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308Y1 - Device Bay - Google Patents

Device B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308Y1
KR200239308Y1 KR2019980009590U KR19980009590U KR200239308Y1 KR 200239308 Y1 KR200239308 Y1 KR 200239308Y1 KR 2019980009590 U KR2019980009590 U KR 2019980009590U KR 19980009590 U KR19980009590 U KR 19980009590U KR 200239308 Y1 KR200239308 Y1 KR 200239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ocking
groove
bay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5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0246U (en
Inventor
이형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9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308Y1/en
Publication of KR200000002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24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308Y1/en

Links

Abstract

측면에 대해 인입형성된 홈을 가지는 디바이스가 삽입 및 취출 가능하도록 된 디바이스 본체를 가지는 디바이스 베이에 있어서, 본체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를 로킹시키는 것으로, 본체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의 홈에 결합되는 로킹부를 가지며 로킹부가 홈에 결합되는 제1위치와 로킹부와 홈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본체 내에 설치되며 본체 내로 삽입되는 디바이스에 의해 눌려서 제2위치로 회동되는 회동부재와, 회동부재를 제1위치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로킹수단과; 디바이스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것으로, 본체에 설치되어 회동부재를 제2위치로 회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로킹해제수단; 및 로킹해제된 디바이스를 본체로부터 취출시키는 취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바이스 베이가 개시된다.A device bay having a device body in which a device having a groove formed on a side thereof is insertable and withdrawable, the device bay having a locking portion coupled to a groove of a device inserted into the body, by locking the device inserted into the body. A rotating memb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the first position coupled to the groove and the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is released from the groove and pressed by the devic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o rotate to the second position; Locking means including a pressure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o a first position; Unlocking means for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device, the locking means comprising a solenoid valve mounted to the main body to rotate the pivot member to a second position; And a taking-out means for taking out the unlocked device from the main body.

Description

디바이스 베이Device bay

본 고안은 디바이스 베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삽입된 디바이스를 록킹결합시키고 강제취출시길 수 있도록 된 디바이스 베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b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bay that is capable of locking coupled and forced ejection of the inserted device.

디바이스 베이(Device bay)는 일반 사용자가 PC의 주변기기 예를 들어, 전화네트워크, 모뎀, 프린터, 마이크, 디지털 스피커, 마우스, 디지털 카메라 등의 주변기기와 같은 디바이스를 추가하거나 기능향상(Upgrade)을 하려고 하는 경우, PC본체의 샤시를 열지 않고도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를 삽입 및 취출시킬 수 있도록 된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장치를 말한다. 즉, 마치 비디오 테이프를 넣거나 빼는 것처럼, 그 비디오 테이프에 대응하는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VCR)와 같은 개념의 PC의 주변기기와 같은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디바이스 베이는 최근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PC의 주변기기의 용량이 극단에 이름에 따라, 보다 많은 주변기기의 사용 및 보다 편리한 주변기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최근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 베이에 상술한 다양한 주변기기와 같은 디바이스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디바이스들은 크기와 형상등이 규격화되어 제작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규격화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베이에 삽입 및 취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Device bays allow end users to add or upgrade devices such as peripherals, such as telephone networks, modems, printers, microphones, digital speakers, mice, and digital cameras. In this case, it refers to an apparatus corresponding to a device that enables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such a device without opening the chassis of the PC main body. That is, a device corresponding to a device such as a peripheral device of a PC having a concept such as a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VCR) corresponding to the video tape, as if a video tape is inserted or removed. These device bays are becoming more common in recent years in order to enable more and more convenient use of peripheral devices, as the capacity of a peripheral device of a PC by an application program is extreme. Therefore, in order to be able to use a device such as the above-mentioned peripherals in common in the device bay, the devices are manufactured by standardizing the size and shape. Therefore, the device standardized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erted into and taken out of the device bay.

한편, 디바이스 베이는 상술한 디바이스의 삽입시, 삽입된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구동을 위해 위치고정되어야 하며, 다른 디바이스와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삽입되어 위치고정된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취출시켜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시도가 제안되고 있다.Meanwhile, when the device bay is inserted, the device bay must be fixed for normal driving of the inserted device, and when it is to be replaced with another device, the device bay must be easily removed by removing the inserted and fixed device. 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attempts are proposed in view of this poi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삽입 및 취출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디바이스 베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evice ba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 device can be easily inserted and taken ou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의 개략적인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b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 각각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2 to 5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b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t& gt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lt

10..디바이스 12..홈10. Device 12. Home

20..본체 30..회동부재20. Body 30. Rotating member

32..록킹부 40..가압스프링32..Locking part 40..Pressure spring

50..솔레노이드밸브 60..메인스프링50 Solenoid valve 60 Main sp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디바이스 베이는 측면에 대해 인입형성된 홈을 가지는 디바이스가 삽입 및 취출 가능하도록 된 디바이스 본체를 가지는 디바이스 베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를 로킹시키는 것으로, 상기 본체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의 홈에 결합되는 로킹부를 가지며 상기 로킹부가 상기 홈에 결합되는 제1위치와 상기 로킹부와 상기 홈의 결합이 해제도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디바이스에 의해 눌려서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로킹수단과; 상기 디바이스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것으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회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로킹해제수단; 및 상기 로킹해제된 디바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취출시키는 취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evice b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vice bay having a device body in which a device having a groove formed in the side is inserted and extractable, locking the device inserted into the body, A locking portion coupled to the groove of the devic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groove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and the groove are released; Locking means including a rotating member pressed by the devic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o rotate to the second position, and a pressing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rotat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Unlocking means for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the locking means including a solenoid valve mounted to the main body to rotate the pivot member to the second position; And taking-out means for taking out the unlocked device from the main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evice ba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베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ba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베이는 디바이스(10)가 삽입 및 취출 가능하도록 된 디바이스 본체(20)와, 상기 본체(20)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10)를 로킹시키는 로킹수단과, 상기 디바이스(10)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로킹해제수단 및 로킹해제된 디바이스(10)를 취출시키는 취출수단을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evice bay includes a device body 20 into which the device 10 can be inserted and withdrawn,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device 10 inserted into the body 20, and the device 10. Unlocking means for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and taking-out means for taking out the unlocked device (10).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10)는 모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PC 주변기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그 측면에 대해 인입형성된 홈(12)을 가진다. 이러한 디바이스(10)는 일반적으로 상기 본체(20)에 삽입 및 취출가능하도록, 그 본체(20)의 규격에 대응되게 규격화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10)에 대응되는 본체(20)는 PC 본체내에 또는 모니터를 지지하는 스탠드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기타 소정의 지지체에 지지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device 10 corresponds to a PC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dem, a hard disk drive, etc., and has a recess 12 formed at a side thereof. The device 10 generally has a standardized form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device 10 can be inserted into and taken out of the main body 20. In addition, the main body 20 corresponding to the device 10 may be inserted into or installed in a PC main body, a stand supporting a monitor, or may be supported by a predetermined support.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본체(20)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30)와, 상기 회동부재(30)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40)을 구비한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rotating member 30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and a pressing spring 40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rotating member 30.

상기 회동부재(30)의 일단에는 상기 본체(20)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10)의 홈(12)에 결합되는 로킹부(3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부재(30)는 상기 로킹부(32)가 상기 홈(12)에 결합되는 제1위치와 로킹부(32)와 홈(12)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힌지점(35)을 회전중심으로하여 회동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제2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32)가 홈(12)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 가압스프링(40)은 상기 회동부재(30)를 상기 제1위치로 탄력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20) 내에 마련된 지지돌기(22)에 설치된다. 이러한 가압스프링(40)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부재(30)가 상기 제1위치에서 위치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One end of the rotat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32 coupled to the groove 12 of the device 1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 The pivot member 30 has a hinge point 35 between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32 is coupled to the groove 12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32 and the groove 12 are released. ) Can be rotated by the rotation center. Here, the first position represents a state as shown in FIG. 1, and the second position represent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art 32 has escaped from the groove 12, as shown in FIG. 4. The pressure spring 40 is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pivot member 30 to the first position, and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rotrusion 22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ure spring 40,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rotation member 30 in the first position.

상기 로킹해제수단은 상기 본체(20) 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50)를 구비한다. 이 솔레노이드밸브(50)는 소정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며, 구동시 회동부재(30)의 일측을 밀어내어 회동시킴으로써, 회동부재(30)가 상술한 제2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0)는 본체(20)의 외측이나 또는 본체(20)가 설치되는 대상물에 마련된 구동스위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구동된다.The unlocking means has a solenoid valve 50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The solenoid valve 50 is driven by a predetermined driving source, and when driven, by pushing one side of the rotating member 30 to rotate, the rotating member 30 is moved to the above-described second position. Here, the solenoid valve 50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a drive switch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or the object to which the main body 20 is installed.

상기 취출수단은 본체(20) 내에 마련된 지지돌기(22)에 지지되는 메인스프링(60)을 구비하며, 이 메인스프링(50)은 본체(20)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10)를 본체(20) 외부로 취출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된다.The take-out means has a main spring 60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22 provided in the main body 20, and the main spring 50 has a device 1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 It is elastically pressurized in the direction to be taken out.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디바이스 베이의 동작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device ba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사용자가 디바이스(10)를 본체(20)에 삽입시키고자 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거리 삽입시키면, 그 디바이스(10)는 회동부재(30)의 로킹부(32)에 접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바이스(10)를 상기 가압스프링(40)의 가압력과, 메인스프링(60)의 탄성력의 합을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 더 밀어 넣게 되면, 밀어넣는 힘에 의해 디바이스(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32)에 접촉되어 미끄러지면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회동부재(30)는 소정각도 회동된다. 그리고, 디바이스(10)에 계속 힘을 주어 밀어넣게 되면, 회동부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32)와 상기 홈(12)이 마주하는 상태 즉,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로킹부(32)와 홈(12)이 마주하는 상태가 되는 동시에, 상기 가압스프링(22)의 가압력에 의해 회동부재(30)가 상기 제1위치로 회동되어 위치고정된다. 따라서, 디바이스(10)의 홈(12)이 상기 로킹부(32)에 결합됨으로써, 그 디바이스(10)가 상기 본체(20)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위치고정된 상태가 된다.First, when the user wants to insert the device 10 into the main body 20,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device 10 is inserted in a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state shown in the virtual line, the device 10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ortion 32 of the rotating member 30. In such a state, if the device 10 is pushed further with a force that can overcome the sum of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ure spring 40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main spring 60, the device 10 is pushed by the pushing force. 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member 32 is moved while sliding in contact with the locking part 32,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ng member 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hen, when the force continues to push the device 10, the rotating member 30, as shown in Figure 4,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32 and the groove 12 face, that is, the second position It is moved to. In this way, the locking part 32 and the groove 12 are in a state of facing each other, and the rotation member 30 is rotated to the first position and fix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ure spring 22. Therefore, the groove 12 of the device 10 is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 32, so that the device 1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 to be in a fixed position.

한편, 상기와 같이 디바이스(10)가 본체(20)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디바이스(10)를 사용하다가 다시 본체(20) 외부로 취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0)를 소정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시키게 된다. 솔레노이드밸브(50)는 구동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스프링(40)의 가압력을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 회동부재(30)의 일단을 밀어냄으로써, 그 회동부재(30)는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되게 된다. 따라서, 로킹부(32)와 홈(12)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되고, 해제와 동시에 메인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디바이스(10)는 그 일부가 본체(20)의 외부로 강제 취출된다. 이와 같이, 일부가 본체(20) 외부로 노출된 디바이스(10)를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본체(20)로부터 빼냄으로써, 디바이스(10)를 본체(20)로부터취출시키는 취출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device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device 1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0 as described above and to take it out of the main body 20 again, the solenoid valve 50 is a predetermined drive source. It is driven by. As shown in FIG. 5, when the solenoid valve 50 is driven, the solenoid valve 50 pushes one end of the rotation member 30 with a force capable of overcom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ure spring 40, thereby causing the rotation member 30 to be rotated. It will be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Therefore, the locking portion 32 and the groove 12 are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part of the device 10 is forcedly taken out of the main body 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ain spring 60. do. As described above, the user finally pulls out the device 10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from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taking out operation of taking out the device 10 from the main body 20 becomes easy. Can be used convenientl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참조된 도면을 통해 회동부재(30), 솔레노이드밸브(50), 가압스프링(40) 각각이 복수개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면, 상술한 각각의 부재를 하나씩 마련하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ach of the rotation member 30, the solenoid valve 50, the pressure spring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ample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each member described above Of course, even if provided one by one can fully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디바이스 베이에 따르면, 본체 내에 삽입된 디바이스를 로킹시켜 위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취출시 강제로 취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vice ba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locking the devic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o fix the position, and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forcibly taken out when taking out, it can be conveniently and easily used by the user.

Claims (2)

측면에 대해 인입형성된 홈을 가지는 디바이스가 삽입 및 취출 가능하도록 된 디바이스 본체를 가지는 디바이스 베이에 있어서,A device bay having a device body in which a device having a groove recessed to a side is insertable and retractable, the device bay comprising: 상기 본체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를 로킹시키는 것으로, 상기 본체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의 홈에 겹합되는 로킹부를 가지며 상기 로킹부가 상기 홈에 결합되는 제1위치가 상기 로킹부와 상기 홈의 결합이 해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내로 삽입되는 디바이스에 의해 눌려서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로킹수단과;Locking the devic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locking part overlapping the groove of the devic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a first position at which the locking part is coupled to the groove; A locking memb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positions, the rotating member being pressed by a devic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o rotate to the second position, and a pressing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rotat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Means; 상기 디바이스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것으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회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로킹해제수단; 및Unlocking means for releasing the locking device, the locking means including a solenoid valve mounted to the main body to rotate the pivot member to the second position; And 상기 로킹해제된 디바이스를 상기 본체로부터 취출시키는 취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And device for taking out the unlocked device from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취출수단은 상기 본체 내로 삽입된 디바이스를 상기 본체 외부로 취출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메인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베이.And the take-out means includes a main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devic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aking out the main body.
KR2019980009590U 1998-06-05 1998-06-05 Device Bay KR2002393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590U KR200239308Y1 (en) 1998-06-05 1998-06-05 Device B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590U KR200239308Y1 (en) 1998-06-05 1998-06-05 Device B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46U KR20000000246U (en) 2000-01-15
KR200239308Y1 true KR200239308Y1 (en) 2002-03-02

Family

ID=69517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590U KR200239308Y1 (en) 1998-06-05 1998-06-05 Device B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30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505B1 (en) * 2018-11-08 2020-01-30 국방과학연구소 Connector sepa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46U (en)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3904B2 (en) Keyboard input device to be reliably connected to portable device
JP2004288272A (en) Electronic component storage case and electronic device
US5971780A (en) Mechanism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pack assembly on a computer system
KR200239308Y1 (en) Device Bay
KR850001802B1 (en) Record side identification apparatus for video disc player
KR100512741B1 (en) Hard disk supporting apparatus and computer having the same
JP2002073255A (en) Keyboard input device
JPH10173356A (en) Extension unit
KR200214800Y1 (en) Device-bay
JP3318976B2 (en) Electronic equipment housing
WO2006085413A1 (en)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cording medium
JP3542302B2 (en) Card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3407740B2 (en) Electronic equipment housing
US5898660A (en) Removable disk drive having shutter opening/closing mechanism
JP3906554B2 (en) Disk drive device and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190350B2 (en) Mounting mechanism, electronic equipment, external device
JPH09293552A (en) Memory card mounting device
JPH0744663A (en) Electronic equipment
JP4393597B2 (en) PC card eject mechanism
KR0118112Y1 (en) Battery pack holder
KR200208884Y1 (en) Tamper Proof Switch Unit
KR200325661Y1 (en) Structure of digital video recorder
KR101006631B1 (en) Optical disk cartridge
KR200156038Y1 (en) Cassette tape error insert prevention apparatus of video cassette recorder
KR200151970Y1 (en) Cassette input and output switching device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