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070Y1 - lane perceive equipment - Google Patents

lane perceive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070Y1
KR200241070Y1 KR2020010010931U KR20010010931U KR200241070Y1 KR 200241070 Y1 KR200241070 Y1 KR 200241070Y1 KR 2020010010931 U KR2020010010931 U KR 2020010010931U KR 20010010931 U KR20010010931 U KR 20010010931U KR 200241070 Y1 KR200241070 Y1 KR 200241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support plate
hemisphere
ground
lane recog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9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 희 원
Original Assignee
백 희 원
대성산업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 희 원, 대성산업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 희 원
Priority to KR2020010010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07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070Y1/en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 또는 악천우시에 운전자가 도로의 차선을 정확하게 인식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선에 설치되는 차선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형의 구슬 하부에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코팅하여 차량의 빛을 반사시키도록 하는 차선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recognizer installed in a lane so that a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a lane of a road at night or in bad weather, and in particular, reflects a vehicle's light by coating a reflective film reflecting light under a spherical bead. To a lane recognizer.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된 지지판(20); 상기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 및 상기 지지판(20)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고정체(40)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or more reflectors 10 including an upper hemisphere 11 protruding onto the groun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sphere and a lower hemisphere 12 inserted into the ground to allow the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to be reflected therein. ); A support plate 20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a bonding surface of the upper hemisphere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to support the one or more reflectors 10; Reflecting film 30 for reflecting the light is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emisphere 12 and the support plate 20; And a fixing body 40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20 to fix and support the ground.

따라서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차선, 주행차선, 도로 갓길, 중앙 분리대, 옹벽, 등반 차선 및 안전 지대 등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든 지면과 벽면에 설치 가능하고, 별도의 전기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제조비가 적게 들고, 돌출된 부분이 적어 도로의 제설 작업이나 정비 작업시 파손이 적고, 주행선에 설치시 차선을 넘는 경우 돌출 부분이 있어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안전 운전에 도움을 주고, 야간이나 야간의 우천시에도 차선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all grounds and walls to indicate the state of the road, such as the center lane, driving lane, road shoulder, center divider, retaining wall, climbing lane, and safety zone of the road, and a separate electric device is not necessary.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ithout manufacturing costs, and it has less protruding parts, so there is less damage during snow removal or maintenance work on the road, and when it is over the lane when it is installed on the driving line, i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driver because it has a protruding part. It is helpful and can easily recognize the lane even in rainy weather at night or at night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Description

차선 인식기{lane perceive equipment}Lane perceive equipment

본 고안은 야간 또는 악천우시에 운전자가 도로의 차선을 정확하게 인식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선에 설치되는 차선 인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형의 구슬 하부에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코팅하여 차량의 빛을 반사시키도록 하는 차선 인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recognizer installed in a lane so that a driver can accurately recognize a lane of a road at night or in bad weather, and in particular, reflects a vehicle's light by coating a reflective film reflecting light under a spherical bead. To a lane recognizer.

종래의 차선 인식기는 LED를 이용하며 도로면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었다.Conventional lane recognizers are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road surface using LEDs.

즉, 종래의 차선 인식기(1)는 도 1a 및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LED(2) 를 두고 지면에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지면과 접하는 정면에서만 빛이 발산되도록 하였다. 다시말해서 종래의 차선 인식기(1)는 운전자가 주행하면서 차선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정면에 LED(2)가 설치되어 상부의 평면이 아닌 정면으로만 빛이 발산될 뿐 만 아니라 정면의 LED(2)로 빛이 방출될 수 있도록 지면에서 약 3cm 정도 돌출되어 설치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lane recognizer 1 is installed to protrude on the ground with the LED 2 inside as shown in FIGS. 1A and 1B so that light is emitted only from the fron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lane recognizer 1 has an LED 2 installed at the front side so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lane while driving, and the light is not only emitted at the front side but the front side, but also the LED 2 at the front side. It is installed to protrude about 3cm from the ground so that light can be emitted.

그러므로 종래의 차선 인식기는 빛이 정면에서만 방출되어 지면에서 돌출되게 설치해야 하므로 중앙선에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설 작업이나 기타 도로 정비 작업시 돌출된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lane recognizer may be installed only at the center line because light is emitted only from the front and protrudes from the groun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truding part is damaged during snow removal or other road maintenance work.

또한, 종래의 차선 인식기는 LED를 사용하여 야간에만 점등되도록 하므로 LED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 장치, 예를 들면 솔라셀 및 점등과 소등을 위한 조도 감지기가 설치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차선 인식기는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lane recognizer is to be turned on at night using the LED, a separate electric device for driving the LED, for example, a solar cell and an illuminance detector for turning on and turning off the light must be install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lane recognizer has a problem that the failure is not only complicated in structure but also easily.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행하는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켜 차선을 정확히 인식시켜 주기 위한 차선 인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roving the problem is to provide a lane recognizer for accurately recognizing the lane by reflecting the light of the vehicle driving.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면에 돌출되는 부분을 적게 하여 중앙선 뿐만 아니라 주행선에도 설치하여 운전자가 야간 또는 악천우에도 쉽게 차선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제설 및 도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차선 인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ne recognizer for reducing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ground to be installed not only in the center line but also in the driving line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lane at night or in bad weather, and to facilitate snow removal and road work.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전기 장치없이 주행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키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선 인식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e recognizer for semi-permanent use because it reflects the light of the traveling vehicle without a separate electric device.

도 1a는 종래의 차선 인식기의 사시도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lane recognizer

도 1b 는 종래의 차선 인식기의 정면도1B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lane recognizer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의 사시도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의 평면도6B is a plan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저면도7a and 7b is a bottom view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사용 상태도8A, 8B, and 8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반사구 11 : 상부 반구10: reflector 11: upper hemisphere

12 : 하부 반구 13 :평면12: lower hemisphere 13: plane

20 : 지지판 21 : 요철 돌기20: support plate 21: uneven protrusions

30 : 반사막 40 : 고정체30: reflecting film 40: fixture

41 : 측면 고정부 42 : 핀구멍41: side fixing part 42: pin hole

43 : 하부 고정봉 50 : 지지대43: lower fixing rod 50: support

100 : 제2 실시예 110 : 제3 실시예100 Second Embodiment 110 Third Embodiment

120 : 제4 실시예 130 : 제5 실시예120: Fourth Embodiment 130: Fifth Embodiment

140 : 제6 실시예140: sixth embodi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와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와 하부 반구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된 지지판; 상기 하부 반구와 지지판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 및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고정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one or more reflectors including an upper hemisphere protruding on the groun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sphere and a lower hemisphere inserted into the ground to allow the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to be reflected therein; A support plat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a bonding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hemispheres to support the one or more reflectors; Reflecting film for reflecting the light is deposited on the lower hemispher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it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provides a lane recognizer comprising a fixed body for fixing and supporting on the groun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b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a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b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a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b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a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b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저면도이고, 도 8a, 도 8b, 및 도 8c 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사용 상태도이다.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xth embodiment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sixth embodiment of a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bottom views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8B, and 8C are state diagrams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도2, 도3, 도4,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된 지지판(20); 및 상기 지지판(20)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고정체(40)로 이루어진다.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emisphere 11 protruding on the groun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sphere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is reflected and introduced as shown in FIGS. 2, 3, 4, and 5. One or more reflectors 10 consisting of a lower hemisphere 12 inserted into the ground; A support plate 20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a bonding surface of the upper hemisphere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to support the one or more reflectors 10; And a fixing body 40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20 to fix and support the ground.

이때, 상기 반사구(10) 및 지지판(20)을 제조시 안료나 형광 안료를 포함하여 제조하게 되면 차선 인식기는 안료의 색깔로 빛을 발하게 되어 운전자의 인지를 도울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reflector 10 and the support plate 20 are manufactured to include a pigment or a fluorescent pigment, the lane recognizer may emit light in the color of the pigment to help the driver.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도 2, 도 3,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지지판(20), 및 고정체(40)에 상기 하부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 3, 4, and 5, the lower hemisphere in one or more of the reflector 10,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fixed body 40 12 and a reflecting film 30 for reflecting the light which is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is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하부 반구(12)는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판(20)은 빛의 반사를 원활히 하기 위해 저면을 부식시켜 다수의 요철 돌기(21)를 형성한다.Here, the lower hemisphere 12 is slightly larger in diameter than the upper hemisphere 11, the support plate 20 forms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protrusions 21 by corroding the bottom surface to facilitate the reflection of light. .

또한, 상기 고정체(40)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0)의 측면에 형성되어 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핀구멍(42)이 형성된 측면 고정부(41)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xing body 40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20, as shown in Figure 2 is made of a side fixing portion 41 formed with a pin hole 42 to be fixed with a pin, or I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consists of a lower fixing rod 43 is fixed to the ground.

또한, 상기 상부 반구(11) 및 하부 반구(12)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작은 평면(13)이 조합되어 반구의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upper hemisphere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mall planes 13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 as shown in FIG. 6 to have a hemisphere shape.

또한, 상기 지지판(20)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에 강하도록 저면에 방사선 모양의 지지대(50)를 형성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support plate 20 forms a support 50 having a radial shape on the bottom thereof to be strong against impact.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변형 및 파손이 없도록 충격에 강하도록 만들어진 특수 플라스틱이나 특수 유리로 투명하게 제작하며, 반사막(30)은 수은, 크롬, 또는 형광 안료를 증착하여 형성하므로써 빛의 반사 효과를 증대시킨다.Meanwhile,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parently made of a special plastic or a special glass made to be resistant to impact so that there is no deformation and damage, and the reflective film 30 is formed by depositing mercury, chromium, or fluorescent pigment to reflect light. Increase the effect

또한, 상기 반사구(10)는 원하는 색, 즉 법으로 정한 색, 예를 들면 흰색이나 노란색의 안료를 섞어 제작하므로써 운전자의 인식을 도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lector 10 may help the driver's recognition by mixing a pigment of a desired color, that is, a color determined by a law, for example, white or yellow.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구조 및 작용을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3, 4, 5, 6, and 7.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1 실시예는 도2, 도3, 도4,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된 지지 판(20); 및 상기 지지판(20)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고정체(40)로 이루어진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portion projecting on the groun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sphere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as shown in Figures 2, 3, 4, 5 One or more reflectors 10 consisting of a hemisphere 11 and a lower hemisphere 12 inserted into the ground; A support plate 20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a bonding surface of the upper hemisphere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to support the one or more reflectors 10; And a fixing body 40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20 to fix and support the ground.

즉,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1 실시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 지지판(20), 및 고정체(40)가 일체로 이루어지는데, 강화 유리 또는강화 합성 수지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이 헤드라이트를 켜고 진행하게 되면 빛이 반사되어 차선의 위치를 알려 주게 된다.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reflectors 10,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fixed body 40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is made of tempered glass or reinforced synthetic resin. As the vehicle turns on the headlights and proceeds, the light is reflected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lane.

이때, 상기 반사구(10) 및 지지판(20)을 제조시 안료나 형광 안료를 포함하여 제조하게 되면 차선 인식기는 안료의 색깔로 빛을 발하게 되어 운전자의 인지를 도울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reflector 10 and the support plate 20 are manufactured to include a pigment or a fluorescent pigment, the lane recognizer may emit light in the color of the pigment to help the driver.

또한, 빛의 원활한 반사를 위해 상기 하부 반구(12)는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20)은 빛의 반사를 원활히 하기 위해 저면을 부식시켜 다수의 요철 돌기(21)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hemisphere 12 may be slightly larger in diameter than the upper hemisphere 11 for smooth reflection of light, and the support plate 20 corrodes a bottom surface to smoothly reflect light. The protrusion 21 can be formed.

즉,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1 실시예는 차량의 헤드 라이트 불빛을 지지판(20)의 요철 돌기(21)와 반사구(10)에서 반사시켜 차선의 위치를 인지시킬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lane may be recognized by reflecting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from the uneven protrusion 21 and the reflector 10 of the support plate 20.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100)는 도2a 및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져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하나의 반사구(10), 상기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저면이 부식되어 형성된 다수의 요철 돌기(21)가 빛의 반사 효과를 배가시키는 지지판(20), 상기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 및 상기 지지판(20)의 측면에 형성되어 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핀구멍(42)이 형성된 측면 고정부(41)로 이루어진 고정체(40)로 이루어진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100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portion protruding on the groun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sphere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is introduced and reflected One reflector 10 consisting of a hemisphere 11 and a lower hemisphere 12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upper hemisphere 11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the upper hemisphere 11 to support the reflector 10.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joint surface of the lower hemisphere 12 and a plurality of uneven protrusions 21 formed by corrosion of the bottom surface double the reflection effect of light, the lower hemisphere 12 and the support plate 20 A reflection film 30 for reflecting light deposited and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and a side fixing portion 41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and having a pin hole 42 formed thereon so as to be fixed by a pin. It consists of the fixed body 40.

또한, 상기 고정체(40)는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 즉 반사구(10)의 저면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ody 40 may be formed of a lower fixing rod 43 which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20, that is, the bottom center of the reflector 10, and is fixed to the grou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100)는 하나의 투명한 반사구(10)를 갖는 것으로,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를 나열하여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차선의 주변에 설치하여 차선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하여 도로의 상태, 즉 커브길 등을 표시할때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mbodiment 100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transparent reflector 10, and when a plurality of lanes are used as shown in FIG. 8A, for example, a lane It can be used when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to be able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lane, can be used to display the state of the road, that is, the curve road, such as installed on the wall as shown in Figure 8c.

차선 인식기의 제2 실시예(100)는 도 2a 및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뿐만 아니라 벽면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핀구멍이 형성된 측면 고정부(41)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100 of the lane recognizer,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side fixing portion 41 having a pinhole is formed to be installed on the wall as well as the ground.

따라서 핀구멍(42)에 핀을 박아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하부 고정봉(43)이 형성된 경우에는 지면에 하부 고정봉(43)을 박아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pin hole 42 may be pinned to the wall surface, and when the lower fixing rod 43 is formed, the lower fixing rod 43 may be driven to the ground.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110)는 도3a 및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져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2개 내지 4개의 반사구(10), 상기 2개 내지 4개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2개 내지 4개의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저면이 부식되어 형성된 다수의 요철 돌기(21)가 빛의 반사 효과를 배가시키는 지지판(20), 상기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 및 상기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진다.Next, the third embodiment 110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portion projecting on the groun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sphere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as shown in Figures 3a and 3b is introduced and reflected Two to four reflectors 10, the two to four reflectors 10 consisting of the hemisphere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is slightly larger than the upper hemisphere 11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In order to support the plurality of uneven protrusions 2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joining surface of the two to four upper hemispheres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and the bottom surface is corroded to double the light reflection effect ( 20), a reflective film 30 for reflecting light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emisphere 12 and the support plate 20, and a lower fixing par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ground It consists of a rod 4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110)는 2개 내지 4개의 반사구(10)를 지지판(20)에 균일하게 분포시킨 것으로,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선을 확실하게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차선의 양단에 설치하여 차선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하여 도로의 상태, 즉 커브길 등을 표시할때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ird embodiment 110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two to four reflectors 10 evenly on the support plate 20, and as shown in FIG. If it is necessary to display it, for example, it can be used when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ane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ane, as shown in Figure 8c to install on the wall surface of the road, that is, curve road, etc. Can be used to indicate

차선 인식기의 제3 실시예(110)는 도 3a 및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하부 고정봉(43)을 박아 사용할 수 있다.The third embodiment 110 of the lane recognizer can be used by driving the lower fixing rod 43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ure 3a and 3b.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120)는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져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반사구(10), 상기 다수개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다수개의 상부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저면이 부식되어 형성된 다수의 요철 돌기(21)가 빛의 반사 효과를 배가시키는 지지판(20), 상기 하부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 및 상기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진다.Next, the fourth embodiment 120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pper portion projecting on the groun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sphere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as shown in Figures 4a and 4b is introduced and reflected A plurality of reflectors 10 consisting of a hemisphere 11 and a lower hemisphere 12 inserted into the ground is slightly larger than the upper hemisphere 11, the plurality of upper portions to support the plurality of reflectors 10 Support plate 2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joining surface of the hemisphere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the plurality of uneven protrusions 21 formed by corrosion of the bottom surface doubles the reflection effect of light, the lower hemisphere 12 And a reflective film 30 for reflecting the light that is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and a lower fixing rod 4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grou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120)는 다수개, 즉 5개 이상의 반사구(10)를 지지판(20)에 균일하게 분포시킨 것으로, 평면을 사각형 뿐 만 아니라 원형으로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ourth embodiment 120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a plurality of, that is, five or more reflectors 10 uniformly on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plane is not only rectangular but also circular. You can also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120)는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선을 확실하게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중앙선이나 실선에 해당하는 주행선에 설치하여 차선의 위치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하여 도로의 상태, 즉 커브길 등을 표시할때 사용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120)는 많은 양의 제1 실시예(100)를 인접해서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경우 설치시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In the fourth embodiment 120 of the lane recognizer, when it is necessary to reliably display a lane as shown in FIG. 8B, it is installed on a driving line corresponding to a center line or a solid line, for example, to reliab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ane. It can be used in the case of making it possible, and can be used to display the state of the road, that is, the curve road, etc. by installing on the wall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fourth embodiment 120 of the lane recognizer is used to reduce the hassle when installing a large amount of the first embodiment 100 adjacently.

차선 인식기의 제4 실시예(120)는 도 4a 및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하부 고정봉(43)을 박아 사용할 수 있다.The fourth embodiment 120 of the lane recognizer can be used by driving the lower fixing rod 43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ure 4a and 4b.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130)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져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반사구(10)를 일렬로 나열한 것으로, 상기 다수개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다수개의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저면이 부식되어 형성된 다수의 요철 돌기(21)가 빛의 반사 효과를 배가시키는 지지판(20), 상기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 및 상기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진다.Next, the fifth embodiment 130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hemisphere 11 protruding on the groun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sphere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as shown in FIG. ) And a plurality of reflectors 10 arranged in a row, the lower hemispheres 12 being slightly larger in diameter than the upper hemispheres 11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the plurality of reflectors 10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reflectors 10. The support plate 2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joining surface of the upper hemispheres 11 and the lower hemispheres 12 and the bottom surface is corroded to support the light reflecting effect of the light, the lower hemisphere ( 12) and a reflective film 30 for reflecting the light which i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20, and a lower fixing rod 4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20 a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groun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130)는 다수개, 즉 5개 이상의 반사구(10)를 지지판(20)에 일렬로 균일하게 분포시킨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fth embodiment 130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that is, five or more reflectors 10 are uniformly distributed in a line on the support plate 20.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130)는 차선을 확실하게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실선에 해당하는 주행선에 설치하여 차선의 위치를 확실하게 인식할수 있도록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하여 도로의 상태, 즉 커브길 등을 표시할때 사용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130)는 많은 양의 제2 실시예(100)를 인접해서 일렬로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경우 설치시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The fifth embodiment 130 of the lane recognizer can be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reliably display a lane, for example, when it is installed on a driving line corresponding to a solid line to reliably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ane, FIG. 8C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used to display the state of a road, ie, a curve road, by installing on a wall. In other words, the fifth embodiment 130 of the lane recognizer is used to reduce the cumbersomeness when installing a large amount of the second embodiment 100 adjacent to each other.

차선 인식기의 제5 실시예(130)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하부 고정봉(43)을 박아 사용할 수 있다.The fifth embodiment 130 of the lane recognizer may be used by driving the lower fixing rod 43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140)는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반구(11) 및 하부 반구(12)를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작은 평면(13)을 조합하여 반구의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이다.Next, a sixth embodiment 140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mall planes in which the upper hemispheres 11 and the lower hemispheres 12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s shown in FIGS. 6A and 6B. (13) is combined to form a hemisphere.

즉, 차선 인식기의 제6 실시예(140)는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를 기본적으로 구형으로 형성하되, 다수의 작은 평면(13)을 조합하여 다수의 모서리를 형성한 것으로, 요철 돌기(21)가 형성된 지지판(20)을 형성하고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반사막(30)을 증착하고 고정체(40)를 형성하는 것은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That is, the sixth embodiment 140 of the lane recognizer is formed by basically forming the upper hemisphere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into a spherical shape, and combining a plurality of small planes 13 to form a plurality of corners. Forming the support plate 20 having the uneven protrusions 21, depositing the reflective film 3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emisphere 12 and the support plate 20, and forming the fixture 40 is the same as in the other embodiments.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도 7a 및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0)의 저면에 방사선 모양의 지지대(50)를 형성하여 차량이 지나가거나 제설 작업으로 충격이 가해져도 지지판(20)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Meanwhile,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upport 50 having a radial shape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20 as shown in FIGS. 7A and 7B, even when a vehicle passes or an impact is applied during snow removal. ) Is not broken.

즉, 지지판(20)의 저면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저면 원주연으로 이어지도록 방사선의 형태로 지지대(50)를 형성하면 지지판(20)의 상부에 어느 정도의 충격이 가 해지더라도 파손되지는 않는다.That is, when the support 50 is formed in the form of radiation to extend to the bottom circumference around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20, even if a certain impact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20, it will not be damaged.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제1 실시예, 즉, 반사구(10), 지지판(20), 및 고정체(40)로 이루어지는 차선 인식기는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구(10)를 하나, 또는 2개 내지 4개, 또는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지지판에 다수개의 반사구(10)를 형성한 경우, 또는 반사구(10)를 다수의 면으로 구성한 경우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lane recognizer including the reflector 10,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fixed body 40 is illustrated in FIGS. 2, 3, 4, 5, and 5. As shown in Fig. 6, one or two to four reflectors 10 are arranged in a row, or a plurality of reflectors 10 are formed on a rectangular support plate, or the reflectors 10 are It can be variously formed as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surfaces.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지지판(20)을 지면과 같은 높이로 설치하게 된다. 즉, 도2b, 도 3b, 도4b,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0)의 상부와 지면의 높이를 같도록 지면에 삽입하고 고정체(40)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킨다.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support plate 20 at the same height as the ground. That is, as shown in Fig. 2b, 3b, 4b, 5 is inserted into the ground so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ground is the same, and fixed to the ground using the fixing body 40 and the adhesive.

이때 설치 장소는 도 8a, 도 8b, 및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차선, 즉 중앙선이나 주행선, 도로 갓길표시, 중앙 분리대, 옹벽, 등반 차선 및 안전지대,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커브길 벽면, 등 도로의 차선과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모든 곳이 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place is a curve for displaying the lanes of the road, that is, the center line, the driving line, the road shoulder marking, the center separator, the retaining wall, the climbing lane and the safety zone, and the road as shown in FIGS. 8A, 8B, and 8C. Road walls, lights, etc. are everywhere to indicate lanes and conditions on the road.

이와 같이 원하는 곳에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헤드라이트를 켜고 주행하게 되면 구형으로 이루어진 상부 반구(11)와 하부반구(12)에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의 빛이 부딪혀 여러 각도로 부서지면서 발광을 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vehicle turns on the headlights while driving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of the headlights of the car collides with the spherical upper hemisphere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at various angles. It breaks and emits light.

즉, 헤드라이트의 빛은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을 통해 저면에 형성된 반사막(30)에서 반사되어 퍼지게 되고 이때 차선 인식기는 발광하게 된다. 또한, 지지판(20)의 요철 돌기(21)도 확대하여 보면 작은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에서 유입된 빛을 여러 각도로 반사시켜 발광하는 효과를 배가 시키게 된다.That is, the light of the headlight is reflected and spread from the reflective film 30 formed on the bottom through the upper hemisphere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and the lane recognizer emits light. In addition, since the uneven protrusion 21 of the support plate 20 is enlarged, it is made of a small hemispherical shape, thereby doubling the effect of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at various angles and emitting light.

한편, 상부 반구(11)가 하부 반구(12)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은 상부반구(11)로 유입되는 빛을 하부 반구(12)에서 충분히 받아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upper hemisphere 11 is formed smaller than the lower hemisphere 12 is to sufficiently receive the light entering the upper hemisphere 11 in the lower hemisphere 12 to reflect.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다른 부품이 전혀 부가되지 않으므로 1회 설치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other parts are not added at all.

즉, 기존에는 차선 도색을 한후 유리 가루를 뿌려 차량의 헤드라이트이 난반사되도록 하였으나 몇개월 후에는 유리 가루가 떨어지고 차선의 도색이 퇴색하여 재도색하여야 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도 8a 및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선이나 주행선을 포함하는 모든 차선에 설치하게 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past, after the lane painting, the headlights of the vehicle were diffusely reflected by spraying glass powder, but after several months, the glass powder fell and the painting of the lane had to be faded and repainted, but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8A and 8B. As shown in Figure 1, if installed in all lanes including the center line or the traveling line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또한, 비가 오는 야간에도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불빛을 반사시켜 차선의 위치를 알려 주므로 운전자가 차선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the headlights of the vehicle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lane even at rainy night, so the driv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lane.

즉, 비가 오는 야간의 경우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도로에 흡수되어 차선의 위치를 알 수 없지만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불빛을 반사하여 주므로 차선이 쉽게 구별된다.That is, in the case of a rainy night, the headlights of the car are absorbed by the road so that the location of the lane cannot be known, but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the light so that the lanes are easily distinguished.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중앙선에 설치된 종래의 차선 인식기와 달리 돌출되는 부분이 적어 도로의 제설 작업이나 정비 작업시에도 차선 인식기가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lane recognizer installed in the center line,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less protruded portions, so that the lane recognizer is not easily damaged even during snow removal or maintenance work on the road.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주행선에 설치하게 되면 반구형의 돌출부, 즉 돌출되는 상부 반구(11)로 인해 차선을 넘어갈때 운전자가 차선을 넘고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riving line, the driver may easily recognize that the driver is crossing the lane due to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that is, the upper hemisphere 11 protruding.

또한, 본 고안의 차선 인식기는 상부 반구(11)만이 돌출되어 있고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먼지나 흙이 부착되지 않아 별도의 청소 작업을 하지 않아도 차선인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because the lane recogn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upper hemisphere 11 is protruding and made of a hemispherical shape, the lane recognition can be made smoothly without any additional cleaning work because no dust or dirt is attach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선 인식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도로의 중앙차선, 주행차선, 도로 갓길, 중앙 분리대, 옹벽, 등반 차선 및 안전 지대 등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든 지면과 벽면에 설치 가능하다.First, it can be installed on all the ground and walls to indicate the state of the road, such as the middle lane of the road, driving lane, road shoulder, central divider, retaining wall, climbing lane and safety zone.

둘째, 별도의 전기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제조비가 적게 든다.Secondly, since a separate electric device is unnecessary,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ithout failure, and manufacturing cost is low.

셋째, 돌출된 부분이 적어 도로의 제설 작업이나 정비 작업시 파손이 적다.Third, there are few protruding parts, so there is little damage during road snow removal or maintenance work.

넷째, 주행선에 설치시 차선을 넘는 경우 돌출 부분이 있어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안전 운전에 도움을 준다.Fourth, when it is installed in the driving line is over the lane there is a projecting par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driver to help safe driving.

다섯째, 야간이나 야간의 우천시에도 차선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교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ifth, even in rainy weather at night or at night, lanes can be easily recognized,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Claims (9)

차량으로 부터 방출되는 빛이 유입되어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한 구의 형태로 지면 위에 돌출되는 상부 반구(11)와 지면에 삽입되는 하부 반구(12)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One or more reflectors 10 comprising an upper hemisphere 11 protruding onto the groun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sphere and a lower hemisphere 12 inserted into the ground to allow the light emitted from the vehicle to be reflected therein;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반사구(1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반구(11)와 하부 반구(12)의 접합면의 외주연에 투명하게 형성된 지지판(20);A support plate 20 formed transparently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nding surface of the upper hemisphere 11 and the lower hemisphere 12 to support the one or more reflecting holes 10; 상기 지지판(20)에 설치되어 지면에 고정 및 지지시키기 위한 고정체(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Lane recogniz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upport plate 20 made of a fixed body (40) for fixing and supporting on the grou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구(12)와 지지판(20)의 저면에 증착되어 유입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The lane recogniz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flecting film (30) for reflecting light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emisphere (12) and the support plate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구(10) 및 지지판(2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flector 10 and the support plate 20 제조시 안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Lane recogniz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gment is included in the manufactur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구(12)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hemisphere 12 is 상기 상부 반구(11)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Lane recogniz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s slightly larger than the upper hemisphere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late 20 빛의 반사를 원활히 하기 위해 저면을 부식시켜 다수의 요철 돌기(2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Lane recognize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lurality of projections (21) by eroding the bottom surface to facilitate the reflection of l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반구(11) 및 하부 반구(12)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hemispheres 11 and the lower hemispheres 12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작은 평면(13)이 조합되어 반구의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Lane recogniz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mall planes (13) in the form of a polygon is combined to have a hemisphe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ture 40 is 상기 지지판(20)의 측면에 형성되어 핀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핀구멍(42)이 형성된 측면 고정부(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Lane recogniz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20 is formed with a side fixing portion 41 is formed with a pin hole 42 to be fixed by a p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ture 40 is 상기 지지판(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고정봉(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Lane recogniz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the lower fixing rod 43 is inserted into the ground fix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late 20 충격에 강하도록 저면에 방사선 모양의 지지대(5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인식기.Lane recognizer,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upport 50 of the radiation shape on the bottom to resist the impact.
KR2020010010931U 2001-04-17 2001-04-17 lane perceive equipment KR20024107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931U KR200241070Y1 (en) 2001-04-17 2001-04-17 lane perceive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931U KR200241070Y1 (en) 2001-04-17 2001-04-17 lane perceive equip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808A Division KR20020078445A (en) 2001-04-09 2001-04-09 sand using snow remov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070Y1 true KR200241070Y1 (en) 2001-10-11

Family

ID=7309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931U KR200241070Y1 (en) 2001-04-17 2001-04-17 lane perceive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07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616487A (en) Ground walking signal machine
KR101958657B1 (en) Road Eye
KR200241070Y1 (en) lane perceive equipment
KR101281153B1 (en) The road sign refl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20078446A (en) lane perceive equipment
JP2018071240A (en) Apparatus for road safety
KR200411153Y1 (en) Warning light
KR20030025403A (en) Safety regulation post for lane
KR200396006Y1 (en) A Fixture for Road Line Marking
KR200271330Y1 (en) Road safety sign bottle with body
KR200153277Y1 (en) Road-line marking rod
KR100524764B1 (en) Retroreflective raised pavement marker
KR200359988Y1 (en) Road Marker Increases Retroreflectiveness
KR200238700Y1 (en) a luminous signpost
KR20090009848U (en) Road stud
KR200148352Y1 (en) Road-lane marking device
KR200263360Y1 (en) Road lane marker
KR102092505B1 (en) Safety stud
KR20180114790A (en) Rotary circular road marker
KR20000017885U (en) Driver Vision Incited Sign
KR101145338B1 (en) Road stud
KR200338479Y1 (en) A fixture for road lane marking
KR200272931Y1 (en) Indicator for Boundary Stone
JP3869422B2 (en) Marker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arker
KR200202339Y1 (en) Traffic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