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054Y1 - 절수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절수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054Y1
KR200234054Y1 KR2020010006863U KR20010006863U KR200234054Y1 KR 200234054 Y1 KR200234054 Y1 KR 200234054Y1 KR 2020010006863 U KR2020010006863 U KR 2020010006863U KR 20010006863 U KR20010006863 U KR 20010006863U KR 200234054 Y1 KR200234054 Y1 KR 200234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coupled
case
val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일중
Original Assignee
권일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일중 filed Critical 권일중
Priority to KR2020010006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0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054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가압장치를 가압력을 하여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적절히 조절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물을 사용할 때는 제2 작동수단을 동작시켜 원하는 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편리성을 도모할수 있는 절수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절수용 밸브장치{DEVICE FOR VALVE WATER SAVING}
본 고안은 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가압장치를 가압하거나 제2 작동수단을 작동시켜 밸브를 개폐하면서 물의 사용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절수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 목욕탕, 사무실, 건물 등의 세면장, 급수대, 화장실에는 상수도관과 연결된 수도관이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밸브 내지는 수도꼭지 등(이하 '밸브'라 함)이 결합된다. 이러한 밸브는 대부분 밸브핸들을 회전시켜 사용하는 회전식과, 상기 밸브핸들을 터치하여 사용하는 가압식으로 크게 나누어지고, 최근에 들어서는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센서의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개폐시키는 자동식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회전식의 밸브핸들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구조가 단순하고 설치가 간편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밸브로서 밸브핸들을 개폐시에 일일이 회전시켜야 하므로그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사용자의 손에 이물질이나 병균 등으로 오염된 상태에서 손으로 밸브핸들을 개폐시키면 밸브가 오염되게 되고, 밸브를 세척한 후 밸브핸들을 차단시켜야 하므로서 필요 이상의 물을 소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가압식의 밸브핸들을 사용할 경우에는 회전식의 밸브핸들에 비해 구조는 복잡하였으나, 사용의 편리성 즉, 밸브핸들의 개폐시 일일이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밸브핸들을 전후 또는 상하로 터치하게 되면 밸브가 개폐되면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회전식 밸브에 비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었으나 이 또한, 상기 회전식과 같이 밸브핸들을 사용자의 손을 사용하여 밸브를 개폐시키는 관계로 상기 회전식과 같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자동식 밸브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식과 가압식에 비해 센서의 감지에 의해 물을 개폐하는데 그 구성이 상당히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이 손을 사용하여 개폐되는 밸브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다양한 풋밸브가 안출된 바 있으나, 작동시 사용자가 밸브에 가압할 경우에만 물이 배출되고, 밸브를 가압하지 않을 경우에는 물이 배출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계속하여 가압시켜 주어야 하므로서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사용자가 물의 사용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이 가능하며, 물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편리성을 도모하는 절수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물을 사용할 때는 제 2작동수단을 동작시켜 원하는 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절수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의 유입부(32)와 배출구멍(34)이 형성된 밸브몸체(30)가 케이스(10)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10)에는 지지대(16)와 힌지 결합된 작동바(22)와, 상기 작동바(22)의 일측부와 연결된 에어백(20)이 내장되며; 상기 유입부(32)를 개폐하는 개폐부(52)가 형성된 로드(50)는 상기 밸브몸체(30)를 통해 상기 작동바(22)의 타측부와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20)과 호스(70)를 통해 연결되어져 공기를 공급하는 가압장치(60)와 연결되어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의 중앙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중앙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의 제 2작동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20: 에어백
22: 작동바 28: 고정구
30: 밸브몸체 32: 유입부
34: 배출구멍 38: 패킹
40: 차단링 42: 고정구
44: 연결구 46: 가스켓
50: 로드 52: 개폐부
60: 가압장치 62: 가압캡
64: 밑판 66: 고정부재
68: 받침대 70: 호스
80: 제 2작동수단 82: 작동핸드
84: 캠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의 중앙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는 상부케이스(12)와 하부케이스(14)가 결합되어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와 결합된 밸브몸체(30)와,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제 2작동수단(80)과,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된 에어백(20)과 호스(70)를 통해 연결된 가압장치(60)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몸체(30)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써 상단부에는 수도관(100)이 연결되는 유입부(32)와, 일측부에는 밸브가 개방되면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멍(34)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몸체(30)는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상단부에 위치하여 고정구(28)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중간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된 양측의 지지대(16)와 힌지축(18)으로 힌지결합된 작동바(22)와, 일측부에 에어백(20)이 내장된다. 상기 작동바(22)의 일측 단부에 힌지결합된 누름판(24)은 상기 에어백(20)과의 접촉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작동바(22)의 타측 단부에는 로드(50)의 하단부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로드(50)는 봉체로 연장되어져 중간부에는 걸림턱(54)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콘(Cone)형상으로 확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32)를 개폐한다.
상기 작동바(50)에는 중공 원뿔형상의 패킹(38)과, 상기 패킹(38)의 하단부에 밀착판(36)이 결합된다. 상기 패킹(38)은 상단부가 작동바(50)의 외주면과 밀착되면서 걸림턱(54)에 걸리고, 하단부에 확장 형성된 평면부가 상기 밀착판(36)과 함께 상기 고정구(28)로 고정되어져 누설이 방지된다. 상기 유입부(32)는 상부 내주면에 돌출테(33)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테(33)에는 차단링(40)이 안착된다. 상기 차단링(40)의 상부에 상기 로드(50)의 개폐부(52)가 안착되어져 밸브가 차단된다. 상기 차단링(40)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부(32)에 연결구(44)가 결합되어져 고정구(42)가 상기 유입부(32)와 체결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42)에는 가스켓(46)이 안착된다. 상기 연결구(44)는 수도관(100)과 결합된다.
상기 에어백(20)에는 연결관(21)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21)은 케이스(10)를 통해 호스(70)와 연결되고, 상기 호스(70)의 타측 끝단부는 가압장치(60)가 연결된다. 상기 가압장치(60)는 밑판(64)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가압캡(62)이 안착되고, 상기 가압캡(62)의 외측 테두리의 평면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6)가 밑판(64)과 체결되어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가압캡(62)의 내측부를 받히는 받침대(68)와, 상기 받침대(68)를 탄지하는 코일스프링형의 탄성체(78)가 내장된다. 상기 고정부재(66)와 가압캡(62)의 일측부를 관통하는 고정구(76)가 외부로 돌출되어져 연결구(74)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74)에는 호스(70)의 타측 끝단부에 형성된 연결부(72)가 결합된다. 상기 밑판(64)에는 내부에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볼이 내장되어져 유입되는 공기를 개폐하는 유입장치(86)가 설치된다. 상기한바와 같은 각 결합 및 연결부위에는 씰링부재를 결합시켜 물 또는 공기 등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멍(34)에는 물 공급호스 및 배관(도면에 미표기, 이하 '배관'이라 함)이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0)와 결합된 배관연결구(90)를 연결하는 관체(56)가 결합된다. 상기 배관연결구(9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92)에 배관이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92)에는 유입부(32)에 설치된 고정구(42)와, 연결구(44)와, 가스켓(46)을 설치 가능하여 상기 배관과 연결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중앙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가압장치(60)의 가압캡(62)을 손, 발 등으로 가압력을 가하면 탄성체(78)는 압축되고, 상기 가압캡(62) 내부의 공기가 호스(70)와 연결관(21)을 통해 에어백(20)을 팽창시킨다. 상기 에어백(20)과 접하는 누름판(24)이 하강되면서 상기 작동바(22)가 시이소운동하여 상기 로드(50)를 밀어 올리면 상기 개폐부(52)는 차단링(40)과 이탈되어져 밸브가 개방되어져 상기 배출구멍(34)으로 물이공급된다.
역으로, 상기의 가압력을 제거하면 물의 수압과 탄성체(26)의 탄발력으로 로드(50)가 하강하면서 상기 작동바(22)는 역으로 시이소운동하면서 상기 누름판(24)이 에어백(20)을 가압하여 에어백(20)은 수축되면서 내부 공기를 배출한다. 이 공기는 상기 가압캡(62)으로 다시 유입되고, 상기 탄성체(78)의 탄발력으로 받침대(68)가 상승되면서 가압캡(62)은 다시 원래의 모양으로 복귀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의 제 2작동수단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수동으로 작동되는 상기 제 2작동수단(80)을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에는 양측의 지지대(17)로 지지되어져 상기 작동바(22)의 일측부와 접하는 캠부재(84)와, 상기 캠부재(84)의 일측부에는 작동핸들(82)이 결합된다. 상기 캠부재(84)는 양측면에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이격되어져 고정부(85,8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고정부(85')는 사각 또는 육각의 다각체로 형성되고, 상기 작동핸들(82)의 일측부에 형성된 다각의 구멍이 결합된다.
상기 작동핸들(82)을 아래로 구간회전 시키면 상기 캠부재(84)가 회전하면서 외주면과 접하는 상기 작동바(22)를 밀어 올리고, 상기 로드(50)가 상승되면서 유입부(32)를 개방하여 물이 배출구멍(34)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캡부재(84)가 지속적으로 작동바(22)를 받히고 있어서 밸브는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역으로, 상기 작동핸들(82)을 복귀시키면 물의 수압과 탄성체(26)의 탄발력으로 로드(50)가 하강하면서 밸브는 차단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수용 밸브장치는 가압장치를 가압함으로서 밸브가 개방되어져 비누칠 등의 양손을 사용하는 동안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져 적정량의 물을 사용한 후 가압력을 제거하면 밸브가 차단되어짐으로써 물의 량을 적절히 조절가능하고, 필요이상의 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세면중에 손을 사용하여 수도밸브를 반복적으로 열고, 닫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속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제2 작동수단의 작동핸들을 돌려 밸브가 개방되는 이중의 장치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가압장치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지 않고도 밸브가 개방되고 필요한 량만큼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통상의 절수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물의 유입부(32)와 배출구멍(34)이 형성된 밸브몸체(30)가 케이스(10)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10)에는 지지대(16)와 힌지결합된 작동바(22)와, 상기 작동바(22)의 일측부와 연결된 에어백(20)이 내장되며;
    상기 유입부(32)를 개폐하는 개폐부(52)가 형성된 로드(50)가 상기 밸브몸체(30)를 통해 상기 작동바(22)의 타측부와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20)과 호스(70)를 통해 연결되어져 공기를 공급하는 가압장치(60)와 연결되어져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절수용 밸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60)는 밑판(64)과 결합된 가압캡(62)과, 그 내부에 내장된 받침대(68)와, 상기 받침대(68)를 탄지하는 탄성체(78)가 내장되며, 일측부에는 상기 호스(7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밸브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는 양측의 지지대(17)로 지지되어져 상기 작동바(22)의 일측부와 접하는 캠부재(84)와, 상기 캠부재(84)의 일측부에는 작동핸들(82)이 결합된 제 2작동수단(8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밸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30)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50)와 결합된 패킹(38)이 구비되고, 상기 패킹(38)은 케이스(10)와 밸브몸체(30)를 결합시키는 고정구(28)로 고정되어져 누설이 방지되며;
    상기 유입부(32)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테(33)와, 상기 돌출테(33)에 안착된 차단링(40)과, 상기 개폐부(52)가 상기 차단링(40)과 착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용 밸브장치.
KR2020010006863U 2001-03-14 2001-03-14 절수용 밸브장치 KR200234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63U KR200234054Y1 (ko) 2001-03-14 2001-03-14 절수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63U KR200234054Y1 (ko) 2001-03-14 2001-03-14 절수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054Y1 true KR200234054Y1 (ko) 2001-10-08

Family

ID=7309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863U KR200234054Y1 (ko) 2001-03-14 2001-03-14 절수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0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3205A (en) Spray device for toilet
US11885432B2 (en) Rigid piston valve incorporating a solenoid
KR100701650B1 (ko) 출몰식 급수장치
KR200234054Y1 (ko) 절수용 밸브장치
US5297774A (en) Combination foot and hand operated faucet attachment
KR20000036760A (ko) 수전금구용 자폐식 절수장치
KR200320595Y1 (ko) 대변기용 세척밸브의 절수장치
KR101184707B1 (ko) 대소변 구분 세척이 가능한 세척밸브
KR200229553Y1 (ko) 공압 발판을 갖춘 절수형 급수장치
KR200299330Y1 (ko) 절수형 밸브의 개폐장치
KR100465098B1 (ko) 샤워 겸 세면기의 절수용 혼합수전
KR100917103B1 (ko) 센서일체형 수도전자밸브
KR101126692B1 (ko)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세면대
KR200224582Y1 (ko) 절수용 밸브장치
KR100394845B1 (ko) 절수장치
KR200223172Y1 (ko) 절수장치
KR200250136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GB2284463A (en) A foot-operated faucet
KR200338662Y1 (ko) 수도꼭지 개폐밸브
KR100341351B1 (ko) 절수형 세면기
KR100825412B1 (ko) 절수식급수밸브
KR200274200Y1 (ko) 샤워헤드의 급수단속장치
KR200236051Y1 (ko)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273553Y1 (ko) 샤워기 조립체
JPH03366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