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187Y1 - Multi-functional bed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187Y1
KR200236187Y1 KR2020000034446U KR20000034446U KR200236187Y1 KR 200236187 Y1 KR200236187 Y1 KR 200236187Y1 KR 2020000034446 U KR2020000034446 U KR 2020000034446U KR 20000034446 U KR20000034446 U KR 20000034446U KR 200236187 Y1 KR200236187 Y1 KR 200236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motor
bed
auxiliary mattress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44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점숙
Original Assignee
최점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점숙 filed Critical 최점숙
Priority to KR2020000034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18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187Y1/en

Link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다양한 체위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침대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기능 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ed configured to allow a patient with an uncomfortable movement to take a variety of positions to mainta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or to view a stool on a bed.

이러한 다기능 침대는,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위치하고 중앙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뚫린 상판과;The multi-functional bed, and the top plate is maintained in a constant height at the bottom surface and a hole of a constant size in the center portion;

상기 상판 위에 놓여지며 상기 구멍과 동일한 축선상에 동일한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매트리스 본체와;A mattress body placed on the top plate and having a space portion having the same shape on the same axis as the hole;

상기 매트리스 본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보조 매트리스와;An auxiliary mattress detachably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in the mattress body;

이 보조 매트리스의 아래측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모터의 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으로 보조 매트리스를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를 제공한다.상기 승강부재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연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양측에 나사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이동부와, 이 이동부에 서로 교차되는 상태로 힌지 결합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작동부들과, 상기 작동부와 보조 매트리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는 이 승강부재를 다른 곳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mattress, the other end is screw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ed including a lifting member for vertically moving the auxiliary mattr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he motor is supplied with power to generate a driving force, and extends on both sides of the motor, and as long as the gap is narrowed or widen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by being screwed to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at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nd a pair of moving parts, operating parts hinged to expand or fold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arts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operating part and the auxiliary mattr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member is installed to move the lifting member to another position.

Description

다기능 침대{MULTI-FUNCTIONAL BED}Multifunctional Bed {MULTI-FUNCTIONAL BED}

본 고안은 다기능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일반 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할 때는 다양한 체위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침대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기능 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e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used as a normal bed in normal, and to be able to take a variety of positions when used by the patient with a discomfort to mainta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or to see the toilet in bed It is about a multifunctional bed made to be.

일반적으로 침대는 주거생활이 변화되면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근자에는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체 공학적인 측면을고려하여 설계 및 제작되고 있다.In general, the bed is widely used as the living life changes, and in recent years the design and manufa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ergonomic aspects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bed.

이러한 침대는 일반 가정이나 숙박업소와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침대와, 몸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하여 주로 병원에서 사용되는 환자용 침대로 크게 구분된다.Such a bed is divided into a general bed used in a place such as a general home or lodging, and a patient bed mainly used in a hospital for patients with discomfort.

상기에서 환자용 침대는 여러 가지 종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개의 경우 침대의 상판을 2~3개로 구획하여 구획된 각각의 상판들이 조절수단의 조절에 의하여 적절한 각도로 굽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Various types of patient bed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In most cases, the upper plates of the bed are divided into two or three sections so that each of the partitioned upper plates can be bent at an appropriate angle by adjusting the adjusting means.

이와 같은 환자용 침대는 구획된 각각의 상판을 조절함으로서, 환자가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환자의 치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세가 되도록 하여준다.Such a patient bed adjusts each partitioned top plate to allow a patient to take a comfortable posture or a posture that can facilitate the treatment of the patient.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의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환자의 용변을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 다수 제안되어 있는데, 그러한 것을 위하여 침대 제작시 침대의 일정부분이 상하로 통하도록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제작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 number of proposals made to receive the patient's stool in the patient bed in the above state has been proposed, for which it is produced by forming a through hole so that a certain portion of the bed to go up and down when the bed is manufactured. .

상기 통상적인 침대는 대개의 경우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다리에 지지되는 상판과, 이 상판 위에 놓여지는 매트리스와,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머리판으로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bed is usually composed of a top plate supported on the legs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on the bottom surface, a mattress placed on the top plate, and a headboar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최근에는 상기 매트리스의 하부에 제공되며 수맥파가 상기 매트리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단수단이 제공된 침대도 제안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a bed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ttress and provided with a blocking means for block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mattress has been widely us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환자용 침대는, 구획된 각각의 상판이 바닥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꺾어지는 구조이므로, 이러한 조절에 의하여 환자의 상반신 또는 하반신 모두가 상판의 각도에 따라서 위치하게 되고,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환자의 체위를 다양하게 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atient bed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partitioned upper plate is bent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upper or lower body of the patient is pos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angle of the upper plate by such adjustment.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ition of the patient cannot be varied.

즉, 환자에 따라서 처치부위가 다르고 통증부위도 각각 상이하므로, 그에 따라 환자가 편안한 상태를 취하는 자세도 다르게 되는데, 종래의 침대 구조는 이러한 것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treatment area is different and the pain area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tient, the posture of the patient i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tient, the conventional bed structure does not satisfy this.

그리고, 환자의 용변을 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침대는 관통구멍이 항상 뚫려있는 상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침대 사용 면적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ed made to receive the stool of the patient has a problem that not only does not look aesthetically, but also limits the bed use area of the patient because the through hole is always in a state of being drilled.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환자가 안락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다양한 체위를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침대에서 편리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 다기능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ed configured to allow the patient to take a variety of positions while maintaining a comfortable posture or to view the stool conveniently in the bed To provid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용변을 받아내는 관통구멍을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이를 폐쇄하여 평상시에는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기능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ed that can be used as a bed in normal use by closing it when not using a through hole for receiving the stool of the patien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위치하고 중앙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뚫린 상판과;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top plate in a state of maintaining a constant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hole of a certain size in the center portion;

상기 상판 위에 놓여지며 상기 구멍과 동일한 축선상에 동일한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매트리스 본체와;A mattress body placed on the top plate and having a space portion having the same shape on the same axis as the hole;

상기 매트리스 본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보조 매트리스와;An auxiliary mattress detachably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in the mattress body;

이 보조 매트리스의 아래측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모터의 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으로 보조 매트리스를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를 제공한다.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mattress, the other end is screw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bed including a lifting member for vertically moving the auxiliary mattr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상기 승강부재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연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양측에 나사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이동부와, 이 이동부에 서로 교차되는 상태로 힌지 결합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작동부들과, 상기 작동부와 보조 매트리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ating member is supplied with power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he motor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motor, the outer shaft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on the outer periphery, and the screw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to narrow the interval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air of moving parts that are built or unfolded, operating parts that are hinged to expand or fold in a state where the moving parts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operating part and the auxiliary mattress.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는 이 승강부재를 다른 곳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member is installed to move the elevating member to another loc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사용상태도.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multi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Figure 4 is another state of use of the multi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용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5 is a use state showing that the container is installed so that you can see the toilet in the multi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또 다른 사용상태도.Figure 6 is another use state showing that installed so that you can see the toilet in the multi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침대는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상태로 위치하는 상판(2)과, 이 상판(2)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상판(2)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머리판(4)과, 상기 상판(2) 위에 놓여지며 적당한 쿠션을 갖는 매트리스 본체(6)와, 상기 매트리스 본체(6)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보조 매트리스(6a)와, 이 보조 매트리스(6a)를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부재(8)를 포함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1, the multi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op plate (2) positioned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head plate 4 install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op plate 2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plate 2, a mattress body 6 placed on the top plate 2 and having an appropriate cushion, and the mattress body ( An auxiliary mattress 6a detachably fitted to 6) and a lifting member 8 for vertically moving the auxiliary mattress 6a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상판(2)은 그 저면에 다수의 다리(10)가 지지되어 상판(2)이 일정한 높이로 위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보조 매트리스(6a)와 동일한 축선상에는 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구멍(12)이 뚫려있다.The upper plate 2 has a plurality of legs 10 supported on the bottom thereof so that the upper plate 2 can be positioned at a constant height, and the hole 12 having the same shape on the same axis as the auxiliary mattress 6a. ) Is open.

상기 매트리스 본체(6)에는 보조 매트리스(6a)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공간부(14)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14)는 상판(2)의 구멍(12)과 동일한 축선상에 형성된다.The mattress body 6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14 of a size through which the auxiliary mattress 6a can pass, and the space portion 14 is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hole 12 of the upper plate 2. do.

상기 보조 매트리스(6a)는 매트리스 본체(6)와 동일한 구조의 것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외측면에는 아래쪽으로 늘어지는 가림막(16)이 고정되어 있다.The auxiliary mattress 6a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mattress body 6, and the screening film 16 extending downward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본 실시예에 의한 보조 매트리스(6a)는 환자가 다양한 체위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상태로 환자의 신체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그러한 것을 위하여 보조 매트리스(6a)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재(8)가 구비되어 있다.The auxiliary mattress 6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enable the patient to take various positions and to maintain the patient's body in a more comfortable state, and for this purpose, the auxiliary mattress 6a can be elevated. The elevating member 8 is provided.

상기 승강부재(8)는 보조 매트리스(6a)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8)와, 이 모터(18)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며 모터(18)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연부에나사부(20)가 형성된 회전축(22)과, 이 회전축(22)의 양측에 나사 연결되어 회전축(22)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수평 이동하면서 서로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이동부(24a)(24b)와, 이들 이동부(24a)(24b)에 서로 교차되는 상태로 힌지 결합되어 승강 작동하는 작동부(26)들과, 상기 작동부(26)와 보조 매트리스(6a)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8)로 구성된다.The elevating member 8 is provided to elevate the auxiliary mattress 6a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8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8 to generate power. The rotating shaft 22 which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motor 18, the screw part 20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and is screwed to both sides of this rotating shaft 22, and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22, mutually. A pair of moving parts 24a and 24b having a narrowed or widened gap, and operating parts 26 hingedly coupled to the moving parts 24a and 24b so as to cross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ortion 28 connecting the 26 and the auxiliary mattress 6a.

상기 회전축(22)에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이동부(24a)(24a)에 형성된 나사부는 어느 하나는 오른 나사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왼 나사와 같이 서로 상반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회전축(22)의 정회전이나 역회전시 이동부(24a)(24b)들이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구성된다.One of the threaded portions formed on the moving parts 24a and 24a which are screwed to the rotary shaft 22 so as to be movable is formed as a right screw, and the other is formed in a state opposite to each other such as a left screw to rotate the shaft 22. When the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moving parts (24a, 24b) is configured to narrow or widen the interval.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8)의 하부에는, 이 승강부재(8)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다른 곳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부재(30)가 더욱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member 8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fer member 30 capable of moving the elevating member 8 in a lowered position.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기능 침대를 사용은, 도 2에서와 같이 보조 매트리스(6a)를 매트리스 본체(6)와 같은 높이로 조절하면 일반 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Using the multifunctional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auxiliary mattress 6a to the same height as the mattress body 6, as shown in Figure 2 can be used as a general bed.

이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환자가 다리나 팔 또는 허리 등을 편안한 상태로 하기 위하여 보조 매트리스(6a)를 보다 높게 위치시키려면, 먼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18)에 전원을 공급한다.3 and 4, in order to position the auxiliary mattress 6a higher in order for the patient to comfort his leg, arm, or waist, first, by operat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motor 18 To the power supply.

이때 예를 들어 회전축(22)이 정회전할 때 이동부(24a)(24b)들의 간격이 좁아진다고 가정하면, 모터(18)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22)이 회전 운동하게되며, 이 회전축(22)의 양측에 나사 결합된 이동부(24a)(24b)들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승강부재(8)의 작동부(26)가 상승한다.At this tim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moving parts 24a and 24b is narrowed when the rotating shaft 22 rotates forward, the rotating shaft 22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18, and this rotating shaft ( As the interval between the moving parts 24a and 24b screwed to both sides of 22 is narrowed, the operating part 26 of the elevating member 8 is raised.

이러한 작용으로 작동부(26)의 끝단부와 연결부(28)를 통하여 연결된 보조 매트리스(6a)는 매트리스 본체(6)의 공간부(14)를 통과하면서 매트리스 본체(6) 위쪽으로 상승되며, 상기 보조 매트리스(6a)가 원하는 만큼 상승되면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18)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By this action, the auxiliary mattress 6a connected through the end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26 and the connection portion 28 is raised upward through the mattress body 6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4 of the mattress body 6. When the auxiliary mattress 6a is raised as desired, the switch is operated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18.

그러면 보조 매트리스(6a)는 매트리스 본체(6)의 상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되며, 상승된 보조 매트리스(6a)에 도 3에서와 같이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신체의 일부를 올려놓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Then, the auxiliary mattress 6a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above the mattress body 6, and the part of the body is placed on the elevated auxiliary mattress 6a so that the patient can take a comfortable position as shown in FIG. It becomes available.

이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조 매트리스(6a)를 더욱 상승시키면, 도 4에서와 같이 보조 매트리스(6a)에 신체를 의지하는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if the auxiliary mattress 6a is further rais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mattress 6a can be used in a manner of relying on the body of the auxiliary mattress 6a.

이러한 방법으로 본 고안의 침대를 사용하다가 환자가 용변을 보려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18)가 역회전 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한다.In this way, while using the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is to see the toilet, by operating the switch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above state to supply the power so that the motor 18 can rotate in reverse.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모터(18)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축(22)이 역회전 운동하게되고, 이 회전축(22)의 양측에 나사 결합된 이동부(24a)(24b)들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승되었던 승강부재(8)의 작동부(26)가 하강한다.Then, as shown in FIG. 5, the rotating shaft 22 is reversely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18, and the gap between the moving parts 24a and 24b screw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shaft 22 increases. The operating part 26 of the elevating member 8 that has been lowered.

이러한 작용으로 작동부(26)의 끝단부와 연결부(28)를 통하여 연결된 보조 매트리스(6a)는 매트리스 본체(6)의 공간부(14)를 통과하면서 매트리스 본체(6) 아래쪽으로 하강되며, 상기 보조 매트리스(6a)가 완전히 하강되면 모터(18)에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된다.By this action, the auxiliary mattress 6a connected through the end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28 of the operating portion 26 is lowered down the mattress body 6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portion 14 of the mattress body 6. When the auxiliary mattress 6a is completely lowered,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18 is automatically cut off.

그 다음 하강된 보조 매트리스(6a) 위에 용변을 받을 수 있는 용기(32)를 올려놓은 후 용변을 보면 되고, 용변이 끝나면 용기(32)를 빼내고 다시 보조 매트리스(6a)를 상승시켜 사용하면 된다.Then, after placing the container 32 to receive the toilet on the lower auxiliary mattress (6a) and look at the toilet, when the toilet is finished, remove the container (32) and raise the auxiliary mattress (6a) again.

도 6은 용변이 비교적 잦은 환자들을 위하여 용기(32a)를 항상 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승강부재(8)가 놓여진 이송부재(30)를 다른 곳으로 위치 이동시키고, 여기에 용기(32a)를 놓고 사용하면 된다.FIG. 6 shows that the container 32a is always provided for the patients with relatively frequent stool, and the transfer member 30 on which the elevating member 8 is placed is moved to another position, where the container 32a is located. ) Can be us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32a)는 바닥에 놓여진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용기(32a) 하부에 도시되지 않은 이송부재를 설치하면 보다 손쉽게 용기(32a)를 밖으로 빼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iner 32a is shown as being placed on the flo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the transfer member (not shown) is installed below the container 32a, the container 32a can be easily taken out. .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침대는 환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인도 본 고안의 침대에서 취침이나 휴식을 취할 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가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nd while the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used by the patient,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general public can also be used to adjust to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state when bed or rest in the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침대는, 평상시에는 통상적인 침대로 사용할 수 있고, 고정된 매트리스 본체의 상하로 승강되는 보조 매트리스를 통하여 환자가 다양한 체위를 취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환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normal bed in normal times, and the patient can take various positions through the auxiliary mattress that is lifted up and down of the fixed mattress body to make the patient more comfortable posture. I can keep it.

또한 보조 매트리스가 승강되는 부분을 통하여 환자가 침대에서 용변을 쉽게 볼 수 있다.Also, the part where the auxiliary mattress is lifted makes it easy for the patient to see the toilet in bed.

Claims (3)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위치하고 중앙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뚫린 상판과;A top plate having a constant height at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 hole of a constant size in the center; 상기 상판 위에 놓여지며 상기 구멍과 동일한 축선상에 동일한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매트리스 본체와;A mattress body placed on the top plate and having a space portion having the same shape on the same axis as the hole; 상기 매트리스 본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보조 매트리스와;An auxiliary mattress detachably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in the mattress body; 이 보조 매트리스의 아래측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모터의 회전축에 나사결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으로 보조 매트리스를 상하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침대.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mattress, the other end is screw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motor multifunctional bed including a lifting member for vertically moving the auxiliary mattr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이 모터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그 외주연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양측에 나사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한 쌍의 이동부와, 이 이동부에 서로 교차되는 상태로 힌지 결합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작동부들과, 상기 작동부와 보조 매트리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침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member is a motor that receives the power to generate a driving force, a rotary shaft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motor and the screw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screwed to both sides of the rotary shaft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Therefore, a pair of moving parts having a narrowed or widened gap, operating parts that are hinged and unfolded or folded in a state where the moving parts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operating part and the auxiliary mattress, Multifunctional b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는 이송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침대.The multifunctional be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veying member.
KR2020000034446U 2000-12-08 2000-12-08 Multi-functional bed KR20023618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46U KR200236187Y1 (en) 2000-12-08 2000-12-08 Multi-functional 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446U KR200236187Y1 (en) 2000-12-08 2000-12-08 Multi-functional b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187Y1 true KR200236187Y1 (en) 2001-09-25

Family

ID=7308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446U KR200236187Y1 (en) 2000-12-08 2000-12-08 Multi-functional 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187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53B1 (en) 2006-12-05 2007-10-24 강두성 A cot with elevtor for carrying patient
KR101874205B1 (en) * 2016-12-15 2018-07-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upper body lift apparatus using ball screw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53B1 (en) 2006-12-05 2007-10-24 강두성 A cot with elevtor for carrying patient
KR101874205B1 (en) * 2016-12-15 2018-07-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upper body lift apparatus using ball scre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349B1 (en) Patient bed having angle-adjustable devided backrest
US6907631B2 (en) Adjustable profiling beds
US20110030136A1 (en) Bed provided with a bathtub
CN209137138U (en) It is nursing hospital bed
KR101493467B1 (en) Medical bed
KR200401864Y1 (en) Bed for bathing patients
CN111249084B (en) Multifunctional electric sickbed
US7234178B2 (en) Electromotive bed
KR101264030B1 (en) Patient Bed
KR20100122555A (en) Bed
KR20170114268A (en) Medical bed
KR200236187Y1 (en) Multi-functional bed
CN209187281U (en) Regulating sickbed Widening device
KR200409978Y1 (en) Medical treatment bed for health
KR100661870B1 (en) Angle-adjustable patient bed with slip-prevention system
KR200382252Y1 (en) a bed
CN215535828U (en) Sickbed with adjustable cushion frame
KR20180129241A (en) Prefabricated electric bed
KR20200002308U (en) Motion bed
CN209713469U (en) Neck protecting type hospital bed
KR100477551B1 (en) A bed to prevent bedsore
CN220423556U (en) Convenient bed for home tranquilization treatment and protection
KR20040069160A (en) A decubitus prevention bed's back
KR200345560Y1 (en) A patient bed
JPS5841947Y2 (en) Bedsore correction mechanism for bed with reclin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