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604Y1 - 줄넘기 대용 운동구 - Google Patents

줄넘기 대용 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604Y1
KR200240604Y1 KR2020010009210U KR20010009210U KR200240604Y1 KR 200240604 Y1 KR200240604 Y1 KR 200240604Y1 KR 2020010009210 U KR2020010009210 U KR 2020010009210U KR 20010009210 U KR20010009210 U KR 20010009210U KR 200240604 Y1 KR200240604 Y1 KR 200240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rod
rope
right operat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김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철 filed Critical 김재철
Priority to KR2020010009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6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604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크기의 운동구 본체에 모터의 작동으로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왕복 회전되는 회전봉을 회전속도와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회전봉이 지나갈 때 마다 걸리지 않도록 점프하므로서 줄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안출한 줄넘기 대용 운동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운동구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박스의 내부에 케이싱의 전후 레일에 끼워지는 장공과 회전유도공을 일정간격으로 관통시킨 좌우작동판 과, 좌우작동판의 장공에 끼워져 좌우작동판을 좌우 왕복 작동시키는 베어링과 편심캠을 축설한 회전용 모터와, 좌우작동판의 회전유도공에 끼워지는 베어링의 편심캠에 축착되어 좌우작동판의 좌우 왕복운동의 연동으로 정역 회전하는 정역회전봉과, 정역회전봉에 키와 키홈의 결합으로 동시 회전되게 관삽한 축수와, 축수의 연결간에 유착되어 전면 안내공을 통해 노출되는 회전봉으로 이루어지는 줄넘기 대용 운동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줄넘기 대용 운동구{Ropeskipping substitute sports equipnent}
본 고안은 일정한 크기의 운동구 본체에 모터의 작동으로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왕복 회전되는 회전봉을 회전속도와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회전봉이 지나갈 때 마다 걸리지 않도록 점프하므로서 줄넘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안출한 줄넘기 대용 운동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6911호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상품가치가 우수하도록 개량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줄넘기는 양손으로 줄의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켜 제자리에서 줄에 걸리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점프를 하는 운동으로서 순간적인 폭발력이 요구되고 주기적인 뜀뛰기로 인해 운동효과를 매우 크게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줄을 회전시켜 점프하는 줄넘기 운동은 줄의 회전반경이 넓어 좁은 장소에서 규제가 따르므로 실내에서 운동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특히 점프를 하면서 운동자의 자율성에 의존하여 운동하기 때문에 운동의 강제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도약하는 높이와 줄의 회전 속도를 가변하는 데 한계가 따라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동효과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은 진자운동봉을 속도와 높이가 조절되게 설치하여 진자운동봉이 회전될 때마다 제위치에서 뜀뛰기를 하는 과정에서 줄넘기 운동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므로서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줄넘기 운동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잇점이 있었다.
그러나 선출원한 고안은 운동구 본체의 전면에 수직봉과 수평봉으로 된 진자운동봉을 설치하여 당해 진자운동봉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운동에직접 관여하지 않는 수직봉이 운동구 본체의 전면에서 왕복동하여 운동하는 사람에게 시각적으로 부담을 주고 수직봉의 회전반경이 필요하며 미관상으로도 미려하지 않아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약간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있는 것으로, 봉체를 절곡하여 성형한 운동구 본체의 저부에 구동박스를 설치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 회전봉만이 일정한 각도의 범위내에서 왕복동하게 구성하고 회전봉을 절첩할 수 있게 구성하여 줄넘기 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줄넘기 대용 운동구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내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작동구조에 대한 설명도
도 4 는 회전봉의 회전 작동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봉 2 : 본체 3 : 콘트롤 박스
4 : 구동박스 5 : 손잡이 6 : 회전용 모터
7 : 안내공 8 : 케이싱 9 : 레일
10 : 장공 11 : 회전유도공 12 : 좌우작동판
13 : 베어링 14 : 편심캠 15 : 정역회전봉
16 : 키 16' : 키홈 17 : 연결간
18 : 축수 19 : 승강용 모터 20 : 나선축봉
21 : 나사관 22 : 핀 23 : 스프링
24 : 받침간 25 : 베어링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구조에 대한 설명도이고, 도 4는 회전봉의 회전 작동 개략도로서 본 고안은 봉체로서 심플한 디자인으로 절곡 성형한 운동구 본체(2)의 상부에 콘트롤 박스(3)가 설치되고 하부에 회전봉(1)을 일정각도로 구동하는 구동박스(4)가 설치되어 있다.
봉체로 성형된 운동구 본체(2)는 전면 상부에 손잡이(5)가 앞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이의 사이에는 회전용 모터(6)의 작동스윗치, 회전시간, 회전속도, 승강용 모터(19)의 작동스윗치, 칼로리 소모량, 운동시간 등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 박스(3)가 설치되며, 하부에 설치된 구동박스(4)의 전면에는 안내공(7)이 종으로 관통되어 있고 이 안내공(7)을 통해 회전봉(1)이 지면과 근접되게 돌출되어 있다.
구동박스(4)의 내저부에는 케이싱(8)의 전후 레일(9)에 끼워지는 장공(10)과 회전유도공(11)을 관통시킨 좌우작동판(12)과, 좌우작동판(12)의 장공(10)에 끼워져 좌우작동판(12)을 좌우 왕복작동시키는 베어링(13)과 편심캠(14)을 축설한 회전용 모터(6)와, 좌우작동판(12)의 회전유도공(11)에 끼워지는 베어링(13)의 편심캠(14)에 축착되어 좌우작동판(12)의 좌우 왕복운동의 연동으로 정역 회전하는 정역회전봉 (15)과, 전기 정역회전봉(15)에 키(16)와 키홈(16')의 결합으로 동시회전되게 관삽하여 회전봉 연결용 연결간(17)을 부착한 축수(18)와, 승강용 모터(19)의 연동으로 회전되는 나선축봉(20)과 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축수(18)와 상하 받침간(24)에 의해 일체로 승강자재되는 나사관(21)으로 이루어진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간(17)에 설치되는 회전봉(1)은 핀(22)으로 절첩가능하게 유착되고, 회전봉(1)이 자중에 의해 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23)이 연결간(17)과 상향 탄지되게 연결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5는 축수(18)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하 받침간(24)의 지지에 관계없이 축수(18)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유도하는 베어링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도 2와 같이 운동구 본체(2)의 전방에 홀로 서거나 또는 운동구 본체(2)의 전방으로 돌출된 손잡이(5)를 잡고 서서 회전봉(1)이 연속적으로 좌우 회전운동을 왕복동할 때 회전봉(1)이 발에 걸리지 않도록 점프하였다가 접지하는 뜀뛰기 운동을 반복하므로서 줄넘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데, 이의 작동을 설명하면 구동박스(4)내의 회전용 모터(6)가 회전하게 되면 좌우작동판(12)의 장공(10)에 끼워진 편심캠(14)의 베어링(13)이 장공(10)을 따라 승강 회전하면서 레일(9)에 설치된 좌우작동판(12)을 편심캠(14)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직선운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전유도공(11)에 끼워진 편심캠(14)의 좌우 회전작동으로 정역회전봉(15)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정역회전을 반복시키게 된다.
따라서, 정역회전봉(15)의 축수(18)와 연결간(17)을 매개로 절첩자재되게 유착되어 구동박스(4)의 전면 안내공(7)으로 노출된 정역회전봉(15)이 지면과 근접된 상태로 일정각도의 범위내에서 좌우로 왕복 회전운동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운동구 본체(2)의 전방에 서서 좌우로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봉(1)이 지나갈 때 마다 발에 걸리지 않도록 제자리에서 뜀뛰기를 하게 되면 마치 줄넘기를 하는 것과 같은 점프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회전봉(1)의 회전속도는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콘트롤 박스(3)의 스윗치를 조작하여 회전용 모터(6)의 회전속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운동초기에는 느리게 하고 갈수록 빠르게 조절하는 방법으로 무리없이 운동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속도에 더하여 회전봉(1)의 높이에 의해서도 운동효과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때에는 구동박스(4)의 내부에 설치된 승강용 모터(19)를 작동시켜 이에 축착된 나선축봉(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나사결합된 나사관(21)이 나선축봉(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승강자재하게 되므로 당해 나사관(21)과 상하 받침간 (24)으로 일체가 되게 연결된 축수(18)도 나사관(21)의 승강과 동시에 일체로 승강자재됨에 따라 축수(18)의 연결간(17)에 연결된 회전봉(1)도 동시에 구동박스(4)의 전면 안내공(7)의 범위내에서 동시에 승강되어 회전봉(1)의 높이를 지면으로 부터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점핑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축수(18)의 연결간(17)에 연결된 회전봉(1)은 핀(22)으로 절첩가능하게 유착되어 있으므로 운동을 하지 않을 때나 이동시 회전봉(1)을 위로 접어 절첩하게 되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회전봉(1)은 회전운동시 휘어지지 않는 재질로서 형성하되 운동중 사람의 몸과 부딪쳤을 때 상처나 아픔을 주지 않는 연질의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 연결간(17)과 회전봉(1)을 스프링(23)으로 상향 탄지되게 연결시켜 회전봉(1)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축수(18)는 나사관(21)과 상하 받침간(24)으로 상하가 지지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나사관(21)의 승강시 축수(18)가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균형있게 승강되도록 도와주게 되어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일정한 각도로 왕복 회전운동하는 회전봉(1)에의해 제자리에서 뜀뛰기 운동을 하므로서 줄넘기를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운동효과가 매우 크고 특히 종래의 줄넘기와 같은 회전반경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간단히 설치하여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회전속도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희망하는 운동효과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회전봉(1)만이 좌우 왕복운동하게 되므로 운동시 시각적 부담이 없으며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외장이 미려하여 상품가치가 상승되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6)

  1. 운동구 본체(2)의 하부에 설치된 구동박스(4)의 내부에 케이싱(8)의 전후 레일(9)에 끼워지는 장공(10)과 회전유도공(11)을 일정간격으로 관통시킨 좌우작동판 (12)과, 좌우작동판(12)의 장공(10)에 끼워져 좌우작동판(12)을 좌우 왕복 작동시키는 베어링(13)과 편심캠(14)을 축설한 회전용 모터(6)와, 좌우작동판(12)의 회전유도공(11)에 끼워지는 베어링(13)의 편심캠(14)에 축착되어 좌우작동판(12)의 좌우 왕복운동의 연동으로 정역 회전하는 정역회전봉(15)과, 정역회전봉(15)에 키(16)와 키홈(16')의 결합으로 동시 회전되게 관삽한 축수(18)와, 축수(18)의 연결간(17)에 유착되어 전면 안내공(7)을 통해 노출되는 회전봉(1)으로 이루어지는 줄넘기 대용 운동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용 모터(19)의 연동을 받는 나선축봉(20)에 나사결합시킨 나사관(21)을 축수(18)와 연결시켜 동시 승강자재되게 한 줄넘기 대용 운동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회전봉(1)은 연결간(17)에 핀(22)으로 절첩가능하게 유착하여서 되는 줄넘기 대용 운동구.
  4.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봉(1)과 연결간(17)을 스프링(23)으로 연결하여서 되는 줄넘기 대용 운동구.
  5. 제 1 항에 있어서, 나사관(21)과 축수(18)를 상하 받침간(24)으로 연결하여서 되는 줄넘기 대용 운동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운동구 본체(2)에 손잡이(5)를 형성하여서 되는 줄넘기 대용 운동구.
KR2020010009210U 2001-04-02 2001-04-02 줄넘기 대용 운동구 KR200240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210U KR200240604Y1 (ko) 2001-04-02 2001-04-02 줄넘기 대용 운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210U KR200240604Y1 (ko) 2001-04-02 2001-04-02 줄넘기 대용 운동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604Y1 true KR200240604Y1 (ko) 2001-10-10

Family

ID=7309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210U KR200240604Y1 (ko) 2001-04-02 2001-04-02 줄넘기 대용 운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6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2135B2 (en) Elliptical fitness machine having incline adjusting mechanism
US7182714B2 (en) Compact elliptical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stride length
US9352185B2 (en) Exercise device with inclination adjusting mechanism
US6432026B1 (en) Height-adjustable mechanism for a running frame of a treadmill
US7207925B2 (en) Compact elliptical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stride length
WO2007086951A2 (en) Compact elliptical exercise machine with adjustable stride length
JP2007330498A (ja) バランス訓練装置
JP4743011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US8480603B2 (en) Driving mechanism for a massage chair
EP3388114A1 (en) Elliptical trainer
KR200240604Y1 (ko) 줄넘기 대용 운동구
CN107638680B (zh) 一种拳击训练装置
CN109958851A (zh) 一种新型计算机的支架设备
KR100864142B1 (ko) 진동운동기구
KR20070114916A (ko) 진폭 가변형 운동장치
KR20110125296A (ko) 슬라이드 트위스트 운동기구
JP4915557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CN110344749B (zh) 便携式家用折叠梯
KR100707814B1 (ko) 운동기구용 요동조절장치
KR200236802Y1 (ko) 줄넘기 대용 운동구
CN208372374U (zh) 多用途跑步机
KR200329158Y1 (ko) 자동 훌라우프 및 스윙 장치
CN109999413A (zh) 一种体育健身扭腰机
KR20070032759A (ko) 복부마찰구를 구비한 진동운동기구
CN114272560B (zh) 一种跆拳道运动员平衡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