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834Y1 - ornamental perfume instrument - Google Patents

ornamental perfume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834Y1
KR200235834Y1 KR2020010006813U KR20010006813U KR200235834Y1 KR 200235834 Y1 KR200235834 Y1 KR 200235834Y1 KR 2020010006813 U KR2020010006813 U KR 2020010006813U KR 20010006813 U KR20010006813 U KR 20010006813U KR 200235834 Y1 KR200235834 Y1 KR 200235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decorative
glass bottle
blocking ca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8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석 filed Critical 김만석
Priority to KR2020010006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83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834Y1/en

Link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한 유리병의 내측으로 방향제가 함침된 장식품을 다양하게 수용하여 장식감을 연출하는 동시에, 적당량의 방향제가 공기중으로 서서히 발산되도록 하여 은은한 향기에 의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의 방향용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decorative feeling by receiving various ornaments impregnated with a fragrance inside the transparent glass bottle, and at the same time, the appropriate amount of fragrance is gradually released into the air to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by a soft fragrance It is about tool.

이같은 본 고안은,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받침편(12)에 의해 유동됨 없이 지지되며, 일측의 개방구(11)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개체(40)가 제공되는 투명한 유리병(10) 내측으로 작은 입자의 장식골재(20) 및 방향제(22)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21)를 삽입하고, 상기 개방구와 밀폐용 마개체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미세공극(31)이 형성된 차단캡(30)을 설치하여, 상기 장식체로부터 방출되는 방향제가 상기 차단캡의 미세공극을 통해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without being flown by the support piece 12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ransparent glass bottle 10 is provided with a stopper 40 to selectively seal the opening 11 of one side ) Inserting the ceramic aggregate 21 impregnated with the decorative aggregate 20 and the fragrance 22 of the small particles into the inside, and the blocking cap formed with a plurality of micropores 31 between the opening and the closure plug 30 is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grance discharged from the decoration is configured to be slow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icro-pores of the blocking cap.

Description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ornamental perfume instrument}Decorative perfume instrument containing directional ceramic ornaments

본 고안은 방향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한 유리병의 내측으로 방향제가 함침된 장식품을 다양하게 수용하여 장식감을 연출하는 동시에, 적당량의 방향제가 공기중으로 서서히 발산되도록 하여 은은한 향기에 의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의 방향용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grance, and more particularly, a variety of ornaments impregnated with the fragrance inside the transparent glass bottle to create a sense of decoration, while at the same time the appropriate amount of fragrance is gradually released into the air, pleasant by the soft fragr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fragrance for providing an environment.

일반적으로, 방향제를 수용하고 있는 방향용기는 합성수지나 유리로 제작되며, 단순한 용기의 형태를 벗어나 자동차나 동물 등 장식감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최근의 경향이다.In general, the aroma container containing the fragrance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glass, it is a recent trend to manufacture in a variety of shapes to have a sense of decoration such as cars or animals beyond the form of a simple container.

이같은 방향용기는 소정 부위에 방향제의 방출을 위한 방출구가 제공되며, 이러한 방출구에 밀폐용 마개가 제공되어 사용시 마개를 개방하여 방향제가 공기중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것이다.Such a fragranc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the release of the fragrance at a predetermined portion, the closure plug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to open the plug in use so that the fragrance is released into the air.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방향용기는 밀폐용 마개를 조작하여 그 방출구를 개방하게 되면, 방향제를 수용하고 있는 용기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직접 통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개방된 방출구를 통해 지나치게 많은 량의 방향제가 한꺼번에 방출되는 것이고, 이같이 다량으로 방출된 방향제는 그 향기가 매우 강해 오히려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두통을 가져오거나 호흡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ragrance container is to open the discharge port by operating the closure cap,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ragrance is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s a result, an excessively large amount of fragrance is released at one time through the open outlet, and such a large amount of fragrance is very strong and may cause discomfort, and may cause headaches when used in a narrow space. It could have adverse effects on the respiratory system.

또한, 상기와 같이 다량의 방향제가 일시에 방출됨에 따라 방향용기 내부의 방향제는 단기간에 모두 소모되는 것이었으며, 그로 인해 방향용기에 향기를 방출하는 본연의 기능을 상실한 채 단순한 장식물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a large amount of fragrance is released at a time as described above, all of the fragrance inside the fragrance container was consu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us the problem of being used only as a simple decoration without losing its original function of emitting fragrance into the fragrance container. there was.

그밖에도, 종래의 방향용기는 그 형상을 아무리 다양하게 제작한다 하더라도 인형, 완구 및 캐릭터 상품 등과 비교하여 크게 차별화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지적되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볼거리를 요구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이었다.In addition, no matter how much the shape of the conventional container is produced,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compared to dolls, toys, and character goods, etc. As a result, it does not sufficiently satisfy the desires of modern people who demand various sights. Wa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투명한 유리병의 내측으로 방향제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 및 작은 입자의 장식골재를 수용하여 장식감을 극대화하며, 상기 장식체에서 방출되는 향기가 유리병 내부에 충만된 상태에서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방향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향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accommodate the ceramic decoration and the small particles of decorative aggregate impregnated with the fragrance inside the transparent glass bottle to maximize the decorative feeling, the fragrance emitted from the decor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ragrance that is discharged slowly to the outside in the state filled in the glass bottle to perform an effective directional func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는 장식용 방향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ecorative direc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는 장식용 방향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ecorative direc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유리병 11: 개방구 12: 받침편 20: 장식골재 21: 장식체 22: 방향제 30: 차단캡 31: 미세공극 40: 마개체DESCRIPTION OF SYMBOLS 10 Glass bottle 11: Opening opening 12: Base 20: Decorative aggregate 21: Decorative body 22: Freshener 30: Blocking cap 31: Micropore 40: Stopp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받침편에 의해 유동됨 없이 지지되며, 일측의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개체가 제공되는 투명한 유리병 내측으로 작은 입자의 장식골재 및 방향제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를 삽입하고, 상기 개방구와 밀폐용 마개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미세공극이 형성된 차단캡을 설치하여, 상기 장식체로부터 방출되는 방향제가 상기 차단캡의 미세공극을 통해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iec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being flown, small particles into a transparent glass bottle provided with a stopper to selectively seal the opening on one side Insert the decorative ceramic and the decorative ceramic impregnated with the fragrance, and between the opening and the closing plug is provided with a blocking cap formed with a plurality of micro-pores, the fragrance discharged from the decorative micro-pore of the blocking ca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low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는 장식용 방향용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는 장식용 방향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ecorative direc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ecorative direc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투명한 유리병(10), 마개체(40), 차단캡(30) 및 방향제가 함침된 장식체(21), 그리고 작은 입자를 갖는 장식골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glass bottle 10, a stopper 40, a blocking cap 30 and a decorative body 21 impregnated with a fragrance, and a decorative aggregate 20 having small particles. It is composed.

상기 유리병(10)은 그 내부공간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공되는 것이며, 이같은 유리병(10)은 소정 부위에 개방구(11)가 제공되는 것이다.The glass bottle 10 is provided to be transparent to observe the internal space from the outside, such a glass bottle 10 is to be provided with an opening 11 in a predetermined portion.

이러한 유리병은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유리병(10)이 일측에 개방구(11)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여 눕혀진 상태로 설치하였으며, 그에 따라 유리병(10)의 자유로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병(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는 받침편(12)을 설치하였다.Such glass bottles can be provided to achieve various shapes. In this embodiment, such a glass bottle 10 is configured to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11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installed in a laid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free flow of the glass bottle 10. The support piece 12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0) was installed.

또한, 상기 받침편(12)에 의해 유리병(10)은 장식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되는 것이므로 관찰각의 확대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즉, 유리병(10)의 저면이 바닥면과 직접 접하지 않고 일정 높이 떠있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바닥면에 의해 가리워지는 상기 유리병(10)의 내측 공간부 면적이 최소화될 뿐만아니라, 바닥면의 색감이 유리병(10) 내측으로 투영되어 그 내측 공간을 어둡게 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lass bottle 10 is spac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to be decorated by the support piece 12 will bring an enlargement of the viewing angle. That is,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glass bottle 10 does not directly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remains in a certain height, the area of the inner space of the glass bottle 10 covered by the bottom surface is not only minimized, The color of the bottom surface is projected into the glass bottle 10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darkening the inner space.

이로 인해, 유리병(10)의 내부 공간을 관찰 위치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보다 넓은 지점에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동시에, 후술되는 장식체(21) 등의 보다 선명한 투영이 가능한 것이므로 장식감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Thus, the interior space of the glass bottle 10 can be easily observed from a wider point without being largely dependent on the observation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a clearer projection of the decorative body 21 or the like described later is possible, thereby maximizing the feeling of decoration. It is to bring the effect.

이같은 유리병(10)의 내측에는 작은 입자의 장식골재(20) 및 방향제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21)가 차례로 삽입된다. 즉, 상기 장식골재(20)를 상기 유리병(10) 바닥면에 충분히 깔리도록 채워준 다음, 여기에 상기 방향제(22)를 함침한 장식체(21)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들 삽입물(20,21)들은 서로 혼합된 상태로 주입하더라도 비교적 입자가 작은 장식골재(20)에 비하여 소정의 크기로 제작된 세라믹 장식체(21)가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의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된다.Inside the glass bottle 10, small particles of decorative aggregate 20 and a ceramic decorative body 21 impregnated with a fragrance are sequentially inserted. That is, the decorative aggregate 20 is filled enough to be lai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lass bottle 10, and then the decorative body 21 impregnated with the fragrance 22 is inserted therein, and these inserts 20 and 21 are inserted therein. ), Even when injected in a mixed state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isual effect of the ceramic decorative body 21 produced in a predetermined size as compared to the decorative aggregate 20 having a relatively small particle protrudes upward.

물론, 이들을 혼합한 상태로 놓아도 무방하나, 거치 상태에서 가볍게 흔들어 주는 것만으로도 입자들의 배열을 정돈하여 미려한 장식감을 제공할 수 있게되는것이다. 이때, 상기 장식골재(20)는 천연의 골재일 수도 있으며, 그밖에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된 인조골재일 수도 있는 것이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ut them in a mixed state, but by simply shaking in a stationary state to arrange the arrangement of the particles will be able to provide a beautiful decoration. At this time, the decorative aggregate 20 may be a natural aggregate, or may be an artificial aggregate made of synthetic resin or the like.

또한, 상기 장식체(21)는 목재를 포함하여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세라믹의 도자기 형태로 제작하므로서 방향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세라믹의 장식체(21)에 방향제(22)를 함침하므로서 방향제(22)가 장식체(21)의 표면으로 지나치게 다량 배어나오는 등의 현상이 억제되는 것이며, 그 미세한 공극을 통해 방향제(22)가 서서히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므로 방향기능이 장기간 유지되는 동시에 은은한 향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ecoration body 2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including wood, but it may be desirable to maximize the directional function by producing ceramics in the form of ceramic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impregnation of the fragrance 22 into the surface of the ornament 21 is suppressed by impregnating the fragrance 22 into the decorative body 21 of the ceramic, and the fragrance 22 through the minute voids is suppressed. ) Is gradually released to the outside, so the fragrance function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and at the same time, it emits a soft fragrance.

그리고, 상기 장식골재(20)와 장식체(21)가 상호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장식감이 극대화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체(21) 및 장식골재(20)를 일체감 없이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하였지만, 그밖에 상기 장식체(21)를 바다생물의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장식골재(20)는 푸른색을 갖도록 하여 시원한 바다의 느낌을 주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decorative aggregate 20 and the decorative body 21 to be in harmony with each other to maximize the decorative feeling.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corative body 21 and the decorative aggregate 20 were produced in various forms without a sense of unity. In addition, the decorative body 21 was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sea creature, and the decorative aggregate 20 was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blue feel by having a blue color.

상기 장식체(21) 및 장식골재(20)를 수용하게 되는 유리병(10)의 개방구(11)에 차단캡(30)이 끼워지는 것으로, 이같은 차단캡(30)은 그 표면에 다수개의 미세공극(31)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The blocking cap 30 is fitted to the opening 11 of the glass bottle 10 to accommodate the decorative body 21 and the decorative aggregate 20, such a blocking cap 30 has a plurality of surfaces on the surface The micro voids 31 are formed.

상기 차단캡(30)에 의해, 상기 장식체(21)에서 방출되는 방향제(22)의 향기는 상기 미세공극(31)을 통해 유리병의 외부로 자유롭게 발산되는 것이지만, 상기 장식골재(20)는 그 입자의 크기가 비록 작다고 하나 상기 미세공극(31)을 통과하지는 못하는 것이므로 유리병(10)의 외부로 쏟아져 유실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By the blocking cap 30, the fragrance of the fragrance 22 emitted from the decorative body 21 is freely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glass bottle through the micro-pores 31, the decorative aggregate 20 is Although the particles are small in size, they do not pass through the micropores 31, and thus the phenomenon of being spilled out of the vial 10 is prevented.

그리고, 이같은 차단캡(30)을 가리우도록 상기 유리병(10)의 개방구(11)에는 밀폐용 마개체(40)가 덧씌워지는 것이며, 이러한 마개체(40)에 의해 상기 유리병(10)의 내부 공간은 선택적으로 밀폐되는 것이다.Then, the opening 11 of the glass bottle 10 is covered with a sealing stopper 40 so as to cover such a blocking cap 30, the stopper 40 by the stopper (40) The interior space of 10) is optionally seal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장식체(21)에 함침되는 방향제(22)는 유리병(10)의 장식골재(20)를 제외한 상측 공간부로 방출되는 것이며, 이같은 유리병(10)의 개방구(11) 및 그에 끼워지는 차단캡(30)은 마개체(40)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므로 방향제(22)는 외부로 방출됨 없이 유리병(10)의 내측 공간에 충만되는 것이다.First, the fragrance 22 impregnated in the decorative body 21 is discharged to the upper space portion except for the decorative aggregate 20 of the glass bottle 10, the opening 11 of such a glass bottle 10 and sandwiched therein Losing the blocking cap 30 is sealed by the stopper 40, so the fragrance 22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lass bottle 10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시 상기 유리병(10)의 개방구(11)로부터 마개체(40)를 분리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차단캡(30)의 미세공극(31)이 개방되면서 상기 방향제(22)는 외부로 방출되어 공기중으로 발산되는 것이다.When used in such a state that the stopper 4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opening 11 of the glass bottle 10, and thus the micropore 31 of the blocking cap 30 is opened while the fragrance 22 Is emitted to the outside and released into the air.

이때, 상기 방향제(22)는 차단캡(30)의 미세공극(31)을 통해 방출되는 것이므로, 다량의 방향제가 외부로 급속하게 방출되어 지나치게 강한 향기를 발산하게 되는 현상은 발생치 않으며, 적당량의 방향제가 서서히 방출되어 공기중으로 발산됨에 따라 은은한 향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fragrance 22 is released through the microvoids 31 of the blocking cap 30, a phenomenon in which a large amount of fragrance is rapidly released to the outside to emit an excessively strong aroma does not occur,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As the fragrance is slowly released and released into the air, it provides a subtle scent.

상기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방향성 장식체가 수용된 투명유리병 구조의 방향용구에 의하여, 적당량의 방향제가 공기중으로 서서히 방출되어 은은한 향기를 발산함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게되며, 그로 인해 사용자의 기분까지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As can be seen by the above embodiment, by the fragrance of the transparent glass bottle structure containing the directional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ropriate amount of fragrance is gradually released into the air to emit a soft fragrance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It will provide an effect that can change the mood of the user.

또한, 방향제가 불필요하게 다량 방출되는 것이 억제됨에 따라 방향기능이 장기간 유지되는 것이며, 유리병 내부에 장식체 및 장식골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미감이 향상되어 장식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ragrance function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as it is suppressed to release a large amount of fragrance unnecessarily, and the aesthetics are improved by maximizing the decor because the various effects can be produced by using the decorative body and decorative aggregates inside the glass bottle To bring.

Claims (1)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받침편에 의해 유동됨 없이 지지되며, 일측의 개방구를 선택적으로 밀폐할 수 있도록 마개체가 제공되는 투명한 유리병의 내측으로 작은 입자의 장식골재 및 방향제가 함침된 세라믹 장식체를 삽입하고, 상기 개방구와 밀폐용 마개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미세공극이 형성된 차단캡을 설치하여, 상기 장식구로부터 방출되는 방향제가 상기 차단캡의 미세공극을 통해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Ceramic decorative body impregnated with small particles of decorative aggregate and fragrance inside a transparent glass bottle provided with a stopper to be supported without being flown by a supporting piec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o provide a closure for selectively sealing one side opening. Inserting, and installing a blocking cap formed with a plurality of micro-pores between the opening and the closing plug, the fragrance discharged from the decoration is configured to be slow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icro-pores of the blocking cap Decorative fragrances containing a directional ceramic ornament.
KR2020010006813U 2001-03-13 2001-03-13 ornamental perfume instrument KR2002358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13U KR200235834Y1 (en) 2001-03-13 2001-03-13 ornamental perfume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13U KR200235834Y1 (en) 2001-03-13 2001-03-13 ornamental perfume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834Y1 true KR200235834Y1 (en) 2001-10-08

Family

ID=7309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813U KR200235834Y1 (en) 2001-03-13 2001-03-13 ornamental perfume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83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9090B1 (en) Soft toys with characteristic indicies
EP1610633B1 (en) Dispensing container
JP3227052U (en) Snow dome with fragrance diffuser function
US6138870A (en) Two-chamber milky lotion bottle
US6565012B1 (en) Air freshener
US6536910B2 (en) Vapor generating lampshade apparatus
KR200235834Y1 (en) ornamental perfume instrument
CA2163092A1 (en) Air freshener device with ceramic container and absorbent pad
KR200310407Y1 (en) Fancy goods having aromatic
KR20190038532A (en) Automotive air freshener
KR200406741Y1 (en) Aroma Coupling Structure of Aroma Ornament
KR20220048226A (en) Prefabricated aromatic doll and aromatic receptacle including the same
JP3168816U (en) Suspended fragrance
KR20190000489U (en) Doll Having an Aromatic
JP4545692B2 (en) Bottle with liquid
JP2001314728A (en) Indoor air-condition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052821U (en) Fantasy decoration
JPS6118783Y2 (en)
CN215284180U (en) Base structure of water ball decoration
KR200307075Y1 (en) Detachable Flower Vase
KR101721954B1 (en) Tumbler type decoration
JPS582349Y2 (en) Fragrance container for artificial flowers
CN201116721Y (en) Technologic candle containing flavor
KR200359069Y1 (en) Fragrancy controlling device for personal ornaments
KR200190866Y1 (en) A perfume can for flowe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