판과 조립실 사이에 끼어 장착되어 있으며, 밀페 와셔가 밀판과 조립실 입구 사이에 끼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13. The T-r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n assembly chamber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and an air hole is passed through the wall thickness of the assembly chamber, and a pressure accessory is mounted at the assembly chamber position of the wheel, and the T-shaped bar is provided. , A spring, one cap, and one sealing washer, the T-bars extending along the wheel tangential direction to engage the support, one guide bar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heel And a pusher plate mounted on the guide rod, one side of the pressure bar having a locking protrusion, a spring cover on the guide rod, a cap covering the guide rod, and the end of the guide rod passing through the assembly chamber The plate is placed in the assembly chamber, the cap covers the outside of the assembly chamber, a spring is fitted between the assembly plate and the assembly chamber, and a washer washer is installed in the assembly chamber. Thai control los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terposed between the inlet chamber. 제 13항에 있어서, 휠 외주면이 중심선 위치를 따라 한 개의 작동환을 장착하고, 작동환이 휠에 대한 회전 위치변화 방식으로 휠 바깥쪽으로 돌며 장착되어 있으며, 작동환 양측에는 안쪽으로 튀어나온 작동쇄가 장착되며, 각 지지대 중간에는 작동환 작동쇄의 장착에 사용되는 작동구멍을 형성하고, 작동환 위에는 일체형의 제어편을 장착하고 상기 제어편 위에는 압력 부속품의 T자 막대의 압력 막대 위의 잠김 돌출부와 잠기는 데 사용되는 잠김 오목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According to claim 13,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is equipped with one operating ring along the centerline position, the operating ring is mounted to rotate the outside of the wheel in a rotational position change manner with respect to the wheel, the operating chain protruding inward on both sides of the operating ring In the middle of each support, there is formed an operation hole for mounting the operating ring operating chain, and an integral control piece is mounted on the operating ring, and the locking protrusion on the pressure bar of the T-shaped bar of the pressure accessory is mounted on the control piece. A device for preventing the loss of tire control, characterized by having a locking recess used for locking. 제 12항에 있어서, 휠 외주면 상에 설치공간을 두는 조립실을 장착하고, 탄력 부속품을 상기 조립실 위치에 장착하며, 탄력 부속품에는 한 개의 T자 막대·한 개의 스프링 및 한 개의 캡을 포함하며, 상기 T자 막대는 휠 접선 방향을 따라 확장되어 지지대를 맞물리는 데 사용되는 한 개의 압력 막대, 휠 반지름 방향으로 확장되는 한 개의 유도 막대, 및 유도 막대 위에 장착되는 한 개의 밀판을 두며, 스프링 덮개는 유도 막대위에 장착되고, 캡은 유도막대를 덮고, 유도 막대 끝이 조립실을 통과해 밀판과 스프링이 상기 조립실에 위치하도록 하며, 캡이 조립실 바깥을 덮어 스프링이 갭과 밀판 사이에 끼어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13. Th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n assembly chamber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a resilient accessory mounted at the assembly chamber position; the resilient accessory includes a T-shaped rod, a spring and a cap; The T-shaped bar extends along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and has one pressure bar used to engage the support, one guide bar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heel, and one push plate mounted on the guide bar, the spring cover Is mounted on the guide rod, the cap covers the guide rod, the tip of the guide rod passes through the assembly chamber so that the mill and spring are located in the assembly chamber, the cap covers the outside of the assembly chamber, and the spring is sandwiched between the gap and the mill. Tire control los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휠 외주면 상에 설치공간을 두는 조립실을 두고, 탄력 부속품이 상기 조립실 위치에 장착되며, 탄력 부속품은 한 개의 T자 막대, 한 개의 스프링, 및 한 개의 캡을 포함하고, 상기 T자 막대는 휠 접선 방향으로 확장되어 압력 부속품의 T자 막대 압력 막대 위에 압축되는 한 개의 압력 막대, 휠 반지름 방향으로 확장되는 한 개의 유도 막대, 및 유도 막대 위에 장착되는 한 개의 밀판을 가지며, 스프링 덮개가 유도 막대 위에 장착되고, 캡이 유도막대를 덮고, 유도 막대 끝이 조립실을 통과해 밀판과 스프링이 조립실에 놓이도록 하여, 캡이 조립실 바깥을 덮고, 스프링이 캡과 밀판 사이에 끼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15. Th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3 or 14, having an assembly chamber having an installation sp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wherein the resilient accessory is mounted at the assembly chamber position, wherein the resilient accessory is one T-shaped rod, one spring, and one A cap, wherein the T-shaped bar extends in a tangential direction of the wheel and is compressed onto a T-shaped bar pressure bar of the pressure accessory, one pressure bar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heel, and as long as it is mounted on the guide bar. With two plates, the spring cover is mounted on the guide bar, the cap covers the guide bar, the tip of the guide bar passes through the assembly chamber so that the plate and spring are placed in the assembly chamber, the cap covers the outside of the assembly chamber, and the spring A tire control los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s fitted between the cap and the contact plate. 제10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작동환이 두 개의 반원형의 막대 결합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 방지 장치.15.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ire loss of control according to claim 10 or 14, wherein the operating ring is composed of two semicircular rod couplings. 제 17항에 있어서, 반지름 형의 막대 양단에 각각 서로 맞물리는 결합부를 두고 상기 결합부에 조립에 사용되는 조립구멍을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어상실방지 장치.18.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tire loss of control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coupling rods engaged with each other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adial rod, and the assembly holes used for assembly are provided.
KR2020010015687U 2001-05-28 2001-05-28 Protecting apparatus for tire KR2002426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687U KR200242674Y1 (en) 2001-05-28 2001-05-28 Protecting apparatus for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687U KR200242674Y1 (en) 2001-05-28 2001-05-28 Protecting apparatus for t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674Y1 true KR200242674Y1 (en) 2001-10-15

Family

ID=7306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687U KR200242674Y1 (en) 2001-05-28 2001-05-28 Protecting apparatus for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67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9138A (en) Run-flat tire and hub therefor
CN107627791B (en) Tyre capable of continuously running after tyre burst
US9365081B2 (en) Pneumatic tire security system employing internal high pressure air bag
CA1074678A (en) Pneumatic tire, rim and run-flat system combination
US6523587B2 (en) Device to prevent full collapse of a pneumatic tire on vehicles and large aircraft
US20120055599A1 (en) Safety system for vehicle tire blowout
US20130174954A1 (en) Run-flat support assembly for a pneumatic tired wheel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4953291A (en) Tire interior support system
CN104626883A (en) Vacuum tyr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6076578A (en) Device enabling a motor vehicle to run on a flat tire
KR200242674Y1 (en) Protecting apparatus for tire
US20070289685A1 (en) Body Serving as a Support for a Tire in the Event of Deflation and Tire Assembly Equipped with such a Body
CN103231628B (en) Vacuum tyre tire-burst safety device
US6516846B2 (en) Flat-proof rim for a pneumatic tyre of a wheel
CN2933927Y (en) Safety protective tyre
KR20070018300A (en) Structure of The Twin Tire for Vehicle
JPH10138702A (en) Assembly body of tire and rim
CN207607305U (en) It prevents from being biased to turn on one's side when automotive tire burst that two hours wheel hubs of traveling can be continued
US3550664A (en) Motor vehicle safety wheel
JP2000313215A (en) Air housing wheel for filling up tire (air in wheel)
CN2478814Y (en) Runaway-proof means of tyre
CN219789809U (en) Tire burst emergency safety device installed between two wheels of rear wheels of passenger and freight car
CA1161737A (en) Shield for tire flaps
US8042878B2 (en) Interface disc for a vehicle wheel
SK285568B6 (en) Tubeless safety 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