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762Y1 - Safety cup - Google Patents

Safety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762Y1
KR200241762Y1 KR2020010004650U KR20010004650U KR200241762Y1 KR 200241762 Y1 KR200241762 Y1 KR 200241762Y1 KR 2020010004650 U KR2020010004650 U KR 2020010004650U KR 20010004650 U KR20010004650 U KR 20010004650U KR 200241762 Y1 KR200241762 Y1 KR 200241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up body
beverage
curved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6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덕기
오용석
Original Assignee
오덕기
오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덕기, 오용석 filed Critical 오덕기
Priority to KR2020010004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76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762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 진동 등에 의한 흔들림에도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가 넘치지 않도록 설계된 안전 컵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컵 본체 상부에 음료수를 주입하거나 취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취출구가 형성되고, 컵 본체의 흔들림에 의한 수용 음료수의 넘침을 방지함과 아울러 컵 본체를 기울여 취음할 때 침전물을 함유하고 있는 소량의 음료수가 항상 상기 컵 본체 내에 잔류할 수 있도록 상기 취출구의 둘레가 상기 컵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말려 들어간 만곡주연부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컵 본체가 흔들려 내부의 음료수가 외부로 유출되려 하는 경우에 있어서 컵 본체의 만곡 형상과 연하여 취출구 쪽에서 그 내측으로 말려 들어간 만곡주연부의 하향 원호형상을 따라 음료수가 선회하면서 안정화되므로 음료수의 넘침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고, 컵 본체를 기울여 취음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만곡주연부의 내측으로 항상 잔여 음료수가 머무르게 되므로 상기 음료수에 함유된 유해성 침전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cup designed not to overflow the beverage contained therein even when shaken by external vibration, etc., its configuration is formed with an open outlet for injecting or withdrawing the beverage on the upper convexly curved cup body The circumference of the cup opening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the contained beverage by shaking the cup body, and the small amount of the drink containing the precipitate always remains in the cup body when the cup body is inclined to be inges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tructure of the curved periphery rolled in an arc toward the insid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case where the cup body is shaken and the drinking water to flow out to the outside is connected with the curved shape of the cup body The downward arc shape of the curved periphery, Accordingly, since the beverage is stabilized while turning, the overflow of the beverage can be prevented remarkably, and even when the cup body is inclined to be picked up, the remaining beverage always remains inside the curved periphery, thereby filtering the harmful deposits contained in the beverage. It is effective to promote health.

Description

안전 컵{Safety cup}Safety cup {Safety cup}

본 고안은 음료수를 담거나 취음하기 위한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진동 등에 의한 흔들림에도 내부에 수용된 음료수가 넘치지 않고, 컵을 기울여 취음시 사용자가 마지막 순간의 소량 음료수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성 침전물을 섭취하지 않도록 하여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며, 파지가 용이하도록 개량된 안전 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for holding or drinking a drink, and more particularly, the drink contained inside does not overflow even when shaken by an external vibration,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cup that can be improved in health by preventing ingestion of sediment and is easily gripped.

일반적인 종래의 컵들은 음료수를 일정량 수용하거나 또는 수용되어 있는 음료수를 상부에 개방된 취출구를 통해 취음할 수 있도록 된 용기 형상의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를 쉽게 파지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손잡이로 이루어져 있다.Conventional conventional cups are made up of a container-shaped cup main body which can receive a certain amount of beverage or drink the accommodated beverage through an outlet opening at the top, and a handle for easily grasping the cup main body. have.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컵들은 컵 본체의 직경에 비해 그 취출구가 큰 직경으로 확대되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컵 본체와 취출구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항아리 형상으로 상기 취출구가 다소 좁아지는 형태의 구조를 이루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취출구의 둘레는 컵 본체의 하단부에 비해 두께가 상당히 얇아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Conventional cups as described above are expanded to a larger diameter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cup body to maintain the open state, the diameter of the cup body and the outlet is kept constant, or the outlet is somewhat narrow in the shape of a jar Most of them form a structur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outle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is considerably thinner than the lower end of the cup body.

또한, 상기 컵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는 대략 인체의 귓바퀴와 같은 원호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주로 엄지와 인지를 사용하여 파지하게 되고, 중지의 마디 부분으로 손잡이 하단부를 받쳐 컵을 들어올리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up body is formed in an arc shape, such as the auricle of the human body, is mainly gripped by using the thumb and finger, and the lower part of the handl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to lift the cup hav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컵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첫째, 컵 본체 상부의 취출구 둘레가 컵 본체로부터 대략 일자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부주의하여 컵을 조금이라도 기울이거나 또는 외부 진동 등에 의해 컵 본체가 흔들리게 되면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음료수가 쉽게 유출되어 옷을 버리거나 실내 바닥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그것이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cup structures have had various problems as follows. First, since the circumference of the outle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body extends approximately in a straight line form from the cup body, if the user inadvertently inclines the cup a little or shakes the cup body due to external vibration, the water contained in the cup is easily spilled. It is a problem that throws away or contaminates indoor floors.

둘째, 종래의 컵은 상기한 바와 같은 취출구 둘레의 형상에 의해, 특히 커피나, 티백 등에 담겨 있는 홍차, 녹차 등의 엽차류를 달여 취음할 때 그 마지막 순간, 컵 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유해한 미세 침전물까지도 섭취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Secondly, the conventional cup has a harmful fine precipitate that sinks to the bottom of the cup at the last moment when it is ingested by the shape of the above-mentioned outlet, especially tea, such as black tea and green tea contained in coffee, tea bags, etc.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only be ingested.

셋째, 상기 취출구의 둘레는 컵 본체의 하단부에 비해 두께가 상당히 얇아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타 물체와 부딪혀 충격을 받았을 때 상기 취출구 둘레부터 쉽게 파손되는 취약성의 문제점이 있었다.Third, since the circumference of the outle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is considerably thinner than that of the lower end of the cup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of vulnerability that is easily broken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outlet when it is impacted by another object.

넷째, 종래의 컵의 손잡이는 주로 엄지와 인지를 사용하여 파지하게 되고 중지의 마디 부분으로 손잡이 하단부를 받쳐 컵을 들어올리도록 되어 있어 기능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지 못하므로 컵 본체의 파지가 매우 불안정하고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지탱하는데 비교적 큰 힘이 소모되는 불편함이 있었다.Fourth, the grip of the conventional cup is mainly held by using the thumb and cognitive, and the bottom of the handle is supported by the node of the middle of the handle to lift the cup, so that the grip of the cup body is very unstable and unnatural. Not only was it uncomfortable, but relatively large force was consumed to support i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 진동 요인에 의해 컵 본체가 흔들릴 경우에 내부의 음료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음료수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고, 컵 본체를 기울여 취음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취음 종료 순간의 소량의 음료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성 침전물을 물리적으로 여과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안전 컵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prevent the overflow of the beverage by implementing a stable structure that does not spill the beverage inside when the cup body is shaken by external vibration factor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cup capable of preventing and physically filtering harmful deposits contained in a small amount of drinking water at the moment of ingestion even when the cup body is inclined to drink.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파손되기 쉬운 취출구 둘레를 보강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보다 견고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안전 컵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cup that can be used more robust and long-term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be reinforced to support the periphery of the outlet that is easy to break.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컵 본체의 파지가 매우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파지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 구조를 갖는 안전 컵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cup having a handle structure that can be gripped by the cup body very easily and stabl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의 음료수 넘침 방지구조 및 파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drinking water overflow prevention structure and gripping structure of the 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에 음료수를 담아 취음할 때 음료수 내에 함유된 미량의 침전물이 유출되지 않고 컵 본체 내에서 잔류하게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of use for explaining a structure in which a small amount of sediment contained in the beverage remains in the cup body without being spilled when drinking the beverage in the 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음료수 2 ; 침전물One ; Drinking water 2; precipitate

10 ; 컵 본체 11 ; 취출구10; Cup body 11; Outlet

12 ; 만곡주연부 20 ; 손잡이12; Curved periphery 20; handle

21 ; 받침턱 22 ; 굴곡부21; Base jaw 22; Ben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컵 본체 상부에 음료수를 주입하거나 취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취출구가 형성되고, 컵 본체의 흔들림에 의한 수용 음료수의 넘침을 방지함과 아울러 컵 본체를 기울여 취음할 때 침전물을 함유하고 있는 소량의 음료수가 항상 상기 컵 본체 내에 잔류할 수 있도록 상기 취출구의 둘레가 상기 컵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말려 들어간 만곡주연부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pening is formed so that the inlet or outlet to drink water in the upper convexly curved cup body, the receiving of the drinking water by shaking the cup body The curved periphery of the outlet is rolled in an arc shap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up body so that a small amount of drink containing precipitates always remains in the cup body when the cup body is tilted and ingested while preventing the overflow.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structure.

또한, 상기 컵 본체의 외주 일측에는 그 컵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대략 원호형의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에는 그 내주쪽으로 인지를 삽입함과 아울러 그 외주쪽으로 엄지를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중간부 외측에는 중지를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받침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cup body is formed integrally with a circular arc-shaped handle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up body, and inserts the perception toward the inner circumference toward the upper end of the handle and the thumb reliably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A bent portion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on-slip, and a support jaw protruding from the middle of the handle to support the stop is form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컵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afety cu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의 구조 및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의 음료수 넘침 방지구조 및 파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에 음료수(1)를 담아 취음할 때 음료수(1) 내에 함유된 미량의 침전물(2)이 유출되지 않고 컵 본체(10) 내에서 잔류하게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1 to 3 are shown to explain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inking water overflow prevention structure of the 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grip structure, FIG. 3 is a cup body 10 without spilling a small amount of sediment 2 contained in the beverage 1 when the beverage 1 is contained in the 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tate of use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remaining in the inside are shown.

상기 도면중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항아리형의 컵 본체(10) 상부에 음료수(1)를 주입하거나 취출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으로 개방된 원형의 취출구(11)가 형성되고, 컵 본체(10)의 흔들림에 의한 수용 음료수(1)의 넘침을 방지함과 아울러 컵 본체(10)를 기울여 취음하는 경우에 각종 엽차 등을 달여 마실 때 발생하는 유해성 침전물(2)을 함유하는 소량의 음료수(1)가 항상 상기 컵 본체(10) 내에 잔류할 수 있도록 상기 취출구(11)의 둘레가 상기 컵 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말려 들어간 만곡주연부(12)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of the drawings, the 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to a diameter sufficient to inject or take out the beverage 1 onto the cup body 10 of the jar-shaped convexly curved outwardly. Rounded spout 11 is formed and prevents overflow of the accommodated beverage 1 by shaking the cup main body 10, and when the cup main body 10 is inclined to drink the various tea, etc. The circumference of the outlet 11 is circularly arced toward the inside of the cup body 10 so that a small amount of beverage 1 containing the generated hazardous precipitate 2 always remains in the cup body 10. It consists of a structure which forms the curved peripheral part 12 rolled up.

여기서, 상기 만곡주연부(12)는 컵의 자체 강도를 보강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고 파손의 우려가 적은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Here, the curved periphery 12 is to form a structure that is more robust and less likely to be damaged by enabling to support the strength of the cup itself.

또한, 상기 컵 본체(10)의 외주 일측에는 그 컵 본체(10)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대략 원호형의 손잡이(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up body 10, a substantially arcuate handle 20 extend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cup body 10 is integrally formed.

즉, 상기 손잡이(20)의 상단부에는 그 내주쪽으로 인지를 삽입함과 아울러 그 외주쪽으로 엄지를 밀착시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략 V자형의 굴곡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0)의 중간부 외측에는 중지를 받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받침턱(2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That is, an approximately V-shaped bent portion 2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20 so as to insert a seal toward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and to keep the thumb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ce so that the thumb does not slip,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handle 20 is formed. On the outside, a support jaw 21 which protrudes from the support of the stop is formed.

상기 받침턱(21)은 그 단부가 상방으로 약간 올라간 형상의 오목홈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중지 하부가 원활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ing jaw 21 preferably forms a concave groove whose shape is slightly raised upwardly so that the user's lower stop can be smoothly caught.

이와 같은 외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의 음료수 넘침 방지 원리, 침전물(2)의 여과 원리 및 안정적 파지 원리를 상기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rinking water overflow prevention principle, the filtration principle of the sediment 2, and the stable gripping principle of the 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such an external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음료수 넘침 방지 원리를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본체(10)의 내측으로 말려 들어간 만곡주연부(12)의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컵 본체(10)가 흔들려 내부의 음료수(1)가 외부로 유출되려 하는 경우에는, 컵 본체(10)의 만곡 형상과 연하여 취출구(11) 쪽에서 그 내측으로 말려 들어간 만곡주연부(12)의 하향 원호형상을 따라서, 요동치던 음료수(1)가 컵 본체(1)의 내측 중심 쪽으로 소용돌이치면서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만곡주연부(12)의 유도에 의해 수차례 선회를 반복하면서 요동 현상이 점차 감쇄되어 음료수(1)의 거동이 안정화되므로 유출되려던 음료수(1)의 넘침을 자연스럽게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rst, the principle of the beverage overflow pre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is made by the structure of the curved peripheral portion 12 is rolled into the cup body 10. That is, when the cup main body 10 is shaken and the drink 1 inside is about to flow out, the curved periphery 12 which is rolled inward from the outlet 11 in connection with the curved shape of the cup main body 10. Along with the downward arc shape of the wobbled drink 1, the wobbled drink 1 swirls toward the inner center of the cup body 1 and falls, and the wobble phenomenon is gradually reduced while repeatedly turning several times by the induction of the curved periphery 12. Since the behavior of the beverage 1 is stabilized, it is possible to naturally suppress the overflow of the beverage 1 to be spilled.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유해성 침전물(2)의 여과 원리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본체(10)를 점진적으로 기울여 취음하는 경우에는, 상기 만곡주연부(12)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그 내측으로 항상 잔여 음료수(1)가 머무르게 되고, 상기 침전물(2)은 그 음료수(1)의 바닥 쪽으로 침전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음료수(1)에 함유된 침전물(2)을 잔류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여과 원리에 의해 침전물(2)이 없는 맑은 음료수(1)만은 선택적으로 취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explaining the filtration principle of the hazardous precipitat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cup body 10 is gradually tilted and blown, due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curved peripheral portion 12 The remaining beverage 1 always stays therein, and the precipitate 2 remains precipitated toward the bottom of the beverage 1 so that the precipitate 2 contained in the beverage 1 remains.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ively drink only the clear drink 1 without the precipitate 2 by this filtering principle.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파지 원리를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에 엄지 및 인지를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굴곡부(22)와, 중지를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받침턱(21)이 형성되어 지렛대의 원리와 같이 지탱할 수 있으므로 파지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즉, 엄지와 인지의 접촉점인 굴곡부(22)를 지렛대의 축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받침턱(21) 위치에서의 중지가 컵 본체(10)쪽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아주 적은 힘으로도 컵 본체(10)를 매우 쉽고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explaining the gripping princi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bent portion 22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umb and cognitive stably to the handle 20, and the support jaw that can support the stop ( 21) can be formed and supported as the principle of the lever, so gripping is very easy. That is, by using the bent portion 22, which is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humb and the perception, as the axial support point of the lever, the stop a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jaw 21 acts to push up the cup main body 10 so that the cup main body (with a very small force) 10) will be very easy and stable gripp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컵에 의하면, 외부 진동 등의 요인에 의해 컵 본체가 흔들려 내부의 음료수가 외부로 유출되려 하는 경우에 있어서 컵 본체의 만곡 형상과 연하여 취출구 쪽에서 그 내측으로 말려 들어간 만곡주연부의 하향 원호형상을 따라 음료수가 선회하면서 안정화되므로 음료수의 넘침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고, 컵 본체를 기울여 취음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만곡주연부의 내측으로 항상 잔여 음료수가 머무르게 되므로 상기 음료수에 함유된 유해성 침전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afety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p main body is shaken due to factors such as external vibration and the drink is to flow out to the outside, it is connected to the curved shape of the cup main body and rolled inward from the outlet side. The drinking water is stabilized while turning along the downward arc shape of the curved periphery of the curved periphery of the curved periphery, so that the drink can be significantly prevented from overflowing. It is effective to promote the user's health by filtering the harmful precipitates.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만곡주연부에 의해 컵의 자체 강도가 보강지지될 수 있으므로 보다 견고한 구조를 이뤄 파손의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ength of the cup itself can be reinforced by the curved periphery,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ore robust structure to minimize the risk of breakage and to use for a long time.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에 엄지 및 인지를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는 굴곡부와, 중지를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받침턱이 형성되어 지렛대의 원리와 같이 지탱할 수 있으므로 파지가 매우 용이하고, 이러한 구조적 특성에 의한 물리적인 작용으로 인하여 컵의 중량에 비해 현저히 감량된 느낌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매우 적은 힘만으로 안정되게 컵을 들어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nt portion that can stably close the thumb and the perception on the handle, and the support jaw that can support the middle stop is formed and can be supported as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e gripping is very easy, such a structural Due to the physical action by the characteristics, not only gives a significantly reduced feeling compared to the weight of the cup,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actually lifting the cup stably with very little force.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can be referred to as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devis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Such equivalent embodiments are also to be seen as included with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quite natural.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2)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컵 본체 상부에 음료수를 주입하거나 취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취출구가 형성되고, 컵 본체의 흔들림에 의한 수용 음료수의 넘침을 방지함과 아울러 컵 본체를 기울여 취음할 때 침전물을 함유하고 있는 소량의 음료수가 항상 상기 컵 본체 내에 잔류할 수 있도록 상기 취출구의 둘레가 상기 컵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말려 들어간 만곡주연부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컵.An open air outlet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up body which is curved outwardly to inject or take out the drink, and prevents the overflow of the accommodated drink by shaking the cup body, and contains a precipitate when the cup body is tilted and ingested. The safety cu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tructure of the curved periphery of the spout circumferentially woun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up main body so that a small amount of beverage is always remaining in the cup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컵 본체의 외주 일측에는 그 컵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대략 원호형의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에는 그 내주쪽으로 인지를 삽입함과 아울러 그 외주쪽으로 엄지를 안정적으로 밀착시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중간부 외측에는 중지를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받침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컵.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up body is formed integrally with an arc-shaped handle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cup body. A bent portion is formed so as not to slip, and the safety cup,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jaw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middle of the handle to support the stop.
KR2020010004650U 2001-02-22 2001-02-22 Safety cup KR20024176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650U KR200241762Y1 (en) 2001-02-22 2001-02-22 Safety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650U KR200241762Y1 (en) 2001-02-22 2001-02-22 Safety c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762Y1 true KR200241762Y1 (en) 2001-10-06

Family

ID=7306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650U KR200241762Y1 (en) 2001-02-22 2001-02-22 Safety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76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53Y1 (en) * 2014-02-06 2015-03-09 오재민 Prevention device for overflow of drink using surface tension and vorte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53Y1 (en) * 2014-02-06 2015-03-09 오재민 Prevention device for overflow of drink using surface tension and vorte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699A (en) Drinking cup and lid
US20080061069A1 (en) Drink cup lid
AU2009267720B2 (en)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US6126024A (en) Convertible cup for vacuum bottle
US8757425B2 (en) Beverage container
RU2005106273A (en) NON-SPILLING DRINKERS
WO2001062614A1 (en) Bottle holder
US5367775A (en) Skimming ladle
AU2007216928B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device
US6360912B1 (en) Straw having valve function
US4428490A (en) Drinking vessel with integral straw
CA3160263A1 (en) Bottle
KR200241762Y1 (en) Safety cup
CA2137885C (en) Mug and lid combination
US5325546A (en) Hand held spittoon
WO2010020598A1 (en) Attachment for a cup
US20090065510A1 (en) Plate for Eating While Standing Up
CN209932278U (en) Drinking cup
US20040232714A1 (en)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 liquid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JP2020158120A (en) Beverage container
US20080011164A1 (en) Cooking pan
KR200493052Y1 (en) Cup cover
KR200290736Y1 (en) Beer cup
CN210055527U (en) Cup with cup cover placing frame
JP3200500U (en) Plastic bottle sto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