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434Y1 -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 - Google Patents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434Y1
KR200235434Y1 KR2020010003943U KR20010003943U KR200235434Y1 KR 200235434 Y1 KR200235434 Y1 KR 200235434Y1 KR 2020010003943 U KR2020010003943 U KR 2020010003943U KR 20010003943 U KR20010003943 U KR 20010003943U KR 200235434 Y1 KR200235434 Y1 KR 200235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ishing line
connector
rotary device
lea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병 국 오
Original Assignee
한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헌 filed Critical 한상헌
Priority to KR2020010003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4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434Y1/ko

Links

Landscapes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낚시줄이 꼬이지 않도록 납봉을 낚시줄에 회전가능하게 걸어주는 회전장치를 납봉과 일체화하여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납봉에는 낚시줄 연결용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여기에 회전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였으므로 고리가 실질적으로는 불필요하였던 바,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합성수지재로 된 케이스의 내측에 납을 수납하여서 된 납봉과, 방사상으로 상향의 후크가 다수개 형성되어있는 하단부가 케이스의 상부 내측에 일체로 매입되고 상단부에는 경확장부를 가지는 납봉연결구와, 납봉연결구의 경확장부와 동일한 경의 경확장부가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낚시줄과 연결되는 고리형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줄연결구와, 납봉연결구와 낚시줄연결구의 각 경확장부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걸어주도록 각 경확장부보다는 작은 경을 가지는 작동홈을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한 단면상 링형의 회전작동구로 구성한 것으로, 납봉의 사용시 별도의 회전장치를 연결사용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제조면에 있어서는 고리를 형성할 필요없이 곧바로 회전장치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어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재의 삭제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소비자에게 보다 저가의 납봉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Lead sinker including revolution device}
본 고안은 납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줄이 꼬이지 않도록 납봉을 낚시줄에 회전가능하게 걸어주는 회전장치를 납봉과 일체화하여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민물이나 바다 등에서 낚시를 할 때에는 낚시바늘을 수중으로가라앉히기 위한 중량물이 필요하며, 이러한 중량물은 용융점이 낮아 가공이 용이하고 비중이 높아 작은 부피에도 큰 무게를 가지는 납으로 구성함이 보통이며, 따라서 이러한 중량물을 납봉이라 부르게 된다.
이러한 납봉은 낚시에 있어서는 꼭 필요한 것이나 물, 특히 해수와 접하게 되면 해수중의 염분과 납봉의 납이 반응하여 유해한 납 성분이 수중으로 분해되므로 낚시중 물을 오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납봉이 떨어져 나갈 경우에는 납봉의 납 성분이 완전 분해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1-3055 호에서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수지로 된 케이스를 사출성형하고, 이 케이스의 내부에 미리 제작된 납을 수납한 후 하부측에서 기밀하게 뚜껑을 체결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더라도 납 성분이 절대 노출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그 제작을 간단히 하여 생산성을 높인 무해성 납봉을 개시한 바 있다.
한편, 납봉을 제작할 때에는 그 상부에 낚시줄과 연결되는 철재의 고리를 일체로 형성함이 보통이며, 이러한 고리는 납봉을 납만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납봉의 내측으로 매입되게 주물로 제작하게 되고, 실용신안등록 제 2001-3055 호에 의해 합성수지재의 케이스를 제작할 경우에는 케이스의 내측으로 매입되게 고리를 인서트 사출성형하면 될 것이지만 납봉을 사용하다보면 물과의 마찰 또는 해류 등에 의해 납봉이 회전되어 낚시줄과 엉킬 수 있으므로 납봉과 낚시줄을 연결할 때에는 납봉을 낚시줄과 바로 연결하는 것이 아니고 납봉과 낚시줄의 사이에 납봉을 자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장치를 개재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현재에는 실질적으로 납봉에 있어 전혀 불필요한 고리부분을 납봉과 일체로 제작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낚시줄 연결구와 납봉연결구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주는 회전작동구로 된 회전장치의 납봉연결구를 납봉의 케이스에 인서트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함으로써 회전장치의 연결작업을 없애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불필요한 부재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납봉 2 : 케이스
3 : 납 4 : 납봉연결구
4a : 후크 4b,5b : 경확장부
5 : 낚시줄연결구 5a : 연결부
6 : 회전작동구 6a,6b : 작동홈
7 : 낚시줄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을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1-3055 호에 따라 합성수지재로 된 케이스(2)의 내측에 납(3)을 수납하여서 된 무해성 납봉(1)을 구성하되, 여기에 낚시줄 연결용 고리를 형성하지 않고 곧바로 납봉을 자체적으로 회전시켜주는 회전장치를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봉(1)의 케이스(2) 사출시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납봉연결구(4), 낚시줄(7)과 연결되는 낚시줄연결구(5), 납봉연결구(4)와 낚시줄연결구(5)를 회전가능하게 걸어주는 회전작동구(6)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납봉연결구(4)는 그 하단부가 케이스(2)에 매입되는 것이므로 결합력강화를 위해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상향의 후크(4a)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회전작동구(6)에 회전가능하게 걸리도록 경확장부(4b)가 형성되며, 낚시줄연결구(5)는 납봉연결구(4)와 마찬가지로 회전작동구(6)에 회전가능하게 걸리도록 하단부에 경확장부(5b)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낚시줄 연결을 위한 고리형의 연결부(5a)가 형성되며, 회전작동구(6)는 단면상 링형상으로서 그 상하부에는 낚시줄연결구(5)의 경확장부(5b)와 납봉연결구(4)의 경확장부(4b)를 회전가능하게 걸어주도록 그 보다는 경이 작은 작동홈(6a)(6b)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은 낚시줄(7)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납봉연결구(4)와 낚시줄연결구(5)가 회전작동구(6)에 지지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납봉(1)이 자체적으로 회전되어 낚시줄(7)이 엉키지 않게 됨으로써 원활한 낚시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종래 납봉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에 별도의 회전장치를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본 고안에서는 고리를 형성하지 않고 회전장치를 곧바로 납봉(1)의 케이스(2) 사출시 인서트 사출성형한 것이므로 고리 성형공정, 회전장치 연결공정 등이 줄어 사용이 편리해짐은 물론 그 제작에 있어서는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재의 삭제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1-3055 호에 따라 해수와 납성분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여 무해성 납봉을 구현함과 동시에 회전장치를 일체화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부재의 삭제를 통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납봉연결구(4),낚시줄연결구(5), 회전작동구(6)로 된 회전장치와 납봉(1)을 하나의 셋트로 묶어 판매하게 될 것이므로 사용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2)의 내측에 회전장치가 매입되게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납봉을 주물제작할 때 회전장치 부분을 납봉의 내측으로 매입되게 제작하고 그 표면에 합성수지 또는 천연재료를 피복하여 무해성 납봉을 구현함과 동시에 부재의 삭제를 통한 사용상 편의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의 이점을 얻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케이스의 사출시 납봉연결구, 낚시줄연결구, 회전작동구로 된 회전장치를 인서트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한 것이므로 납봉의 사용시 별도의 회전장치를 연결사용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제조면에 있어서는 고리를 형성할 필요없이 곧바로 회전장치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어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재의 삭제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소비자에게 보다 저가의 납봉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합성수지재로 된 케이스(2)의 내측에 납(3)을 수납하여서 된 납봉(1);
    방사상으로 상향의 후크(4a)가 다수개 형성되어있는 하단부가 상기 케이스(2)의 상부 내측에 일체로 매입되고 상단부에는 경확장부(4b)를 가지는 납봉연결구(4);
    상기 납봉연결구(4)의 경확장부(4b)와 동일한 경의 경확장부(5b)가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낚시줄(7)과 연결되는 고리형상의 연결부(5a)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줄연결구(5); 및
    상기 납봉연결구(4)와 상기 낚시줄연결구(5)의 각 경확장부(4b)(5b)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걸어주도록 상기 각 경확장부(4b)(5b)보다는 작은 경을 가지는 작동홈(6a)(6b)을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한 단면상 링형의 회전작동구(6)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
KR2020010003943U 2001-02-16 2001-02-16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 KR200235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43U KR200235434Y1 (ko) 2001-02-16 2001-02-16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43U KR200235434Y1 (ko) 2001-02-16 2001-02-16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434Y1 true KR200235434Y1 (ko) 2001-10-25

Family

ID=7306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943U KR200235434Y1 (ko) 2001-02-16 2001-02-16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4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91B1 (ko) * 2006-10-30 2007-04-27 마상영 낚시용 추
KR100885035B1 (ko) 2008-12-03 2009-02-23 이동일 주낙용 분리형 낚시추
KR20230034573A (ko) * 2021-09-03 2023-03-10 오채은 부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91B1 (ko) * 2006-10-30 2007-04-27 마상영 낚시용 추
KR100885035B1 (ko) 2008-12-03 2009-02-23 이동일 주낙용 분리형 낚시추
KR20230034573A (ko) * 2021-09-03 2023-03-10 오채은 부표
KR102605695B1 (ko) * 2021-09-03 2023-11-24 오채은 부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3539405T3 (fi) Kiinnityslaite ja sen asentamismenetelmä
KR200235434Y1 (ko) 회전장치 일체형 납봉
AU2002301546A1 (en) Case Structure for Housing Fishing Hook and its Fixing Method
US20060130287A1 (en) Coupling for a steel spiral flexible hose
CN104839991A (zh) 一种便携牙刷
KR200168691Y1 (ko) 연결, 보관수단이 구비된 비누
CN104358889A (zh) 一种防止阀盖脱出的水嘴
JP497553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20180192625A9 (en) Telescoping Fishing Rod Assembly
JP2012016355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0210170Y2 (ko)
CN206371919U (zh) 一种带有提手的锅盖
CN219803228U (zh) 一种具有配件定位结构的钓鱼主线收纳盒
CN212683812U (zh) 一种陶瓷膜过滤器的陶瓷膜芯拆卸工具
CN207590032U (zh) 一种肉制品腌制加速装置
CN214282862U (zh) 一种钓鱼竿用导线环和挂钩环连接结构
CN207284857U (zh) 一种子线轴
CN213061430U (zh) 便携晾衣绳
CN208662049U (zh) 反应釜反应使用的喷嘴
CN209915374U (zh) 可以快速选衣服的机械
CN211883331U (zh) 双门储物盒
CN201182581Y (zh) 挤水拖把桶
CN202341712U (zh) 自攻螺丝挂钩
KR200459931Y1 (ko) 낚시대의 회전장치
CN207566064U (zh) 一种并线器用塑料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