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624Y1 - A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tap - Google Patents

A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t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624Y1
KR200238624Y1 KR2020010009504U KR20010009504U KR200238624Y1 KR 200238624 Y1 KR200238624 Y1 KR 200238624Y1 KR 2020010009504 U KR2020010009504 U KR 2020010009504U KR 20010009504 U KR20010009504 U KR 20010009504U KR 200238624 Y1 KR200238624 Y1 KR 200238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indoor unit
evaporato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5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경윤
Original Assignee
조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윤 filed Critical 조경윤
Priority to KR2020010009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62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624Y1/en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형의 실내기를 냉동탑의 전면판에 장착하여 냉동탑 내부의 적재공간을 확장하며, 상기 박스형 케이싱의 상부 양측에 공기흡입공을 형성하여 적재함등으로 인하여 실내기의 공기흡입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동탑의 벽체 내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loading space inside the freezing tower by installing a box-shaped indoor unit on the front plate of the freezing tower, and forming an air suction hole on both sides of the box-type casing to block the air intake of the indoor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indoor unit of a refrigeration tower that can be prevented.

전면판을 포함하는 냉동탑에 있어서; 전면판에는 사각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사각홀에는, 내부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수직격벽이 장착되어 이 수직격벽의 사이에는 공기 상승통로가 형성되고 수직격벽의 양측에는 공기 하강통로가 형성되는 박스형 케이싱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박스형 케이싱의 후면판에는, 상부의 중앙에 상기 공기 상승통로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공이, 하부 중앙에 상기 공기 상승통로와 연통되는 하부 공기흡입공이, 상부 양측에 상기 공기 하강통로와 연통되는 상부 공기흡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스형 케이싱의 전면판 상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실외기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공기 상승통로의 중앙에는 증발기가 장착되어 이 증발기의 상부에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브로워팬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하강통로에는 실내기를 구성하는 각종장치들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freezing tower comprising a front plate; The front plate is formed with a square hole; The square hole is equipped with a box-shaped casing in which a vertical bulkhead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is mount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n air ascending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bulkheads, and an air descending passag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bulkhead; The rear plate of the box-shaped casing, at least one air discharge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rise passage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the lower air suction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rise passage in the lower center, the upper air communication with the air down passage on both sides An upper air suction hole is formed; The outdoor unit protruding outward is mounted on the front plate of the box-shaped casing; An evaporator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air ascending passage, and a blower fan for forcibly circulating air is mounted at the top of the evaporator; The air descending passa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is mounted.

Description

냉동탑의 벽체 내장형 실내기{A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tap}Indoor evaporator of refrigeration tower {A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tap}

본 고안은 냉동차의 냉동탑에 장착되는 벽체 내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박스형의 실내기를 냉동탑의 전면판에 장착하여 냉동탑 내부의 적재공간을 확장하며, 상기 박스형 케이싱의 상부 양측에 공기흡입공을 형성하여 적재함등으로 인하여 실내기의 공기흡입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동탑의 벽체 내장형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indoor unit mounted on a refrigeration tower of a refrigerating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box-shaped indoor unit is mounted on the front plate of the freezing tower to expand a loading space inside the freezing tower, and upper both sides of the box-type cas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mounted indoor unit of a freezing tower capable of preventing air intake of an indoor unit from being blocked by forming an air suction hole therein.

일반적으로 냉동탑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내기는, 냉동탑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찬공기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증발기와 냉동탑의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회전팬 등이 장착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indoor unit mounted inside the freezing tower refers to a device that circulates the air inside the freezing tower and converts it into cold air. The inside of the freezer is forcibly circulating the evaporator and the internal air of the freezing tower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The rotating fan to be mounted.

이에, 도 6은 종래의 냉동장치가 장착된 냉동차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us,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frigerator vehicl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refrigeration apparatus, first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종래의 냉동장치는, 냉동탑(100)의 전방 외측에 장착되는 실외기(101)와, 냉동탑(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냉동탑(10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순환 공기를 냉각시키는 실내기(200)로 구성된다.First, the conventional refrigeration apparatus, the outdoor unit 101 mounted on the front outside of the freezing tower 100 and the inside of the freezing tower 100 to circulate the air inside the freezing tower 100 to cool the circulating air The indoor unit 200 is configured.

특히, 상기 실내기(200)는, 하부에 내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202)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 배출구(203)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201)과, 이 케이싱(201)의 내부 전방인 상기 공기 흡입구(202)측에 장착되어 있는 증발기(208)와, 상기 증발기(208)의 후방에 장착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204)를 포함한다.Particularly, the indoor unit 200 includes a casing 201 having an air inlet 202 through which in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air outlet 203 formed at a rear thereof so as to discharge cold air. An evaporator 208 mounted on the air inlet 202 side, which is an interior front of the 201, and an air circulation unit 204 mounted on the rear of the evaporator 208 to circulate air.

그리고 상기 공기 순환부(204)는, 상기 증발기의 후방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는 구동모터(206)과, 이 구동모터(206)의 회전축(207)에 장착되는 회전팬(205)로 이루어진다.The air circulation unit 204 includes a drive motor 206 horizontally mounted to the rear of the evaporator and a rotation fan 205 mounted to the rotation shaft 207 of the drive motor 206.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내기(2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indoor unit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냉동장치를 작동시켜 실내기(200)를 구성하는 증발기(208)로 냉매를 공급함과 동시에, 증발기(208)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공기 순환부(204)의 구동모터(206)를 작동시켜 회전팬(205)을 회전시킨다.First, the refrigerant is operated to supply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208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200,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e motor 206 of the air circulation unit 204 mounted at the rear of the evaporator 208 is operated to rotate. Rotate fan 205.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팬(205)이 회전되게 되면, 냉동탑(100)의 내부 공기가 실내기(200) 케이싱(201)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202)를 통해증발기(208) 쪽으로 강제 순환되고, 증발기(208)를 통과한 공기는 찬공기로 변환된 다음, 케이싱(201)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203)를 통해 다시 냉동탑(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When the rotating fan 205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the internal air of the freezing tower 100 is forced to the evaporator 208 through the air inlet 202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sing 201 of the indoor unit 200. 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208 is converted into cold air, and then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reezing tower 100 again through the air outlet 203 formed at the rear of the casing 201. .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내기는 냉동탑 내부의 전방 상측에 돌출 장착됨으로서, 냉동탑의 내부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e indoor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freezing tower is relatively reduced by being protruded and mount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freezing tower.

그리고 상기 실내기가 냉동탑의 전방 상측에 돌출됨에 따라서 적재함(트레이) 또는 파레트의 장착시 실내기의 바로 하측의 공간을 사용할 수 없게됨으로서, 많은 수의 적재함 및 파레트를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indoor unit protrudes above the front of the freezing tower, the space immediately below the indoor unit cannot be used when the tray or the pallet is mounted, and thus, a large number of the stacker and the pallet cannot be loaded.

또 상기 실내기에는 공기 흡입공이 하부에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적재함 등이 실내기의 하부와 접촉될 경우에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게 됨으로서, 냉동탑의 냉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suction hole is formed only in the lower part of the indoor unit, when the loading box and the like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indoor unit, the flow of air is blocked, thereby lowering the freezing efficiency of the freezing tower.

한편 종래의 증발기는 수직으로 장착되고 바람의 방향이 증발기와 직각을 이루게 됨으로서, 증발기기 인입측 파이프의 온도는 상승되고 배출측 파이프의 온도는 하강됨으로서, 인입측 파이프의 온도는 올라가게 됨에 따라 압력이 상승되고 반대로 배출측 파이프의 온도는 떨어지게 됨에 따라 압력이 저하된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evaporator is mounted vertically and the direction of the wind is perpendicular to the evaporato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pipe of the evaporator is increas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outlet pipe is lower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inlet pipe is increased. The pressure drops as the temperature rises and conversely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pipe drops.

그러므로 냉매는 압력이 저하되는 쪽으로 만 집중되게 됨으로서 인입측 파이프의 냉매는 부족하고 배출출 파이프의 냉매는 과다함에 따라 공기의 통과시 균일한 냉각이 이루어 질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Therefore, since the refrigerant is concentrated only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pressure, the refrigerant in the inlet pipe is insufficient and the refrigerant in the discharge pipe is excessive, so that uniform cooling cannot be achieved when the air passes.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내기를 박스형으로 제작하여 냉동탑의 전면판에 장착함으로서, 냉동탑 내부의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냉동탑의 벽체 내장형 실내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making the indo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box shape and mounting it on the front plate of the freezing tower, the built-in indoor unit of the wall of the freezing tower which can expand the loading space inside the freezing tower.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it.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기를 냉동탑의 전면판에 장착함으로서, 높이에 제약을 가지는 적재함 또는 파레트의 적재수를 촤대화 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by mounting the indoor unit to the front plate of the freezing tow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lso an object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loading of the loading box or pallet having a restriction on the height.

또 박스형 케이싱의 상부 양측에 공기흡입공을 형성함으로서, 적재함등으로 인하여 실내기의 공기흡입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ir intake hol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ox-shaped casing, there is also an object that can prevent the air intake of the indoor unit is blocked due to the loading box.

또 증발기에 장착되는 다수열의 냉매파이프를 서로 분리시켜 각각의 냉매파이프로 냉매가 분배 공급되게 함으로서, 유입 공기가 상승될 경우에 냉매파이프의 체워진 냉매의 양이 평형을 이룰 수 있게 하여 공기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a plurality of refrigerant pipes mounted on the evaporator from each other so that the refrigerant is distributed and supplied to each refrigerant pipe, so that the amount of refrigerant packed in the refrigerant pipe can be balanced when the inflow air is raised, thereby cooling the air. There is also a goal to maximize efficiency.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판을 포함하는 냉동탑에 있어서; 전면판에는 사각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사각홀에는, 내부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수직격벽이 장착되어 이 수직격벽의 사이에는 공기 상승통로가 형성되고 수직격벽의 양측에는 공기 하강통로가 형성되는 박스형 케이싱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박스형 케이싱의 후면판에는, 상부의 중앙에 상기 공기 상승통로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공이, 하부 중앙에 상기 공기 상승통로와 연통되는 하부 공기흡입공이, 상부 양측에 상기 공기 하강통로와 연통되는 상부 공기흡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스형 케이싱의 전면판 상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실외기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공기 상승통로의 중앙에는 증발기가 장착되어 이 증발기의상부에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브로워팬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하강통로에는 실내기를 구성하는 각종장치들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refrigeration tower comprising a front plate; The front plate is formed with a square hole; The square hole is equipped with a box-shaped casing in which a vertical bulkhead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is mount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n air ascending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bulkheads, and an air descending passag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bulkhead; The rear plate of the box-shaped casing, at least one air discharge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rise passage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the lower air suction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rise passage in the lower center, the upper air communication with the air down passage on both sides An upper air suction hole is formed; The outdoor unit protruding outward is mounted on the front plate of the box-shaped casing; An evaporator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air ascending passage and a blower fan for forcibly circulating air is mounted at the upper part of the evaporator; The air descending passa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is mounted.

도 1은 본 고안의 실내기가 장착된 냉동탑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eezing tower equipped with an indo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내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A선 개략 단면도.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케이싱에 냉각시스탬을 구성하는 주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al device constituting the cooling system mounted on the box-shaped ca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종래의 냉동장치가 장착된 냉동차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frigerator vehicl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refrigeration apparatu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냉동탑1: freezing tower

11 : 전면판11: front panel

12 : 사각홀12: square hole

2 : 박스형 케이싱2: box type casing

21 : 수직격벽21: vertical bulkhead

22 : 공기 상승통로22: air rise passage

23 : 공기 하강통로23: air descending passage

24 : 후면판24: backplane

25 : 전면판25: front panel

3 : 증발기3: evaporator

31 : 냉매파이프31: refrigerant pipe

4 : 브로워팬4: Blower fan

41 : 날개41: wings

42 : 구동모터42: drive motor

5 : 실외기5: outdoor unit

6 : 천막통로6: tent passage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실내기가 장착된 냉동탑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frigeration tower equipped with an indo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rst described the configuration as follows.

전면판(11)을 포함하는 냉동탑(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1)에는 사각홀(12)이 형성되고, 이 사각홀(12)에는 전방 상측에 실외기(5)가 장착되고 냉동탑(1)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냉각시킬 수 있도록 박스형 케이싱(2)을 포함하는 실내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In the refrigeration tower 1 including the front plate 11, the front plate 11 is formed with a square hole 12, the square hole 12 is equipped with an outdoor unit (5) on the front upper side and refrigeration It is equipped with an indoor unit including a box-shaped casing (2) to circulate and cool the air inside the tower (1).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고안의 실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개략 단면도로서, 상기 실내기를 구성하는 박스형 케이싱(2)의 내부 양쪽에는 하부가 개방된 수직격벽(21)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격벽(21)의 사이에는 공기 상승통로(2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격벽(22)의 양측과 박스형 케이싱(2)의 양측벽 사이에는 공기 하강통로(23)가 형성되는 것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2, the inner side of the box-shaped casing (2)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bulkhead 21 is opened The air rising passage 22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bulkheads 21, and the air descending path 23 is formed between both sides of the vertical bulkhead 22 and both side walls of the box-shaped casing 2. .

그리고 상기 박스형 케이싱(2)의 후면판(24)에는, 상부의 중앙에 상기 공기 상승통로(22)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공(241)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상기 공기 상승통로(22)와 연통되는 하부 공기흡입공(242)이 형성되며 상부 양측에 상기 공기 하강통로(23)와 연통되는 상부 공기흡입공(2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And at the rear plate 24 of the box-shaped casing (2), at least one air discharge hole 2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communication with the air passage 22,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passage 22 The lower air suction hole 242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air suction hole 243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descending passage 23 on both upper sides.

또한 상기 공기 상승통로(22)의 중앙에는 증발기(3)가 장착되어 이 증발기(3)의 상부에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브로워팬(4)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브로워팬(4)은 공기의 흡입방향과 동일하에 수직으로 세워진 날개(41)와 이 날개(41)의 중심홀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구동모터(42)로 이루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vaporator 3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air ascending passage 22, and a blower fan 4 forcibly circulating air is mounted at the upper part of the evaporator 3. That is, the blower fan 4 is composed of a wing 41 vertically moun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ction direction of the air and a drive motor 42 mounted in the horizontal hole in the center hole of the wing 41.

또 상기 공기 배출공(241)의 후방에는 냉기를 냉동탑(1)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천막통로(6)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nt passage 6 is mounted at the rear of the air discharge hole 241 so as to diffuse the cold air into the inside of the freezing tower 1 as a whol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내기는, 증발기(3)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브로워팬(4)의 작동을 통해 냉동탑(1)내의 공기를 유입한 후, 이를 냉각시켜 다시 냉동탑(1)의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indoor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introducing the air in the freezing tower (1)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brower fan (4)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evaporator (3), and then cools it again to the It is to supply internally.

즉 냉동탑(1)내의 공기는 박스형 케이싱(2)의 후면판(24)에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공기흡입공(242)으로 유입된 후 공기 상승통로(22)에 장착된 증발기(3)를 통과하거나, 상기 후면판(24)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공기흡입공(243)으로 유입된 후 공기하강 통로(23)를 통과한 다음 공기 상승통로(22)에 장착되는 증발기(3)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air in the freezing tower 1 flows into the lower air suction hole 242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rear plate 24 of the box-shaped casing 2 and then the evaporator 3 mounted in the air ascending passage 22. ) Or through an air descending passage 23 after entering the upper air suction hole 243 formed at both upper sides of the rear plate 24, and then being mounted on the air ascending passage 22. Pass 3).

그리고 상기와 같이 증발기를 통과한 냉각공기는 상기 박스형 케이싱(2) 후면판(24)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 배출공(241)을 통해 다시 냉동탑(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The cooling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s described above is introduced into the freezing tower 1 again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4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x-shaped casing 2 rear plate 24.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동작은 연속적으로 진행되어 냉동탑(1) 내부의 온도를항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박스형 케이싱(2)의 후면판(24) 상부 양측에는 상부 공기흡입공(243)이 형성됨에 따라 적재함 등으로 인하여 하부 공기흡입공(242)가 차단되더라도 실내기의 공기흡입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냉동탑의 냉동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above operation is performed continuously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freezing tower 1 can be kept uniform at all times. The upper air suction holes 243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of the rear plate 24 of the box-shaped casing 2 to prevent the air suction of the indoor unit from being blocked even when the lower air suction holes 242 are block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eezing efficiency of the freezing tower from being lowered.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기를 박스형으로 제작하여 냉동탑(1)의 전면판(11)에 장착함으로서 냉동탑(1)의 내부공간을 크게 확장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making the indoor unit in the box-typ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greatly exp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freezing tower 1 by mounting on the front plate 11 of the freezing tower (1).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로서, 상기 증발기(3)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이 증발기(3)를 구성하는 냉매파이프(31)가 수직의 다수열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열로 장착되어 있는 냉매파이프(31)는 서로 분리되어 각각의 냉매파이프(31)로 냉매가 분배되어 공급되는 것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wherein the evaporator 3 is vertically mounted, and the refrigerant pipes 31 constituting the evaporator 3 are mounted in a plurality of vertical rows. The refrigerant pipes 3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refrigerant is distributed and supplied to each refrigerant pipe 31.

그러므로, 증발기(3)로 공기가 상승될 경우에는 증발기(3)의 전체 온도가 평형을 이루게 됨으로서, 유입된 공기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증발기(3)로 흐르는 냉매의 방향과 공기의 흐름이 정 반대 방향으로 되어 가장 효율적인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air is raised to the evaporator 3, the total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3 is in equilibrium, thereby maximiz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introduced air. In other words, th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to the evaporator 3 and the flow of air become the opposite direction to achieve the most efficient cooling.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면, 증발기(3)의 일측열의 냉매파이프(31)와 타측열의 냉매파이프(31)의 온도와 압력이 같아짐으로서 각 파이프에 냉매가 고르게 분포된다. 그러므로 각 파이프의 적상을 고르게 함으로서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detail, when the air is sucked from the lower portion,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31 in one row of the evaporator 3 and the refrigerant pipe 31 in the other row are equal, so that the refrigerant is uniformly distributed in each pipe. Therefore, by uniformly dropping each pipe, it is possible to uniformly cool the air flowing in from the bottom.

그리고 상기 각각의 냉매파이프(31)의 하부에서 냉매가 유입되고 냉매가 상부로 배출되게 되면, 냉매파이프(31)의 유입온도는 저온을 유지하고 배출온도는 저온의 온도보다 상승된 온도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증발기(3)의 하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온도는 높고 배출온도는 유입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음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이 증발기의 전체온도가 평형으로 이루게 되는 것이다.When the refrigerant flows in from the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refrigerant pipes 31 and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31 is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low temperature. . On the contrary, since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air flow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evaporator 3 is high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inlet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the total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is in equilibrium.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형 케이싱에 냉각시스탬을 구성하는 주변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상기 박스형 케이싱(2)의 공기 하강통로(23)에는 실내기를 구성하는 각종장치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각종장치라 함은, 콘덴서와 연결되는 압축기 및 수액기 순환펌프 등과 각종라인을 말하는 것이다.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ripheral device constituting a cooling system is mounted on a box-type ca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ir descending passage 23 of the box-type casing 2 is equipped with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an indoor unit. will be. That is, the various devices refer to various lines such as a compressor, a receiver, and a circulation pump connected to a condens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박스형의 실내기를 냉동탑의 전면판에 장착하여 냉동탑 내부의 적재공간을 확장함으로서, 높이에 제약을 가지는 전재함 또는 파레트의 적재수를 최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mounting the box-shaped indoor unit on the front plate of the freezing tower to expand the loading space inside the freezing tower, having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number of loading of the electrical distribution box or pallet having a restriction on the height will be.

또 박스형 케이싱의 상부 양측에 공기흡입공을 형성하여 적재함등으로 인하여 실내기의 공기흡입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냉동탑의 냉동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n air suction hole on both sides of the box-shaped casing to prevent the air intake of the indoor unit is blocked by loading, etc.,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refrigeration efficiency of the freezing tower is lowered.

또 증발기에 장착되는 다수열의 냉매파이프를 서로 분리시켜 각각의 냉매파이프로 냉매가 고르게 분배 공급함으로서, 증발기에서 온도의 평형을 이룰 수 있게 하여 공기의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separating a plurality of refrigerant pipes mounted on the evaporator with each other to distribute the refrigerant evenly to each refrigerant pipe, it is also possible to balance the temperature in the evaporator to maximiz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air.

Claims (4)

전면판(11)을 포함하는 냉동탑(1)에 있어서;In a freezing tower (1) comprising a front plate (11); 전면판(11)에는 사각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The front plate 11 is formed with a square hole 12; 상기 사각홀(12)에는, 내부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수직격벽(21)이 장착되어 이 수직격벽(21)의 사이에는 공기 상승통로(22)가 형성되고 수직격벽(22)의 양측에는 공기 하강통로(23)가 형성되는 박스형 케이싱(2)이 장착되어 있고;The square hole 12 has a vertical bulkhead 21 having a lower portion open at both sides thereof, and an air rising passage 22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bulkheads 21 and air at both sides of the vertical bulkhead 22. A box-shaped casing 2 in which the lower passage 23 is formed; 상기 박스형 케이싱(2)의 후면판(24)에는, 상부의 중앙에 상기 공기 상승통로(22)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공(241)이, 하부 중앙에 상기 공기 상승통로(22)와 연통되는 하부 공기흡입공(242)이, 상부 양측에 상기 공기 하강통로(23)와 연통되는 상부 공기흡입공(243)이 형성되어 있으며;At the back plate 24 of the box-shaped casing 2, at least one air discharge hole 241 communicating with the air rising passage 22 at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rising passage 22 at the lower center thereof. The lower air suction hole 242 is formed, the upper air suction hole (24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descending passage 23 on both upper sides are formed; 상기 박스형 케이싱(2)의 전면판(25) 상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실외기(5)가 장착되어 있고;An outdoor unit 5 protruding outward is mounted above the front plate 25 of the box-shaped casing 2; 상기 공기 상승통로(22)의 중앙에는 증발기(3)가 장착되어 이 증발기(3)의 상부에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브로워팬(4)이 장착되어 있으며;A blower fan (4)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air ascending passage (22) to forcibly circulate air at the top of the evaporator (3); 상기 공기 하강통로(23)에는 실내기를 구성하는 각종장치들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의 벽체 내장형 실내기.The air descending passage 23 is built-in indoor unit of the wall of the freezing t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is moun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워팬(4)은 공기의 흡입방향과 동일하에 수직으로 세워진 날개(41)와 이 날개(41)의 중심홀에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구동모터(4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의 벽체 내장형 실내기.The blower fan (4)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er fan (4) is a vane (41) standing vertical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uction direction of air and a drive motor (42) mounted in the horizontal hole in the center hole of the vane (41). Indoor unit built-in wall of the freezing tow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는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이 증발기(3)를 구성하는 냉매파이프(31)가 수직의 다수열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열로 장착되어 있는 냉매파이프(31)는 서로 분리되어 각각의 냉매파이프(31)로 냉매가 분배되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의 벽체 내장형 실내기.2. The refrigerant evaporator (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vaporator (3) is vertically mounted, and the refrigerant pipes (31) constituting the evaporator (3) are mounted in a plurality of vertical rows, and the refrigerant pipes are mounted in a plurality of rows. 31 is a wall-mounted indoor unit of the refrigeration to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nt is distributed and supplied to each of the refrigerant pipes 31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공(241)의 후방에는 냉기를 냉동탑(1)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천막통로(6)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탑의 벽체 내장형 실내기.The indoor unit of a wall of the freezing tow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ent passage (6) is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air discharge hole (241) to diffuse cold air into the inside of the freezing tower (1). .
KR2020010009504U 2001-04-04 2001-04-04 A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tap KR2002386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504U KR200238624Y1 (en) 2001-04-04 2001-04-04 A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t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504U KR200238624Y1 (en) 2001-04-04 2001-04-04 A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t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624Y1 true KR200238624Y1 (en) 2001-10-11

Family

ID=7309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504U KR200238624Y1 (en) 2001-04-04 2001-04-04 A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t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62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455B1 (en) * 2019-11-05 2020-05-18 고홍달 Refrigerator for refrigerating c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455B1 (en) * 2019-11-05 2020-05-18 고홍달 Refrigerator for refrigerating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4866B2 (en) refrigerator
KR20070074209A (en) Refrigerator
KR200238624Y1 (en) A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tap
JP2620539B2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cool air circulation device
US20230152024A1 (en) Refrigerator
KR101645731B1 (en) Refrigerator
CN113739501A (en) Integrated refrigerator for wide-area space
CN210036004U (en) Movable air-cooled cold storage box
KR100423958B1 (en) Cooling air circulation apparatus for refrigerator
KR101726223B1 (en) Refrigerator
KR101810456B1 (en) Refrigerator
KR100817328B1 (en) Air circulation system of refrigerator
KR100500988B1 (en) Air conditioner
CN219318770U (en) Horizontal refrigerator
KR0136057Y1 (en) Cool air circulation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CN221076889U (en) Embedded refrigerator
CN217464676U (en) Air conditioner
CN216204617U (en) Integrated refrigerator for wide-area space
CN220959068U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CN218781368U (en) Air conditioner
CN112984895B (en) Circular refrigeration equipment
CN218348954U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200238625Y1 (en) A evaporator of the refrigeration tap
KR102541587B1 (en) Movable air conditioner
JP2001289553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