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001Y1 - 장신구용 체인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001Y1
KR200236001Y1 KR2020010006745U KR20010006745U KR200236001Y1 KR 200236001 Y1 KR200236001 Y1 KR 200236001Y1 KR 2020010006745 U KR2020010006745 U KR 2020010006745U KR 20010006745 U KR20010006745 U KR 20010006745U KR 200236001 Y1 KR200236001 Y1 KR 200236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main body
jewelry
pins
rolling b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근재
Original Assignee
신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근재 filed Critical 신근재
Priority to KR2020010006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001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의 목걸이나 팔찌 및 허리벨트, 핸드백 벨트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장신구용 체인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장신구용 체인은,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원통상의 본체; 일정한 길이의 중심점을 기준하여 상호 수평을 유지하도록 본체의 좌,우측 방향의 제1, 제2 결합링에 각각 끼워져 라운딩 절곡되며 그 라운딩 절곡 부분쪽이 본체에 대해 대향되도록 각각 삽입·관통하는 제1, 제2 연결핀; 및 본체를 삽입·관통한 제1, 제2 연결핀들의 양단부가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각각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구형상의 한 쌍의 롤링볼;과를 포함하는 제1 체인 엘레멘트로 구성되며, 이 체인 엘레멘트에 또다른 체인 엘레멘트를 연속 결합함으로써, 원하는 길이의 장신구용 체인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핀에 강력한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롤링볼에 의해서 그 연결핀들이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체인을 구성하는 각 엘레멘트들의 상호 연결 시에 작업이 편리할 뿐 아니라 구형상의 롤링볼과 본체들과의 조화에 의해 장신구용 체인의 외관이 한층 더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체인{Chain For Personal Ornaments}
본 고안은 각종의 목걸이나 팔찌 및 허리벨트, 핸드백 벨트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장신구용 체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을 구성하는 본체에 연결핀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지 않고도 강력한 장력에 의해 본체들로부터 연결핀들과 결합링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더불어 연결핀에 형성되는 롤링볼과의 조화로서 외관이 보다 미려하도록 하는 장신구용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변 악세사리로 널리 애용되던 장신구용 체인은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여러 종류의 체인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장신구용 체인을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써, 본체의 일측에 연결핀의 일단부를 용접하여 고정한 다음 그 연결핀을 링형상으로 구부리는 후에 용접되지 않은 상기 연결핀의 타단부를 본체의 내부로 삽입시켜 하나의 체인 엘레멘트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체인의 사용용도에 따라 예컨대, 허리벨트 또는 목걸이 또는 팔찌 또는 핸드백 벨트의 사용용도에 따라 상기 하나의 체인 엘레멘트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 다른 체인 엘레멘트들을 결합링을 이용하여 연속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길이의 장신구용 체인이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다른 예로써, 비교적 부피가 큰 체인을 들을 수 있다. 이 부피가 큰 체인은 본체와 연결고리를 하나의 금형으로 성형한 다음 다수의 본체들에 성형된 각각의 연결고리에 고리형상의 결합링들을 끼워 원하는 길이의 장신구용 체인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전자의 장신구용 체인의 경우에 있어서는 외부의 조그만 장력이 가해지게 되면 본체에 일단부가 용접된 연결핀이 쉽게 펴지는 경향이 있어 결국, 상기의 장신구용 체인을 핸드백과 같은 중량이 있는 신변용품의 벨트로 사용할 경우, 그 하중에 의해서 벨트가 끊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용접으로 인한 체인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후자의 부피가 큰 장신구용 체인에 있어서는 본체와 연결핀(연결고리)을 하나의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미려한 디자인을 요구하는 물품의 특성상 제품의 양산이 어렵고, 또 완제품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관계로 제품의 질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 아니라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제조 비용 면에서는 보다 저가의 장신구용 체인을,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보다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체인이 강력한 장력에서도 끊어지지 장신구용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체인을 구성하는 본체에 연결핀을 용접에 의해 연결하지 않고도 강력한 장력이 가해졌을 때, 본체들로부터 연결핀들과 결합링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장신구용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체인은 두개의 연결핀을 각각 구부려 원통형상의 본체에 대해 서로 상호 대향으로 관통시킨 후 그 연결핀들의 양 단부에 열을 가하여 소정의 직경을 갖는 구형상의 롤링볼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각각의 체인 엘레멘트들을 결합링을 이용하여 연결하며, 이것에 의해 외부의 장력이 가해질 때, 상기 한 쌍의 롤링볼이 서로 맞닿아 상기 본체의 내경보다 크게 됨으로써 결국, 두 연결핀들이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하면서 체인을 구성하는 각 엘리멘트들의 상호 연결 시에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장신구용 체인을 하는 것이며, 이 체인은 하나의 본체에 적어도 두 개의 연결핀을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삽입하여 롤링볼을 형성하며 그 롤링볼과 본체들과의 조화로서, 미려함이 창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체인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장신구용 체인을 구성하는 본체와 연결핀 및 결합링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초기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본체로 삽입된 연결핀의 양단부에 열을 가하여 롤링볼을 형성한 후 체인을 연속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체인이 연속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120 : 체인 엘레멘트 101, 111 : 제1, 제2 본체
102, 103 : 제1, 제2 연결핀 102a, 103a, : 롤링볼
104, 105 : 제1, 제2 결합링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체인에 의하면, (1)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원통상의 본체; (2) 일정한 길이의 중심점을 기준하여 상호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측 방향의 제1, 제2 결합링에 각각 끼워져 라운딩 절곡되며 그 라운딩 절곡 부분쪽이 상기 본체에 대해 대향하도록 각각 관통하는 제1, 제2 연결핀; (3) 상기 본체를 관통한 상기 제1, 제2 연결핀들의 양단부가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각각 열융착되어 성형되는 구형상의 한 쌍의 롤링볼;과를 포함하는 제1 체인 엘레멘트로 구성되며,
(4) 상기 제1 체인 엘레멘트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구성되는 제2, 제3 체인 엘레멘트의 연결핀들 중에서 어느 한 쪽의 연결핀들을 상기 제1, 제2 결합링에 끼워 연속·결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한쌍의 롤링볼이 서로 맞닿은 때 그 롤링볼의 외경이 상기 본체의 내경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라운딩 절곡되어 접혀진 연결핀들의 길이가 상기 본체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원통형상을 갖는 본체에 대해 서로 상반대 방향으로 연결핀들이 접혀져 관통되고 그 연결핀들의 양 단부에는 열융착에 의해 소정의 직경을 갖는 구형상의 한 쌍의 롤링볼이 본체의 양방향에 형성되어 하나의 체인 엘레멘트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연결핀에 강력한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한 쌍의 롤링볼에 의해서 연결핀들이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체인을 구성하는 각 엘리멘트들의 상호 연결 시에 작업이 편리해질 뿐 아니라 연결핀에 형성된 구형상의 롤링볼과 본체들과의 조화에 의해 장신구용 체인의 외관이 한층 더 미려하고, 또한 중량이 있는 신변용품의 벨트로 사용할 경우에 체인이 끊어지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용 체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부호표기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체인을 구성하는 본체와 연결핀 및 결합링을 분리한 상태에서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초기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본체로 삽입된 연결핀의 양단부에 열을 가하여 롤링볼을 형성한 후 체인을 연속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체인이 연속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체인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원주면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관통홀(101a)이 형성된 원통상의 제1 본체(101)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일정 길이의 중심점을 기준하여 상호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1 본체(101)의 좌,우측 방향의 제1, 제2 결합링(104)(105)에 각각 끼워져 라운딩 절곡되고 또한 그 라운딩 절곡 부분쪽이 제1 본체(101)에 대해 대향하도록 관통홀(101a)을 통해 위치하는 제1, 제2 연결핀(102)(103)과, 제1 본체(101)에 관통 위치한 제1, 제2 연결핀(102)(103)의 양 단부들이 각각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구형상을 갖는 각각의 한 쌍의 롤링볼(102a, 102b)(103a, 103b)을 포함하는 하나의 제1 체인 엘레멘트(100)로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제1 체인 엘레멘트(100)를 기준하여 그의 양측에 제1, 제2 결합링(104)(105)에 의해서 결합되는 제2, 제3 체인 엘레멘트(110)(120)도 제1 체인 엘레멘트(100)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즉 제2, 제3 체인 엘레멘트(110)(120) 중에서 상기 제2 체인 엘레멘트(1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홀(111a)와 가지는 원통상의 제2 본체(111)와, 제3, 제4 연결핀(112)(113)과, 이연결핀의 단부에 열융착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롤링볼(112a, 112b)(113a, 113b)로 이루어져 제3 연결핀(112)이 제1 결합링(104)에 끼워져 연결되며 제4 연결핀(113)은 다른 체인 엘레멘트에 또다른 결합링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체인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제2 연결핀(102)(103)을 제1 본체(101)의 양측에 준비된 제1, 제2 결합링(104)(105)의 홀에 끼운 후에 제1, 제 2 연결핀(102)(103)의 중심점을 기준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으로 라운딩시켜 접어주게 되는데, 그 접혀지는 양단부들이 서로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라운딩 절곡시켜 준다. 이때, 상기 라운딩 절곡되어 접혀진 제1, 제2 연결핀(102)(103)의 길이는 이후에 설명될 제1 본체(101)의 길이보다 충분히 길도록 하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그리고 상기 라운딩 절곡되어 접혀진 제1, 제2 연결핀(102)(103)을 소정의 내경을 갖는 원통상의 제1 본체(101)의 관통홀(101a)에 삽입하여 그 라운딩 절곡된 부분과 양 단부들이 제1 본체(101)의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제1 본체(101)에 대해 서로 대향하게 삽입·위치시킨다. 즉 제1 연결핀(102)의 라운딩 절곡 부분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본체(101)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또한 제2 연결핀(103)의 라운딩 절곡된 부분쪽은 제1 본체(101)의 우측방향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제2 연결핀(102)(103)이 서로 대향하게 제1 본체(101)의 관통홀(101a)을 통해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1, 제2 연결핀(102)(103)의 양 단부들에 열을 가하게 되면 제1, 제2 연결핀(102)(103)의 양 단부에는 열융착에 의해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거의 구형상의 롤링볼(102a, 102b)(103a, 103b)이 일체로 성형이 된다. 이들 각각의 한 쌍의 롤링볼(102a, 102b)(103a, 103b)들은 서로 하나의 쌍끼리 맞닿을 때,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본체(101)의 내경보다 직경이 커서 제1 본체(101)에 대해 제1, 제2 연결핀(102)(103)을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강력하게 잡아 당겨도 그 연결핀들이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하나의 제1 체인 엘레멘트(100)를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제1 체인 엘레멘트(100)를 기준하여 그의 양측에 제1, 제2 결합링(104)(105)에 의해서 결합되는 제2, 제3 체인 엘레멘트(110)(120)도 제1 체인 엘레멘트(100)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제1 체인 엘레멘트(100)와 연속되게 연결한다. 즉 도 2 및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체인 엘레멘트(110)의 좌측에 준비된 제2 체인 엘레멘트(110)와의 연결을 예를 들면, 제2 체인 엘레멘트(110)에 구성되는 제3 연결핀(112)을 전술한 제1 체인 엘레멘트(100)의 제1 연결핀(102)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결합링(104)에 끼우고, 제4 연결핀(113)을 또다른 결합링에 끼운 후에 제3, 제4 연결핀(112)(113)을 반으로 라운딩 절곡하여 접어 제2 본체(111)의 관통홀(111a)에 대향되도록 삽입시켜 위치시킨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3, 제4 연결핀(112)(113)의 양 단부들을 열융착시켜 롤링볼(112a, 112b)(113a, 113b)을 성형함으로써, 제1, 제2 체인 엘레멘트(100)(110)를 강력하게 잡아당겨도제1 체인 엘레멘트(100)로부터 제2 체인 엘레멘트(110)가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3 체인 엘레멘트(120)를 포함하여 여러 개의 체인 엘레멘트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길이의 장신구용 체인을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체인 엘레멘트에 구성되는 본체들의 외주면이 원통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본체들을 여러 형태로 변형해도 관계없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 본체의 일측에 연결핀의 일단부를 용접하여 고정한 다음 그 연결핀을 링형상으로 구부리는 후에 용접되지 않은 상기 연결핀의 타단부를 본체의 내부로 삽입시켜 하나의 체인 엘레멘트를 형성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원통형상의 본체에 대해 서로 상반대 방향으로 접혀져 위치한 연결핀들의 양 단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롤링볼이 그 본체의 양방향에 형성되어 하나의 체인 엘레멘트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연결핀에 강력한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롤링볼에 의해서 그 연결핀들이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체인을 구성하는 각 엘레멘트들의 상호 연결 시에 작업이 편리할 뿐 아니라 구형상의 롤링볼과 본체들과의 조화에 의해 장신구용 체인의 외관이 한층 더 미려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장신구용 체인에 의하면, 연결핀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롤링볼이 본체의 양 방향에 형성되어 하나의 체인 엘레멘트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연결핀에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롤링볼에 의해서 연결핀들이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중량이 있는 신변용품의 벨트로 사용할 경우에 체인이 끊어지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형상의 롤링볼과 본체들과의 조화에 의해서 장신구용 체인의 외관이 한층 더 미려함을 창출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3)

  1. (1) 소정의 내경을 가지는 원통상의 본체;
    (2) 일정한 길이의 중심점을 기준하여 상호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측 방향의 제1, 제2 결합링에 각각 끼워져 절곡되며 그 라운딩 절곡 부분쪽이 상기 본체에 대해 대향하도록 각각 관통하는 제1, 제2 연결핀; 및
    (3) 상기 본체를 관통한 상기 제1, 제2 연결핀들의 양단부가 소정의 직경을 갖도록 각각 열융착되어 형성되는 구형상의 한 쌍의 롤링볼;과를 포함하는 제1 체인 엘레멘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체인 엘레멘트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제2, 제3 체인 엘레멘트의 연결핀들 중에서 어느 한 쪽의 연결핀들을 상기 제1, 제2 결합링에 끼워 연속·결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체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롤링볼이 서로 맞닿은 때 그 롤링볼의 외경이 상기 본체의 내경보다 직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체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운딩 절곡되어 접혀진 연결핀들의 길이가 상기 본체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체인.
KR2020010006745U 2001-03-13 2001-03-13 장신구용 체인 KR200236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45U KR200236001Y1 (ko) 2001-03-13 2001-03-13 장신구용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45U KR200236001Y1 (ko) 2001-03-13 2001-03-13 장신구용 체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001Y1 true KR200236001Y1 (ko) 2001-10-08

Family

ID=7306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745U KR200236001Y1 (ko) 2001-03-13 2001-03-13 장신구용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0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152B2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article of jewelry
US5782107A (en) Novelty jewelry construction
JP7078590B2 (ja) 連結部が隠れている連結式ブレスレット
KR200236001Y1 (ko) 장신구용 체인
US20070000283A1 (en) Structure for adjusting length of ornament chains
KR200388464Y1 (ko) 장신구용 결합구
US20070044511A1 (en) Method for assembling tennis bracelets and necklaces
JPH01115302A (ja) 装身具
WO2019186423A1 (en) Component and method for assembling a jewelry item
US942524A (en) Jointed sheet-metal figure.
US20060123845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article of jewelry
US1207366A (en) Expansible bracelet.
JP3042071U (ja) 装身用鎖の留め具
KR102436949B1 (ko) 비즈 연결구조가 구비된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205501Y1 (ko) 액세서리의 고리 고정 구조
US12004608B1 (en) Permanent jewelr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194611A (en) Jewelry
KR200193554Y1 (ko) 장신구용 체인의 연결구조
US12004609B2 (en) Component and method for assembling a jewelry item
US20210345736A1 (en) Jewelry link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jewelry chain links
KR200344401Y1 (ko) 장신구용 벨트의 버클
JP5128218B2 (ja) 装飾品用駒
KR200231831Y1 (ko) 장식용 체인
KR200328329Y1 (ko) 팔찌의 결합구조
KR200229314Y1 (ko) 금속제 장신구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