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458Y1 - 소형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458Y1
KR200233458Y1 KR2020000036255U KR20000036255U KR200233458Y1 KR 200233458 Y1 KR200233458 Y1 KR 200233458Y1 KR 2020000036255 U KR2020000036255 U KR 2020000036255U KR 20000036255 U KR20000036255 U KR 20000036255U KR 200233458 Y1 KR200233458 Y1 KR 200233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engine
valv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익
Original Assignee
김광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익 filed Critical 김광익
Priority to KR2020000036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4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458Y1/ko

Links

Landscapes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폭발, 연소장치에서 얻어진 열원으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회전하는 엔진의 회전축에 발전기를 축설하여 보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소형 열 병합 보일러 및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통상의 엔진과, 상기 엔진의 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라지에이터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흡입밸브에는 에어필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부착된 인터쿨러와; 배기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유도 방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관에는 선단과 후단에 공급된 물을 배기가스 열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2차 가열조 및 1차 가열조와; 직수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직수는 1차 가열조에 공급되어 라지에이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드레인관과; 상기 라지에이터에 공급된 물을 엔진의 수냉자켓 및 2차 가열조로 분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공급관과; 상기 수냉자켓 및 2차 가열조에서 가열된 물을 혼합하여 라지에이터로 순환시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펌프가 설치된 혼합드레인관과; 상기 혼합드레인관의 펌프와 라지에이터 사이에 온수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온수관과; 상기 드레인관 및 분기되는 온수관 또는 혼합드레인관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밸브와; 엔진의 회전축에 축설되어 별도의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발전기와; 상기 엔진 및 1, 2차 가열조등을 포삽하여 소음 및 방열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면에 소음차단재가 부착되고 외부의 공기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게이스의 하면에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다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배기관의 선단에 배기가스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히터를 설치하고, 상기 인터쿨러와 흡입밸브 사이에는 흡입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유도할 수 있도록 나선유도부를 설치한 것과, 상기 배기관의 선단에는 배기관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고, 밸브와 히터 사이에는 개폐기능을 갖는 밸브가 설치된 세척수공급관를 관통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차 가열조의 하부에는 열교환시 발생된 결로수를 배출할 수 있는 결로수 배출관을 관통설치하여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소형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Generation of electric power small heat annexation boiller combined}
본 고안은 엔진의 폭발, 연소시 얻어진 열원과 배기가스의 폐열의 이용으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회전하는 엔진의 회전축에 발전기를 축설하여 보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소형 열 병합 보일러 및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급되는 직수를 배기관 후단의 1차 가열조에서 배기가스의 열을 흡수하여 1차가열하고 이 가열된 물은 배기관 선단의 2차 가열조 및 수냉자켓으로 분기 공급하여 2차 가열하여 온수로 사용하거나,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하게 방열되거나 배기관을 통하여 버려지는 열에너지를 최대한 흡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도록 함과 흡기밸브로 항상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 폭발을 부드럽게 하여 완전연소를 꾀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하고, 보일러로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직수의 공급을 중단시키고 내부의 물을 냉각 순환 냉각시켜 일반적인 엔진으로 사용시 불필요하게 공회전 하는 회전축에 발전기를 축설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전기에너지를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소형 열 병합 보일러 및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실린더의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과정에서 얻어지는 에너지로 피스톤을 직선 왕복운동시키고 이 왕복운동을 커넥팅로드를 통하여 크랭크축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그 회전력을 동력원으로 기계를 구동토록 사용하였던 것이고, 난방용이나 목욕탕등에 사용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는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본체, 연소장치, 보조장치등에 따라 노통보일러, 연관보일러 노통연관보일러, 직립보일러, 수관보일러로 분류되어 연료의 연소에 의해 생긴 열을 받아 배관으로 순환되는 물을 직접 가열하여 엔진과 보일러를 별개로 사용하여 왔던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폭발 연소하는 엔진과 같이 기계적운동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축을 회전시켜 동력원을 얻도록 하는 것과, 연료를 연소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얻을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사용 하였으나, 전기와 같이 엔진을 이용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는 단순히 엔진에서 나오는 동력원만을 얻어 사용함에 따라 연료 소모량에 비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일러는 보일러 본체 내부의 연소실에 관을 따라 물을 순환시킬 수있는 수관을 권회하여 설치하고, 하부 일측으론 버너를 설치하며, 타측에는 연통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는바, 이와같은 보일러는 단순히 공급된 연료를 본체 내부의 연소실에서 버너의 점화에 의해 분사되는 연료를 태워 얻어진 열에 의해 물이 순환되는 수관을 가열하여 난방용이나 목욕탕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일러는 초기 점화시 보일러 본체의 연소실이 냉각되어 있어 버너가 분사되는 연료를 완전히 연소시키지 못한 미연소 상태로 배출토록 함에 따라 연통을 통하여 매연을 대기중으로 방출함에 따라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었던 문제점등이 있었을 뿐 아니라 예열된 상태에서의 가열시에도 분사된 연료를 버너에 의해 연소실 내부에서 연료만을 단순히 연소시켜 가열한 후, 일부의 열이 연통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됨에 따라 연료 소모량에 비해 가열에너지의 손실이 크게되는 비 경제적인 문제점등이 야기되었을 뿐 아니라 상기 보일러는 연소실 내부에서 공급된 연료만을 연소시켜 내부에 권회된 수관의 물만을 가열하는 기능만을 부여함에 따라 별도의 에너지발생이 전무한 상태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 결점 및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 주된 목적으론, 폭발 연소하는 엔진의 배기관을 통하여 방출되는 배기가스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물을 1차적으로 가열하고 이 가열된 물은 엔진의 수냉자켓과 2차 가열조에서 각각 재 가열하여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배기관으로 방열되는 배기가스 열을 완전히 포집하여 물을 가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물 가열에 따른 연료소모량을 가일층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과, 폭발 연소되는 엔진 및 1, 2차 가열조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흡입밸브로 흡입 재 사용함에 따라 가열공기 흡입에 따른 실린더 내부에서 완전연소를 꾀할 수 있도록 하고,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소음공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론 엔진의 작동시 공회전하는 크랭크 회전축에 발전기를 축설하여 직수의 공급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엔지의 공회전되는 에너지를 활용하여 별도의 동력이나 열에너지를 얻어 사용활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적은 연료 소모량으로 별도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론 열교환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가열조의 선단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를 형성하고 가열조의 후방 하측에 가열조에서 열교환시 발생된 물을 배출함과 동시에 세척시 세척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여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가열조 내부에서 열교환시 발생된 물을 용이하게 드레인할 수 있도록 한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의 구성도.
도 2은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3는 도 1의 'A'부 확대 일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스 일부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보일러 작동상태 설명도.
도 6은 본 고안의 발전장치 작동상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라지에이터
3 : 흡입밸브 4 : 에어필터
5 : 인터쿨러 5a: 나선유도부
6 : 배기밸브 7 : 배기관
8 : 2차 가열조 9 : 1차 가열조
10 : 히터 11 : 터버
12 : 세척수공급관 13, 14, 18, 24, 25 : 밸브
15 : 촉매 16 : 직수공급관
17 : 드레인관 19 :수냉자켓
20 : 분기공급관 21 : 혼합드레인관
22 : 펌프 23 : 온수관
26 : 발전기 27 : 케이스
28 : 소음차단재 29 : 유입공
30 : 바퀴 31 : 결수로 배출관
9a : 벌집형 방열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는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통상의 엔진과, 상기 엔진의 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라지에이터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흡입밸브에는 에어필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부착된 인터쿨러와; 배기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유도 방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관에는 선단과 후단에 공급된 물을 배기가스 열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2차 가열조 및 1차 가열조와; 직수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직수는 1차 가열조에 공급되어 라지에이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드레인관과; 상기 라지에이터에 공급된 물을 엔진의 수냉자켓 및 2차 가열조로 분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공급관과; 상기 수냉자켓 및 2차 가열조에서 가열된 물을 혼합하여 라지에이터로 순환시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펌프가 설치된 혼합드레인관과; 상기 혼합드레인관의 펌프와 라지에이터 사이에 온수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온수관과; 상기 드레인관 및 분기되는 온수관 또는 혼합드레인관에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밸브와; 엔진의 회전축에 축설되어 별도의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발전기와; 상기 엔진 및 1,2차 가열조 등을 포삽하여 소음 및 방열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면에 소음차단재가 부착되고 외부의 공기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바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배기관의 선단에 배기가스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히터를 설치하고, 상기 인터쿨러와 흡입밸브 사이에는 흡입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유도할 수 있도록 나선유도부를 설치한 것과, 상기 배기관의 선단에는 배기관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고, 밸브와 히터 사이에는 개폐기능을 갖는 밸브가 설치된 세척수공급관를 관통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1차 가열조의 하부에는 열교환시 발생된 결로수를 수시로 배출할 수 있도록 결로수 배출관을 관통설치하여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단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스 일부 단면예시도이다.
도 1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는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한 통상의 엔진(1)과, 상기 엔진(1)의 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라지에이터(2)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엔진(1)의 흡입밸브(3)에는 에어필터(4)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한 인터쿨러(5)와 연결하여 흡입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배기밸브(6)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유도 방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관(7)에는 선단과 후단에 공급된 물을 배기가스 열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2차 가열조(8) 및 1차 가열조(9)를 설치고정하되, 상기 2차 가열조(8) 선단의 배기관(7)에는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완전연소를 위하여 히터(10)를 부착하였고 히터(10)의 선단에는 배기가스의 강력한 배출을 유도하기 위하여 터버(11)를 장착하였으며, 상기 히터(10)와 터버(11)의 사이에는 배기관(7)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13)가 장착된 세척수주입구(12)를 연통되게 설치하고 터버(11)의 배출구측으론 엔진(1) 내부로 물의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14)를 장착하며, 상기 2차 가열조(8)의 후단에는 착탈가능한 상태로 촉매(15)를 연결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상기 2차 가열조(8)와 1차 가열조(9)의 내부에는 공급되는 물의 가열 표면적을 보다 넓게 하기 위하여 여러층으로 벌집형 방열판(9a)배열하여 드레인 순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인터쿨러(5)를 통하여 흡기밸브(3)로 공급되는 공급관의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할 수 있도록 나선유도부(5a)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7)이 관통된 1차 가열조(9)의 일측에는 직수공급관(16)이 관통설치되어 1차 가열조(9)의 내부에 여러층으로 배열된 선단의 벌집형 방열판(9a)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에는 공급된 물이 1차 가열되어 라지에이터(2)로 공급할 수 있도록 드레인관(17)으로 관통설치하되, 상기 드레인관(17) 일지점에는 물의 공급 또는 차단을 원화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밸브(18)를 설치하고, 라지에이터(2)의 타측에는 1차가열되어 공급된 물을 수냉자겟(19)과 2차 가열조(8)로 분기공급할 수 있는 분기공급관(20)으로 연결 설치하며, 상기 2차 가열조(8) 및 수냉자겟(20)의 타측으론 엔진(1) 및 배기관(7)으로 부터 각각 가열된 온수를 혼합하여 라지에이터(2)로 강제 드레인시킬 수 있도록 펌프(22)가 설치된 혼합드레인관(21)을 연결설치하되, 상기 펌프(22)의 하측에는 드레인되는 온수를 배출하여 사용하거나 난방용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밸브(24)가 장착된 온수관(23)을 관통 고정시키고 온수관(23)이 관통설치된 혼합드레인관(21)에는 온수의 사용과 미사용시 라지에이터(2)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밸브(25)를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1차 가열조(9)의 하부에는 밸브의 작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결로수 배출관(31)을 관통설치하여 결로수 발생시 수시로 배수하여 1차 가열조(9)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엔진(1)의 회전축에는 별도의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발전기(26)를 장착설치하였고, 상기 엔진(1) 및 에어필터(4) 또는 1, 2차 가열조(9)(8)등은 소음 및 외부로 방열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케이스(27)로 커버하되, 케이스(27)의 내면에는 소음차단재(28)를 부착하여 형성하였고, 케이스(27)의 다수지점에는 내부의 공기 부족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부족된 공기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입공(29)천공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유입공(29)은 케이스(27) 내부의 공기가 부족하면 내부에 진공이 있게되어 공기가 유입됨이 원화로워 공기를 보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내부의 따뜻한 공기의 배출은 전혀 없게되는 것이고 상기 에어필터(4)는 케이스(27)의 내부에 위치되어 엔진(1) 및 1, 2차 가열조(9)(8)등에서 방열된 뜨거운 공기를 흡입하여 연소효율을 가일층 높여 미연소에 따른 매연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엔진(1)을 가동하면 연료의 공급과 동시에 공기가 에어필터(4)로 흡입되어 일반적인 엔진의 작동과 동일한 흡입, 압축, 폭발, 배기되는 행정을 연속반복하여 켄네팅로드와 연결된 크랭크 회전축을 회전시켜 작동게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밸브(3)로 흡입되는 흡입공기는 인터쿨러(5)의 작동에 의해 보다 강력하게 유입되게하여 나선유도부(5a)로 유도되어 흡입밸브(3)로 흡입됨에 따라 강력한 공기이송을 유도하여 작동케 하고, 배기가스는 터버(11)의 작동에 의해 대기중으로 빨리 배출되도록 하여 엔진(1)의 강력한 힘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엔진(1)을 온수 또는 난방용의 보일러로 사용코자 할 시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먼저, 혼합드레인관(21)의 펌프(22) 하측에 장착된 밸브(25) 및 결로수 배출관(31)에 설치된 밸브를 완전히 차단하고 드레인관(17)에 장착된 밸브(18)와, 온수관(23) 선단에 장착된 밸브(24)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펌프(22)를 작동시키면 직수공급관(16)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1차 가열조(9)의 내부에 여러층으로 배열된 벌집형 방열판(9a)에서 1차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열교환하여 가열하고, 가열된 물은 드레인관(17)을 통하여 라지에이터(2)로 이송되며 라지에이터(2)로 순환된 물은 다시 엔진(1)의 수냉자켓(19)과 2차 가열조(8)로 순환되어 엔진(1)의 폭발열과 배기관(7)으로 배기되는 배기열에 의해 물을 분기 가열하며, 이 분기되어 가열된 물은 혼합드레인관(21)으로 혼합되어 온수관(23)으로 강제이송되는 것으로서, 직수공급관(16)을 통하여 1차 가열조(9)에 공급된 차가운 물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배기가스 열에 의하여 1차 가열조(1) 내부에 여러층으로 순차적 배열된 벌집형 방열판(9a) 표면에서 넓은 면적으로 배기열을 흡수하여 1차적으로 가열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1차 가열조(9)에서 가열된 물은 펌프(22)의 작동에 의해 강제적으로 드레인관(17)을 통하여 라지에이터(2)로 공급된다.
이때 드레인관(17)에 장착된 밸브(18)는 항시 개방되어 있는 것이고, 라지에이터(2)의 냉각팬은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며, 1차 가열조(9)의 벌집형 방열판(9a) 내부에 공급된 물은 미지근한 상태로 1차 가열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라지에이터(2)로 순환 공급된 물은 분기공급관(20)을 통하여 일부의 미지근한 물은 엔진(1)의 수냉자켓(19)으로 공급되어 흡입, 압축, 폭발, 배기로 이루어지는 엔진의 폭발열에 의하여 완전히 가열시키고, 일부의 미지근한 물은 배기관(7)의 선단에 장착된 2차 가열조(8)로 공급되어 배기관(7)로 부터 나오는 뜨거운 공기에 의해 2차가열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수냉자켓(19)과 2차 가열조(8)에서 가열된 물은 상기 펌프(22)의 작동에 의해 혼합드레인관(21)으로 홉합되어 온수관(23)을 통하여 온수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온수관(23)을 통하여 배출된 온수는 별도의 온수통에 받아 목욕탕용으로 사용하던가 직접 난방용 배관과 연결하여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보일러용으로 사용할시 공회전하는 크랭크 회전축에 축설된 발전기(26)를 작동시켜 별도의 전기에너지를 뽑아 난방용 전기 히터나 별도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을 보일러로 사용하지 않고 전기의 공급이 없는 야외등에서 발전장치로만 한정하여 사용할 시에는 도 6에서와같이 먼저 혼합드레인관(21)에 설치된 밸브(25)를 개방하고, 드레인관(17)에 설치된 밸브(18)와 온수관(23)에 설치된 밸브(24) 및 결로수 배출관(31)에 설치된 밸브를 완전히 차단한 상태에서 엔진(1)을 작동시키면 수냉자켓(19) 및 2차 가열조(8)의 물은 펌프(22)의 작동에 의해 혼합드레인관(21)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하여 라지에이터(2)로 보내져 가열된 물을 냉각시켜 엔진의 변형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라지에이터(2)로 공급된 뜨거운 물은 라지에이터(2) 전방에 설치된 냉각팬이 회전하여 강제 냉각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냉각된 물은 다시 엔진(1)의 수냉자켓(10)과 2차 가열조(8)로 공급되어 순환 냉각이 원화롭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때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발전기(26)를 구동시킴에 별도의 에너지를 발전 사용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를 장기간 사용 후 배기가스가 방출되는 배기관(7) 내부를 청소할 시에는 터버(11) 전방에 별도의 이물질등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밸브(14)를 막고 배기관(7) 끝단도 별도의 수단에 의하여 막은 상태에서 세척수공급관(12)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하여 세척한는 것이고, 세척이 완료되면 배기관(7) 끝단을 개방하여 어느정도의 세척수를 밴 상태에서 세척수공급관(12)의 밸브(13)를 차단한 다음 터버(11) 전방에 설치된 밸브(14)를 개방하여 엔진(1)의 시동을 걸면 배기가스에 의해 잔여물의 세척수가 배기관(7)을 통하여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어 배기관(7) 내부가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배기관(7)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기관(7)의 선단에서 별도로 설치된 히터(10)에 재가열 연소토록 하므로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가스의 매연이 전혀 없게 되는 것이고 상기 1차 가열조(9)에 관통설치된 결로수 배출관(31)은 수시로 밸브를 열어 내부의 결로수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는 배기관을 통하여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물을 1차적으로 가열하고 이 가열된 물은 엔진의 수냉자켓과 2차 가열조에서 각각 분리 가열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배기관으로 방열되는 배기가스 열을 완전히 포집하여 물을 가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물가열에 따른 에너지를 가일층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엔진 및 1,2차 가열조에서 배기관으로 방출되는 열에너지를 흡입밸브로 흡입 재사용함에 따라 가열공기에 따른 완전연소를 꾀할 수 있는 것이며,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소음공해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고, 본 고안 엔진의 작동시 공회전하는 회전축에 발전기를 축설하여 직수의 공급을 중단시킨 상태에서 엔진의 공회전되는 에너지를 활용하여 별도의 동력이나 열에너지를 얻어 사용활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배기관 선단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세척수공급부를 형성하여 비기관 내부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할 수 있는 발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Claims (6)

  1.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한 통상의 엔진(1)과, 상기 엔진(1)의 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라지에이터(2)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엔진(1)의 흡입밸브(3)에는 에어필터(4)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인터쿨러(5)와; 배기밸브(6)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유도 방출할 수 있도록 한 배기관(7)에는 선단과 후단에 공급된 물을 배기가스 열에 의해 가열할 수 있는 2차 가열조(8) 및 1차 가열조(9)와; 직수공급관(16)으로 공급되는 직수는 1차 가열조(9)에 공급되어 라지에이터(2)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드레인관(17)과; 상기 라지에이터(2)에 공급된 물을 엔진(1)의 수냉자켓(19) 및 2차 가열조(8)로 분기 공급할 수 있도록하는 분기공급관(20)과; 상기 수냉자켓(19) 및 2차 가열조(8)에서 가열된 물을 혼합하여 라지에이터(2)로 순환시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펌프(22)가 설치된 혼합드레인관(21)과; 상기 혼합드레인관(21)의 펌프(22)와 라지에이터(2) 사이에 온수를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온수관(23)과; 상기 드레인관(17)및 분기되는 온수관(23) 또는 혼합드레인관(21)에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밸브(18)(24)(25)와; 엔진의 회전축에 축설되어 별도의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발전기(26)와; 상기 엔진 및 1,2차 가열조등을 포삽하여 소음 및 방열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내면에 소음차단재(28)가 부착되고 외부의 공기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입공(29)이 형성된 케이스(27)와;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바퀴(30)로 이루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열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7) 선단에 배기가스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히터(10)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형 열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쿨러(5)와 흡입밸브(3) 사이에는 흡입공기의 속도를 빠르게 유도할 수 있도록 나선유도부(5a)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열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7)의 선단에는 배기관(7)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14)를 설치하고, 밸브(14)와 히터(10) 사이에는 개폐기능을 갖는 밸브(13)가 설치된 세척수공급관(12)를 관통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열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조(9)의 하부에 결로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된 결로수 배출관(31)을 관통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열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조(9)의 내부를 통과하는 물의 열교환 표면적을 넓이기 위하여 여러층으로 벌집형 방열판(9a)을 배열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열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KR2020000036255U 2000-12-23 2000-12-23 소형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KR200233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255U KR200233458Y1 (ko) 2000-12-23 2000-12-23 소형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255U KR200233458Y1 (ko) 2000-12-23 2000-12-23 소형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223A Division KR100411764B1 (ko) 2000-12-22 2000-12-22 소형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458Y1 true KR200233458Y1 (ko) 2001-09-25

Family

ID=7309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255U KR200233458Y1 (ko) 2000-12-23 2000-12-23 소형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4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868B1 (ko) 2009-04-23 2009-08-03 주식회사 와이케이 바이오플랜트 다목적 열에너지공급장치
KR101279859B1 (ko) * 2011-11-11 2013-06-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항-오염 기능이 포함된 폐열회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868B1 (ko) 2009-04-23 2009-08-03 주식회사 와이케이 바이오플랜트 다목적 열에너지공급장치
KR101279859B1 (ko) * 2011-11-11 2013-06-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항-오염 기능이 포함된 폐열회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0096A (ja) ガス―スチーム・エンジン
SE443832B (sv) Drivaggregat spec for motorfordon
JPS6469769A (en) Motor chain saw with fresh air preheating section
KR200233458Y1 (ko) 소형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KR100411764B1 (ko) 소형 열 병합 보일러 겸용 발전장치
CN107269348B (zh) 内燃机消声器
CN110242449A (zh) 进气预热与水循环散热联合的装载机发动机
KR19990046139A (ko) 내연기관의냉각수폐열과배기가스열을이용한동력발생장치
CN110500198A (zh) 一种内燃机余热利用系统
JPS58220945A (ja) エンジンにおける熱エネルギ−回収装置
JP5806471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
JPH0379532B2 (ko)
KR200272697Y1 (ko) 세차기의 스팀 및 온수보일러
CN101117907A (zh) 天燃气发动机尾气消声和余热回收装置及系统
CN2556370Y (zh) 发动机废热回收增效装置
CN100462526C (zh) 热量回授式发动机
JP3082661U (ja) 燃焼ボイラー(combustionboiler)
US6595431B1 (en) Exhaust heat trap and redirecting system
WO2007086706A1 (en) Low oxygen vortex burner
JP2004251263A (ja) 内燃機関の冷却水廃熱・排気ガス熱及び不完全燃焼排気ガスの再燃焼熱を対向流式熱交換ボイラーで高効率熱回収を用いる動力発生装置及び熱利用装置及びこれらの併合装置
RU98117560A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газотурбинным наддувом,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этого двигателя
KR100446665B1 (ko) 내연기관용 듀얼히터 히팅시스템 및 듀얼히터 열교환기
KR200254012Y1 (ko) 내연기관의 배기가스 연소장치
RU2109157C1 (ru) Полевая тепл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с двигателем внешнего сгорания пустынцева
CN211772230U (zh) 一种服装加工用蒸汽烘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