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225Y1 - 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 - Google Patents

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225Y1
KR200236225Y1 KR2020010005698U KR20010005698U KR200236225Y1 KR 200236225 Y1 KR200236225 Y1 KR 200236225Y1 KR 2020010005698 U KR2020010005698 U KR 2020010005698U KR 20010005698 U KR20010005698 U KR 20010005698U KR 200236225 Y1 KR200236225 Y1 KR 200236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ing
signal
pillow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69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한앤드김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한앤드김, 학교법인연세대학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한앤드김
Priority to KR2020010005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22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225Y1/en

Links

Abstract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코골이를 감지하게 되면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내부에 장착된 회전모터를 구동시켜 베개가 기울어지도록 하여 코골이를 하지 않도록 하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코골이신호감지부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감지되는 음성신호인 코골이신호 및 잡음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최종 데이터(L)를 산출하고, 상기 최종 데이터(L)가 문턱치값(K1)보다 큰 값을 갖는 지속시간(T1)이 설정시간(P1)보다 큰가를 분석하여 지속시간(T1)이 설정시간(P1)보다 크면 지속시간(T1)동안 존재하는 최대점개수(R1)를 카운트한다. 상기 최대점개수(R1)가 설정된 최대점개수(R2)보다 크게 되면 코골이신호로 판단한다. 상기 코골이신호가 선택된 횟수만큼 감지되면 회전모터구동부의 회전모터에 구동신호를 제어부가 인가함으로서 베개의 자세변형플레이트가 기울어지므로 코골이를 하지 않도록 한다.When snoring is detected by analyzing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he snoring prevention pillow is driven by driving the rotating motor installed inside the snoring prevention pillow so that the pillow is tilted so that the pillow is not snoring. An apparatus for driving is disclosed. Signal processing the snoring signal and noise signal, which are voice signals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constituting the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to calculate final data L, and the last data L has a value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K1. It is analyzed whether the time T1 is greater than the set time P1. If the duration T1 is greater than the set time P1,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R1 existing during the duration T1 is counted. When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R1 is greater than the set maximum number of points R2, it is determined as a snoring signal. When the snoring signal is detected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the control unit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rotating motor of the rotating motor driving unit so that the posture deformation plate of the pillow is inclined so as not to snor.

Description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Device for detecting a snoring and driving a pillow to prevent snoring {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

본 고안은 코골이 방지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코골이를 감지하게 되면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내부에 장착된 회전모터를 구동시켜 베개가 기울어지도록 하여 코골이를 하지 않도록 하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snoring is detected by analyzing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the pillow is tilted by driving a rotating motor mounted inside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a snoring to prevent snoring and driving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일반적으로 사람은 복잡하고도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스트레스 그리고 올바르지 못한 식생활 문화로 인한 비만 등으로 인하여 수면장애를 겪고 있는 인구의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면장애는 흔히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증상을 수반하게 되며, 특히 수면중에 코골이가 지속될 경우에는 코골이를 하지 않는 정상인에 비하여 고혈압의 발생확률이 두 배 가량 높으며 심근경색의 발생률도 높아진다. 코골이는 숨쉬는 동안 공기가 기도로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가 좁아져서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 때 생기는 것으로 수면중에 호흡곤란을 겪게 되어 수면방해를 할 뿐 만 아니라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수면장애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다. 코골이 신호는 800-1200Hz 정도의 특정 주파수대역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코골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사용하였으나 외부잡음에 의한 오동작이 빈번하고, 또한 코골이의 세기가 각각 다른 경우에 코골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여 신속하게 코골이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sleep disorder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complicated and irregular lifestyles, stress, and obesity due to an incorrect eating culture. Sleep disorders often involve symptoms such as snoring and sleep apnea. Especially, if snoring continues during sleep,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is twice as high and the incid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is higher than that of normal people without snoring. Snoring occurs when the throat passes through the air before it enters the airway and becomes narrow when the air cannot easily enter. This causes not only breathing difficulties during sleep, but also progresses to sleep disorders such as sleep apnea. Is likely to be. The snoring signal has a specific frequency band of about 800-1200 Hz. Conventionally,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is us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noring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but malfunctions due to external noises are frequent, and when snoring strengths are different, the snoring is not accurately detected, and thus it is quickly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prevent snoring.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근접부에 장착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분석하여 코골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감지하게 되면 코골이 방지용 베개의 내부에 장착된 회전모터구동부의 회전모터를 구동시켜 베개의 모양이 변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the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ounted in the proximity of the snoring pillow to detect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noring When the snoring prevents snoring by detecting the snoring to prevent the snorin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pillow by driving the rotating motor of the rotary motor drive mounted inside the pillow to prevent snoring to provide a device for driving hav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vice for driving a snoring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device for driving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골이신호 및 잡음신호인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한 코골이신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noring signal that processes a snoring signal and a voice signal as a nois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에 설치된 회전모터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tating motor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코골이신호감지부 12 : 마이크로폰10: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12: microphone

14 : 증폭부 16 : 가산기14 amplification unit 16 adder

18 : 직류신호제거부 20 : 아날로그필터부18: DC signal removing unit 20: analog filter unit

22 : 전파정류회로부 24 : 오토게인증폭부22: full wave rectification circuit part 24: auto crab authentication width part

26 : A/D컨버터부 30 : 제어부26: A / D converter unit 30: control unit

40 : 회전모터구동부 50 : 전원공급부40: rotation motor drive unit 50: power supply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코골이 및 각종 잡음을 입력시켜 원하는 코골이 신호를 출력하는 코골이신호감지부, 상기 코골이신호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코골이신호인 것이 확인되면 회전모터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저장하거나 제어부로 출력시키는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회전모터가 구동되므로써 자세변형플레이트가 동작을 하여 베개의 형상이 변하도록 하는 회전모터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코골이신호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코골이신호 및 잡음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최종 데이터(L)를 산출하고, 상기 최종 데이터(L)가 문턱치값(K1)보다 큰값을 지속적으로 갖는 지속시간(T1)을 산출하여 설정시간(P1)과 비교한 후 크면 지속시간(T1)동안 존재하는 최대점개수(R1)를 산출하고, 상기 최대점개수(R1)가 설정된 최대점개수(R2)보다 크면 코골이신호로 판단하여 코골이신호가 선택된 횟수만큼 감지되면 회전모터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회전모터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for outputting a desired snoring signal by inputting the snoring and various noises, and rotate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noring signal is analyzed by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motor driving unit, a memory unit for storing or outputt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the rotation motor is driven by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by the posture deformation plate to operate to change the shape of the pillow In the apparatus for driving a snoring pillow made of a rotating motor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to process the snoring signal and noise signal applied from the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to calculate the final data (L), the final data (L) Is a duration T1 that continuously has a value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K1. After calculating and comparing with the set time P1, if it is large,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R1 existing during the duration T1 is calculated, and if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R1 is greater than the set maximum number of points R2, the snoring signal is used. When the snoring signal is determined as determined by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a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rotating motor driving unit to detect the snoring to drive the rotating motor to provide a device for driving a snoring pillow.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오토게인증폭부가 접속되며, 상기 오토게인증폭부는 전파정류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보다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크기의 신호가 되도록 조절해준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auto-gain authentication width, the auto-gain authentication width is adjusted so that the signal of the set siz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magnitude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full-wave rectifying circuit unit is too large or smaller than the set size.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전원공급부가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공급부의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류량이 로우(low)상태가 되면 경보음발생부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한 후 일정한 시간동안 배터리의 전류량이 계속 로우상태를 유지하면 배터리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larm sound generator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the amount of current charged in the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is low, and then the current amount of the battery for a predetermined time. Keeping the low state provides a device for detecting a snoring to drive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is cut off.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골이신호 및 잡음신호인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한 코골이신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베개에 설치된 회전모터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vice for driving a snoring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device for driving a snoring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snoring signal signal processing a snoring signal and a noise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tating motor driving unit installed in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코골이 및 각종 잡음을 입력시켜 원하는 코골이 신호를 출력하는 코골이신호감지부(10)는 코골이 및 잡음이 입력되는 마이크로폰(12)과, 상기 마이크로폰(12)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일정한 크기로 증폭시키는 증폭부(14)와, 상기 두 개의 증폭부(14)로부터 각각 인가되는 두 개의 신호를 합성하는 가산기(16)와, 상기 가산기(1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직류신호제거부(18)와, 상기 직류신호제거부(1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코골이신호와 유사한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아날로그필터부(20)와, 상기 아날로그필터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정류시키는 전파정류회로부(22)와, 상기 전파정류회로부(2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작거나 너무 크면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설정된 크기가 되도록 조정해주는 오토게인증폭부(auto-gain amplifier)(24)와, 상기 오토게인증폭부(2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A/D컨버터부(26)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크로폰(12)은 베개(도시 안됨)의 양측에 두 개를 설치하여 모든 방향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도록 -38dB의 감도를 가지고 20∼20000Hz의 주파수응답을 갖는다. 상기 마이크로폰(12)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인 코골이신호 및 잡음신호는 증폭부(14)를 통해 100배 정도가 증폭되어 일정한 크기(예 ; -4V∼+4V)를 갖게 되며, 상기 두 개의 증폭부(14)에서 각각 증폭된 신호는 가산기(16)에서 합해진다. 상기 가산기(16)에서 합해진 신호는 직류신호제거부(18)를 통해 직류성분이 제거된다. 상기 직류신호제거부(18)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아날로그필터부(20)를 통해 코골이신호에 해당하는 800∼1200㎐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킴으로써 코골이신호 및 유사한 잡음신호만이 통과하도록 필터링된다. 상기 아날로그필터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전파정류회로부(22)에서 전파정류되어 0∼+4V의 신호만이 제어부(30)에인가된다.First, the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10 for inputting snoring and various noises and outputting a desired snoring signal includes a microphone 12 to which snoring and noise are input and a signal applied from the microphone 12 to a predetermined size. An amplifying unit 14 for amplifying a signal, an adder 16 for synthesizing two signals respectively applied from the two amplifying units 14, and a direct current for removing a direct current component of a signal applied from the adder 16. The signal removing unit 18 and the analog filter unit 20 for filtering only the signal applied from the DC signal removing unit 18 to pass a signal similar to the snoring signal, and the signal applied from the analog filter unit 20. Full-wave rectification circuit section 22 for rectifying the, and auto-gear authentication width section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signal to be a predetermined set size i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full-wave rectification circuit section 22 is too small or too large (auto a gain amplifier 24 and an A / D converter 26 for converting a signal applied from the auto gain authentication section 24 into a digital signal. Two microphones 1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a pillow (not shown) and have a frequency response of 20 to 20000 Hz with a sensitivity of -38 dB to input voice signals in all directions. The snoring signal and the noise signal, which are voice signal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2, are amplified by about 100 times through the amplifying unit 14 to have a constant magnitude (eg, -4V to + 4V), and the two amplifications. The signals amplified in section 14 are then summed in adder 16. The signal summed by the adder 16 removes the DC component through the DC signal removing unit 18. The signal applied from the DC signal removing unit 18 is filtered so that only the snoring signal and the similar noise signal pass through the analog filter unit 20 by passing only a signal in the 800 to 1200 kHz band corresponding to the snoring signal. The signal applied from the analog filter unit 20 is full-wave rectified by the full-wave rectifying circuit unit 22 so that only a signal of 0 to + 4V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30.

상기 전파정류회로부(22)를 통과한 신호는 오토게인증폭부(24)에 인가되어 전파정류회로부(2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를 자동으로 증폭률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오토게인증폭부(2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는 A/D컨버터부(26)에서(0.82msec간격으로 샘플링(sampling)하여)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을 시킨다. 상기 코골이신호감지부(10)의 A/D컨버터부(26)는 디지털신호인 음성신호를 제어부(30)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30)는 A/D컨버터부(26)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코골이신호 및 이와 유사한 잡음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6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A/D컨버터부(2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보다 크거나 또는 작으면 오토게인증폭부(24)를 제어하여 설정된 크기의 신호로 조절함으로써 제어부(30)에는 항상 일정 한 크기의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코골이 방지용 베게를 사용하는 사람의 작은 코골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메모리부(60)에 저장된 음성신호인 코골이신호 및 이와 유사한 잡음신호를 분석하여 코골이신호가 감지된 것이 확인되면 회전모터구동부(40)를 작동시킨다.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full-wave rectifying circuit section 22 is applied to the auto-gear authentication section 24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mplitude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full-wave rectifying circuit section 22. The signal applied from the auto gain authentication section 24 converts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sampling at 0.82 msec interval ) in the A / D converter section 26. The A / D converter unit 26 of the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10 applies a voice signal, which is a digit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30 is digitally applied from the A / D converter unit 26.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snoring signal converted to the signal and similar noise signals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60. In addition, if the magnitude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A / D converter unit 26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set size,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auto-gear authentication section 24 to adjust the signal to the set size. 30) always apply a certain amount of signal. Therefore,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small snoring of the person using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The controller 30 analyzes the snoring signal, which is a voic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unit 60, and a similar noise signal, and when the snoring signal is detected, operates the rotation motor driving unit 40.

상기 제어부(30)는 A/D컨버터부(26)를 통해 인가되는 코골이신호 및 잡음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6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60)에는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A/D컨버터부(26)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S100)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30)는 메모리부(6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순서대로 S개(예 : 10개)의 단위로 선택(S110)하고, 선택된 S개(예 : 10개)의 데이터중에서 최고로 높은 값인 최대값(M)을 구한다(S120). 상기 선택된 S개의 데이터값들 중에서 최고 높은 값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최대값(M)으로 한 후 최대값(M)을 대표값으로 하여 S개의 데이터를 최대값(M)으로 대체하여 S개의 데이터 자리에 순서대로 각각 최대값(M)을 대신하여 메모리부(60)에 다시 저장(S130)한다. 상기 제어부(30)는 메모리부(60)에 저장하는 데이터값을 S개의 단위로 선택하여 최대값을 구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실행한 후 각 과정마다 구해지는 최대값(M)을 대표값으로 하여 모든 S개의 데이터값을 최대값(M)으로 대체하여 다시 저장하게 된다.The controller 30 stores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snoring signal and the noise signal applied through the A / D converter unit 26 in the memory unit 60. The memory unit 60 stores data applied from the A / D converter unit 26 in sequence (S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 and the controller 30 stores the data in the memory unit 60. The selected data are sequentially selected in units of S (for example, 10) (S110), and the maximum value M, which is the highest value among the selected S (for example, 10) data, is obtained (S120). Select the highest data among the selected S data values to make the maximum value (M), and then replace the S data with the maximum value (M) with the maximum value (M) as the representative value. In order to store each of the maximum value (M) in order to store again in the memory (60) (S130). The controller 30 repeatedly executes a process of selecting a data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60 in units of S and repeatedly calculating a maximum value. Then, the controller 30 uses all the maximum values M for each process as representative values. The S data values are replaced with the maximum value M and stored again.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A/D컨버터부(26)로부터 메모리부(60)에 인가되는 음성신호인 코골이신호 및 잡음신호의 특성상 샘플링율(smpling rate)이 매우 높아야 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처럼 임의의 S개의 단위로부터 하나의 대표값으로 최대값(M)을 선택하여 통일시켜 줌으로서 샘플링(sampling)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저장된 데이터들은 S개의 단위마다 다른 레벨을 갖고 변화하기 때문에 데이터들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S개의 데이터를 모두 최대값(M)으로 대체하여 순서대로 메모리부(60)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최대값(M)으로 대체하여 저장할때마다 64점 이동평균을 실행(S140)함으로서 데이터들의 연속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신호 대 잡음비(signal-noise rate)를 높이기 위하여 64점 이동평균 된 데이터를 제곱시켜준다. 상기 64점 이동평균 된 데이터를 제곱시켜줌으로서 코골이신호를 신호처리한 최종 데이터(L)를 얻게 된다(S150). 상기 최종 데이터(L)를 그래프로 도시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골이신호를 도시할 수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mpling rate must be very hig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noring signal and the noise signal, which are voice signals applied from the A / D converter unit 26 to the memory unit 6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 In this way, the sampling problem can be solved by selecting and unifying the maximum value M as one representative value from any S uni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data because the data stored in this way change at different levels for each S unit. Therefore, in the process of replacing all the S data with the maximum value M and storing the data in the memory unit 60 in order, a 64-point moving average is executed every time the data is replaced with the maximum value M (S140). Will be maintained. In addition, to increase the signal-noise ratio, the 64-point moving averaged data is squared. By squaring the 64-point moving averaged data, the final data L obtained by processing the snoring signal is obtained (S150). When the final data L is graphically illustrated, the snoring signal as shown in FIG. 3 may be illustra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데이터(L)를 그래프로 도시하여 얻어지는 코골이신호에는 코골이 검출 부분(snoring-detection routine)에서 미리 설정해 놓은 코골이신호 특유의 문턱치값(K1)을 적용하여 최종 데이터(L)와 문턱치값(K1)을 비교한다. 상기 문턱치값(K1)보다 큰 최종 데이터(L)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상기 문턱치값(K1)보다 큰 최종 데이터(L)를 카운트함으로서 최종 데이터(L)가 문턱치값(K1)보다 큰 값을 지속적으로 갖는 지속시간(T1)을 얻게 된다(S160). 따라서 상기 문턱치값(K1)보다 큰 최종 데이터(L)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지속시간을 'T1' 으로 정하고, 최종 데이터(L)의 값이 문턱치값(K1)보다 작은 값이 되면 처음 단계를 실행한다.As shown in FIG. 3, the snoring signal obtained by graphing the final data L is applied to the snoring signal specific threshold value K1 set in advance in the snoring-detection routine. (L) is compared with the threshold value K1. The number of final data L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K1 is counted. By counting the final data L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K1, a duration T1 in which the final data L is continuously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K1 is obtained (S160). Therefore, the duration in which the final data L larger than the threshold value K1 is continuously input is set as 'T1', and when the value of the final data L become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K1, the first step is executed. do.

상기 지속시간(T1)을 초기에 설정한 설정시간(P1)(예를 들면, 0.6-2.5초)과 비교(S170)하여 지속시간(T1)이 설정시간(P1)을 만족하면, 즉 0.6초에서 2.5초 사이에 해당하는 'T1'이 존재하지 않으면 처음 단계를 실행하게 되고, 'T1'이 존재하게 되면 지속시간(T1)동안에 존재하는최대점(peak)들의 개수(R1)를 카운트한다(S180). 상기 최대점개수(R1)는 메모리부(60)에 저장되는 최종 데이터(L)을 전후의 최종 데이터(L)와 상호 비교하여 최대점이 되는 부분을 카운트하여 얻을 수 있다. 코골이신호는 일반 잡음신호와 다른 최대점개수(R1)를 갖기 때문에 앞 단계를 만족한 신호를 최대점 검출 부분(peak-point routine)으로 계산하여 사용한다. 상기 최대점개수(R1)의 시간당 비율을 계산하여 일정한 설정된 최대점 개수(R2)의 시간당 비율과 비교(S190)하여 'R1'이 'R2'보다 크게 되면 비로소 코골이신호 한 개를 검출했다고 인정한다(S200). 이때 'R1'이 'R2'보다 작게 되면처음단계를 실행한다.When the duration T1 satisfies the set time P1 by comparing the duration T1 with the set time P1 (for example, 0.6-2.5 seconds) initially set (S170), that is, 0.6 seconds. If 'T1' does not exist between 2.5 seconds, the first step is executed, and if 'T1' is present , the number of peaks R1 present during the duration T1 is counted ( S180).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R1 may be obtained by counting the portion of the maximum point by comparing the final data L stored in the memory unit 60 with the final data L before and after. Since the snoring signal has a maximum number of points (R1) different from the normal noise signal, the signal satisfying the previous step is calculated and used as the peak-point routine. By calculating the hourly rate of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R1) and comparing it with the hourly rate of a certain set maximum number of points (R2) (S190), when 'R1' is greater than 'R2', it is recognized that one snoring signal is detected. (S200). If 'R1' is smaller than 'R2', the first step is executed.

또한, 첫 번째 코골이신호를 검출한 시간으로부터 두 번째 코골이신호를 검출한 시간을 계산한다. 즉, 첫 번째 검출한 시간에서 두 번째 검출한 시간을 빼주어 첫 번째 코골이신호 검출 후 다음 코골이신호를 검출할 때까지의 휴지시간(T2)을 계산한다.Also, the time for detecting the second snoring signal is calculated from the time for detecting the first snoring signal. In other words, the second detection time is subtracted from the first detection time to calculate the idle time T2 from the first snoring signal to the next snoring signal.

상기 휴지시간(T2)은 초기에 임의로 설정한 휴지시간을 만족해야 한다. 상기 휴지시간(T2) 동안에 코골이신호의 지속시간(T1)을 만족하는 신호가 검출될 경우 코골이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처음 단계를 실행한다. 이 때 처음 검출한 최초의 코골이 신호도 무시한다. 그리고 첫 번째 코골이신호를 검출한 후의 지정된 시간(T2) 이후에 코골이의 지속시간(T1)을 만족하는 신호가 검출 될 경우에 두 번 째 코골이 신호라고 인정한다. 이러한 단계를 반복실행하여 세 번째 코골이 신호가 검출되게 되면 비로소 코골이로 인정한다. 이때, 베개의 외부에는 코골이신호의 횟수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70)가 착설되며, 상기 선택스위치(70)를 이용하여 1번을 선택하면 한번 코골이 검출 후 회전모터구동부(40)를 작동시키게 되고 , 2번을 선택하면 두 번 검출 후 회전모터구동부(40)를 작동시키게 되며, 3번을 선택하면 세 번 검출 후 회전모터구동부(40)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dwell time T2 should satisfy the dwell time arbitrarily set initially. If a signal satisfying the duration T1 of the snoring signal is detected during the idle time T2, it is determined that the snoring signal is not the first step. At this time, the first detected snoring signal is also ignored. When a signal satisfying the snoring duration T1 is detected after the designated time T2 after detecting the first snoring signal, the second snoring signal is recognized. This step is repeated until the third snoring signal is detected until it is recognized as snoring. At this time, a selection switch 70 for selecting the number of snoring signals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pillow, and when the first selection is made by using the selection switch 70, the snoring is detected once to operate the rotary motor driving unit 40. And, if the number 2 is selected to operate the rotary motor driving unit 40 after detecting twice, if the number 3 is selected to operate the rotating motor driving unit 40 after detecting three times.

또한, 상기 제어부(30)로부터 회전모터구동부(40)의 회전모터(42)에 신호가 인가되면 회전모터(42)가 구동되므로써 자세변형플레이트(46)가 동작을 하여 베개의 형상이 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0)로부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회전모터(42)가 회전을 한다. 상기 회전모터(42)에는 웜기어(41)를 통해 회전축(43)이 접속되고, 상기 회전축(43)의 양측 끝단에는 캠축(44)이 각각 반대방향이 되도록 착설된다. 상기 캠축(44)의 상단부에는 자세변형플레이트(46)가 착설되고, 상기 자세변형플레이트(46)는 캠축(44)의 회전에 따라 평형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일측방향으로 기울기를 갖게 된다. 상기 회전축(43)의 양측부는 고정축(45)에 각각 회전자재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자세변형플레이트(46)는 고정축(45)에 인장스프링(47)을 통해 착설된다. 상기 자세변형플레이트(46)의 양측부는 캠축(44)에 각각 밀착된다.In addition, when a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30 to the rotary motor 42 of the rotary motor driving unit 40, the rotation motor 42 is driven so that the posture deformation plate 46 operates to change the shape of the pillow. When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from the controller 30, the rotary motor 42 rotates. The rotary shaft 42 is connected to the rotary motor 42 through a worm gear 41, and the cam shafts 44 are installed at opposite ends of the rotary shaft 43, respectively, in opposite directions. The posture deformation plate 46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amshaft 44, and the posture deformation plate 46 maintains an equilibrium state or inclines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shaft 44.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43 are mounted on the fixed shaft 45 so as to rotate, respectively, the posture deformation plate 46 is mounted on the fixed shaft 45 through the tension spring 47. Both sides of the posture deformation plate 46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mshaft 44,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어부(30)에는 전원공급부(50)의 배터리(52)가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30)는 배터리(52)에 충전되어 있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설정된 전류량이 충전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30)는 배터리(52)에 충전되어 있는 전류량이 로우상태이면 경보음발생부(56)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경보음발생부(56)에서 경보음이 발생된 후 배터리(52)를 충전하지 않거나 또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아 일정한 시간동안 배터리(52)의 전류량이 계속 로우상태를 유지하면 배터리차단부(54)를 제어하여 배터리(52)를 차단시키게 되고, 상기 배터리(52)는 로우상태에서 전류를 공급하지 않게 되므로 배터리(52)가 완전방전을 하지 않음으로써 배터리(52)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52 of the power supply unit 50, the control unit 30 detects the amount of current charged in the battery 52 determines whether the set current amount is charged. When the amount of current charged in the battery 52 is low, the controller 30 operates the alarm sound generator 56 to generate an alarm sound. If the current level of the battery 52 continues to be low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cause the alarm 52 is not charged or the power is not cut off after the alarm is generated, the battery cut-off unit 54 ), The battery 52 is cut off, and the battery 52 does not supply a current in a low state, thereby protecting the battery 52 by not completely discharging the battery 52.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은 코골이신호감지부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감지되는 음성신호인 코골이신호 및 잡음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최종 데이터(L)를 산출하고, 상기 최종 데이터(L)가 문턱치값(K1)보다 큰 값을 갖는 지속시간(T1)이 설정시간(P1)보다 큰가를 분석하여 지속시간(T1)이설정시간(P1)보다 크면 지속시간(T1)동안 존재하는 최대점개수(R1)를 카운트한다. 상기 최대점개수(R1)가 설정된 최대점개수(R2)보다 크게 되면 코골이신호로 판단한다. 상기 코골이신호가 선택된 횟수만큼 감지되면 회전모터구동부의 회전모터에 구동신호를 제어부가 인가함으로서 베개의 자세변형플레이트가 기울어지므로 코골이를 하지 않도록 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final data L by processing the snoring signal and the noise signal which are voice signals detected from the microphone constituting the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and calculating the final data L. Analyzes whether the duration T1 having a value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K1 is greater than the set time P1, and if the duration T1 is greater than the set time P1,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that exist during the duration T1. (R1) is counted. When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R1 is greater than the set maximum number of points R2, it is determined as a snoring signal. When the snoring signal is detected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the control unit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rotating motor of the rotating motor driving unit so that the posture deformation plate of the pillow is inclined so as not to snor.

Claims (6)

코골이 및 각종 잡음을 입력시켜 원하는 코골이 신호를 출력하는 코골이신호감지부, 상기 코골이신호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코골이신호인 것이 확인되면 회전모터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저장하거나 제어부로 출력시키는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회전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자세변형플레이트가 동작을 하여 베개의 형상이 변하도록 하는 회전모터구동부로 이루어지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코골이신호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코골이신호 및 잡음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최종 데이터(L)를 산출하고, 상기 최종 데이터(L)가 문턱치값(K1)보다 큰값을 지속적으로 갖는 지속시간(T1)을 산출하여 설정시간(P1)과 비교한 후 크면 지속시간(T1)동안 존재하는 최대점개수(R1)를 산출하고, 상기 최대점개수(R1)가 설정된 최대점개수(R2)보다 크면 코골이신호로 판단하여 코골이신호가 선택된 횟수만큼 감지되면 회전모터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회전모터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for inputting snoring and various noises to output a desired snoring signal,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rotating motor drive uni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snoring signal by analyzing the signal applied from the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Memory unit for storing or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rotational motor is driven by the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to drive the snoring pillow consisting of a rotation motor drive unit to change the shape of the pillow to operate the posture deformation plate In the apparatus, the control unit is to process the snoring signal and the noise signal applied from the snoring signal detection unit to calculate the final data (L), the last data (L) is continuously higher than the threshold value (K1) Calculate the duration T1 and compare it with the set time P1. Calculate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R1) that exist during (T1), and if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R1) is greater than the set maximum number of points (R2) is determined to be a snoring signal, if the snoring signal is detected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to the rotating motor A device for driving a snoring pillow by detecting a snoring to drive a rotating motor by applying a driv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단계; 메모리부에 S개의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 S개의 데이터 중에서 최고로 높은 값인 최대값(M)을 구하는 제3단계; S개의 데이터를 최대값(M)으로 대체하여 S개의 데이터 자리에 순서대로 각각 최대값(M)을 대신하여 저장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64점 이동평균을 취하는 제5단계; 제5단계 다음에 데이터를 제곱시켜 최종 데이터(L)를 산출하는 제6단계; 최종 데이터(L)가 문턱치값(K1)보다 큰 값을 지속적으로 갖는 지속시간(T1)을 얻는 제7단계; 지속시간(T1)이 설정시간(P1)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제8단계; 제8단계를 만족하면 지속시간동안에 존재하는 최대점개수(R1)를 산출하는 제9단계; 상기 최대점개수(R1)가 설정된 최대점개수(R2)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제10단계; 그리고 제10단계를 만족하면 코골이신호로 판단하는 제11단계로 이루어지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mprises: a first step of storing data in a memory unit;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S data exist in the memory unit; Obtaining a maximum value M that is the highest value among the S data; A fourth step of replacing the S data with the maximum value M and storing the S values in place of the maximum value M in the order of S data; A fifth step of taking a 64-point moving average in the fourth step; A sixth step of calculating final data L by squaring the data after the fifth step; A seventh step of obtaining a duration T1 in which the final data L continuously has a value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K1; An eigh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uration T1 satisfies the set time P1; A ninth step of calculating a maximum number of points R1 existing during the duration if the eighth step is satisfied; A ten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aximum number of points R1 is greater than a set maximum number of points R2; And a device for driving a snoring pillow by detecting a snoring comprising the eleventh step of determining the snoring signal when the tenth step is satisfi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선택스위치가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는 선택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횟수만큼 코골이 신호가 감지되면 회전모터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회전모터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The snoring of claim 1, wherein a selection swit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pply a snoring to drive the rotating motor b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rotating motor driver when the snoring signal is detected by the selection switch. A device that senses and drives the pillow to prevent sno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오토게인증폭부가 접속되며, 상기 오토게인증폭부는 전파정류회로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보다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크기의 신호가 되도록 신호의 크기를 조절해주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The control unit of claim 1, wherein an auto-gear authentication sectio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magnitude of the signal applied from the full-wave rectification circuit unit is too large or smaller than the set-up signal, a signal having a size se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s set. Device for driving a snoring pillow to detect snoring,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size of the signal as possi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전원공급부가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는 전원공급부의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류량이 로우(low)상태가 되면 경보음발생부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한 후 일정한 시간동안 배터리의 전류량이 계속 로우상태를 유지하면 배터리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s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alarm sound generator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the amount of current charged in the battery of the power supply is low (low) state The device for detecting a snoring to drive the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is cut off if the current amount of the battery is kept low.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두 번째 코골이신호를 검출한 시간으로부터 첫 번째 코골이신호가 검출된 시간을 빼주어 산출한 휴지시간(T2)동안에 지속시간(T1)을 만족하는 신호가 검출될 경우 코골이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지정된 시간(T2) 이후에 코골이의 지속시간(T1)을 만족하는 신호가 검출 될 경우에 두번째 코골이신호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를 감지하여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구동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a signal satisfying the duration T1 during the idle time T2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time when the first snoring signal is detected from the time when the second snoring signal is detected. A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by determining that it is not a snoring signal and determining that it is a second snoring signal when a signal satisfying the duration T1 of the snoring is detected after a specified time T2. The device for driving it.
KR2020010005698U 2001-03-03 2001-03-03 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 KR20023622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698U KR200236225Y1 (en) 2001-03-03 2001-03-03 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698U KR200236225Y1 (en) 2001-03-03 2001-03-03 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829A Division KR20010044513A (en) 2001-03-02 2001-03-02 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225Y1 true KR200236225Y1 (en) 2001-09-26

Family

ID=7308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698U KR200236225Y1 (en) 2001-03-03 2001-03-03 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225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44B1 (en) * 2005-06-27 2007-07-25 (주)제이엔코프 Apparatus for preventing apnea and reducing snore
KR200453763Y1 (en) * 2008-09-24 2011-05-30 백동호 sleeping disturbance control machinery
CN113280912A (en) * 2021-06-09 2021-08-20 湛江港(集团)股份有限公司 Industrial enterprise factory boundary multidimensional noise monitoring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744B1 (en) * 2005-06-27 2007-07-25 (주)제이엔코프 Apparatus for preventing apnea and reducing snore
KR200453763Y1 (en) * 2008-09-24 2011-05-30 백동호 sleeping disturbance control machinery
CN113280912A (en) * 2021-06-09 2021-08-20 湛江港(集团)股份有限公司 Industrial enterprise factory boundary multidimensional noise monitoring system
CN113280912B (en) * 2021-06-09 2024-03-05 湛江港(集团)股份有限公司 Multi-dimensional noise monitoring system for industrial enterprise facto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13748B2 (en) Snoring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apparatus
US6330339B1 (en) Hearing aid
EP1932473A1 (en) Cough detecting device and cough detecting method
US7688990B2 (en) Hearing aid with anti feedback system
CA21113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leep Disorder Breathing
JP2010019902A (en) Volume adjusting device, volume adjusting method and volume adjusting program
JP2014505535A (en) Estimation of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ear canal blockade
WO2001026418A1 (en) Method and signal processor for intensification of speech signal components in a hearing aid
EP1316956A3 (en) Disk storage apparatus and disk storage apparatus control method
KR200236225Y1 (en) 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
WO2005086536A1 (en) Method for noise reduction in an audio device and hearing aid with means for reducing noise
JP2012532650A (en) Reducing breathing signal noise
EP2425420A2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snore annoyances
JP2008125595A (en)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sleep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and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ng method
KR20010044513A (en) Device for working a pillow preventing a snore
EP1168783A3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with information on operation of portable device
EP0996356A1 (en) Blood pressure monitoring with improved noise rejection
US7024011B1 (en) Hearing aid with an oscillation detector, and method for detecting feedback in a hearing aid
JP4328722B2 (en) Method for assessing disturbing noise
JPH0786857A (en) Method and equipment to correspond and adjust sound volume of regerative apparatus for car to peripheral noise
US6516068B1 (en) Microphone expander
JP3877379B2 (en) Acoustic apparatus and volume adjustment method in acoustic apparatus
JP4530698B2 (en) Snoring suppre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04075571A3 (en) Pitch estimation using low-frequency band noise detection
JPH11308062A (en) Automatic volume adjusting device for sound out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