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044Y1 -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044Y1
KR200242044Y1 KR2020010007336U KR20010007336U KR200242044Y1 KR 200242044 Y1 KR200242044 Y1 KR 200242044Y1 KR 2020010007336 U KR2020010007336 U KR 2020010007336U KR 20010007336 U KR20010007336 U KR 20010007336U KR 200242044 Y1 KR200242044 Y1 KR 200242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elody
main body
open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배
Original Assignee
이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배 filed Critical 이충배
Priority to KR2020010007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0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044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을 위하여 케이스의 뚜껑을 여는 경우에 자동으로 멜로디가 출력되어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저장용기(12)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힌지(hinge)(15)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뚜껑(20)을 구비하되; 상기 뚜껑(20)의 타측에는 후크(2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후크(21)와 결합되는 걸림돌기(11)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21)와 걸림돌기(11)의 결합을 해제하여 뚜껑(20)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버튼(30)과, 상기 본체(10)와 뚜껑(20)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힌지(15)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21)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41)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용물을 찍어 바를 수 있도록 하는 퍼프(42)를 구비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거울(43)이 구비된 퍼프케이스(40)와, 화장을 위하여 상기 뚜껑을 개방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멜로디가 출력되는 멜로디 출력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The Cosmetics case having a melody print effect}
본 고안은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을 위하여 케이스의 뚜껑을 여는 경우에 자동으로 멜로디가 출력되어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안면 피부를 보호하고,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화장을 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성인 여성의 대부분이 매일 화장을 하고 있다.
화장을 하기 위해서는 콤팩트 등과 같은 화장품과, 솔 등의 화장용구를 사용하고 있는데, 대체로 화장품 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과 같이, 아이섀도나 트윈케이크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용기(2)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4)와, 상기 본체(4)의 상부로 거울(8)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4)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품 케이스는 단순히 화장품을 보관하는 기능만을 갖는 것으로서 그 기능이 극히 제한되기 때문에 화장품을 선물하는 경우에 선물하는 사람의 간단한 메시지나 인사말 등을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장을 위하여 케이스의 뚜껑을 여는 경우에 자동으로 멜로디가 출력되어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뚜껑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는 개폐감지 스위치로서 광센서를 사용함으로써 기구적인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모드설정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 멜로디 출력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화장품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화장품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케이스에 구비되는 멜로디 출력회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걸림돌기
15 : 힌지핀 20 : 뚜껑
21 : 후크 30 : 개폐버튼
40 : 퍼프케이스 41 : 관통홀
42 : 퍼프 43 : 거울
51 : 개폐감지 스위치 52 : 메모리
53 : 스피커 54 : 마이컴
55 : 모드설정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저장용기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hinge)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뚜껑을 구비하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타측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후크와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와 걸림돌기의 결합을 해제하여 뚜껑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버튼과, 상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힌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용물을 찍어 바르는 퍼프를 구비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거울이 구비된 퍼프케이스와, 화장을 위하여 상기 뚜껑을 개방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멜로디가 출력되는 멜로디 출력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멜로디 출력회로부는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 스위치와,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 경우에 출력될 멜로디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멜로디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개폐감지 스위치에서 뚜껑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멜로디를 호출하여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폐감지 스위치는 본체와 뚜껑의 결합부에 장착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시 온(ON)되는 기구적 스위치, 또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시 감지되는 광량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시스템의 동작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 멜로디 출력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모드설정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화장품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 단면도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저장용기(12)를 구비하는 본체를 나타내고, 20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힌지(15)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동작에 따라 개폐 가능한 뚜껑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뚜껑(20)의 타측에는 후크(2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후크(10)와 결합되는 걸림돌기(11)가 형성된다.
또한, 참조번호 30은 상기 후크(21)와 걸림돌기(11)의 결합을 해제하여 뚜껑(10)을 밀어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버튼을 나타내고, 40은 상기 본체(10)와 뚜껑(20)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힌지(15)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21)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41)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용물을 찍어 바르는 퍼프(42)를 구비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화장을 할 경우에 화장 부위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43)이 구비된 퍼프케이스를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에는 화장을 위하여 상기 뚜껑(20)을 개방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멜로디가 출력되는 멜로디 출력회로부가 포함되는데, 상기 멜로디 출력회로부는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이 개방되는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 스위치(51)와, 상기 뚜껑(20)이 개방되는 경우에 출력될 멜로디를 저장하는 메모리(52)와, 상기 메모리(52)에 저장된 멜로디를 출력하는 스피커(53)와, 상기 개폐감지 스위치(51)에서 뚜껑(20)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52)에 저장된 멜로디를 호출하여 상기 스피커(53)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54)과, 시스템의 동작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 멜로디 출력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모드설정 스위치(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감지 스위치(5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뚜껑(20)의 결합부에 장착되어 상기 뚜껑(20)의 개방시, 동시에 퍼프케이스(40)가 개방되므로 이때 온(ON)되는 기구적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뚜껑(20)의 개방시 감지되는 광량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를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모드설정 스위치(55)는 상기 본체(10) 또는 뚜껑(2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장착시킬 수 있는데, 상기 본체(10)의 측면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장품 케이스는 사용자가 화장을 위하여 뚜껑(20)을 개방하는 경우에 퍼프케이스(40)가 동시에 개방되면 개폐감지 스위치(51)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 신호가 상기 마이컴(54)으로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54)에서는 상기 메모리(52)에 저장된 멜로디를 호출하여 상기 스피커(53)에서 출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멜로디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화장을 하는 동안에 자신이 좋아하는 멜로디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에 에 의하면 화장을 위하여 케이스의 뚜껑을 여는 경우에 자동으로 멜로디가 출력되어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의 개방을 감지할 수 있는 개폐감지 스위치로서 광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장품 케이스의 기구적인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스템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모드설정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 멜로디 출력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저장용기(12)를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힌지(hinge)(15)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뚜껑(20)을 구비하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타측에는 후크(2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후크(21)와 결합되는 걸림돌기(11)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21)와 걸림돌기(11)의 결합을 해제하여 뚜껑(20)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버튼(30)과,
    상기 본체(10)와 뚜껑(20)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힌지(15)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후크(21)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41)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용물을 찍어 바르는 퍼프(42)를 구비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거울(43)이 구비된 퍼프케이스(40)와,
    화장을 위하여 상기 뚜껑(20)을 개방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멜로디가 출력되는 멜로디 출력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디 출력회로부는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 스위치(51)와, 상기 뚜껑(20)이 개방되는 경우에 출력될 멜로디를 저장하는 메모리(52)와, 상기 메모리(52)에 저장된 멜로디를 출력하는 스피커(53)와, 상기 개폐감지 스위치(51)에서 뚜껑(20)의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52)에 저장된 멜로디를 호출하여 상기 스피커(53)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5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 스위치(51)는 본체(10)와 뚜껑(20)의 결합부에 장착되어 상기 뚜껑(20)의 개방시 온(ON)되는 기구적 스위치, 또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뚜껑(20)의 개방시 감지되는 광량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시스템의 동작여부를 결정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에 멜로디 출력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모드설정 스위치(55)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20010007336U 2001-03-17 2001-03-17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200242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36U KR200242044Y1 (ko) 2001-03-17 2001-03-17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36U KR200242044Y1 (ko) 2001-03-17 2001-03-17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694A Division KR20020073827A (ko) 2001-03-16 2001-03-16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044Y1 true KR200242044Y1 (ko) 2001-10-18

Family

ID=7309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336U KR200242044Y1 (ko) 2001-03-17 2001-03-17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0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511Y1 (ko) 2011-06-14 2012-09-14 (주)아모레퍼시픽 외장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CN110279213A (zh) * 2019-07-10 2019-09-27 余姚市银河日用品有限公司 化妆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511Y1 (ko) 2011-06-14 2012-09-14 (주)아모레퍼시픽 외장형 스피커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CN110279213A (zh) * 2019-07-10 2019-09-27 余姚市银河日用品有限公司 化妆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8919B2 (en) Cellular phone
USD374774S (en) Tote with hinged cover
USD359734S (en) Foldable housing for a portable telephone
US20020096448A1 (en) Cosmetics case having melody output function
KR200242044Y1 (ko)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2539086B1 (ko) 제어가능한 투명도를 가진 표면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USD344412S (en) Portable cosmetic case
KR200473231Y1 (ko) 메이컵 팔레트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020073827A (ko) 멜로디 출력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D388327S (en) Combined aerating lid and cover unit for a standard wide mouth jar
USD421571S (en) Lid for a container
KR100406900B1 (ko) 화장용 콤팩트
USD433838S (en) Flip-top display for wall and floor covering samples
EP1250863A1 (en) Cosmetics case having melody output function
JPH0965920A (ja) 化粧料容器
USD421422S (en) Housing for laser photoelectric control
USD382668S (en) Dental floss sachet
KR200306857Y1 (ko) 기능성 화장품 용기
KR200449166Y1 (ko) 거울이 회전되는 색조 화장품 용기
USD411105S (en) Container
USD409637S (en) Pair of binoculars
USD372920S (en) Sanitary fabric telephone handset cover
JP2663157B2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327520Y1 (ko) 콤팩트
USD394218S (en) Quantum user interfac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