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045Y1 -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045Y1
KR200238045Y1 KR2019980012640U KR19980012640U KR200238045Y1 KR 200238045 Y1 KR200238045 Y1 KR 200238045Y1 KR 2019980012640 U KR2019980012640 U KR 2019980012640U KR 19980012640 U KR19980012640 U KR 19980012640U KR 200238045 Y1 KR200238045 Y1 KR 200238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valve
manual
closing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710U (ko
Inventor
권혁남
Original Assignee
강오경
주식회사 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오경, 주식회사 영테크 filed Critical 강오경
Priority to KR2019980012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04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7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7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04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화석유가스(LPG) 및 액화천연가스(LNG)등 가스를 사용하는 각종 산업시설과 대형빌딩 및 주택등 가스 공급라인에서 공급가스를 개폐시키는 안전가스 자동차단장치에 있어서, 특히 수용가측의 가스공급 라인상에서의 안전장치로 사용하는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수동보턴의 조작시 개폐여부가 캡외부에서 확인이 되지 않음으로서 가스가 차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조작보턴의 작동축과 연동되는 가스밸브의 바이-패스유로를 개,폐시켜주는 피스톤의 상단부와 연결시켜주는 링크에 의해 버튼을 누르면 가스밸브의 바이-패스유로를 막고 있던 피스톤이 상승하여 바이-패스유로를 열고 하강된 작동축의 걸림홈에는 로커의 포올이 삽입되어서 바이-패스유로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가 코일에 흐르는 여자전류 또는 수동조작노브 조작에 의해서 작동될때 보스를 중심축으로 하면서 스윙하는 로커가 작동축을 놓아줌과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하강되었던 작동축이 도로 상승하면서 피스톤을 하강시켜 바이-패스유로를 닫을수 있도록 됨과 아울러 마이크로 스위치를 온,오프 시켜서 가스밸브의 메인유로를 개,폐시켜주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켜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의 어려움과 함께 고가로 형성되는 단점과 고장이 많이 발생되는 폐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을 수동조작노브를 조작하여 온,오프할 때에 커버 외부에서 온,오프상태를 시각적으로 간단이 판별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회전조작노브의 회전으로 메인밸브를 간단히 열수 있도록 함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시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
본 고안은 액화석유가스(LPG) 및 액화천연가스(LNG)등 가스를 사용하는 각종 산업시설과 대형빌딩 및 주택등 가스 공급라인에서 공급가스를 개폐시키는 안전가스 자동차단장치에 있어서, 특히 수용가측의 가스공급 라인상에서의 안전장치로 사용하는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산업의 발달과 함께 고체연료의 고갈 및 환경오염방지등에 의해 청정연료인 액화석유가스(LPG) 또는 액화천연가스(LNG)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가스는 청정연료일 뿐만이 아니라 환경오염을 줄일수 있는 특징에 의해 많은 선호와 함께 미래연료로서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공급에서도 파이프라인에 의한 편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천연가스는 무색 무취로서 공급라인에서 누수,누출될 경우에는 막대한 피해와 인명손상을 가져오는 사고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스공급라인에 자동가스차단기를 설치하여 라인의 이상유무에 따라 공급가스를 차단시켜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즉 파이프라인에 가스자동차단기를 설치하여 사고시에 가스의 공급을 중지함으로서 가스에 의한 폭발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스자동차단기는 가스누설 감지기나 화재감지기와 같은 각종 위험상태의 검출수단과, 경보수단등을 포함하는 방재시스템의 콘트롤러로 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조작신호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실시예로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 1995년 제5600호에서 그 작용효과를 볼수 있다.
즉, 화재발생시 또는 가스누설사고시 방재시스템에 의해서 전기가 차단되면 상시 폐쇄형 솔레노이드밸브가 자동으로 솔레노이드밸브를 닫아 메인유로를 폐쇄시켜 가스공급을 중단하도록 함과 함께, 또는 수동식 개,폐기구의 버튼에 의해 바이-패스유로를 개방시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정상적인 통전상태로 환원되면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바이-패스유로를 폐쇄시켜 줌과 함께 마이크로스위치가 “온”되면서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에 의해서 메인유로를 개방시켜 가스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그리고 단전된 상태가 통전상태로 복원되지는 않았지만 위험한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수동조작노브 가스밸브의 바이-패스유로를 폐쇄시키고 메인유로를 개방시켜서 가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가스차단기를 제공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수동보턴의 조작시 개폐여부가 캡외부에서 확인이 되지 않음으로서 가스가 차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조작보턴의 작동축과 연동되는 가스밸브의 바이-패스유로를 개,폐시켜주는 피스톤의 상단부와 연결시켜주는 링크에 의해 버튼을 누르면 가스밸브의 바이-패스유로를 막고 있던 피스톤이 상승하여 바이-패스유로를 열고 하강된 작동축의 걸림홈에는 로커의 포올이 삽입되어서 바이-패스유로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가 코일에 흐르는 여자전류 또는 수동조작노브 조작에 의해서 작동될때 보스를 중심축으로 하면서 스윙하는 로커가 작동축을 놓아줌과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하강되었던 작동축이 도로 상승하면서 피스톤을 하강시켜 바이-패스유로를 닫을수 있도록 됨과 아울러 마이크로스위치를 온,오프 시켜서 가스밸브의 메인유로를 개,폐시켜주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켜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의 어려움과 함께 고가로 형성되는 단점과 고장이 많이 발생되는 폐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을 수동조작노브를 조작하여 온,오프할 때에 커버 외부에서 온,오프 상태를 시각적으로 간단이 판별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회전조작 노브의 회전으로 메인밸브를 간단히 열수 있도록 함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시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커버를 일부 절결한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작동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보스
3 : 커버 10 : 솔레노이드밸브
11 :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 11-1 : 플런저
12 : 마이크로스위치 12-1 : 접지단자
13 : 작동봉 20 : 연동암
21 : 가압판 22 : 연동봉
23 : 잠금요부 24 : 힌지축
25 : 탄축스프링 26 : 중앙공
27 : 안내공 30 : 노브
31 : 플런저해지판 32 : 걸림돌기
33 : 작동축 34 : 비틀림 코일스프링
35 : 열림닫힘표기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 일측에 상향돌설된 축판을 관을 형성시켜 탄축스프링으로 탄설된 로커와 상기 로커에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의 작동봉 괘정홈과 메인밸브개폐용 가압판을 구성하여 커버외부로 노출된 노브에 의해 회전개폐함으로서 구성이 간단한 특징과 함께 온,오프 상태가 외부에서 간단히 식별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절개한 상태의 전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커버를 열은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스밸브의 메인유로를 솔레노이드밸브(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되, 방재시스템 콘트롤러에 내장된 비상전원과 연결된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11) 및 마이크로스위치(12)와 연동되는 연동암(20)을 구성하여 수동개폐수단으로 가스밸브를 개,폐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개,폐수단은 일측에 솔레노이드밸브(10)의 작동봉(13)을 가압하는 가압판(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2) 접지단자(12-1)을 온,오프시키는 연동봉(22)이 형성됨과 함께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11)의 플런저(11-1)가 체결되는 잠금요부(23)를 일체로 구성한 연동암(20) 저면 힌지축(24)을 하우징(1)에 돌설된 보스(2)에 힌지구성시켜 탄축스프링(25)으로 탄력설치함과, 상기 연동암(20)상면에는 중앙공(26)과 안내공(27)을 형성시켜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11)의 플런저(11-1)를 밀어내는 플런저해지판(31)과 안내공(27)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돌기(32)를 일체로 구성한 작동축(33)을 구성하고 상기 작동축(33)은 커버(3)에 비틀림 코일스프링(34)으로 탄력설치되어 커버(3)외측에서 노브(30)를 체결함으로서 커버(3)에 표시된 열림닫힘표기(35)에 의해 노브(30)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절개한 상태의 전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커버를 열은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공지와 같이 화재발생시 또는 가스누설 사고시 방재시스템에 의해서 전기가 차단되면 전류가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11)의 코일에 여자되면서 플런저(11-1)가 후진하여 연동암(20)의 잠금요부(23)에서 이탈되면서 탄력설치된 연동암(20)이 일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가압판(21)으로 밀고 있던 솔레노이드밸브(10)의 작동봉(13)에서 가압력을 해지함에 따라 상시 폐쇄형 솔레노이드밸브는 공지와 같이 탄발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10)를 닫게 됨으로서 가스밸브의 메인유로를 폐쇄시켜 가스공급을 중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스위치(12)가 “온” 상태로 되고, 방재시스템에 의한 예방조치로서 단전과 가스공급이 중단되었지만 위험한 상황이 아닌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에 바이-패스유로의 수동식 개,폐수단에 의해 폐쇄된 가스밸브를 열게 된다.
이때에 커버(3)에서 외부로 노출된 작동노브를 회전시키면 노브(30)에 의해 작동축(33)이 회전됨과 함께 일체의 안내공(27)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돌기(32)가 상기 안내공(27)끝단에 걸리면서 연동암(20)을 함께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회전되는 연동암(20)은 그 일측의 가압판(21)을 이동시켜 선단에 위치된 상시 폐쇄형 솔레노이드밸브(10)의 작동봉(13)을 가압이동시키고 이와함께 이동되는 연동암(20)의 잠금요부(23)가 이동되어 플런저(11-1)위치로 이동하면 이 플런저(11-1)가 탄발력으로 잠금요부(23)에 체결되면서 연동암(20)을 고정하게 됨으로서 솔레노이드밸브(10)가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가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동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10)를 잠그고자 할 때에는 상기에서 회전된 상태에서 작동노브(30)를 역회전시켜서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로 이동시키면 노브(30)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축(33)은 일체로 구성된 플런저해지판(31)을 이동시켜 그 끝단부가 연동암(20)의 잠금요부(23)에 체결된 플런저(11-1)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잠금요부(23)에서 이탈시킴에 따라 연동암(20)은 탄축스프링(25)의 탄축력으로 회전이동되고 이에 따라 가압판(21)은 솔레노이드밸브(10)의 작동봉(13)에서 가압력을 해지하게 됨으로 상기 폐쇄형의 솔레노이드밸브(10)가 그 탄발력에 의해 밸브를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에서 회전이동되는 연동암(20)의 연동봉(22)은 이완시켰던 마이크로 스위치(12)의 접지단자(12-1)를 온시킨 상태로 환원하여 전원이 온되었을 때에 전원이 도통되게 된다.
이와같이 본고안은 커버(3)외부로 노출된 작동노브(30)에 의해 열림과 닫힘을 자유롭고 간편히 작동시킬 수 있는 특징과 커버(3)에 표기된 열림 및 닫힘에 의해 시각적으로 열림과 닫힘이 구별되는 장점과 그 구성이 간단하고 정확한 작동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고안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방재시스템에 의해 가스공급을 폐쇄와 개방을 전환시켜 그 편리성과 안전을 도모함과 수동으로 작동노브(30)를 회전시킴에 따라 간단히 개,폐를 조작할 수 있음과 함께 작동노브(30)의 위치에 열림과 닫힘을 표시시켜 현재의 개폐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그 편리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킨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가스밸브의 메인유로를 솔레노이드밸브(10)에 의해 개,폐될수 있도록 하되, 방재시스템 콘트롤러에 내장된 비상전원과 연결된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11) 및 마이크로스위치(12)와 연동되는 연동암(20)을 구성하여 수동개폐수단으로 가스밸브를 개,폐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개,폐수단은 일측에 솔레노이드밸브(10)의 작동봉(13)을 가압하는 가압판(2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2) 접지단자(12-1)을 온,오프시키는 연동봉(22)이 형성됨과 함께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11)의 플런저(11-1)가 체결되는 잠금요부(23)를 일체로 구성한 연동암(20) 저면 힌지축(24)을 하우징(1)에 돌설된 보스(2)에 힌지구성시켜 탄축스프링(25)으로 탄력설치함과, 상기 연동암(20) 상면에는 중앙공(26)과 안내공(27)을 형성시켜 솔레노이드액츄에이터(11)의 플런저(11-1)를 밀어내는 플런저해지판(31)과 안내공(27)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돌기(32)를 일체로 구성한 작동축(33)을 구성하고 상기 작동축(33)은 커버(3)에 비틀림 코일스프링(34)으로 탄력설치되어 커버(3)외측에서 노브(30)를 체결함으로서 커버(3)에 표시된 열림닫힘표기(35)에 의해 노브(30)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
KR2019980012640U 1998-07-10 1998-07-10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38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640U KR200238045Y1 (ko) 1998-07-10 1998-07-10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640U KR200238045Y1 (ko) 1998-07-10 1998-07-10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10U KR20000002710U (ko) 2000-02-07
KR200238045Y1 true KR200238045Y1 (ko) 2001-11-22

Family

ID=6951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64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8045Y1 (ko) 1998-07-10 1998-07-10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0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710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5155B1 (en) Fluid leak detector
EP0440828A1 (en) Gas monitoring system with leak detection and flow cutoff
CA1223241A (en) Quarter turn valve including supervisory switch
US7652859B2 (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pushbutton for use in power substation
EP3728913A1 (en) Slam-shut safety device with operational feedback system
KR200238045Y1 (ko) 자동가스차단기의 수동 개폐장치
US5694970A (en) Safety valve for water supply system
KR100366312B1 (ko) 가스 자동 개폐밸브
US20040118453A1 (en) Automatic lock shutoff valve for water systems
US4191868A (en) Seismic safety cutoff switch
KR200179836Y1 (ko) 자동가스차단기용 개폐밸브
KR0166417B1 (ko) 자동가스 차단기
EP0901142A1 (fr) Dispositif de signalisation d'un défaut électrique dans un dispositif de coupure tel un interrupteur différentiel
JPH0125899Y2 (ko)
RU2186279C2 (ru) Блокировочный газовый кран-клапан
NZ226583A (en) Switch mechanism: actuator disabled on removal of cover
KR200346105Y1 (ko) 자동가스 차단기용 개폐밸브
JPH0434290Y2 (ko)
JPH0559369B2 (ko)
KR200204850Y1 (ko) 타이머를 이용한 개스관 자동 개, 폐장치
CN109944964A (zh) 具有操作反馈系统的紧急切断安全设备
JPH0227254Y2 (ko)
KR200269253Y1 (ko) 자동가스차단기용개폐밸브
KR870002137Y1 (ko) 가스 기구
KR20000011865U (ko) 가스공급용 체크밸브의 자동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UN2301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U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UN23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107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7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