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065Y1 - 냉장고의제빙용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제빙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7065Y1 KR200237065Y1 KR2019980026422U KR19980026422U KR200237065Y1 KR 200237065 Y1 KR200237065 Y1 KR 200237065Y1 KR 2019980026422 U KR2019980026422 U KR 2019980026422U KR 19980026422 U KR19980026422 U KR 19980026422U KR 200237065 Y1 KR200237065 Y1 KR 2002370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container
- making container
- making
- storage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제빙용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 냉장고의 제빙용기는 제빙용기내에 얼려진 얼음을 꺼내기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냉동실선반으로부터 제빙용기를 인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제빙용기를 꺼낸 후 그 선단부와 후단부를 잡고 비틀어 얼음을 제빙홈 내에서 이빙시키지만 제빙용기를 비틀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얼음이 다시 제빙홈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얼음을 꺼내는데 별도의 집게를 사용하거나 제빙용기를 거꾸로 뒤집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얼음저장용기와, 선단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부와 후단부 중앙에 돌설된 회동축에 의해 얼음저장용기의 전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후단부 일측단에는 일정각도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후면 내측에 돌설된 걸림돌기에 걸려지는 스토퍼가 형성된 제빙용기와, 제빙용기의 나사부와 맞물림되는 나사부가 후단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탄성스프링이 탄설되어 그 전진후퇴 동작에 따라 제빙용기를 일방향으로 회전 또는 복귀시키도록 하는 푸쉬버튼으로 구성된 제빙용기를 구비하여 용이하게 제빙용기로부터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위생적으로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냉장고의 제빙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얼음이 얼려진 제빙용기를 냉동실 선반으로부터 일일이 인출하여 비틀면서 이빙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빙용기로부터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제빙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실의 상측 적소에는 제빙용기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빙용기는 통상 비틀림이 용이하도록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빙용기는 그 내측에 형성된 소정형태의 얼음의 이빙을 위해 비틀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2열 내지는 다수열로 제빙홈을 나란히 연설하되 제빙홈의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된다.
한편, 급수장치에 의해 급수되는 물을 제빙용기에 공급받아서 냉동실의 냉기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제빙이 완료되면 제빙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에 의해 제빙용기를 강제로 비틀어 얼음을 분리 시킨후 용기를 회동시켜서 얼음저장용기에 저장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자동제빙장치가 설치되기도 하지만 본 고안은 일반적인 가정용 냉장고의 제빙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구조를 나타낸 냉장고의 도어열림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냉장실(R) 내상 적소에 비드를 돌설하고 이러한 비드의 상측으로 냉동실선반(30)의 양단부가 안착된다.
상기 냉동실선반(30)의 상측으로는 다수개의 얼음을 얼릴 수 있도록 상측이 넓고 하측이 좁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제빙홈(55)이 2열 또는 다열로 연설된 제빙용기(50)가 안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냉장고의 제빙용기는 상기 제빙용기(50)내에 얼려진 얼음을 꺼내기 위해 사용자가 일일이 냉동실선반(30)으로부터 제빙용기(50)를 인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제빙용기(50)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잡고 비틀어 얼음을 제빙홈(55) 내에서 이빙시키지만 상기 제빙용기(50)를 비틀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얼음이 다시 제빙홈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얼음을 꺼내는데 별도의 집게를 사용하거나 상기 제빙용기(50)를 거꾸로 뒤집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또한 얼음을 이빙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제빙용기 및 얼음에 직접 닿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얼음이 얼려진 제빙용기를 냉동실 선반으로부터 일일이 인출하여 비틀면서 이빙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빙용기로부터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위생적으로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제빙용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구조를 나타낸 냉장고의 도어열림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푸쉬버튼과 제빙용기의 선단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제빙용기의 후단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제빙용기를 90도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의 작동상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제빙용기를 120도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푸쉬버튼, 42 : 가이더,
44 : 탄성스프링, 50 : 제빙용기,
51 : 나사부, 55 : 제빙홈,
58 : 스토퍼, 70 : 얼음저장용기,
78 : 걸림돌기.
본 고안은 상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얼음저장용기와, 선단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부와 후단부 중앙에 돌설된 회동축에 의해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전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후단부 일측단에는 일정각도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후면 내측에 돌설된 걸림돌기에 걸려지는 스토퍼가 형성된 제빙용기와,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전면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제빙용기의 나사부와 맞물림되는 나사부가 후단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탄성스프링이 탄설되어 그 전진후퇴 동작에 따라 상기 제빙용기를 일방향으로 회전 또는 복귀시키도록 하는 푸쉬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용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의 얼음저장용기(70)가 구비되고, 상기 얼음저장용기(70)의 내측 상부에는 제빙용기(5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빙용기(50)는 선단부 중앙에는 나사부(51)가 형성되고 후단부 중앙에는 회동축(59)이 형성되어 상기 얼음저장용기(70)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회동축(59)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a는 본 고안의 푸쉬버튼과 제빙용기의 선단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얼음저장용기(70)의 전면 상단에 형성된 관통공(75)을 통하여 푸쉬버튼(40)이 삽입되고 상기 푸쉬버튼(40)의 후단부에 형성된 나사부(45)가 제빙용기(50)의 선단부에 형성된 나사부(51)에 맞물림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푸쉬버튼(40)을 누르게 되면 상기 푸쉬버튼(40)의 나사부(45)가 전진작동을 함과 동시에 상기 제빙용기(50)의 나사부(51)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빙용기(5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빙용기(50)의 회동축(59)은 상기 얼음저장용기(70)의 후면 외측으로 끼워지는 캡(79)에 분리가능하게 되어 상기 제빙용기(50)를 얼음저장용기(7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푸쉬버튼(40)은 가이더(4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푸쉬버튼(40)과 얼음저장용기(70) 사이에 탄설된 탄성스프링(44)에 의해 사용자가 푸쉬버튼(4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자동적으로 후퇴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푸쉬버튼(40)의 전진후퇴 동작에 따라 상기 제빙용기(50)는 일방향으로 회전 또는 복귀되는 것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제빙용기의 후단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로서, 상기 제빙용기(50)의 후단부 일측단에는 상기 제빙용기(50)가 일정각도(예컨데 90도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스토퍼(58)가 돌설되고 상기 얼음저장용기(70)의 후면 내측에는 상기 스토퍼(58)에 대응되어 걸려지는 걸림돌기(78)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제빙용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제빙용기를 90도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제빙용기를 120도 각도로 회전시켰을 때의 작동상태도로서, 사용자가 냉동실내에 수납되어 있는 제빙용기(50)의 푸쉬버튼(40)을 전방으로 누르게 되면 푸쉬버튼(40)의 나사부(45)와 맞물린 제빙용기(50)의 나사부(51)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50)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상기 제빙용기(50)와 얼음저장용기(70)가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빙용기(50)의 후단부에 돌설된 스토퍼(58)와 얼음저장용기(70)의 후면 내측에 돌설된 걸림돌기(78)가 서로 맞닿으면서 그 회전이 중지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푸쉬버튼(40)에 힘을 가하여 더 누르게 되면 상기 제빙용기(50)의 후단부는 상기 스토퍼(58)와 걸림돌기(78)로 인해 고정된 상태에서 제빙용기(50)의 선단부와 중앙부가 약 120도 각도로 비틀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빙용기(50)는 쉽게 비틀려질수 있는 유연성 있는 재료로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빙용기(50)의 제빙홈(55) 내에 얼려졌던 얼음이 하측의 얼음저장그릇(70)으로 낙하되어 얼음이 수납되는 것이다.
상기 푸쉬버튼(4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스프링(44)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50)가 수평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으로 얼음이 제빙용기(50)로부터 완전히 이빙되지 않으면 상기 푸쉬버튼(40)을 전후방으로 수회 후퇴전진 동작하게 되면 완전히 이빙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얼음이 얼려진 제빙용기를 냉동실 선반으로부터 일일이 인출하여 비틀면서 이빙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빙용기로부터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위생적으로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 냉동실(F)내에 수납되어 얼음을 얼릴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빙홈(55)이 형성된 냉장고의 제빙용기에 있어서,상측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면 내측에 돌출되게 걸림돌기(78)가 형성된 얼음저장용기(70)와,선단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부(51)와 후단부 중앙에 돌설된 회동축(59)에 의해 상기 얼음저장용기(70)의 전후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 일측단에는 상기 얼음 저장용기(70)의 걸림돌기(78)에 걸려 일정각도 이상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하는 스토퍼(58)가 형성된 제빙용기(50)와,상기 얼음저장용기(70)의 전면상단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전후진 동작시에 상기 제빙용기(50)를 회전시키도록 그 나사부(51)와 맞물림되는 나사부(45)가 후단부에 형성되고, 탄성스프링(44)이 탄설되어 그 전진 동작에 따라 회전된 상기 제빙용기(50)를 복귀시키도록 하는 푸쉬버튼(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6422U KR200237065Y1 (ko) | 1998-12-24 | 1998-12-24 | 냉장고의제빙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6422U KR200237065Y1 (ko) | 1998-12-24 | 1998-12-24 | 냉장고의제빙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3265U KR20000013265U (ko) | 2000-07-15 |
KR200237065Y1 true KR200237065Y1 (ko) | 2001-12-17 |
Family
ID=69508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26422U KR200237065Y1 (ko) | 1998-12-24 | 1998-12-24 | 냉장고의제빙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7065Y1 (ko) |
-
1998
- 1998-12-24 KR KR2019980026422U patent/KR20023706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3265U (ko) | 2000-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89389B1 (ko) | 냉장고의 제빙부 | |
ES2864550T3 (es) | Refrigerador con máquina de hielo | |
CN101573572B (zh) | 包括冰块分配器及对应组件的制冷装置 | |
US7765645B2 (en) | Refrigerator | |
US20080163639A1 (en) |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 |
US20090320511A1 (en) | Ice dispenser | |
KR20040084297A (ko) | 냉장고의 디스팬서 | |
US3135101A (en) | Flexible tray assembly for freezing, storing and dispensing ice chips, flakes and the like | |
CN100387917C (zh) | 电冰箱 | |
US20070119194A1 (en)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KR200237065Y1 (ko) | 냉장고의제빙용기 | |
KR101350018B1 (ko) | 냉장고 도어 개방구조 | |
KR101123710B1 (ko) | 냉장고 | |
KR20080047148A (ko) | 냉장고 홈바 | |
JP3653632B2 (ja) | アイスキャンデー成形器 | |
KR20050033295A (ko) | 냉장고의 얼음 제조 및 취출장치 | |
KR100531290B1 (ko) |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및 자동제빙기 제어방법 | |
KR100476442B1 (ko) | 냉장고용 제빙장치 | |
KR0138239Y1 (ko) | 냉장고 제빙실의 얼음착탈장치 | |
KR100603732B1 (ko) |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각도 정지 장치 | |
KR200232034Y1 (ko) | 냉장고용제빙장치 | |
KR100612102B1 (ko) | 냉장고의 얼음토출구 개폐장치 | |
KR0117749Y1 (ko) | 냉장고용 서브-도어 개폐장치 | |
US1507366A (en) | Befbigebatob | |
JPH08261612A (ja) | 冷凍冷蔵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