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061Y1 - 스탠드형 확대경 - Google Patents

스탠드형 확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061Y1
KR200234061Y1 KR2020010007162U KR20010007162U KR200234061Y1 KR 200234061 Y1 KR200234061 Y1 KR 200234061Y1 KR 2020010007162 U KR2020010007162 U KR 2020010007162U KR 20010007162 U KR20010007162 U KR 20010007162U KR 200234061 Y1 KR200234061 Y1 KR 200234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ifying glass
stand
magnifier
len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수
Original Assignee
정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수 filed Critical 정기수
Priority to KR2020010007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0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061Y1/ko

Links

Landscapes

  • Lenses (AREA)

Abstract

초점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스탠드형 확대경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의한 스탠드형 확대경은, 베이스부와; 일단은 베이스부와 볼조인트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지지부와; 지지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확대경;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에는 시력별 위치결정수단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확대경은 돗보기 렌즈와, 렌즈홀더 및 힌지를 포함한다. 또 다른 확대경은 돗보기 렌즈의 외주를 따라 형광등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스탠드형 확대경에 의하면, 1개의 확대경만으로 다양한 시력에 대응할 수 있고,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확대경을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탠드형 확대경{Magnifying glass of stand type}
본 고안은 스탠드형 확대경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시력에 따라 확대경의 초점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스탠드형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정기관이나 은행 등과 같은 공공기관의 민원실 등에는 시력이 좋지 않은 민원인을 위한 돗보기 안경이 비치되어 있다. 이 돗보기 안경은 나이별로 구비가 되어 있는데 통상 40대, 50대, 60대, 70대로 구분하여 준비되어 있다. 따라서 민원인들은 자기의 시력에 맞는 돗보기를 선택하여 돗보기 안경을 끼운 상태로 업무를 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경타입의 돗보기의 경우에는 평소에도 안경을 쓰는 사람은 자기의 안경을 벗고 돗보기를 끼운 후 업무를 보아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눈병과 같은 공중위생상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어 민원인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으며, 시력별로 돗보기 안경을 비치해야 하므로 다수의 돗보기를 관리해야 하고, 쉽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관리상의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개의 확대경으로 다양한 시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스탠드형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비치해야 하는 수량이 적어 관리가 용이하고, 책상 등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는 스탠드형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확대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지부의 시력별 위치결정수단을 상세하게 나타내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확대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부 11; 베이스
13; 볼조인트 수납수 20; 지지부
21; 볼 25; 슬라이드 하우징
26; 고정구 27; 슬라이드
28; 고정볼 29; 볼플런지
29a; 압축코일 스프링 30; 확대경
31; 렌즈홀더 32; 돗보기 렌즈
33; 반사판 34; 형광등
35; 힌지 36; 힌지고정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스탠드형 확대경은, 베이스부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와 볼조인트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확대경;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에는, 시력별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확대경은 돗보기 렌즈와, 렌즈홀더 및 힌지를 포함한다. 스탠드형 확대경의 또 다른 실시예는 확대경의 외주를 따라 형광등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확대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확대경은 베이스부 (10), 지지부(20), 및 확대경(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부(10)는 스탠드형 확대경이 책상 위에서 독립적으로 서 있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확대경(30)의 자중에 의해 쓰러지지 않을 정도의 중량을 갖고 있어야 한다. 이 베이스부(10)는 베이스(11)와 조인트로 구성된다.
베이스(11)의 형상과 재질은 어떠한 것이라도 관계가 없다. 즉, 베이스(11)의 형상은 정육면체, 직육면체, 다각뿔대, 반구형, 타원체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재질도 플라스틱이나 철이나 스텐인레스 같은 금속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베이스(11)의 밑면은, 확대경(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스탠드형 확대경이 설치되는 곳과 맞닿는 면적이 크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베이스(11)의 밑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거나 진공패드를 마련함으로써, 스탠드형 확대경이 책상 등에 테이프의 접착력이나 진공의 힘으로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자 들의 실수에 의해 스탠드형 확대경이 밀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베이스(11)의 상단에는, 지지부(20)가 베이스(11)에 대해 최대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니버설 조인트나 볼조인트가 조립되어 있다. 도 1은 볼조인트가 적용된 스탠드형 확대경을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11)의 상단에는 볼조인트의 볼수납부(13)가 조립되고 지지부(20)의 일단에는 볼(21)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부(20)가 베이스(11)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베이스(11)에 볼조인트를 조립하기 위해 베이스(11)의 상면 중앙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볼수납부(13)에 숫나사부를 형성하여 볼수납부(13)를 베이스(11)에 조립한다.
지지부(20)는 베이스부(10)와 확대경(30)을 연결하며, 확대경(30)의 초점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도록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드 하우징(25)과 슬라이드(27)로 이루어져 있다. 즉, 슬라이드(27)가 슬라이드 하우징(25)의 내측에 끼워져 있어서 슬라이드 하우징(25)의 길이만큼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드 하우징(25)의 상단에는 슬라이드(27)를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구(26)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드 하우징(25)의 하단에는 볼(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이스(11)에 조립된 볼수납부(13)에 조립되어 볼조인트를 이루게 된다. 슬라이드(27)의 상단에는 확대경(30)의 힌지부(35)가 조립된다.
지지부(20)를 이루는 슬라이드 하우징(25)과 슬라이드(27)는 확대경(30)을 지지하며, 확대경(30)의 자중에 의해 휘거나 변형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도록 형상과 재질을 선택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가 이용된다.
도 2는 시력별 표준초점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시력별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한 지지부(20)의 시력별 위치결정수단을 상세하게 보여 주는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보여주는 것처럼 슬라이드 하우징(25)에는 시력별로 초점을 이루는 구멍(25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27)에는 볼플랜지(29)가 1개 설치되어 있다. 볼플랜지(29)는 고정볼(28)과 압축코일 스프링(29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볼(28)은 슬라이드(27)의 반경방향으로 압축이 가능하다. 이 고정볼(28)이 슬라이드 하우징(25)의 구멍(25a)에 삽입되면 고정볼(28)이 슬라이드 하우징 (25)의 외측까지 돌출되어 슬라이드(27)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이 고정볼(28)을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슬라이드(27)를 조정하여 원하는 구멍(25a)에 슬라이더(27)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확대경(30)은 돗보기 렌즈(32)와 이 돗보기 렌즈(32)를 고정하기 위한 렌즈홀더(31) 및 지지부(20)와 렌즈홀더(31)를 연결하는 힌지(35)로 구성된다.
돗보기 렌즈(32)는 확대경(30)의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은행이나 관공서에서 민원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직각 형상의 렌즈로 가로 20내지 30센치미터(Cm), 세로 7내지 10센치미터(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홀더(31)는 돗보기 렌즈(3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며, 렌즈홀더(31)의 일단에는 힌지(35)에 조립되어 렌즈(32)를 일정 각도로 선회동작시킬 수 있는 힌지돌기(31a)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돌기(31a)와 힌지(35)는 힌지고정구(36)에 의해 체결되어 렌즈홀더(31) 즉, 렌즈(32)를 일정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확대경의 작용을 설명한다.
확대경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보고자 하는 대상물, 예컨대 서류 등을 확대경이 놓여있는 책상 위에 놓고 지지부(20)를 잡아 원하는 방향으로 돌리면, 슬라이드 하우징(25)과 베이스부(10)를 연결하는 볼조인트(13,21)의 회전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된다. 확대경(30)의 위치를 서류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확대경(30)의 렌즈(32)를 통해 서류에 기재된 내용이 잘 보이는가는 확인하고 잘 보이지 않는 경우는 슬라이드(27)에 있는 고정볼(28)을 손으로 눌러 잘 보이는 높이로 확대경(30)을 조절하면 된다. 또한, 힌지(35)를 이용하여 돗보기 렌즈(32)로 대상물이 명확하게 보이도록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시력이 다른 여러 사람이 한 개의 확대경으로 업무를처리할 수 있고, 또한 안경을 착용한 사람도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바로 확대경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확대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스탠드형 확대경은 베이스부 (10), 지지부(20) 및 확대경(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확대경이 돗보기 렌즈(32), 렌즈홀더(31), 힌지(35) 및 형광등(34)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형광등(34)은 상기 렌즈(32)를 고정하는 렌즈홀더(31)에 베이스부(10)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형광등(34)의 불빛이 상향으로 발산되지 않도록 렌즈홀더(31)와 형광등(34) 사이에 반사판(33)이 설치된다. 이 형광등(34)을 구비한 스탠드형 확대경은 어두운 곳에서는 일반적인 전기 스탠드 역할도 할 수 있고, 조명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확대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탠드형 확대경에 의하면, 한 개의 돗보기로 다양한 시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돗보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개의 스탠드형 확대경으로 다양한 시력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비치하여야 할 돗보기의 갯수가 적어지므로 구입비용의 절감 및 관리가 용이하여지고, 책상 등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는 스탠드형 확대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민원인 들이 민원실에 비치되어 있는 공용의 돗보기를 사용할 때 가질 수 있는 위생문제나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각종 회의나 업무처리시 및 가정에서도 사용하므로써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정에서도 노인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하지 아니하며,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베이스부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와 볼조인트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확대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확대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시력별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확대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경은,
    돗보기 렌즈와, 렌즈홀더 및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확대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경은,
    그 외주를 따라 형광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확대경.
KR2020010007162U 2001-03-16 2001-03-16 스탠드형 확대경 KR200234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162U KR200234061Y1 (ko) 2001-03-16 2001-03-16 스탠드형 확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162U KR200234061Y1 (ko) 2001-03-16 2001-03-16 스탠드형 확대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303A Division KR100377061B1 (ko) 2000-10-26 2000-10-26 스탠드형 확대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061Y1 true KR200234061Y1 (ko) 2001-10-08

Family

ID=7306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162U KR200234061Y1 (ko) 2001-03-16 2001-03-16 스탠드형 확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0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625B1 (ko) * 2013-10-11 2015-05-28 강희범 문진
KR20230057118A (ko) 2021-10-21 2023-04-28 한국전력공사 문서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625B1 (ko) * 2013-10-11 2015-05-28 강희범 문진
KR20230057118A (ko) 2021-10-21 2023-04-28 한국전력공사 문서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48527A (ja) スタンド型拡大鏡
USD495416S1 (en) Vial access device
USD459033S1 (en) Earmuff with front mount
USD541968S1 (en) Lighting unit
USD469211S1 (en) Trim ring for ceiling light fixture
USD442471S1 (en) End bearing plate
JP2004086199A (ja) 拡大鏡取付読書台
USD510699S1 (en) Multiple function geomatics pole support device
KR200234061Y1 (ko) 스탠드형 확대경
KR100377061B1 (ko) 스탠드형 확대경
USD512449S1 (en) Compact spotting scope
USD488666S1 (en) Self service kiosk
USD519537S1 (en) Compact spotting scope
USD469210S1 (en) Trim ring for ceiling light fixture
USD497499S1 (en) Table base
USD460883S1 (en) Table
USD470527S1 (en) Camera base
USD495085S1 (en) Housing and cap portion of a light fixture
USD456216S1 (en) Plate
USD479759S1 (en) Under-cast scratching device
USD522165S1 (en) Light fixture lens
USD501934S1 (en) Offset support block with flat face
USD479415S1 (en) Table base
CA119470S (en) Light fixture
USD468856S1 (en) Floating wick holder for an oil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