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701Y1 - Holder assembly for handy terminal - Google Patents

Holder assembly for handy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701Y1
KR200235701Y1 KR2020010007540U KR20010007540U KR200235701Y1 KR 200235701 Y1 KR200235701 Y1 KR 200235701Y1 KR 2020010007540 U KR2020010007540 U KR 2020010007540U KR 20010007540 U KR20010007540 U KR 20010007540U KR 200235701 Y1 KR200235701 Y1 KR 200235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radle
holder
mobile terminal
rotary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5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해주
Original Assignee
황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해주 filed Critical 황해주
Priority to KR2020010007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70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701Y1/en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기기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와,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거치대와, 받침대에 대해 거치대를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인트를 구비하며, 조인트는, 거치대를 그 수평 상태가 유지된 채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조인트부와, 받침대와 회전 조인트부 사이에 설치되어 거치대를 상기 받침대에 대해 회동시키도록 된 회동 조인트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거치대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A pedestal fixed to the apparatus, a pedestal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and a joint for movably supporting the pedestal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wherein the joint includes a rotary joint part for rotating the pedestal while maintaining its horizontal state; And a pivot joint part installed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rotary joint part to rotate the pedestal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wherein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ttached to the pedesta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osition. A cradl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is disclosed.

이러한 구조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거치대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사용자의 위치 및 신체 조건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제거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By using the holder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such a structure, since th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ttached to the holder can be properly u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inconvenience in use according to the user's position and physical condition as in the prior art Removed, very easy to us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Holder assembly for handy terminal}Holder assembly for handheld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대와 받침대를 접속시켜주는 조인트의 구조를 개선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adl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improved the structure of the joint connecting the cradle and the pedestal.

이동 전화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차량 운전자들이 차량 내부에 이동 전화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통화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그러나,차량 운전자가 운전중에 한손을 써서 이동 전화 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면 교통 사고가 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운전 중 이동 전화 단말기의 사용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서 차량에 거치대를 부착하여 놓고, 운전중에는 거치대에 이동 전화 단말기를 자기력에 의해 부착시켜 놓은 상태에서 핸즈프리로 통화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As the use of mobile phone terminals has become commonplace, vehicle drivers frequently carry a mobile phone terminal in a vehicle and make a call. However, when a vehicle driver uses a mobile phone terminal with one hand while driving,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traffic accident, so the us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while driving is a social problem. As a solution to this, it is common to call a hands-free while a cradle is attached to a vehicle and a mobile phone terminal is attached to the cradle by magnetic force while driving.

그런데, 종래의 거치대는 방향 조정 기능이 없어 거기에 부착된 이동 전화 단말기가 한 방향으로만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위치 및 키 등의 신체 조건에 따라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radle has no direction adjustment function, the mobile phone terminal attached thereto is fixed in only one direction, and th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s such as a user's position and keys.

또한, 종래의 거치대를 이동 전화 단말기 이외의 다른 휴대 단말기 예컨대, 휴대용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용으로 응용하여, 차량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동 전화 단말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holder is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other than a mobile telephone terminal, for example, a port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used to be attached to a vehicle, the same usage as that of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is achieved. There is discomfor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위치 및 신체 조건에 따라 거치대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방향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oints, and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a direction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ttached to the cradle can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ssembly.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의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받침대 30...회전 조인트부10.Support 30.Rotary Joint

31,39...제1 및 제2기어 33...영구자석31,39 ... 1st and 2nd gear 33 ... Permanent magnet

35...자성체 38...몸체35 ... Magnet 38 ... Body

40...회동 조인트부 50...거치대40.Rotary joint part 50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는, 기기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와;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거치대와;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거치대를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인트;를 구비하며, 상기 조인트는, 상기 거치대를 그 수평 상태가 유지된 채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조인트부와; 상기 받침대와 회전 조인트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를 상기 받침대에 대해 회동시키도록 된 회동 조인트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거치대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radle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a pedestal fixedly installed on the device; A cradle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And a joint for movably supporting the cradle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wherein the joint includes: a rotary joint portion for rotating the cradle while maintaining its horizontal state; It is installed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rotary joint portion, the pivoting joint portion to rotate the pedestal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including, so as to be us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ttached to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user's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회전 조인트부는, 상기 거치대의 저면부에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회동 조인트부와 결합되는 몸체에 형성된 제2기어와; 상기 거치대 및 몸체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기어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제1 및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ry joint unit, and the first gea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radle; A second gear formed on a body coupled to the pivot joint part;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embers are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holder and the body to stably maintain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by magnetic attraction.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기어는 상기 거치대 저면부 및 몸체의 결합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and second gear is preferably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the body of the holder.

상기 회동 조인트부는, 일단이 상기 회전 조인트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구부려진 형태로 반복하여 구부렸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를 상기 받침대에 대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ivot joint part is formed to be repeatedly bent and bent in a bent form in which one end is coupled to the rotary joint part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pedestal so that the pedestal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radle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는, 소정의 기기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10)와,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거치대(50)와, 상기 받침대(10)에 대해 상기 거치대(50)를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cradle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10 fixed to a predetermined device, a cradle 50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and the pedestal 10. It comprises a joint for movably supporting the cradle 50 relative to.

상기 받침대(10) 저면에는 접착 패드(10a)가 마련되어 있어, 소정의 기기 예컨대, 차량 내부에 쉽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10)는 별도의 설치 구조에 의해 차량 내부 등에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An adhesive pad 10a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pedestal 10 so that it can be easily fixed to a predetermined device, for example, inside a vehicle. Here, the pedestal 10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y a separate installation structure.

상기 거치대(50)의 장착부(50a) 내측에는 영구 자석(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자성체 플레이트를 갖는 이동 전화 단말기를 거치대(50)의 장착부(50a)에 올려 놓으면 이동 전화 단말기는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거치대(50)에 부착되며, 이동 전화 단말기를 힘을 주어 들어 올리면 거치대(5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상기 영구 자석(33)은 이동 전화 단말기를 거치대(50)에 부착시키는데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치대(50)와 받침대(10) 사이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데 사용된다.The permanent magnet 33 is installed inside the mounting portion 50a of the holder 50. Therefore, for example, if a mobile telephone terminal having a magnetic plate is placed on the mounting portion 50a of the holder 50,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is attached to the holder 50 by magnetic force, and the mobile telephone terminal is lifted up by force. I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holder 50. The permanent magnet 33 is used not only to attach the mobile phone terminal to the holder 50, but also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between the holder 50 and the pedestal 10, as described below.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거치대(50)는 무선 이어폰(미도시)을 채용한 핸드 프리키트에 적합한 구조로 참조번호 50b는 무선 이어폰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무선 이어폰 장착부를 나타낸다.Here, the holder 50 shown in Figures 1 and 2 is a structure suitable for a hand pre-kit employing a wireless earphone (not shown), reference numeral 50b represents a wireless earphone mounting portion that can put the wireless earphone.

한편, 상기 거치대(5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시거잭(61)을 가지는 컬 와이어(63)가 설치되고, 사용자와 이동 전화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상기 거치대(50)를 경유하여 이루어지도록 이어폰 잭(65)을 가지는 컬 와이어(67)가 설치될 수 있다. 컬 와이어(63)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무선 이어폰 및/또는 이동 전화 단말기 등의 충전용 밧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있으며, 사용자와 이동 전화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매개하도록 거치대(50)에 마련된 회로(미도시) 등을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 어셈블리를 채용한 핸드 프리키트가 무선 이어폰을 구비하는 구조인 경우, 상기 거치대(50)에는 이동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무선 이어폰쪽으로 송신하는 송신기와, 무선 이어폰쪽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설치되며, 상기 거치대(50)의 송수신기와 이동 전화 단말기 사이의 신호 전달은 상기 이어폰 잭(65) 및 컬 와이어(67)를 통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radle 50, as shown, is provided with a curl wire 63 having a cigar jack 61 to receive power from the vehicl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the cradle 50 Curl wire 67 having an earphone jack 65 may be installed to be made via.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curl wire 63 may be used to charge a rechargeable battery such as a wireless earphone and / or a mobile phone terminal, and a circuit provided in the cradle 50 to medi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mobile phone terminal. Not shown). Here, when the hand pre-kit employing the cra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having a wireless earphone, the cradle 50 includes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mobile phone terminal to the wireless earphone, and from the wireless earphone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is installed, and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transceiver of the cradle 50 and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performed through the earphone jack 65 and the curl wire 67.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무선 이어폰을 채용한 핸드프리 키트에 적합한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 어셈블리 구조는 일 예일 뿐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cradl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e for the hand-free kit employing the wireless earphone shown in Figs. 1 and 2 is only one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조인트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거치대(50)에 부착되어 있는 이동 전화 단말기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대(50)를 그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시키도록 거치대(50)에 결합된 회전 조인트부(30)와, 상기 거치대(50)를 받침대(10)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반침대(10)와 회전 조인트부(30)의 몸체(38) 사이에 고정 설치된 회동 조인트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joint is mounted on the cradle 50 to rotate the cradle 50 while maintaining its horizontal state so as to properly adjust and use the direction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ttached to the cradle 5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Rotating joint part 30 and the rotating joint part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half bed 10 and the body 38 of the rotary joint part 30 to pivot the pedestal 10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10. 40 is comprised.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 조인트부(30)는, 거치대(50)의 저면에 형성된 제1기어(31)와, 상기 회동 조인트부(40)와 결합되는 몸체(38)에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31)와 기어 결합되는 제2기어(3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와 몸체(38) 사이의 회전 결합이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유지되며, 사용자가 거치대(50)를 들어올리면, 거치대(50)가 받침대(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rotary joint part 30 is formed on the first gear 3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radle 50 and the body 38 coupled to the pivot joint part 40 to form the first joint. And a second gear 39 geared to the first gear 31, the rotational coupling between the holder and the body 38 is maintained by magnetic attraction, and when the user lifts the holder 50, The cradle 50 is adapted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pedestal 10.

상기 제1기어(31)는 링기어로서, 거치대(50) 저면에 인입 형성된 제1설치공(32) 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기어(39)는 몸체(38)에 제1기어(31)와 기어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38)를 제1설치공(32)에 삽입함에 의해 제1 및 제2기어(31)(39)가 서로 기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gear 31 is a ring gear,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irst installation hole 32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50. The second gear 39 is formed in the body 38 so as to be in gear coupling with the first gear 31, the first and second by inserting the body 38 in the first installation hole (32) The gears 31 and 39 are gear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몸체(38) 및 제1설치공(32)에는 결합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링 형상의 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기어(31)(39)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몸체(38)를 제1설치공(32)에 삽입 할 때, 몸체(38)의 일부분만이 제1설치공(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기어(39)가 제1기어(31)에 걸려 몸체(38)의 삽입이 저지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기어(31)(39)가 기어 결합되므로, 별도의 스토퍼부 없이도 제1 및 제2기어(31)(39)의 결합 위치가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body 38 and the first installation hole 32 is formed with a ring-shaped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the coupling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gear 31, 39 is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is case, when the body 38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hole 32, the second gear 39 is the first gear in a state where only a part of the body 38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tallation hole 32. Since the first and second gears 31 and 39 are gear-engaged at the same time as the insertion of the body 38 is prevented by the gear 31, the first and second gears 31 and 39 are required without a separate stopper. The engagement position of is fixed.

한편, 상기 회전 조인트부(30)는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제1 및 제2기어(31)(39) 사이의 회전 결합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거치대(50)의 제1설치공(32) 내측에 설치된 영구자석(33) 및 상기 제1설치공(32)에 대응되게 상기 몸체(38)에 형성된 제2설치공(36)에 설치된 자성체(3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자석(33)은 고정링(34) 바람직하게는, 스틸링에 의해 상기 제1설치공(32)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자성체(35)는 상기 제2설치공(36)에 억지끼움된다. 상기 영구자석(3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대(50)에 이동 전화 단말기를 부착하는데도 사용된다. 여기서, 영구자석(33) 및 자성체(35)는 반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거치대(50)에 이동 전화 단말기를 부착시키기위한 별도의 영구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설치공(32)(36)에 서로 자기적인 인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된 영구자석을 각각 고정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joint portion 30 is the first installation hole of the cradle 50 in order to maintain a stable state of rotation coupl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ears 31 and 39 by magnetic attraction (32)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magnetic body 35 installed in the permanent magnet 33 installed in the inner side and the second installation hole 36 formed in the body 38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stallation hole (32). . The permanent magnet 33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installation hole 32 by a fixing ring 34, preferably, a steel ring, the magnetic material 35 is fitted to the second installation hole (36). do. The permanent magnet 33 is also used to attach the mobile phone terminal to the holder 50, as described above. Here, the permanent magnet 33 and the magnetic material 35 may be installed on the contrar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 separate permanent magnet for attaching the mobile phone terminal to the holder (50). It is also possible to fix each of the permanent magnets arranged so that the magnetic attraction force acts on the first and second installation holes 32 and 36,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 조인트부(30)에 의하면, 영구자석(38)과 자성체(35)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받침대(10)와 거치대(50) 사이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며, 회동 조인트부(40)를 매개로 받침대(10)에 설치된 몸체(38)에 대한 거치대(50)의 회전 결합에 의해 거치대(50)를 그 수평 방향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tary joint portion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the magnetic attraction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38 and the magnetic material 35,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pedestal 10 and the cradle 50 is maintained, the rotating joint By the rotational coupling of the holder 50 to the body 38 installed on the pedestal 10 via the portion 40, the holder 50 can be rotated while maintaining its horizontal state.

한편, 상기 회동 조인트부(40)는, 일단이 상기 회전 조인트부(3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구부려진 형태로 반복하여 구부렸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회동 조인트부(40)는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철로 된 금속판(40a)을 플렉시블한 재질로 감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한 재질은 회동 조인트부(40)를 구부렸다 폈다하면서 회동각을 조정할 때, 금속판(40a)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거치대(50)를 받침대(10)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vot joint portion 40 is formed so that one end is repeatedly bent and bent in a bent form coupled to the rotary joint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pedestal. For example, the pivot joint part 40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in which, for example, a metal plate 40a made of aluminum or iron is wrapped with a flexible material. The flexible material functions to protect the metal plate 40a when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while bending and releasing the rotation joint portion 40. Therefore, the holder 5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10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는, 거치대(50)를 그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받침대(10)에 대해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위치 및 신체 조건에 따라 이동 전화 단말기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radle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holder 50 can be rotated by the required angle while maintaining its horizontal state, and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pedestal 10, the user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can be used to properly adjust.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가 이동 전화 단말기에 적합하도록 마련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동 전화 단말기 이외의 다른 휴대 단말기에 적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의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a case where the cradle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suitable for a mobile phone terminal, it may be modified to be suitable for other mobile terminals other than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of the cradle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에 의하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거치대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사용자의 위치 및 신체 조건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제거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cradle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us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ttached to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position and physical condition as in the prior art Discomfort of it is eliminated,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Claims (5)

기기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대와;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는 거치대와; 상기 받침대에 대해 상기 거치대를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인트;를 구비하며,A pedestal fixed to the apparatus; A cradle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And a joint for movably supporting the cradle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상기 조인트는,The joint is 상기 거치대를 그 수평 상태가 유지된 채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조인트부와;A rotary joint part for rotating the holder with its horizontal state maintained; 상기 받침대와 회전 조인트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를 상기 받침대에 대해 회동시키도록 된 회동 조인트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거치대에 부착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It is installed between the pedestal and the rotary joint portion, the pivoting joint portion to rotate the pedestal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including, so as to be us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ttached to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user's position Mounting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인트부는,According to claim 1, The rotary joint portion, 상기 거치대의 저면부에 형성된 제1기어와;A first gea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lder; 상기 회동 조인트부와 결합되는 몸체에 형성된 제2기어와;A second gear formed on a body coupled to the pivot joint part; 상기 거치대 및 몸체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기어의 결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제1 및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And a first and a second magnetic member installed on the holder and the bod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stably maintain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by magnetic attraction.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기어는 상기 거치대 저면부 및 몸체의 결합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The cradle assembly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gears are formed in a ring shape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a coupling direction of the cradle bottom portion and the body.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자력부재 중 일 자력부재는 영구자석, 다른 자력부재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The cradle assembly of claim 2 or 3, where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members is a permanent magnet, and the other magnetic member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인트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ivot joint portion, 일단이 상기 회전 조인트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구부려진 형태로 반복하여 구부렸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를 상기 받침대에 대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One end is coupled to the rotary joint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repeatedly bent and bent in a bent form coupled to the pedestal, the cradle for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edestal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assembly.
KR2020010007540U 2001-03-20 2001-03-20 Holder assembly for handy terminal KR20023570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540U KR200235701Y1 (en) 2001-03-20 2001-03-20 Holder assembly for handy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540U KR200235701Y1 (en) 2001-03-20 2001-03-20 Holder assembly for handy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701Y1 true KR200235701Y1 (en) 2001-10-08

Family

ID=7306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540U KR200235701Y1 (en) 2001-03-20 2001-03-20 Holder assembly for handy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701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353B1 (en) * 2011-07-20 2013-05-14 원성희 Mobile goods hanger
KR101542196B1 (en) 2014-02-07 2015-08-05 여영규 Cradle of the portable device
KR20200039916A (en) *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코너스톤 Support for mobile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353B1 (en) * 2011-07-20 2013-05-14 원성희 Mobile goods hanger
KR101542196B1 (en) 2014-02-07 2015-08-05 여영규 Cradle of the portable device
KR20200039916A (en) * 2018-10-08 2020-04-17 주식회사 코너스톤 Support for mobile device
KR102120439B1 (en) * 2018-10-08 2020-06-08 주식회사 코너스톤 Support for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43545A1 (en)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60177086A1 (en) Tubular, flexi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235701Y1 (en) Holder assembly for handy terminal
KR200259981Y1 (en) Cup holder handsfree car kit
KR200235492Y1 (en) Hands free-kit for handy terminal
KR200210962Y1 (en) Stand hanger of handphone to use both hands freely in automobile
KR200210278Y1 (en) Fixation module for handphone connection in car
KR100393325B1 (en) Shoulder Mount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KR200254508Y1 (en) An automatically connected cellular phone and handfree holder
KR20020069858A (en) Cradle for Cellular Phone
KR200253382Y1 (en) Portable phone for using hand-free apparatus
KR200252857Y1 (en) A wireless hands-free apparatus for hand mobile telephone
KR200235732Y1 (en) A hands - free device
KR200221375Y1 (en) Video handphone having supporter
KR200229951Y1 (en) A handsfree kit for a vehicle
JP3078553U (en) Holder connection device
KR200237967Y1 (en) Hands Free Kit for Cell Phones
WO2006117439A1 (en) A device to facilitate the use of cellular/mobile phones for the hearing impaired
KR200245052Y1 (en) Neckband with a handfree for moving phone
KR200252847Y1 (en) Hands free device for vehicles
KR200205814Y1 (en) Mobile phone handsfree for vehicles
KR200287419Y1 (en) Removable hands fee using a mounting member
KR200184941Y1 (en) Hands free kit for use in an automobile
JPH084767Y2 (en)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36075A (en) A mobile phone holder and a handsfree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