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41Y1 -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41Y1
KR200237641Y1 KR2020010010810U KR20010010810U KR200237641Y1 KR 200237641 Y1 KR200237641 Y1 KR 200237641Y1 KR 2020010010810 U KR2020010010810 U KR 2020010010810U KR 20010010810 U KR20010010810 U KR 20010010810U KR 200237641 Y1 KR200237641 Y1 KR 200237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alkaline
water supply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0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41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 장치는, 원수를 정수필터로 정수하고 정수된 물을 냉,온수 탱크에 공급한 다음 온수는 그대로 온수 코크를 통해 급수 받고, 냉수는 전해조의 전기 분해를 통해 알카리수와 산성수로 분리한 후, 분리된 산성수는 외부로 배출하고, 알카리수만을 냉수 코크를 통해 바로 급수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수 탱크의 저장에 따른 2차 오염의 문제를 제거하고, 인체에 유용한 알카리 냉 이온수를 필요에 따라 직접 급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alkali cold ion water in a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냉수통에 급수된 정수된 물을 전해조를 통과시켜 산성수와 알카리수로 분리한 후, 분리된 산성수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알카리수만 냉수코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심각한 상수 원수의 수질 환경 오염으로 인하여 가정이나 직장, 식품 접객업소, 공공장소에서 냉온 정수기를 설치하여 물을 마시고자 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냉수와 온수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 현대 성인병의 중요원인 중의 하나가 고기류, 생선류, 등 산성 식품의 과다 섭취로 인한 체질의 산성화이며, 이러한 산성 체질을 약알카리 체질로 개선하기 위해 원수(상수도)를 전기분해장치(전해조)를 이용하여 알카리 이온수를 의료용 물질 생성기(이온수기)로 개발하여 가정에서 의료 용구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냉,온수 정수기와 이온수기를 별개의 제품으로서 서로 분리 설치되는 관계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알카리 이온수의 경우 알카리 이온수를 마시고자 할 경우 이온수기의 이온수 토출구에서 받아서 냉장고에 보관한 후, 마셔야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알카리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를 냉온수 정수기내에 설치하여 정수기를 통해 정수된 물을 상기 전해조에서 산성수와 알카리수를 분리한 후, 분리된 산성수는 버리고 알카리수만 냉수통과 온수통으로 공급하여 알카리 냉수 및 온수를 급수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1은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온 이온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내부에 냉온수 분리판(21)이 결합된 냉수탱크(2)과 온수탱크(3)를 설치하고, 냉수탱크(2) 외연부 하부에는 냉각관(22)을 감싸며, 저면에는 냉수 코크(4)와 온수탱크(3)의 저면에 연결된 온수관(5)이 각각 연결된다. 온수 탱크(3)내에는 히터(7)를 설치하며, 상부로는 온수코크(6)가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체 뒤판에 고정된 원수(수돗물)입구(12)를 통과한 수돗물이 수돗물 제어밸브(8)에 의해 정수기(9)에 공급되어 정수되고, 정수된 물은 전해조(10)에 공급되어 알카리수와 산성수로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산성수는 세정용 제어밸브(13)와 알카리수 제어밸브(15) 사이를 연결한 연결관(16)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세정용 제어밸브(13)의 일단과 연결된 배출관(14)으로 배출되거나, 알카리수 제어밸브(15)에 연결된 공급관(17)을 통해 냉수탱크(2)로 공급된다.
그리고, 온수탱크(3) 저면에 연결된 온수관(5)을 연장하여 그 끝단의 퇴수관(18)이 뒤판에 고정되어 개폐되도록 마개(미도시)를 형성하였다. 여기서, 전해조(10)내부에는 양극, 음극, 격막이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물이 통과하면서 알카리수와 산성수로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먼저, 가정용 수도를 본체 뒤판에 고정된 원수 입구(12)에 연결시킨 다음 제어장치(미도시)의 각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먼저 수도물 제어밸브(8)가 작동하여 물이 정수기(9)로 공급되어 정수되며 정수된 물은 전해조(10)로 공급되어 알카리수와 산성수로 분리된다.
한편, 분리된 산성수는 전해조(10)의 저면에 연결된 배출관(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알카리수는 전해조(10) 상부를 통해 연결관(16)으로 공급된다. 이때, 세정용 제어밸브(13)의 통로는 클로우즈된 상태이고, 알카리수 제어밸브(15)의 통로는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알카리수는 제어밸브(15)를 통과하여 공급관(17)의 끝단을 통해 냉수탱크(2)로 공급된다. 그리고 계속 공급된 알카리수는 냉수탱크(2)의 냉온수 분리판(21)에 의해 분리되어 먼저 냉각관(22)이 감싸진 냉수 탱크(2) 하부측에 보충되며 다음에 온수관(5)을 따라 온수 탱크(3)에 알카리수가 완전 보충되면 자동으로 수도물 제어밸브(8)로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압축기(미도시)와 연결된 냉각관(22)과 히터(7)의 작동에 의해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채워진 알카리수는 차거워지고 온수 탱크(3)에 채워진 알카리수는 음료용에 알맞도록 뜨거워지며 냉수 코크(4) 또는 온수 코크(6)를 통해 식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냉수 코크(4)와 온수 코크(6)로 급수되어 냉수 탱크(2)의 알카리수가 소비되면, 자동으로 수도물 제어밸브(8)가 재 작동하여 통로를 개방시키게 되므로 공급되는 원수는 정수기(9)를 통해 정수된 후, 전해조(10)를 통해 이온 분리되어 산성수는 배출되며 알카리수는 냉수탱크(2)에 보충되게 된다.
한편, 일정 기간 사용 후 전해조(10)의 내부를 세정하고자 할 때에는 제어장치를 조정하여 알카리수 제어밸브(15)의 통로는 패쇄시키고 세정용 제어밸브(13)의 통로는 개방시킨 후, 수도물 제어밸브(8)를 작동시켜 수도물을 공급하면, 수도물은 정수기(9)와 전해조(10)를 통과하여 정수 및 이온화된 알카리수와 산성수의 모든 물이 배출관(14)을 통해 모두 배출되면서 전해조(10)의 내부를 세정하게 되며, 냉수 탱크(2) 및 온수 탱크(3)의 내부 세척 및 보충되어 있는 물을 갈아 넣기 위해서는 퇴수관(18)에 체결된 마개를 개방시켜 냉,온수의 물은 외부로 배출시킨 후, 다시 신선한 알카리수를 보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온 이온수 공급장치는 전해조를 통과한 알카리 이온수를 냉,온수탱크로 공급하여 냉,온수 코크를 통해 공급되도록 되어 알카리수 이온수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기 때문에 알카리 이온수의 pH성능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수장치를 통해 정수된 물을 냉수 탱크에 공급하고, 냉수 탱크에 급수된 물을 전해조를 통과시켜 산성수와 알카리수로 분리한 후, 분리된 산성수는 버리고 알카리수만 냉수코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알카리 이온수의 pH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온 이온수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원수 입구 31 : 원수 밸브
32 : 정수부 33 : 냉수 탱크
33a : 냉,온수 분리판 34 : 냉각관
35 : 가압 펌프 36 : 전해조
37 : 알카리수 제어 밸브 38 : 연결관
39 : 세정용 제어 밸브 40 : 배출관
41 : 온수 탱크 41a : 히터
42 : 퇴수관 43 : 온수 코크
44 : 정수 공급관 45 : 냉수 연결관
46 : 냉수 배수관 47 : 온수 공급관
48 : 냉수 코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는, 원수를 정수하는 정수장치를 구비한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냉수 저장 수단; 냉수 탱크내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 제공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냉수 저장 수단에 저장된 냉각된 물을 펌핑하여 냉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가압 펌핑수단; 상기 가압 펌핑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산성수와 알카리수로 각각 분리하여 분리된 산성수는 산성수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분리된 알카리수는 알카리수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전기 분해 수단; 제공되는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 분해 수단으로부터 알카리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알카리수를 냉수코크로 배출하는 알카리수 공급 조절 수단; 및 상기 냉수코크의 구동을 감지하여 상기 가압 펌핑 수단과 알카리수 공급 조절수단에 각각 구동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함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알카리수 공급 조절 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알카리수 공급 조절 수단과 상기 산성수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세정 모드 선택시 상기 제어수단에서 제공되는 세정 제어신호에 따라 오픈되어 알카리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알카리수를 상기 산성수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세정수 공급수단 및 세정수 공급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전기 분해 수단내부에는 전류를 공급하는 (+)(-) 전극과, 물속에 함유된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교환하여 상기 (+) 및 (-)전극과 결합하도록 하는 불균질 이온 교환막 및 상기 전극과 상기 이온 교환막을 분리하고 유로를 고르게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은 티타늄 전극으로 구성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 보도록 하자.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성을 보면, 본체 내부에 냉온수 분리판(33a)이 결합된 냉수탱크(33)와, 냉수 탱크(33)와 공급관(47)으로 연결된 온수탱크(41)를 설치하고, 냉수탱크(33) 외연부 하부에는 냉각관(34)을 감싸며, 냉수 탱크(33)와 냉수 연결관(45)을 통해 연결된 가압 펌프(35)와, 가압 펌프(35)와 냉수 연결관(45)을 통해 연결된 전해조(36)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전해조(36) 후단에는 전해조(36)에서 분리된 알카리수를 냉수코크(48)를 통해 배출되도록 알카리수 제어밸브(37)가 설치되며, 전해조(36)에서 분리된 산성수는 전해조(36)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전해조(36) 내부에는 전류를 공급하는 (+)(-) 전극과, 물속에 함유된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교환하여 상기 (+) 및 (-)전극과 결합하도록 하는 불균질 이온 교환막 및 상기 전극과 상기 이온 교환막을 분리하고 유로를 고르게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은 티타늄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전해조(36)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및 구조에 대하여는 본 출원인이 1998년에 특허출원번호 10-1998-0018681호에 출원된 바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알카리수 제어밸브(37)와 배출관(40)사이에는 전해조(36)의 세정을 위해 전해조(36)로부터 배출되는 알카리수를 배출관(40)을 통해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세정용 제어밸브(39)가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온수 탱크(41)내에는 히터(41a)를 설치하며, 상부로는 온수코크(43)가 연결되도록 하고, 온수탱크(41) 저면에는 퇴수관(42)을 설치하여 일정 기준치 이상의 온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외부로 도출된 퇴수관(42) 끝단에는 퇴수의 배출을 조절하는 개폐 마개(미도시)를 형성하였다.
또한, 본체 뒤판에 고정된 원수(수돗물)입구(30)를 통과한 수돗물이 수돗물 제어밸브(31)에 의해 정수부(32)에 공급되어 정수되고, 정수된 물은 냉수탱크(33)에 공급되어 냉,온수 분리판(33a)에 의해 냉수와 온수로 분리된다. 여기서, 정수부(32)는 1차 침전필터(32a), 2차 전처리 필터(32b), 3차 중공사막필터 또는 역삼투압 필터(32c), 4차 후카본필터(32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터 이외에 다른 필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냉수 탱크(33)에는 냉각관(34)이 연결되어 압축기(미도시)로부터 제공된 냉매가스에 의해 냉수탱크(33)내의 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온수탱크(41) 저면에 연결된 퇴수관(42)을 연장하여 그 끝단의 퇴수관(42)이 뒤판에 고정되어 개폐되도록 마개(미도시)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한 원수 제어밸브(31), 알카리수 제어밸브(37) 및 세정용 제어밸브(39)는 모두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 코크(48)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알카리수 제어밸브(37)와 세정용 제어밸브(38)의 개폐 및 가압 펌프(3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보기로 하자.
먼저, 본체 뒤판에 고정된 원수입구(30)를 통과한 원수가 원수 제어밸브(31)에 의해 정수부(32)로 입수되고, 입수된 수도물은 정수부(32)내의 각종 필터 즉, 1차 침전필터(32a), 2차 전처리 필터(32b), 3차 중공사막필터 또는 역삼투압필터(32c), 4차 후카본 필터(32d)를 통과하여 정수된다.
정수부(32)를 통해 정수된 물은 정수 공급관(44)을 통해 냉수 탱크(33)로 공급되어 냉수와 온수로 사용될 물이 냉온수 분리판(33a)에 의해 분리되어 온수로 사용될 물은 온수 공급관(47)을 통해 온수 탱크(41)내로 공급되어 온수 탱크(41)내에 장착된 히터(41a)에 의해 온수로서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냉수 탱크(33)내에서 분리된 일부의 정수물은 냉수 탱크(33) 외연부에 장착된 냉각관(34)에 의해 냉각이 되어 냉수 탱크(33)내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냉각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냉각관(34)과 연결된 압축기에서 공급되는 냉매 가스에 의해 냉각되어지는 것이고, 냉수 탱크(33)내에 공급된 또는 저장된 정수량이 일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뒤판에 고정된 냉수 배수관(4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냉수 탱크(33)와 온수 탱크(41)내에 각각 냉수와 온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수 탱크(41) 하부에 설치된 온수 코크(43)를 누르게 되는 경우 온수 탱크(41)내에 저장된 온수가 온수 공급관을 통해 온수 코크(43)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냉수 코크(48)를 누르게 되는 경우, 즉, 냉수 코크(48)와 연결된 제어장치에서 냉수 코크(48)의 작동을 감지하는 경우, 가압 펌프(35)를 구동함과 동시에 알카리수 제어밸브(37)를 개방시키게 된다.
가압 펌프(35)의 펌핑력에 따라 냉수 탱크(33)내에 저장된 냉수는 냉수 연결관(45)을 통해 전해조(36)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수는 전해조(36)에서 알카리수와산성수로 분리된 후, 산성수는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알카리수는 알카리수 공급관 및 알카리수 제어밸브(37)를 통해 냉수 코크(48)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냉수 코크(48)를 누르게 되는 경우에 제어장치는 세정용 제어밸브를 클로우즈 시키게 되는데, 왜냐하면, 전해조(36)에서 배출되는 알카리수가 연결관(38) 및 배출관(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냉수 코크(48)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 경우 제어장치는 이를 감지하여 구동중인 가압 펌프(35)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알카리수 제어밸브(37)를 클로우즈 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전해조(36)의 세정을 위해 외부에 부착된 세정 버튼을 눌러 세정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장치는 가압 펌프(35)를 구동하고 세정용 제어밸브를 개방시킨다. 이때, 알카리수 제어밸브(37)는 클로우즈된 상태이다.
따라서, 가압 펌프(35)가 구동됨에 따라 냉수 탱크(33)에서 냉수 배출관(45)을 통해 배출되는 냉수를 펌핑하여 전해조(36)로 공급한다. 전해조(36)는 가압 펌프(35)에 의해 공급되는 냉수를 산성수와 알카리수로 분해한 후, 산성수는 배출관(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알카리수 역시 연결관(38) 및 개방된 세정용 제어 밸브(39)를 통해 배출관으로 배출되게 되어 전해조가 세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의 동작을 요약해 보면, 본체 뒤판에 고정된 원수 입구(30)를 통과한 원수가 원수 밸브(31)에 의해 정수부(32)로 공급되어 정수된다.
정수부(32)에서 정수된 물은 정수 공급관(44)을 통해 냉수 탱크(33)로 공급되어 냉수 연결관(45)과 가압 펌프(35)를 통한 냉수는 전해조(36)에 공급된다.
전해조(36)는 냉수 탱크(33)로부터 가압 펌프(35)에 의해 공급된 물을 산성수와 알카리수로 분리한 후, 분리된 산성수는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알카리수는 알카리수 제어밸브(37)의 제어에 따라 냉수 코크(48)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세정용 제어밸브(39)는 클로우즈된 상태이다.
그리고, 전해조를 세정하고자 할 경우, 즉, 사용자가 외부에서 세정 모드를 선택한 경우 가압 펌프(35)가 구동되고, 세정용 제어밸브(39)가 오픈되어 전해조(36)에서 배출되는 알카리수가 연결관(38) 및 세정용 제어밸브(39)를 통해 연결관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전해조(36)가 세정되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는, 전해조를 냉수 탱크 후단에 설치하여 전해조에서 분리된 냉 알카리 이온수를 사용자가 바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는, 원수를 정수필터로 정수하고 정수된 물을 냉,온수 탱크에 공급한 다음 온수는 그대로 온수 코크를 통해 급수 받고, 냉수는 전해조의 전기 분해를 통해 알카리수와 산성수로 분리한 후, 분리된 산성수는 외부로 배출하고, 알카리수만을 냉수코크를 통해 바로 급수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수 탱크의 저장에 따른 2차 오염의 문제를 제거하여 pH성능을 향상시키고, 인체에 유용한 알카리 냉 이온수를 필요에 따라 직접 급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원수를 정수하는 정수장치를 구비한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장치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냉수 저장 수단;
    냉수 탱크내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
    제공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냉수 저장 수단에 저장된 냉각된 물을 펌핑하여 냉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가압 펌핑수단;
    상기 가압 펌핑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산성수와 알카리수로 각각 분리하여 분리된 산성수는 산성수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분리된 알카리수는 알카리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전기 분해 수단;
    제공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 분해 수단으로부터 알카리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알카리수를 냉수코크로 배출하는 알카리수 공급 조절 수단; 및
    상기 냉수코크의 구동을 감지하여 상기 가압 펌핑 수단과 알카리수 공급 조절수단에 각각 구동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카리수 공급 조절 수단과 상기 산성수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세정 모드 선택시 상기 제어수단에서 제공되는 세정 제어신호에 따라 오픈되어 알카리수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알카리수를 상기 산성수 배출관으로 배출시키는 세정수 공급수단 및 세정수 공급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하는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카리수 공급 조절 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인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분해 수단내부에는 전류를 공급하는 (+)(-) 전극과,
    물속에 함유된 음이온과 양이온을 각각 교환하여 상기 (+) 및 (-)전극과 결합하도록 하는 불균질 이온 교환막 및
    상기 전극과 상기 이온 교환막을 분리하고 유로를 고르게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로 구성된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티타늄 전극으로 구성된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장치.
KR2020010010810U 2001-04-17 2001-04-17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 장치 KR200237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10U KR200237641Y1 (ko) 2001-04-17 2001-04-17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10U KR200237641Y1 (ko) 2001-04-17 2001-04-17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41Y1 true KR200237641Y1 (ko) 2001-10-11

Family

ID=7309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10U KR200237641Y1 (ko) 2001-04-17 2001-04-17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65B1 (ko) * 2001-11-21 2004-03-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급수장치
KR100856886B1 (ko) 2007-03-29 2008-09-05 (주)노바테크 냉온수탱크 후방에 전해조를 구비한 이온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65B1 (ko) * 2001-11-21 2004-03-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급수장치
KR100856886B1 (ko) 2007-03-29 2008-09-05 (주)노바테크 냉온수탱크 후방에 전해조를 구비한 이온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955B1 (ko) 정수기
CN101904689A (zh) 与净水器配套使用的饮水机
CN106277443A (zh) 一种全自动净水器
CN105399234A (zh) 一种多功能家用净水机
KR200237641Y1 (ko) 냉,온 정수기의 알카리 냉 이온수 공급 장치
KR100894558B1 (ko) 냉,온 이온수기
KR100785113B1 (ko) 냉,온 이온수기
JP3891118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0856886B1 (ko) 냉온수탱크 후방에 전해조를 구비한 이온정수기
CN111733938A (zh) 水槽结构和橱柜组件
KR100856887B1 (ko) 신선한 이온수 공급을 위한 이온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KR101395863B1 (ko) 이온수 생성시스템
KR200405857Y1 (ko) 냉이온수기용 냉수통
CN210710997U (zh) 一种能降低水质硬度的净水器
KR200292242Y1 (ko) 이온수 생성장치
CN110720837A (zh) 一种节能环保净水器式饮水机
KR200405858Y1 (ko) 냉이온수기
KR101299687B1 (ko) 이온수 생성시스템
KR100699910B1 (ko) 냉이온수기
CN211998948U (zh) 一种带加热装置的净水器
KR200301154Y1 (ko) 이온수 제조가 가능한 냉온정수기
CN212878931U (zh) 一种商务饮水机
CN220393494U (zh) 净热一体机及净饮系统
KR20130003203A (ko) 이온수기
CN215517051U (zh) 一种节能的环境工程用饮用水处理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