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977Y1 - 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977Y1
KR200237977Y1 KR2020000036182U KR20000036182U KR200237977Y1 KR 200237977 Y1 KR200237977 Y1 KR 200237977Y1 KR 2020000036182 U KR2020000036182 U KR 2020000036182U KR 20000036182 U KR20000036182 U KR 20000036182U KR 200237977 Y1 KR200237977 Y1 KR 200237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wimming
user
water
sw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1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수욱
최연숙
Original Assignee
노수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수욱 filed Critical 노수욱
Priority to KR2020000036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97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977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수영 보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부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수영시 사용자의 양 겨드랑이 사이에 끼워질 때 상기 사용자의 몸을 물 위로 띄워주며,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물놀이 기구로도 사용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가요성 봉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영을 보조하며, 휴대를 간편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mming aid, which is made of a buoyant material to float the user's body on the water when fitted between the user's both armpits when swimming,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easily deformed by external forces It is also used as a water play equipment, it is made of a flexible rod formed with a hollow inside to assist swimming, and to simplify carrying.

Description

수영 보조 기구{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본 고안은 수영하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수영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mming aid that assists in facilitating swimming.

물에서 수영을 하기 위해서는 수영하는 법을 알아야 하지만, 수영법을 몰라도 특정 기구를 이용하여 수영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설령 수영을 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특정 기구를 이용하게 되면 최소한 물 위에 떠다니며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영하는 것을 보조해주거나 물 위에 뜨는 것을 도와주는 기구로는 많은 것들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것들이 부피가 크거나 모양이 단순하지 않아서 운반이 간편하지가 않으며, 어떤 것들은 가격이 너무 비싸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손쉽게 구입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다. 또한, 기존 제품은 공기를 주입시켜 만든 합성비닐제품이므로 외부 충격시 제품의 훼손과 동시에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므로 상당한 위험성이 따른다. 따라서, 수영할 때 일반인들이 손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위험성이 적은 기구가 있다면 많이 이용될 것이다.You need to know how to swim in order to swim in water, but even if you don't know how to swim, you can get help using certain equipment. Even if you can't swim, you can use certain equipment to at least float and enjoy the water. There are many ways to help you swim or float on water. However, most things are not bulky or simple in shape, so they are not easy to carry, and some are too expensive to be easily purchased by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product is a synthetic vinyl product made by injecting air, air is released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as the product is damaged during an external impact, so there is a considerable risk. Therefore, when swimming, the general public can easily buy and use, if there is a low risk device will be used a lot.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가 간편하고 가격이 낮으며 위험성이 적은 수영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mming aid that is easy to carry, low cost and low risk.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의 사용 상태도이다.2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rod shown in FIG.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의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rod illustrated in FIG. 1.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에 스티커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where a sticker is attached to the rod shown in FIG.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을 베개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when using the rod shown in FIG. 1 as a pillow.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의 양 단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및 그의 사용 상태도이다.6A and 6B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state diagram of use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joining both ends of the rod shown in FIG.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의 양 단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관의 제2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7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nnecting tube for coupling both ends of the rod shown in FIG.

도 8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의 양 단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관의 제3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FIG. 8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a third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joining both ends of the rod shown in FIG.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의 양 단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관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joining both ends of the rod shown in FIG. 1.

도 10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의 양 단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관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connector that couples both ends of the rod shown in FIG. 1. FIG.

도 11은 상기 도 1의 봉에 결합 부재가 장착된 상태도이다.11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mounted on the rod of FIG. 1.

도 12는 상기 도 1의 봉에 다른 결합 부재가 장착된 상태도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coupling member mounted on the rod of FIG. 1.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부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수영시 사용자의 양 겨드랑이 사이에 끼워질 때 상기 사용자의 몸을 물 위로 띄워주며,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물놀이 기구로도 사용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가요성 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It is made of a buoyant material to float the user's body on the water when inserted between both sides of the user when swimming,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easily deformed by external forces and used as a water play equipment, hollow inside There is provided a swimm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lexible rod formed additionally.

바람직하기는 또, 상기 봉의 양 단부들에 결합 부재가 설치된다.Preferably, coupling member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d.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봉의 양 단부들을 서로 결합시켜서 상기 봉이 원형상을 취하도록 하는 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봉에 탈부착된다.Preferably, it also has a connecting tube for coupling both ends of the ro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rod takes a circular shape, and the connecting tub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rod.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연결관은 다수개로 분지된 삽입구들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구들에 상기 봉의 양 단부들이 삽입된다.Preferably, the connector also has a plurality of branching inserts, in which both ends of the rod are inserted.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봉의 단면은 5각형 또는 6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봉의 표면은 엠보싱 타입으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cross section of the rod may be formed in a pentagon or hexagon, and the surface of the rod is formed in an embossing type.

상기 본 고안에 의하여 봉은 수영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Ro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swimming.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영 보조 기구(101)는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며 부력을 갖는 가요성 봉(111)을 구비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발포성 소재이다. 봉(111)은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므로 탄성을 가지며, 외부 힘에 의해 휘어지면 원형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휜 상태가 완전히 복구되지는 않는다. 봉(111)은 연성 재질이므로 외부에 힘을 가하면 안으로 눌려지기도 하며,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 상태로 복구된다. 봉(111)은 가볍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다. 봉(111)의 직경(121)이 60∼90ψ이고, 봉(111)의 길이가 130∼200[㎝]일 때, 수영에 가장 적합하며, 운반도 용이하다. 봉(111)은 물에 닿아도 변형되지 않으므로 수영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swimming aid 101 is made of polyethylene and has a flexible rod 111 with buoyancy. The polyethylene is a foam material. Since the rod 111 is made of polyethylene, it has elasticity and returns to a circular shape when it is bent by an external force. However, the shock state is not completely recovered. Since the rod 111 is a soft material, it may be pressed inwar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outside,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removing the force. Rod 111 is easy to transport because it is light and small in volume. When the diameter 121 of the rod 111 is 60-90, and the length of the rod 111 is 130-200 [cm], it is most suitable for swimming, and it is easy to carry. Rod 111 is not deformed even in contact with water does not interfere with swimming at all.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영 보조 기구(1311)의 단면은 6각형으로 형성되며, 도 14를 참조하면, 수영 보조 기구(1411)의 단면은 5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봉(111)은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S. 13 and 14. Referring to FIG. 13, the cross section of the swim aid 1311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Referring to FIG. 14, the cross section of the swim aid 1411 may be formed in a pentagonal shape. In addition to this, the rod 111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forms.

도 1,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수영 보조 기구들(101,1311,1411)의 표면을 울퉁불퉁한 엠보싱 타입으로 형성하면 봉들(101,1311,1411)은 사용자의 몸에 보다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수영시 사용자의 몸에서 잘 떨어지지 않게 되어 수영에 많은 도움이 된다.When the surfaces of the swimming aids 101, 1311, and 1411 shown in FIGS. 1, 13, and 14 are formed in a rugged embossing type, the rods 101, 1311, and 1411 may be closer to the user's body. Therefore, it does not fall well from the user's body when swimming, which helps a lot in swimming.

봉(111)의 사용 상태도가 도 2에 도시되어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111)을 사용자(211)의 앞가슴과 양 겨드랑이 사이에 끼워서 물 속에 들어가게 되면 봉(111)이 부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211)는 물 위에 뜨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211)는 수영하기기 용이하게 된다.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rod 111 is shown in FIG. 2. As shown in FIG. 2, when the rod 111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chest and both armpits of the user 211 and enters the water, the rod 111 has buoyancy so that the user 211 floats on the water. Thus, the user 211 is easy to swim.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111)의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봉(111)의 내부에 중공부(31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중공부(311)만큼 재료비가 절감되어 제작비가 적게 든다. 또한, 수영할 때 물이 중공부(311)를 통과함으로 인하여 물의 장애를 덜 받게 되므로 사용자는 봉(111)을 이용하여 수영하기가 용이하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rod 111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3, the hollow part 311 may be formed in the rod 111. Therefore, the material cost is reduced as much as the hollow part 311, and manufacturing cost is low. In addition, since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hollow part 311 when swimming, the water is less disturb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wim using the rod 111.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111)에 스티커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커(411)에는 수영시 주의 사항이 적히거나 수영시 조심하라는 경고 문구가 적히게 된다. 따라서, 봉(111)을 이용하여 수영하는 사람은 수영시 보다 조심하게 되므로 생명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cker attached to the rod 111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4, the sticker 411 has a warning message to be careful when swimming or to be careful when swimming. Therefore, the person who swims using the rod 111 may be more careful when swimming, thus protecting life more safely.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111)을 베개로 사용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111)을 묶게 되면 봉(111)은 베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수영하다가 잠시 쉬거나 아니면 장시간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 봉(111)을 도 5와 같이 묶어서 베개로 만들어 베고 누워서 휴식을 취할 수가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when using the rod 111 shown in FIG. 1 as a pillow. As shown in FIG. 5, when the rod 111 is bundled, the rod 111 may be used as a pillow. When the user wants to rest for a while while swimming or to rest for a long time, the rod 111 may be tied down as shown in FIG.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111)의 양 단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관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및 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연결관(611)은 내부에 중공부(613)가 형성되어있다. 중공부(613)의 직경은 봉(111)의 직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봉(111)의 양 단부들(113,115)이 잘 삽입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봉(111)의 양 단부들(113,115)이 삽입되면 봉(111)은 원형상을 취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유아들은 상기 원형상의 봉(111)을 튜브처럼 몸에 착용하여 물에서 사용할 수 있다.6A and 6B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a connecting pipe for coupling both ends of the rod 111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6A, the connecting pipe 611 has a hollow portion 613 formed therein. Since the diameter of the hollow part 613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d 111, both ends 113 and 115 of the rod 111 are well inserted. Referring to FIG. 6B, when both ends 113 and 115 of the rod 111 are inserted, the rod 111 takes a circular shape, and in this state, the infants wear the circular rod 111 on the body as a tube. Can be used in water.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111)의 양 단부들(113,115)을 결합시키는 연결관의 제2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연결관(711)은 2개의 연결관들(611,612)을 연결수단, 예컨대 줄로 연결시킨 것이다. 따라서, 연결관(711)은 4개의 삽입구들(721∼724)을 가지며 인접한 삽입구들에 봉(111)의 양 단부들(113,115)을 삽입하게 되면 봉(111)은 원형상을 취하게 되므로 이 역시 유아들이 몸에 튜브처럼 착용하여 물에서 사용할 수 있다.FIG. 7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coupling both ends 113 and 115 of the rod 111 shown in FIG. The connecting pipe 711 shown in FIG. 7 connects the two connecting pipes 611 and 612 by connecting means, for example, a string. Therefore, the connecting pipe 711 has four insertion holes 721 to 724, and when the both ends 113 and 115 of the rod 111 are inserted into adjacent insertion holes, the rod 111 takes a circular shape. Also, infants can wear it like a tube on their body and use it in water.

도 8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111)의 양 단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관의 제3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연결관(811)의 양 단부들을 여러 갈래로 갈라놓음으로써 봉(111)의 양 단부들(113,115)의 삽입이 부드럽게 된다. 봉(111)의 양 단부들(113,115)이 삽입된 상태에서 로크너트(lock nut)들(821)을 조여주면 봉(111)의 양 단부들(113,115)은 연결관(811)에서 잘 빠지지 않게 된다.FIG. 8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a third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coupling both ends of the rod 111 shown in FIG. FIG. 8 smoothly inserts both ends 113 and 115 of the rod 111 by splitting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ipe 811 shown in FIG. Tighten the lock nuts 821 with both ends 113 and 115 of the rod 111 inserted, so that both ends 113 and 115 of the rod 111 do not fall out of the connector 811. do.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111)의 양 단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관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관(911)의 삽입구들(921)은 4갈래로 분지되어 연결관(911)은 '+'자로 형성하며 삽입구들(921)에 2개의 봉들의 양 단부들을 삽입하게 되면, 2개의 봉들은 원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 봉들은놀이기구로 사용될 수도 수영 보조 기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연결관(911)의 삽입구들(921)은 5개 이상으로 분지하게 되면 더 많은 봉들의 양 단부들을 연결관에 삽입시킬 수 있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joining both ends of the rod 111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9, the insertion holes 921 of the connection pipe 911 are branched into four branches so that the connection pipe 911 is formed with a '+' to insert both ends of the two rods into the insertion holes 921. Then, the two rods will take the shape of a circle. In this way, the rods can be used as play equipment or as swimming aids. If the insertion holes 921 of the connector 911 is divided into five or more, both ends of the rods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도 10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봉의 양 단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관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관(1011)은 도 9에 도시된 연결관(911)과 그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하며 단지 그 모양이 'T'자로 형성된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connector that couples both ends of the rod shown in FIG. 1. FIG. Referring to FIG. 10, the connector 1011 is similar in structure and function to the connector 911 shown in FIG. 9, and has only a shape of 'T'.

도 11은 상기 도 1의 봉에 결합 부재가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11과 같이 봉(111)의 양 단부들에 결합 부재(1111,1112), 예컨대 결합 밴드를 장착하게 되면 봉의 양 단부들은 결합 밴드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가 있다. 결합 밴드(1111,1112)는 양단부가 암수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호 결합되면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봉(111)의 양 단부들이 결합되면 봉(111)은 원형상을 취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봉(111)을 튜브처럼 몸에 착용하여 수영할 수가 있다. 따라서, 수영하기가 편리하며, 어린이들이 착용하여 물놀이하기에 알맞다.11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is mounted on the rod of FIG. 1. As shown in FIG. 11, when the coupling members 1111 and 1112, for example, the coupling bands are mounted at both ends of the rod 111, both ends of the rod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coupling band. Both ends of the coupling bands 1111 and 1112 are made of male and female, so that the coupling bands 1111 and 1112 are not easily removed. When both ends of the rod 111 are coupled, the rod 111 takes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user can swim by wearing the rod 111 on a body like a tube. Therefore, it is convenient to swim and suitable for children to play in the water.

도 12는 상기 도 1의 봉에 다른 결합 부재가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결합 부재(1211,1212)는 혁대(1212)와 결착대(1211)를 구비하며, 혁대(1212)와 결착대(1211)는 각각 봉(111)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혁대(1212)에는 다수의 돌출편들(1221)이 형성되며, 혁대(1212)가 결착대(1211)에 삽입되면 결착대(1211)의 돌출부가 혁대(1212)의 돌출부들(1221)에 맞물려서 혁대(1212)는 결착대(1211)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혁대(1212)가 결착대(1211)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봉(111)은 원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사용자는 봉(111)을 튜브처럼 몸에 착용하여 수영할 수가 있어서 수영하기가 편리해지고, 어린이들이 착용하고 물놀이하기에 알맞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coupling member mounted on the rod of FIG. 1. Referring to FIG. 12, the coupling members 1211 and 1212 have a belt 1212 and a binder 1211, and the belt 1212 and the binder 1211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respective ends of the rod 111. It is fixe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221 are formed in the belt 1212, and when the belt 1212 is inserted into the binder 1211, the protrusions of the binder 1211 ar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1221 of the belt 1212. The belt 1212 does not fall out of the binding stand 1211. When the belt 1212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stand 1211 and fixed, the rod 11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user can swim by wearing the rod 111 on the body like a tube, which makes swimming easier. It is suitable for wearing and playing in the water.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수영 보조 기구(101,1311,1411)는 사용자들이 수영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가격이 낮아서 일반인들이 구입하기가 쉬우며, 휴대 및 운반이 간편하고, 위험성도 적다. 또한, 연결관(611)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다른 용도, 예컨대 베개, 물놀이 기구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mming aids 101, 1311, and 1411 can be used for swimming by users, and are low in price, easy to purchase by the general public, easy to carry and carry, and low risk. In addition, since it can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using the connection pipe 611, it can also be used for other purposes, such as pillows, play equipment.

Claims (6)

부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수영시 사용자의 양 겨드랑이 사이에 끼워질 때 상기 사용자의 몸을 물 위로 띄워주며,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물놀이 기구로도 사용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가요성 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 기구.It is made of a buoyant material to float the user's body on the water when inserted between both sides of the user when swimming,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easily deformed by external forces and used as a water play equipment, hollow inside Swimming aid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additional flexible rod 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양 단부들에 결합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 기구.The swimming aid of claim 1, wherein coupling member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ro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양 단부들을 서로 결합시켜서 상기 봉이 원형상을 취하도록 하는 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봉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 기구.The swim ai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tube which couples both ends of the rod to each other so that the rod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connecting tub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ro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다수개로 분지된 삽입구들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구들에 상기 봉의 양 단부들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 기구.The swimming ai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or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ing insertion holes, and both ends of the rod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단면은 5각형 또는 6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 기구.The swim ai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rod may be formed in a pentagon or a hexag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봉의 표면은 엠보싱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보조 기구.The swim ai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urface of the rod is embossed.
KR2020000036182U 2000-12-22 2000-12-22 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KR2002379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182U KR200237977Y1 (en) 2000-12-22 2000-12-22 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182U KR200237977Y1 (en) 2000-12-22 2000-12-22 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977Y1 true KR200237977Y1 (en) 2001-09-25

Family

ID=73054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182U KR200237977Y1 (en) 2000-12-22 2000-12-22 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977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42Y1 (en) 2012-06-08 2014-02-04 지남진 A assistive-swimming apparatus
KR200474693Y1 (en) 2013-07-18 2014-10-07 서강원 A tube for playing in the wa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42Y1 (en) 2012-06-08 2014-02-04 지남진 A assistive-swimming apparatus
KR200474693Y1 (en) 2013-07-18 2014-10-07 서강원 A tube for playing in the w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9301479D0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loatable flexible hose
US3015829A (en) Swimming aid device
KR200237977Y1 (en) 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KR200474693Y1 (en) A tube for playing in the water
US20090156086A1 (en) Noodle and web construction toy system
US6106349A (en) Inflatable flotation device
JPH06505653A (en) Obstacle field target hoop for underwater buoyancy training
US5295885A (en) Inner tube hammock/seat for water/snow recreation
KR200439950Y1 (en) 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CA2172222A1 (en) Inflatable building blocks
US6839931B2 (en) Bathing brush with double cleaning balls
KR200232785Y1 (en) A swimming apparatus
FR2640881A1 (en) Teaching and safety belts for swimming made from deformable composite materials providing a buoyancy aid
KR200377819Y1 (en) Swimming aids
CN220898133U (en) Condom buckle of umbrella
KR200215886Y1 (en) Rope-inserted-Pipe for use in a fish cage
KR200209483Y1 (en) Rotating Playground Equipment
US20060097466A1 (en) Bodyboard/snowboard
EP0943538A3 (en) Life raft
KR950008213Y1 (en) Inflatable life ring for using dnce
JP2005073962A (en) Spherical structure, ball using the same, laundry drying implement, ball case, and protector for buoy
GB2336340A (en) Buoyancy aid
CN2442940Y (en) Saving oneself device for training swimming
US6582265B1 (en) Floatation toy
KR970002983Y1 (en) Swimming a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