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498Y1 - 유아 우유 공급 용기 - Google Patents

유아 우유 공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498Y1
KR200237498Y1 KR2020000032628U KR20000032628U KR200237498Y1 KR 200237498 Y1 KR200237498 Y1 KR 200237498Y1 KR 2020000032628 U KR2020000032628 U KR 2020000032628U KR 20000032628 U KR20000032628 U KR 20000032628U KR 200237498 Y1 KR200237498 Y1 KR 200237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baby
container
valve
moth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주
Original Assignee
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주 filed Critical 정영주
Priority to KR2020000032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498Y1/ko

Links

Landscapes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우유 용기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위 기재의 「우유공급용 튜브」는, 통상 엄마가 아기에게 우유를 공급할 때에 아기가 용기내의 우유를 먹이기 위해 입에 물고 빠는(흡입하는) 일명 젖꼭지를 말하는 것이고, 또, 위 기재의 「보온용기」는, 커피 또는 음료수의 보온 및 보냉 유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보온병을 설명하는 것이며, 또한,「밸브타입 플랜지」라고 기재된 것은, 상기의 '우유공급용 튜브'를 '보온용기'와 연결시켜주는 연결관의 기능과 동시에 우유용기공급용 튜브'를 '보온용기'와 연결시켜주는 연결관의 기능과 동시에 우유용기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기능이 제공되는 구성물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구성은 통상의 보온용기를 우유용기로 사용 가능하게 하여 아기에게 언제나 따뜻하고 위생적인 우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안 출된 것이다.
날씨가 추운 봄, 가을, 겨울에 엄마와 아기가 외출해서 엄마가 모유가 아닌 우유를 아기에게 공급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대부분의 엄마들이 실시한 방법으로서, 엄마들은 외출 전에 세 네 개의 우유용기(젖병)를 소독하여 깨끗하게 준비한 다음, 그 준비된 용기에 뜨겁게 데운 우유를 담고 그 우유가 식지 않도록 여러 겹의 천에 둘둘 말아서 가지고 나가서 필요할 때 마다 아기에게 먹이게 된다.
그리고 여행거리가 멀거나 외출시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시간내에 필요한 량의 뜨거운 우유를 준비하여 보온용기에 담아서 가지고 나가며, 이 경우에 두 개 또는 세 개 정도의 빈 우유용기를 별도로 준비해서 필요할 때마다 보온용기의 우유를 따라서 아기에게 먹이게 된다.
그렇지만, 고온 다습한 여름철에는 준비해 가지고 나간 우유가 자칫 변질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춥고 건조한 겨울철에는 뜨겁게 준비한 우유라 할지라도 짧은 시간 내에 식어버리는(냉각되는)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기온이 고온 상승하고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유아들의 식중독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기온이 내려가고 건조한 겨울철에는 차가워진 우유를 먹이는 아기들에게 감기와 합병증의 심각한 문제들이 자주 발생한다.
그래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감안하여 아기에게 먹이기 위해 준비한 따뜻한 우유를 장시간 동안 식지 않도록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할 때 아기에게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우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안 출 하게 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보온용기를 우유용기로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 우유 공급 용기{Milk providing tool for a baby}
본 고안은 유아 우유 공급 용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위에 기재된 「우유공급용 튜브」는, 엄마가 아기에게 우유를 공급할 대 아기가 입에 물고 빠는(흡입하는) 일명 젖꼭지를 말하는 것이고, 또,「보온용기」는, 우유의 보온을 목저되는 일종의 보온병을 설명하는 것이며, 또한, 「밸브타입 플랜지」는, 상기 '우유공급용 튜브'를 '보온용기'와 연결시켜주는 연결관의 기능과 동시에 우유용기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기능이 제공되는 구성물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구성은 통상의 보온용기를 우유용기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아기에게 항상 따뜻하고 위생적인 우유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유아기의 어린 아이에게 모유를 먹이지 못하고 우유(액체우유 또는 물에 배합한 분유)로 양육하는 엄마들이 아기에게 위생적이고 따뜻한 우유를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서, 건강한 아기의 성장을 도울 수 있게되는 것이다.
엄마들은 자기의 젖을 아기에게 물려서 아기가 모율글 먹으면서 자라도록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사랑으로 아기들을 키우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엄마들은 아기의 숨소리 하나에서부터 행동하나에 이르기까지 어느것 하나 빠트리지 않고 세심한 관심과 주의를 기울인 체 양육(養育) 하고 있다.
하지만, 어떤 엄마들은 자기의 젖을 아기에게 물리지 않고 가공된 우유(분유)를 먹여 양육함으로서 아기에게 주어진 권리 중에서 가장 큰 권리인 엄마 젖 먹는 권리를 박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엄마들은 아기를 총명하게 키우기 위해서 라고 주장들은 하지만 사실 이런 주장을 하는 엄마들 중에는 아기 엄마한테 건강상의 문제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아기엄마 자신의 몸매관리를 위함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엄마가 가공된 우유를 아기에게 공급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엄마들이 그러하듯이 항상 세 네 개 이상 여러개의 젖병을 끊는 물에 먼저 소독한 후, 완전 무 균 상태로 물을 끊여서 적정량의 분유를 배합해서 아기에게 먹이는 것이 통례적이다.
또한, 엄마가 아기를 데리고 집밖으로 외출할 때에는 위에서와 같이 미리 준비한 우유를 젖병에 담아서 외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렇게 가지고 나간 우유는 시간에 맞춰서 먹이거나 아기가 보챌 때 먹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엄마와 아기의 외출시 엄마가 휴대하는 우유는, 기온이 고온 상승하는 여름철에 변질될 염려가 있고, 반면에 기온이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아무리 뜨겁게 끊인 우유라 할지라도 짧은 시간 안에 차갑게 식어버리는(냉각되는)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기온이 고온 상승하고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유아들이 우유로 인한 식중독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기온이 내려가면서 건조한 겨울철에는 아기에게 차가워진 우유를 먹이는 문제로 감기가 걸리고 합병증으로 고통받는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감안하여 모유를 먹지 못하고 우유로 양육되는 아기들에게 엄마의 정성과 사랑이 담기고 위생적인 우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안 출 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방법으로 기온에 관계없이 항상 따뜻하고 위생적인 우유를 아기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아기가 엄마의 품에 안겨서 젖을 빨아먹을 때 아기의 입에 들어가는 엄마 젖의 온도는 엄마가 아기를 어떤 방법으로 안고 먹이느냐에 따라 엄마의 체온보다 약 3도에서 5도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며, 이때 아기는 엄마의 체온과 동시에 엄마의 심장박동 소리를 들으면서 가장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로 성장한다.
이와 같은 내용은 아기에게 가장 알맞은 우유의 온도는, 엄마의 체온보다 약 3도 내지 5도 낮은 약 31도 에서부터 약 33도 정도가 가장 적합한 것을 알 수 있고, 또 지성적 측면과 감성적 측면에 있어서는 엄마의 체온과 심장 박동소리가 큰 영향을 주게되어 아기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유를 먹지못하고 우유로 성장하는 아기들은, 엄마의 품에 안겨서 모정(母情)을 느끼며 모유(母乳)로 성장하는 아기들에 비하여서, 성격이 급하고 신경질적이며 난폭한 성격을 소유하는 사람으로 성장한다는 사실들이 이미 여러 차례 매스컴을 통하여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 고안에서는 엄마의 사정과 이유가 어떠하든지 아기가 모유(母乳)를 먹지 못하고 우유(牛乳)로 성장하는 아기들에게 엄마가 언제나 따뜻하고 위생적이며 정성이 담긴 우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안 출 하게 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유아전용 보온용기를 제공하는 특징과,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보온용기(일명 보온병)를 아기의 우유 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한 사시도로서, 통상의 보온용기에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한 튜브어셈블리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 (a) 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수단을 설명하는 정명상태의 요부발췌 반 단면도.
도 2 (b) 는 상기 도 2 (a)의 x-y부 단면도예시도
도 3 (a) 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 수단을 설명하는 분해 결합예시 상태의 사시도
도 3 (b) 는 상기 도 3 (a)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반 단면도로서, 우유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고정배출구멍과 유동배출구멍이 엇갈려서 배출구멍이 폐쇄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3 (c) 는 상도 도 3 (b)의 상태에서 고정배출구멍과 유동배출구멍이 일치하여 우유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멍이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 다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플랜지밸브어셈블리 (11)…밸브링
(12),(308)…작동안내홈 (20)…스틱밸브
(21)…밸브구멍 (30)…플랜지하우징
(31)…배출안내관 (32)…하우징구멍
(300)…플랜지밸브 (301)…유동관삽입구멍
(309)…폐쇄홈 (310)…개방홈
(400)…스프링 (500)…유동관
(501)…헤드 (502),(606)…단턱
(600)…돌기구멍 (603)…돌기홈
(604)…돌기구멍 (605)…스프링유입홈
(700)…안내돌기
도 1 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는 제 1 실시의 수단으로서, 이 수단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종래 보온용기(A)를 아기의 우유용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튜브어셈블리(100)를 개량 제공한다.
이때의 상기 튜브어셈블리(100)는, 보온용기(A)와 결합하는 체결링(10a)의 내주연에 형성하는 나사선을 용기입구(A')와 일치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우유가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을 적정한 온도로 준비하고 적정량의 분유를 배합한 우유를 보온용기(A)에 충전한 후 용기 뚜껑(도시 없음)으로 용기입구(A')를 밀폐하여 휴대하고, 튜브어셈블리(100)는 상기 보온용기(A)의 용기입구(A')를 폐쇄하고 있는 용기뚜껑(도시 없음)을 먼저 보온용기(A)로부터 분리한 다음 그 개방된 용기입구(A')에 튜브어셈블리(100)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튜브어셈블리(100)를 결합하게 되면 보온용기(A)는 즉시 아기에게 우유를 제공하는 우유용기로 변하게되고, 이와 같이 변한 보온용기(A)의 튜브어셈블리(100)를 주지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꼭지(101)를 아기의 입에 물려주게 되면 아기가 아래 위 잇몸으로 잇몸압력부(101a)를 물은 상태에서 우유를 빨아먹게 된다.
아기가 꼭지(101)를 빨 때에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멍(104)을 통하여 유입되면서 우유의 원활한 공급배출을 돕는 동시에 사리 걸리는 문제가 예방되고 이때 우유배출구(102)는 혀를 향하여 위치되어 보온용기(A) 내부에 따뜻하게 보온 충전되어 있는 우유를 아기가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단 사용한 튜브어셈블리(100)는 보온용기(A)로부터 분리하여 깨끗하게 소독해서 재사용 하여 필요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아기에게 언제나 따뜻하고 위생적인 최적상태의 우유를 제공함으로서 아기의 건강한 성장을 적극 도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a) 및 도 2 (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배출안내관(31)이 일체로 형성되고 우유의 공급과 차단을 돕는 스틱밸브(20)가 결합돈 플랜지하우징(30)과, 상기의 스틱밸브(20)를 작동시키는 밸브링(11)이 외경에 결합되는 체결링(10a)을 가진 플랜지밸브어셈블리(10)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플랜지하우징(30)은, 그 형상과 모양을 원형으로 형성하되, 그 저면에는 용기입구(A') 내경과 일치하는 원통형상의 배출안내관(31)을 형성하고 그 격판 중앙에는 단면상 원형이거나 타원형모양 또는 사각형 모양인 구멍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 하고 거기에 수직 관통된 하우징 구멍(32)을 형성한다.
상기 관통 형성한 구멍에는 수직간 관통된 밸브구멍(21)을 가진 스틱밸브(20)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동시에 중간부분에는 원방향을 따라 단턱을 형성하여 그 단턱 저면이 용기입구(A') 상면과 밀접 되도록 하며, 그 외주연 면에는 체결리(10a)을 결합하여 용기입구(A')에 결합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체결링(10a)은 상부중앙에 우유튜브(103)가 밀착되도록 끼워지는 동시에 그 내주연 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서 용기입구(A')의 나사선과 체결되고, 그 외경에는 스틱밸브(20)를 작동시켜주는 밸브링(11)을 결합구성 하는 것으로서, 이때의 밸브링(11)을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되면 우유가 공급되고 왼쪽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우유공급이 차단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도 2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밸브링(11)의 내면 일부구간에 캠 작용 원리로 형성한 작동아내홈(12)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이 작동안내홈(12)은 밸브링(11)을 왼쪽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스틱밸브(20)를 직선방향으로 ' ⓓ ' 위치까지 밀어내어 밸브구멍(21)을 하우징구멍(32)과 일치시켜서 우유가 공급되는 개방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스틱밸브(20)가 'ⓓ' 위치에 있을 때 밸브링(11)을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되면, 상기 개방상태로 작동할 때 스틱밸브(20)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도시 없음)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스틱밸브(20)를 원위치로 이동시켜 주게된다.
그러므로 상기에서 개방상태로 일치되어 있던 밸브구멍(21)과 하우징구멍(32)은 서로 엇갈리면서 우유의 배출구를 차단하는 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플랜지어셈블리(10)는 그 자체가 우유를 아기에게 제공하는 우유튜브(103) 역할을 부족함 없이 제공하는 동시에 보온 용기(A)의 뚜껑 또는 마개의 DURGKFrk지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주지의 보온용기(A)들을 아기의 우유보관용기로 호환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a)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의 수단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보온용기(A)에 투시창(A')을 형성하여 계량눈금(A')을 형성하고, 플랜지밸브어셈블리(10)는 다소 복잡하지만 플랜지 밸브(300)를 비롯한 유동관(500)과 셋팅캡(600) 및 튜브어셈블리(100)를 조합 구성하여 아기에게 언제나 따뜻한 우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서 상기의 보온용기(A)는, 도 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측면의 수직방햐이에 일정한 넓이와 길이의 실리콘 처리된 방수 투시창(A')을 형성하고 그 투시창에 우유의 양을 확인하는 계량눈금(A'')을 형성하여, 상기의 플랜지밸브어셈블리(10)를 결합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플랜지밸브(300)는, 원방향을 따라 수개의 배출구멍(303)을 가진 배출안내관(31)과 내주연면에 나사선을 가진 바깥면(306)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배출관(31)과 내주연면에 나사선을 가진 바깥면(306)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배출관(31)과 내주연면에 나사선을 가진 바깥면(306)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배출관(31)과 바깥면(306) 사이에는 보온용기(A)를 결합하는 용기체결홈(306a)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내주연면에 씰링홈(304)을 형성하여 그 상단면을 평평하게 형성해서 스프링안착면(305)을 형성하고 외주연 일 측면에는 우유배출을 단속하는 작동안내홈(308)을 형성하여, 유동관(500)으로부터 튜브어셈블리(100)까지 모두를 하나로 결합구성 한다.
이때, 셋팅캡(600)에 결합되어 플랜지밸브(300) 내주연으로 유입되는 유동관9500)은 그 저면이 막인 상태의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그 하단부 원방향에는 수개의 유동배출구멍(505)을 형성하고 나사선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형성한 유동관(500)을 결합하여 플린지밸브(300)에 결합하는 셋팅캡(600)은, 그 내부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게 단턱(606)을 형성하여 그 내, 외주연에 나사선을 형성하고 외주연 일 측면에는 돌기홈(603)과 돌기구멍(604)을 형성한 후, 폐쇄방향을 조정하는 안내돌기(700)를 형성하여 나사로 조합구성 한다.
한편, 플랜지어셈블리(10)는 그 내주연면에 형성하는 나사선을 상기의 셋팅캡(600) 상측 외주연면에 형성한 나사선과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순차적으로 결합구성 하는 것으로서, 결합 순서는 유동관(500)을 먼저 셋팅캡(600) 내주연으로 삽입하여 헤드(501)에 형성한 나사선을 셋팅캡(600) 상주연부에 형성된 나사선과 일치시켜서 체결하고 이어서 스프링(400)을 셋팅캡(600)에 형성한 스프링유입홈(605)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00)과 유동관(500)이 결합된 셋팅캡(600)은 상기 결합된 유동관(500)의 하관부 즉, 차단판(504)이 형성되고 유동배출구멍(505)이 형성된 부분을 플랜지밸브(300)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서 끼워지도록 유동 관삽입구멍(301)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의 셋팅캡(600)은 그 일 측면 하단부에 형성한 돌기구멍(604)을 플랜지밸브(300)에 형성한 작동안내홈(308)과 일치하도록 결합하여 그 돌기홈(603)과 돌기구멍(604)에 돌기판(701)을 가진 안내돌기(700)를 끼우고 나사로 견고하게 결합하게되면 스프링(400)을 압축한 체 셋팅캡(600)이 분리되지 않고 결합되어 있게되며, 이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튜브어셈블리(100)를 셋팅캡(600)의 상단 외주연 나사선에 결합하게 되면 소정의 플랜지밸브어셈블리(10)가 조립 완성되는 것으로서, 우유를 배출 공급하고 차단 단속하는 수단은 상기 조립된 셋팅캡(600)의 안내돌기(700) 위치가 어느 곳에 속하는냐에 따라서 결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서 상기의 플랜지밸브어셈블리(10)를 보온용기(A)에 결합한 상태에서 우유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잠그는 상태는 도 3 (b)으로 예시하고 있다.
현재 이 상태는 셋팅캡(600)에 결합된 안내돌기(700)의 위치가 하방향 즉 우유공급을 차단하는 폐쇄방향에 있는 상태로서, 이때에는 상기 도 3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동배출구멍(505)이 내려와서 고정배출구멍(303)과 엇갈려서 배출구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보온용기(A)에 충전되어 있는 우유는 외부로 배출할 수가 없게 된다.
하지만, 셋팅캡(600)을 약간 밑으로 누르면서 오른쪽방향으로 회전시키게도면 안내돌기(700)가 프랜지밸브(300)의 폐쇄홈(309)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가 되어 스프링(400)을 더욱 압축하면서 회전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로 회전하는 안내돌기(700)는 수직간 형성된 작동안내홈(308)의 측면 벽에 접촉 되면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지된 상태에서 셋팅캡(600)을 쥐고있던 손을 놓게되면 압축되어있던 스프링(400)이 원상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그 스프링(400)의 복원력이 자유 상태의 셋팅캡(600)을 복원력이 작동하는 상측방향으로 밀어 올려 주게되므로 안내돌기(700)는 수직간 작동안내홈(308)의 상측면에 접촉될 때 까지 상승하게 되고 일단의 상승이동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셋팅캡(600)을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놓게되면 계속 스프링(400)의 압력을 받고 있는 셋팅캡(600)은 안내돌기(700)가 처음위치인 폐쇄홈(309)으로부터 빠져나와 작동안내홈(308)을 통하여 개방홈(310)에 이르게 되었다는 설명은, 상기의 유동관(500)이 셋팅캡(600)에 나사선으로 체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고 있는 상태이므로 셋팅캡(600)이 이동을 하게되면 자연히 한 몸체를 이루고 있는 유동관(500)도 동일하게 이동하게되어 유동배출구멍(505)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배출안내관(31)의 고정배출구멍(303)과 일치되고, 이와 같은 상태는 보온용기(A)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우유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된다는 설명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엄마가 아기와 함께 외출을 할 때에 아기에게 먹이기 위해 준비해 가지고 나가는 우유를 안심하고 간편하게 장시간동안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할 때에 장소와 주변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따뜻하고 위생적인 우유를 아기에게 제공할 수 있게되는 것으로서, 건강한 아기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용기입구를 폐쇄하는 격판을 가진 플랜지하우징을 구성하되, 격판에는 관통하는 구멍을 뚫어서 회전하거나 또는 직선운동에 의해 개폐 작용하는 단속밸브를 구성하고, 플랜지하우징의 외주연에는 나사선을 가진 체결링을 형성하여 조합 구성하며, 꼭지를 가진 우유튜브를 상기의 체결링에 결합구성하여, 보온용기의 우유 공급 용기로 호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우유 공급용기.
KR2020000032628U 2000-11-21 2000-11-21 유아 우유 공급 용기 KR200237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628U KR200237498Y1 (ko) 2000-11-21 2000-11-21 유아 우유 공급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628U KR200237498Y1 (ko) 2000-11-21 2000-11-21 유아 우유 공급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498Y1 true KR200237498Y1 (ko) 2001-09-25

Family

ID=7309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628U KR200237498Y1 (ko) 2000-11-21 2000-11-21 유아 우유 공급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5504B2 (en) 2005-09-12 2012-07-10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Sucker for drinking purpo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5504B2 (en) 2005-09-12 2012-07-10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Sucker for drinking purpo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8304C (en) Bottle assembly
US5779071A (en)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US6786345B2 (en) Feeding bottles
US20110011819A1 (en) Modular feeding bottle
US9301904B2 (en) Feeding kit
US20120043293A1 (en) Nipple For An Infant Bottle Assembly And An Infant Bottle Assembly Having Such a Nipple
JPH02228966A (ja) 容器の栓部材
US20110155684A1 (en) Baby bottle and feeding system
US20140163463A1 (en) Medicup a Medicine dispenser with soft Handles interchangeable with Strawcup
JP2013507155A (ja) 栄養製品を調製する為に小分けされたシステム
KR200237498Y1 (ko) 유아 우유 공급 용기
JP2014515286A (ja) 流れ特性が向上した哺乳瓶用授乳アセンブリ
EP0345694B1 (en) Nursing bottles
US20110139740A1 (en) Feeding bottles
CN206151883U (zh) 一种旋转伸缩式婴儿奶瓶
KR200441202Y1 (ko) 수유용 젖꼭지
KR101924513B1 (ko) 연속 수유가 가능한 보조수유통을 갖는 젖병
CN206526290U (zh) 一种一瓶多用分体式自助奶瓶
US20140001144A1 (en) One-piece cap with flexible straw and sealing disk for baby bottle
CN211658772U (zh) 一种便携式婴幼儿喂药奶瓶
CN219613620U (zh) 冲泡装置
CN2330359Y (zh) 方便喂食杯
CN208448252U (zh) 一种早产儿专用储奶装置
US20040226906A1 (en) Baby bottle nipple
CN213759528U (zh) 儿科护理用喂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