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013Y1 - 농약분무기 - Google Patents

농약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013Y1
KR200239013Y1 KR2019980016750U KR19980016750U KR200239013Y1 KR 200239013 Y1 KR200239013 Y1 KR 200239013Y1 KR 2019980016750 U KR2019980016750 U KR 2019980016750U KR 19980016750 U KR19980016750 U KR 19980016750U KR 200239013 Y1 KR200239013 Y1 KR 200239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injection
transvers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852U (ko
Inventor
편민현
Original Assignee
편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민현 filed Critical 편민현
Priority to KR2019980016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01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013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약분무기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길이가 1.5m정도 되는 파이프(1) 끝에 직선분사구(113)를 부착하여 그 둘레에 끝이 나팔형으로 된 분사안내구(109)를 끼워 너트(110)로 파이프에 고정하고 파이프(1) 속에 속파이프(3)를 내장하여 외측파이프(1)와 간격부(111)가 유지되게 고정시켜 그 선단에 내측분사구(301)를 설치하여 내측분사구가 직선분사구(113)의 입구(113a)에 접촉되도록 장치하여 간격부(111)와 직선분사구(113) 사이에 나선 홈(302)을 형성하고 속파이프 내측단을 약액유입구(104) 내측에 설치된 가림판(105)의 중심공(106)과 연통되게 하여 가림판(105) 외측으로 통공(107)을 뚫어 외측파이프(1) 내부와 연통되게하며 가림판(105) 외측 접속부에 나사봉(202)을 가진 개폐구(2)를 장치하여 그 개폐봉(201)이 가림판(105)의 중심공(106)을 개폐할 수 있게 나사끼움한 후 개폐구(2) 외측단에 손잡이(203)를 부착시키는 원거리 분사용 분사구와- 직선분사구(113)가 장치된 외측 파이프에 구멍(1a)을 뚫고 횡연결구(4)를 부착하여 구멍(1a)과 연통하는 횡연결관(401)의 수나사부(402)에 횡연통관(403)의 연결부(404)를 끼워 체결너트(406)로 체결한후 횡연통관(403)의 고정을 위해 연결부에 돌기(404a)를 만들고 수나사부에 고정홈(402a)을 형성하여 서로가 회동되지 않게 연결하고 횡연통관 외측에 곡형 연결관(5)을 제자리 회전되게 끼워서 횡연통관(403)에 연결시켜 그 배출부 접속관(503)에 보조분사관(6)의 구형접속부(601)를 끼워 패킹(504)을 넣고 체결너트(505)로 체결하대 곡형연결관의 배출공(502)과 일치하는 횡연통관(403)에 통공(407)을 천공하고 보조분사관(6)의 선단부에 분사구(602)를 나사끼움하여서된 근거리분사용 보조분사구를 나란히 형성시켜 농약을 비롯한 약액이나 액비등을 분무기로 분무할 때 직선 분사구에 의한 원거리분사와 보조분사구(6)에 의한 근거리분사가 협동적으로 이루어져 효율적인 분사가 가능케한 것으로 취급이 간편하여 사용하기 좋은 이점을 얻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약분무기
본 고안은 농약분무기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파이프 끝에 달려있는 분사거리가 긴 원거리분사용 분사구 옆에 분사거리가 짧으면서 분사방향이 조정되는 근거리 분사용의 보조분사구를 하나더 설치하여 직선분사구에서 약이 분사될 때 직선분사구의 인근에도 농약분사가 이루어질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분사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종래의 농약분무기는 장대로된 농약공급관의 선단부에 하나의 농약분사구를 장치하여 그 목부분을 굴곡되게 구성하여 분사방향을 변동시킬수 있게한 것과 장대 끝에 직선분사구를 설치하여 곧게 멀리 분사하도록 만든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분사구의 목을 굴곡시킬수 있게 구성한 것은 멀리 분사시킬수가 없는 불편이 있고 직선분사구만 설치한 것은 멀리 분사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직선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농약이 적어도 수미터 이상 날아가서 분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사구 인근부분에는 농약이 분사되지 않아서 분사기의 해드를 분주하게 좌우로 흔들어야 하므로 분사작업시에 피로가 가중되는 결점이 있고 이로인해 중복분사작업이 이루어지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인데 이를 보다 상세히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파절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 부분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나' 부분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파절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1a,1b : 구멍
104 : 유입구 105 : 가림판
106 : 중심공 107 : 통공
109 : 분사안내관 110 : 너트
111 : 간격부 113 : 직선분사구
114 : 노즐 2 : 개폐구
201 : 개폐봉 202 : 나사봉
203 : 손잡이 3 : 속파이프
301 : 분사구 302 : 나선홈
4 : 횡연결구 401 : 횡연결관
402 : 수나사부 403 : 횡연통관
404 : 연결부 406 : 체결너트
407 : 통공 409 : 연결구
5 : 곡형연결관 502 : 배출공
503 : 배출부접속관 504 : 패킹
505 : 체결너트 6 : 보조분사관
601 : 구형접속부 602 : 분사구
길이가 1.5m정도 되는 파이프(1) 끝에 직선분사구(113)를 부착하여 그 둘레에 끝이 나팔형으로 된 분사안내구(109)를 끼워 너트(110)로 파이프에 고정하고 파이프(1) 속에 속파이프(3)를 내장하여 외측파이프(1)와 간격부(111)가 유지되게 고정시켜 그 선단에 내측분사구(301)를 설치하여 내측분사구가 직선분사구(113)의 입구(113a)에 접촉되도록 장치하여 간격부(111)와 직선분사구(113) 사이에 나선홈(302)을 형성하고 속파이프 내측단을 약액유입구(104) 내측에 설치된 가림판(105)의 중심공(106)과 연통되게 하여 가림판(105) 외측으로 통공(107)을 뚫어 외측파이프(1) 내부와 연통되게하고 가림판(105) 외측 접속부에 나사봉(202)을 가진 개폐구(2)를 장치하여 그 개폐봉(201)이 가림판(105)의 중심공(106)을 개폐할수 있게 나사끼움하여 개폐구(2) 외측단에 손잡이(203)를 부착시킨 원거리분사용 분사구를 형성하고 직선분사구(113)가 장치된 외측 파이프에 구멍 (1a)을 뚫고 횡연결구(4)를 부착하여 구멍(1a)과 연통하는 횡연결관(401)의 수나사부(402)에 횡연통관(403)일 연결부(404)를 끼워 체결너트(406)로 체결한후 횡연통관(403)의 고정을 위해 연결부에 돌기(404a)를 만들고 수나사부에 고정홈(402a)을 형성하여 서로가 회동되지 않게 연결하며 횡연통관 외측에 곡형 연결관(5)을 회전되게 끼워서 내측연결부에 플랜지(409a)가 있는 연결구(409)를 부착하여 플랜지 (409a)가 체결너트(406) 내측에 결합되게 하여 횡연통관(403)에 연결하고 그 배출부 접속관(503)에 보조분사관(6)의 구형접속부(601)를 끼워 패킹(504)을 넣고 체결너트(505)로 체결하며 곡형연결관의 배출공(502)과 일치하는 횡연통관(403)에 통공(407)을 천공하며 보조분사관(6)의 선단부에 분사구(602)를 나사끼움하여서되는 근거리분사용 보조분사구를 형성시켜 원거리 분사용 분사구와 근거리 분사용 보조 분사구가 나란히 유지되어 두 개의 분사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농약을 파이프(1) 내측 측면에 형성된 약액유입구(104)에 공급하고 개폐구(2)를 열어서 가림판(105)의 중심공(106)과 측면통공(107)으로 약액을 공급하면 속파이프(3)로 더 많은 약액이 공급되어 속파이프(3) 선단의 분사구(301)를 거쳐 직선분사구(113)의 노즐(114)로 농약이 분사되고 일부는 외측파이프(1)의 간격부(111)를 통해 직선분사구(113)로 분사가 이루어져 분사거리가 길고 곧게 분사가 이루어지며 개폐구(2)를 내향시켜 개폐봉(201)으로 가림판(105)의 중심공(106)을 막으면 속파이프(3)는 폐쇄가 되고 외측 파이프(1)의 속으로 약액이 공급되어 나선홈(302)을 통해 직선분사구(113)의 노즐(114)로 분사가 되어 때문에 약액이 선회하면서 분사가 되어 분사거리는 짧지만 넓은 폭으로 확산되는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분무기는 파이프(1)의 손잡이를 한손으로 잡고 또 다른 손은 개폐구(2)의 손잡이(203)을 쥐고 개폐봉(201)을 진퇴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분사거리를 길게 또는 짧게 조정하고 분사범위를 조정할수 있도록되는 효과를 얻게 되며 동시에 직선분사구(113) 내측의 횡연결구(4)에 보조분사관(5)가 장치되어 있으므로 그 곡형 연결관(5)을 회전시켜 보조분사관(6)의 분사방향이 전방으로 향하게하면 횡연결관(401)의 통공(407)과 곡형연결관(5)의 배출공(502)이 일치되어 외측파이프(1)의 간격부(111)로 흐르는 농약의 일부가 곡형연결관(5)을 통해 보조분사관(6)으로 공급되게 되고 횡연통관(403)은 횡연결구(4)의 수나사부에 안착이 되어 요동없이 고정되므로 곡형연결관(5)을 회전시킬 때 따라 돌지 않는 효과가 있고 곡형연결관(5)은 그 연결부에 플랜지(409a)가 있는 연결구(409)가 부착되어 체결너트(406)에 연결되어 곡형연결관을 회전시킬 때 이탈되지 않으며 곡형연결관과 횡연통관(403) 사이에 탄성체 패킹(410)이 있어서 곡형연결관(5)을 회전시킬 때 제멋대로되는 것도 방지하게 되어 작동이 안정되게 되며 보조 분사관(6)의 접속부는 구형체로 되어서 곡형 연결관의 접속관(503)에 체결너트(505)로 체결되고 접속부 내외측에 고무패킹(504)이 개입되어 있으므로 보조분사관(6)의 접속각도가 가변될수 있어서 분사각도를 살포자의 의도에 맞추어 변경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조 분사구의 선단분사구(602)로 분사되는 농약은 외측 분사구에서 분사되는 농약의 분사상태를 관찰하면서 적절한 방향으로 분사각을 유지하도록 조정하여 분사시킬수 있게 되므로 분사효과를 높일수 있고 보조분사관(6)의 분사를 중지할때는 곡형연결관(5)을 180도 회전시켜 배출공(502)이 횡연결관(401)의 통공(407)과 반대측으로 접촉하게하면 곡형연결관(5)의 배출공(502)이 폐쇄되어 파이프(1)의 직선분사구(113)로만 분사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본 고안은 농약을 비롯한 약액이나 액비등을 분무기로 분무할 때 분사해드를 요란하게 흔들지 않고 천천히 이동시키면서 효율적인 분사가 가능케되는 이점이 있고 취급이 간편하여 사용하기 좋은 이점을 얻는 것이다.

Claims (1)

  1. 길이가 1.5m정도 되는 파이프(1) 끝에 직선분사구(113)를 부착하여 그 둘레에 끝이 나팔형으로 된 분사안내구(109)를 끼워 너트(110)로 파이프에 고정하고 파이프(1) 속에 속파이프(3)를 내장하여 외측파이프(1)와 간격부(111)가 유지되게 고정시켜 그 선단에 내측분사구(301)를 설치하여 내측분사구가 직선분사구(113)의 입구(113a)에 접촉되도록 장치하여 간격부(111)와 직선분사구(113) 사이에 나선홈(302)을 형성하고 속파이프 내측단을 약액유입구(104) 내측에 설치된 가림판(105)의 중심공(106)과 연통되게 하여 가림판(105) 외측으로 통공(107)을 뚫어 외측파이프(1) 내부와 연통되게하며 가림판(105) 외측 접속부에 나사봉(202)을 가진 개폐구(2)를 장치하여 그 개폐봉(201)이 가림판(105)의 중심공(106)을 개폐할수 있게 나사끼움한 후 개폐구(2) 외측단에 손잡이(203)를 부착시킨 원거리 분사용 분사구와 직선분사구(113)가 장치된 외측 파이프에 구멍(1a)을 뚫고 횡연결구(4)를 부착하여 구멍(1a)과 연통하는 횡연결관(401)의 수나사부(402)에 횡연통관(403)의 연결부(404)를 끼워 체결너트(406)로 체결한후 횡연통관(403)의 연결부에 돌기(404a)를 만들고 수나사부에 고정홈(402a)을 형성하여 서로가 회동되지 않게 연결하며 횡연통관 외측에 곡형 연결관(5)을 끼워서 연결부에 부착된 플랜지 (409a)를 체결너트(406) 내측에 연결시괴 제자리 회전되게 장치하고 그 배출부 접속관(503)에 보조분사관(6)의 구형접속부(601)를 끼워 패킹(504)을 넣고 체결너트(505)로 체결하며 곡형연결관의 배출공(502)과 일치하는 횡연통관(403)에 통공(407)을 천공하며 보조분사관(6)의 선단부에 분사구(602)를 나사끼움하여서된 근거리분사용 보조분사구를 구성하여 원거리 분사용 분사구와 근거리 분사용 보조분사구를 나란히 형성시킨 농약분무기.
KR2019980016750U 1998-09-02 1998-09-02 농약분무기 KR200239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50U KR200239013Y1 (ko) 1998-09-02 1998-09-02 농약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50U KR200239013Y1 (ko) 1998-09-02 1998-09-02 농약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52U KR20000005852U (ko) 2000-04-06
KR200239013Y1 true KR200239013Y1 (ko) 2001-11-22

Family

ID=69516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750U KR200239013Y1 (ko) 1998-09-02 1998-09-02 농약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0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52U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27074C1 (ru) Впрыск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компрессоров
US8727238B1 (en) Irrigation sprinkler with re-configurable secondary nozzle holder
KR200239013Y1 (ko) 농약분무기
KR101749940B1 (ko) 농업용 회전 분무기
KR102220995B1 (ko) 분무 노즐
KR200211564Y1 (ko) 농약 분무기
KR200147999Y1 (ko) 농약분무기
KR200167923Y1 (ko) 약액 분사대의 보조노즐의 설치구조
JP3961998B2 (ja) 散水ノズル
KR960007323Y1 (ko) 물 뿌리개
CN216678672U (zh) 一种气液喷头
CN210329101U (zh) 一种热烟雾机
CN219816670U (zh) 一种带防返流罩的喷头
KR0140013B1 (ko) 농업용 분무기의 분사구
KR900004993Y1 (ko) 다목적 농약분무기
KR910006538Y1 (ko) 농약살포용 분사기
KR960002512Y1 (ko) 농약 분무기
JP3605757B2 (ja) エアー噴射型除電器
KR200220977Y1 (ko) 농약 분무기
KR200150512Y1 (ko) 동력연무기의 기화기
KR960007318Y1 (ko) 약액 분무용 에어노즐(air nozzle)
KR200174095Y1 (ko) 휴대용 살충약액 분무기
KR200231386Y1 (ko) 분무기용 노즐
SU1067240A1 (ru) Форсунка
KR20230015620A (ko) 스프링클러 본체와 어뎁터의 원터치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