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024Y1 - A structure of cabinet - Google Patents

A structure of cabi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024Y1
KR200234024Y1 KR2020010006250U KR20010006250U KR200234024Y1 KR 200234024 Y1 KR200234024 Y1 KR 200234024Y1 KR 2020010006250 U KR2020010006250 U KR 2020010006250U KR 20010006250 U KR20010006250 U KR 20010006250U KR 200234024 Y1 KR200234024 Y1 KR 200234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pace
coupling hole
bellow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2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점중
Original Assignee
(주)루비아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비아가구 filed Critical (주)루비아가구
Priority to KR2020010006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02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024Y1/en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롱의 공간 마감재 착탈구조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거용 건축물의 실내높이 및 너비에 따라 규격화된 장롱을 설치할때 정확히 일치 하지 못하고 남는 잉여 공간을 효과적으로 은폐할수 있게 하여 집안의 작은 물품들이 장롱의 상부 또는 벽면사이에 위치 또는 방치되지 못하게 하고 이로인해 실내를 항상 청결하고 미려하게 유지시킬수 있게 하며, 장롱 상부의 자바라 및 측면에 위치하는 하시라의 너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한 한조의 마감판체로 구성하여 실내의 이격되는 천정의 높이 및 벽면과 장롱측판과의 이격 공간의 너비에 따라 용이하게 채택 결합 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의 폭을 넓힐수 있게 하는것에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space finishing material of the cabinet, and more particularly, the small items in the house can be effectively concealed when the standard cabinet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height and width of the residential building so that the remaining space can not be exactly matched. It is not allowed to be placed or left between the top or wall of the cabinet, which keeps the room clean and beautiful at all times.It consists of a set of finishing plates that have different widths of the bellows on the top of the cabinet and the width of the Hashira on the side. It can be easily adopted and combi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paced ceiling and the width of the space between the wall and the cabinet.

Description

장롱의 공간 마감재 착탈구조{A STRUCTURE OF CABINET}Space finishing material putting on and taking off structure of closet {A STRUCTURE OF CABINET}

본 고안은 장롱의 공간 마감재 착탈구조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거용 건축물의 실내높이 및 너비에 따라 규격화된 장롱을 설치할때 정확히 일치 하지 못하고 남는 잉여 공간을 효과적으로 은폐할수 있게 한 공간 마감재의 착탈구조에 관한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space finishing material of the cabinet, and more specifically, the structure of the space finishing material that can effectively conceal the surplus space that is not exactly matched when installing the standard cabinet according to the indoor height and width of the residential building. It's about.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축물의 실내 높이는 2300mm 내외를 유지하고, 벽면의 너비는 평방미터에 따라 가감되며, 그 내부에 설치되는 장롱은 제조사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2100mm 로 규격화되어 유통, 설치 되는 것이 통례 이다.In general, the indoor height of residential buildings is maintained at around 2300mm, the width of the wall is added and subtracted according to the square meter, the cabinet installed inside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but is usually standardized to 2100mm distribution, installation It is customary to be.

이러한 주거용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장롱은 맞춤식 붙박이장을 제외한 종래 일반적인 것의 경우 실내의 설치 공간에 일치되지 못하고, 천정과 장롱상면의 잉여공간이 많이 남아 있게 되고, 또한 장롱의 좌 또는 우측과 그 벽면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미관을 해칠뿐만 아니라 그러한 장롱의 상면에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 장난감등을 비롯한 기타의 소품들이 난잡하게 방치되는 공간이되어 실내 공간미를 해치고, 주부들의 손이 닫지 않아 집안의 먼지들이 쌓이는등의 병폐를 안고 있었다.Cabinet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such residential buildings are not matched with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room in the conventional general except the custom built-in cabinet, there is a lot of surplus space on the ceiling and cabinet floor, and also the left or right of the cabinet and its walls There is a gap between them, which not only hurts the aesthetics, but it also becomes a space where household appliances, toys, and other small items that are not frequently used on the top of such cabinets are left unattended, harming the interior space, and the housewives' hands are not closed. I had a disease such as dust piled up.

또한 장롱과 벽면사이의 틈새에는 각종 옷가지며 작은 물품들이 끼어들어가 이 역시 미관을 해치거나, 먼지를 잔뜩 쌓이게하는 주 요인이 되고있다.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clothes and small items in the gap between the dresser and the wall, which is also a major factor to spoil the aesthetics or to accumulate dust.

이러한 것은 제한된 실내의 공간에 비교적 부피가 큰 장롱을 이동시켜 용이하게 설치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롱의 높이 및 너비를 일치 시키지 않고 이를설치한 후에는 그대로 방치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order to be able to move the relatively bulky chest of drawers in a limited indoor space and to install them easily, they have to be left unchanged after installing them without matching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abinet.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주거용 실내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장롱의 구조로부터 야기되는 여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이를 개선하기위해 안출 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fundamentally solve and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structure of the cabinet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conventional residential interior space as follows.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장롱의 상부 전방측과 양 측면에 착탈이 용이한 마감재를 결합시켜 장롱 설치후 남는 잉여공간을 제거하려는데 있다.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surplus space left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cabinet by combining the easy-removable finish on the upper front and both sides of the cabine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착탈 용이한 마감재를 제공함으로서 집안의 작은 물품들이 장롱의 상부 또는 벽면사이에 위치 또는 방치되지 못하게 하고 이로인해 실내를 항상 청결하고 미려하게 유지시킬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uch a detachable finishing material to prevent small items in the house from being located or left between the top or wall of the cabinet and thereby to keep the interior clean and beautiful at all time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롱의 상부에 위치하는 자바라 및 측면에 위치하는 하시라(현장용어임)의 너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한 한조의 마감판체로 구성하여 실내의 이격되는 천정의 높이 및 벽면과 장롱측판과의 이격 공간의 너비에 따라 용이하게 채택 결합 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의 폭을 넓힐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air of finishing plates having different widths of the bellow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and the side of the Hashira on the side,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purpose is to make it easier to adopt and combin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pace away from the space.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고안이 결합된 장롱의 일측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dresser combin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하시라의 착탈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tached state of Hashira,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의 일요부인 자바라의 착탈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detachable state of a bellows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장롱의 외관 사시도.Figure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resser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장롱1: cabinet

2 : 자석2: magnet

3 : 자바라3: bellows

4, 52 : 결합공4, 52: coupling hole

5 : 하시라5: Do

6 : 조임볼트6: Tightening bolt

32 : 철판32: iron plate

71 : 슬라이드봉71: slide ba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자바라를 구성하는 판체의 너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일측에서 직각으로 유지되게 고정하고, 그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철판을 각각 설치하고 장롱의 상면 전방측에는 다수의 영구자석을 부착하여 이루었으며, 측면 전방측에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너비가 서로 다른 판체를 직각으로 고정하여 이룬 하시라를 착탈 가능한 조임볼트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루었는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s of the plate bodies constituting the bellows are configured differently and fixed to be maintained at right angles on one side thereof. It was made by attaching a magnet,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were formed at the front side of the side, and the plate was made by combining the plate with different widths at right angles.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 질것이다.This will be mor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more detail.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5,

통상의 장롱(1)에 있어서,In the common cabinet 1,

장롱(1)의 상면 전방측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자석(2)이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되고,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is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s 2 are embedd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자석(2)의 상부에는 내면 외측에 박판의 철판(32)이 매립고정된 자바라(3)가 착탈용이하게 결합되되,The upper part of the magnet 2 is attached to the bellows (3) of the iron plate 32 of the thin plate embed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detachably,

상기 자바라(3)는 서로다른 너비를 갖는 일정길이의 판체(31)가 복수개 구비되어 일측에서 직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지고,The bellows (3) is made of a plurality of plates 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a different width is fixed at a right angle at one side,

상기 장롱의 측판 전방측에는 다수의 결합공(4)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 하로 배열 형성되고,The side plate front side of the cabine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4 arranged up and down at a constant interval,

상기 결합공(4)에는 서로 다른 너비를 갖는 일정 길이의 판체(51)가 상기 장롱(1)에 형성된 결합공(4)과 일치되는 결합공(52)을 각각 형성 한 채로 일측에서 직각이 유지되게 고정되어 이루어진 하시라(5)의 일측 판체(51)가 장롱(1)의 내부에서 조여 고정되는 조임볼트(6)에 의해 착탈 용이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되,The coupling hole 4 is maintained at a right angle at one side with the plate 5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different widths, respectively forming a coupling hole 52 coinciding with the coupling hole 4 formed in the cabinet 1. One side plate 51 of the Hashira (5) made to be fixed to be made to be detachably coupled by a fastening bolt (6) is tightened and fixed in the cabinet (1),

상기 하시라(5)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노출된 결합공(52)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봉(71)이 끼움링(72)에 슬라이드 가능하면서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e slide bar 7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tting ring 72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52 formed and ex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Hashi 5. .

미설명부호로서, 11 은 전면도어, 12 는 하부받침, 13 은 서랍장을 각각 나타낸다.As the reference numerals, 11 denotes a front door, 12 denotes a lower support, and 13 denotes a chest of drawers.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structure as follows.

실내의 장롱(1) 설치공간에 장롱(1)의 본체를 배치하여 고정하면 장롱 본체의 양 측면과 벽면 사이에 잉여 공간이 발생하게된다.When the main body of the cabinet (1) is placed and fixed in the indoor cabinet (1) installation space, a surplus space is generated between both sides and the wall surface of the cabinet.

이때의 공간은 장롱이 8 자 내지 12 자로 규격화 된것이 통례이기 때문에 실내 벽면의 너비 또한 이와 유사하고 대개 한자 즉, 30cm 내외의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standard length is 8 to 12 characters, it is common that the width of the interior wall is similar, and the error is usually about 30cm.

이러한 잉여공간이 발생하게되면 장롱(1)에 부착시킬 하시라(5)의 판체(51) 너비를 선택하여 결합될 면에 형성된 결합공(52)에 조임볼트(6)를 외측에서 각각 끼우고, 조임볼트(6)가 끼워진채로 장롱(1)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공(4)과 일치시킨다.When such a surplus space is generated, the tightening bolts 6 are respectively inserted from the outside into the coupling holes 52 formed on the surface to be joined by selecting the width of the plate body 51 of the shell 5 to be attached to the dresser 1, The tightening bolt 6 is fitted to match the coupling hole (4) formed on the side of the cabinet (1).

이러한 상태에서 장롱(1)의 내부로 관통된 결합공(4)에 그 내부에서 다른 조임볼트(6)를 조여 고정하여 주면 된다.In this state, the other fastening bolt 6 may be tightened and fixed to the coupling hole 4 penetrated into the cabinet 1 inside.

이러한 상태가 되면 벽면과 장롱의 측벽 사이에 발생되었던 공간은 상기의 하시라(5)에 의해 말끔히 은폐되어 그 공간에 의해 발생되었던 종래 문제를 해소할수 있게 되는데,In this state, the space generated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side wall of the cabinet is concealed by the above-mentioned Hashi 5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caused by the space.

이때 하시라(5)의 전방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52)에는 슬라이드봉(71)이 끼워진 끼움링(72)을 약간의 힘을 가해 각각 끼워 상기 결합공(52)을 마감 처리하고, 필요에 따라 전방으로 돌출시켜 옷걸이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사용치 않을 경우에는 밀어넣어 그 전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수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hole 52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Hashi 5 is applied to the fitting ring 72 in which the slide rod 71 is fitted by applying a slight force to each of the coupling holes 52 to finish the treatment. Use it as a substitute for a hanger by protruding forward depending on. When not in use, it can be pushed in to prevent it from protruding to the front.

이와같은 조립방식으로 벽면과 장롱(1)의 측면사이에 발생되었던 잉여공간을 은폐하고 나면 장롱의 상면과 천정사이에 발생한 잉여공간의 높이를 가늠하여 그 잉여 공간에 일치되는 자바라(3)의 판체(31)를 선택하고 그 면이 직각이 되는 상태로 장롱(1)의 상면에 상기 자바라(3)를 올려 놓으면 자바라(3)에 설치된 철판(32)과 장롱(1)에 설치된 자석(2)에 의해 용이하게 일치되어 그 잉여 공간이 은폐되게 된다.After concealing the surplus space generated between the wall and the side of the cabinet (1) by the assembly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surplus space between the top of the cabinet and the ceiling is measured, and the plate body of the bellows (3) coincides with the surplus space. Select 31 and place the bellows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1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iron plate 32 installed on the bellows 3 and the magnet 2 installed on the drawer 1. Are easily matched so that the surplus space is concealed.

이러한 것은 이사를 간다거나하여 장롱의 배치구조가 바뀔때 그 착탈이 매우 용이하여 번거롭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그 잉여공간을 은폐할수 있게된다.This makes it easy to remove and remove the extra space when moving the cabinet and changing the layout of the cabinet.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장롱의 상부 전방측과 양 측면에 착탈이 매우 용이한 하시라와 자바라로 구성된 마감재를 결합시켜 장롱 설치후 남는 잉여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거 및 은폐 시킴으로서 집안의 작은 물품들이 장롱의 상부 또는 벽면사이에 위치 또는 방치되는것을 방지하고 그에따라 실내를 항상 청결하고 미려하게 유지시킬수 있게 되었으며, 하시라의 전면에 슬라이드봉을 설치하여 결합공의 마감과 동시에 필요시 옷걸이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을뿐아니라 자바라 및 측면에 위치하는 하시라의 너비를 서로 다르게 구성한 한조의 마감판체로 구성하여 장롱의 배치구조가 바뀔때마다 실내의 이격되는 천정의 높이 및 벽면과 장롱측판과의 이격 공간의 너비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 하여 간단히 교체, 결합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 사용의 간편함과 사용의 폭을 넓힐수 있게 되는등의 유익한 효과를 함께 얻을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finishing material consisting of Hashira and bellows, which are very easy to attach and detach on the upper front and both sides of the cabinet, the small items in the house are effectively removed and concealed by installing the cabinet. It prevents it from being placed or left between the walls and keeps the interior clean and beautiful at all times. By installing a slide bar on the front of Hashira,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 hanger if necessary at the same time as closing the joining hole. However, it is composed of a set of finishing plates that have different widths of bellows and Hashira on the side, so that it is easy to chang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eiling spaced apart from the room and the width of the space between the wall and the cabinet. Can be easily replaced and combined with Benefits include simplicity and wider use.

Claims (2)

통상의 장롱(1)에 있어서,In the common cabinet 1, 장롱(1)의 상면 전방측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자석(2)이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되고,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is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s 2 are embedd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자석(2)의 상부에는 내면 외측에 박판의 철판(32)이 매립고정된 자바라(3)가 착탈용이하게 결합되되,The upper part of the magnet 2 is attached to the bellows (3) of the iron plate 32 of the thin plate embed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detachably, 상기 자바라(3)는 서로다른 너비를 갖는 일정길이의 판체(31)가 복수개 구비되어 일측에서 직각으로 고정되어 이루어지고,The bellows (3) is made of a plurality of plates 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a different width is fixed at a right angle at one side, 상기 장롱의 측판 전방측에는 다수의 결합공(4)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상 하로 배열 형성되고,The side plate front side of the cabine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4 arranged up and down at a constant interval, 상기 결합공(4)에는 서로 다른 너비를 갖는 일정 길이의 판체(51)가 상기 장롱(1)에 형성된 결합공(4)과 일치되는 결합공(52)을 각각 형성 한 채로 일측에서 직각이 유지되게 고정되어 이루어진 하시라(5)의 일측 판체(51)가 장롱(1)의 내부에서 조여 고정되는 조임볼트(6)에 의해 착탈 용이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하는 장롱의 공간 마감재 착탈구조.The coupling hole 4 is maintained at a right angle at one side with the plate 5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different widths, respectively forming a coupling hole 52 coinciding with the coupling hole 4 formed in the cabinet 1. One side plate 51 of the Hashira (5) made to be fixed to b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closet space finish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ily detachable by a tightening bolt (6) that is fixed by tighten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1). 청구항 1 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하시라(5)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노출된 결합공(52)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봉(71)이 끼움링(72)에 슬라이드 가능하면서 이탈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롱의 공간 마감재 착탈구조.The slide bar 7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tting ring 72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52 formed and ex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Hashi 5. Space finishing material removable structure of the cabinet.
KR2020010006250U 2001-03-08 2001-03-08 A structure of cabinet KR2002340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250U KR200234024Y1 (en) 2001-03-08 2001-03-08 A structure of cabi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250U KR200234024Y1 (en) 2001-03-08 2001-03-08 A structure of cabi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024Y1 true KR200234024Y1 (en) 2001-10-06

Family

ID=7309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250U KR200234024Y1 (en) 2001-03-08 2001-03-08 A structure of cabi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02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219B1 (en) 2005-10-21 2006-05-22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Washboard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219B1 (en) 2005-10-21 2006-05-22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Washboard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7196B2 (en) Guide system for door assembly, and door assembly, as well as device assembly
US5778463A (en) Multi-piece tub/shower unit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0234024Y1 (en) A structure of cabinet
JP4916142B2 (en) Storage device
KR200360495Y1 (en) Structure for closing upper/side part of chest
JPH0345616Y2 (en)
JPH04101644U (en) Workbench
JP2006223459A (en) Storage apparatus
KR200157517Y1 (en) Assembly type fixing furniture
KR200163690Y1 (en) Ward robe for room wall sticking
KR200402165Y1 (en) Wardrobe space close absence
KR200422684Y1 (en) Wardrobe lower part decoration close absence
KR200243147Y1 (en) Built-in dressing room
CN209654883U (en) Hanging rack of TV set
JP3743286B2 (en) Bathroom vanity
JPH0412142Y2 (en)
KR200214310Y1 (en) furniture which can use for both sides
KR200259610Y1 (en) Prefabricated chests using ceiling-mounted rods
KR200199558Y1 (en) Fixed furniture
JP2006161316A (en) Slide material for mounting article and article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JPH047788Y2 (en)
JP2008012327A (en) Storing apparatus
JP2007144106A (en) Prefabricated bathroom
KR200306779Y1 (en) a clothes rack for clothes chest
JPH0427429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