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367Y1 - hanging part for placard - Google Patents

hanging part for plac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367Y1
KR200233367Y1 KR2020010006912U KR20010006912U KR200233367Y1 KR 200233367 Y1 KR200233367 Y1 KR 200233367Y1 KR 2020010006912 U KR2020010006912 U KR 2020010006912U KR 20010006912 U KR20010006912 U KR 20010006912U KR 200233367 Y1 KR200233367 Y1 KR 200233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ard
casing
roller
sliding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91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미
Original Assignee
김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미 filed Critical 김유미
Priority to KR2020010006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3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367Y1/en

Link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래카드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전/후면에 형성된 슬라이딩벽과; 상기 슬라이딩벽의 저면으로부터 시작되어 양측벽을 향하여 절개시킨 절개홈과;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표면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플래카드 걸이구를 피고정물에 간편하게 부착 및 고정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으며, 일정 기간 후 플래카드를 수거할 때도 플래카드 걸이구로부터 플래카드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플래카드 걸이구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card hanger, casing; A space portion formed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A sliding wall formed on the front / rear surface with the space part therebetween; An incision groove which starts from the bottom of the sliding wall and cuts toward both side walls; A roller inserted into the space part and sliding up and dow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n-slip means formed 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roller. As a result, the placard hanger can be easily attached and fixed to the object to be fixed,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ixing device, and the placard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placard hanger even when the placard is collec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Easy to use placard hanger is provided.

Description

플래카드 걸이구{hanging part for placard}Hanging part for placard}

본 고안은, 플래카드를 협지하는 플래카드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카드를 피고정물에 간편하게 고정시킨 후 플래카드의 협지 및 분리가 용이토록 한 플래카드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card hanger for clamping a plac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card hanger for easily pinching and detaching a placard after fixing the placard to a fixed object.

일반적으로 플래카드는 긴 천에 광고문구 및 구호 등을 적어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선전물로서 그 효과가 인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placards are a kind of propaganda that is used by writing advertisements and slogans on a long cloth and installing them horizontally or vertically.

이와 같은 플래카드는 양쪽에 막대를 설치하고 줄을 사용하여 일정한 장소에 가로로 현수시키는 현수형 플래카드와, 플래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연결고리를 설치한 후 줄을 사용하여 막대 등에 매달아 놓는 깃발형 플래카드가 있다.Such placards are provided with hanging bars on both sides and suspended horizontally in a fixed place using strings, and hooks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cards, and then hung on rods using strings. There is a flag placard set.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플래카드는, 양쪽 구석에 줄을 끼우기 위한 별도의 고리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작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플래카드를 평평하게 현수시키기 위해 막대를 삽입하는 막대 삽입부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특히 플래카드를 벽에 현수하기 위해서는 벽에 못을 박은 후 고리에 줄을 끼워서 현수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placar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hassle of manufacturing because it has to form a separate ring portion for inserting a line in both corners, in particular, a separate rod insert for inserting the rod to hang the placard flat There are cumbersome disadvantages such as installation. In particular, in order to suspend placards on the wall, it is necessary to suspend the nails after attaching the string to the hook.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피고정물에 간편하게 부착 및 고정할 수 있는 플래카드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플래카드를 간편하게 협지 및 분리시킬 수 있는 플래카드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card hanger that can be easily attached and fixed to a fixed object, 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card hanger that can be easily pinched and detached from the placard. will b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래카드 걸이구의 전체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card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1,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래카드 걸이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lacard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플래카드걸이구 11 : 케이싱10: placard hanger 11: casing

13 : 롤러 15,15a: 슬라이딩벽13: roller 15,15a: sliding wall

17,17a: 측벽 19 : 공간부17, 17a: side wall 19: space part

21 : 경사면 23 : 절개홈21: inclined surface 23: incision groove

24 : 개구 25 : 양면테이프24: opening 25: double sided tape

27 : 걸이공27: Hanger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플래카드 걸이구에 있어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전/후면에 형성된 슬라이딩벽과; 상기 슬라이딩벽의 저면으로부터 시작되어 양측벽을 향하여 절개시킨 절개홈과;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에 표면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카드 걸이구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card hanger, the casing; A space portion formed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A sliding wall formed on the front / rear surface with the space part therebetween; An incision groove which starts from the bottom of the sliding wall and cuts toward both side walls; A roller inserted into the space part and sliding up and down; The roller is achieved by a placard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n-slip means formed on the surface portion.

여기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전/후면 슬라이딩벽 중 어느 한 면의 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형성된 슬라이딩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ace por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liding inclined surfac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inside from the wall of any one of the front / rear sliding wall.

그리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저면에 형성된 절개홈으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상기 절개홈의 폭보다 큰 폭의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And, it is effective that the roller is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utting groove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utt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상기 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 및 고무코팅층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non-slip means is preferably a silicone and rubber co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oller.

그리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후면부에 상기 케이싱을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된 양면테이프와; 상기 후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이공을 형성한 것이 효과적이다.The casing may include a double-sided tap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asing to attach the casing to the skin complex; It is effective to form at least one hook hole in the rear portion.

여기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전면 슬라이딩벽의 저면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asing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opening formed upward from an incision groove formed in the bottom end of the front sliding wal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래카드 걸이구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래카드 걸이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래카드 걸이구(10)는, 케이싱(11)과, 롤러(13)를 구비하고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placard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lacard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the placard hang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1 and a roller 13.

케이싱(11)은 전/후면에 형성된 슬라이딩벽(15)(15a)과 슬라이딩벽으로부터양측으로 연설된 측벽(17)(17a)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는 공간부(19)가 형성되어 있다.The casing 11 is composed of sliding walls 15 and 15a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sidewalls 17 and 17a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sliding wall, and a space 19 is formed therein.

슬라이딩벽(15)(15a) 중 어느 한 면의 슬라이딩벽(15)에는 공간부(19)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는 롤러(13)를 안내하여 슬라이딩벽(15a)에 기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경사면(21)을 소정 각도로 형성하고 있다.The sliding wall 15 of any one of the sliding walls 15 and 15a is housed inside the space 19 and guides the roller 13 which is vertically slidably moved so as to be in airtight contact with the sliding wall 15a. The sliding inclined surface 2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possible.

슬라이딩벽(15)(15a)의 저면과 측벽(17)(17a)에는 플래카드(30)를 삽입 또는 통과시킬 수 있도록 절개홈(23)을 형성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ing walls 15 and 15a and the side walls 17 and 17a are formed with cutouts 23 so that the placard 30 can be inserted or passed therethrough.

그리고, 롤러(13)는 절개홈(23)으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절개홈(23)의 폭보다 큰 폭의 지름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롤러(13)의 표면에는 실리콘 및 고무코팅층(14)을 함으로서 협지되는 플래카드(30)가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roller 13 is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utting groove 23 so that the roller 13 is not separated from the cutting groove 23, and the surface of the roller 13 is sandwiched by the silicon and rubber coating layers 14. The placard 30 is prevented from slipping off.

여기서, 롤러(13)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슬라이딩벽(15)에 고무 및 실리콘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Here, a method of forming a rubber and silicon coating layer on the sliding wall 15 as a method for preventing slippage of the roller 13 is also preferable.

또한, 슬라이딩벽(15)의 전면에는 절개홈(23)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 개구(24)를 형성함으로서 손가락을 사용하여 플래카드(30)를 협지하고 있는 롤러(13)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롤러(13)에 의한 플래카드(30) 협지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n opening 24 formed upward from the incision groove 23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liding wall 15, the roller 13 which holds the placard 30 by using a finger is moved upwards. The placard 30 can be released by (13).

한편, 케이싱(11)의 후면에는 케이싱을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25)를 부착하고 있으며 케이싱(11)을 못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이공(27)을 형성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11 is attached to the double-sided tape 25 so that the casing can be attached to the skin attachment, and the hook hole 27 is formed to fix the casing 11 by using a nail.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플래카드 걸이구(10)를 이용하여 플래카드(30)를 현수하려면, 먼저, 여러 개의 플래카드 걸이구(10)를 준비한 후 해당부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절개홈(23)을 통하여 플래카드의 상단부를 공간부(19)에 끼워 넣는다. 이때에는 공간부에 수용된 롤러(13)가 플래카드(30)의 끼움을 간섭할 수 있으므로 개구(24)를 통하여 손가락을 넣고 롤러(13)를 위로 밀어 놓으면 플래카드(30)를 간편하게 공간부(19)에 끼울 수 있다,In order to suspend the placard 30 using the placard hang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a plurality of placard hangers 10 are prepared and then placed in the corresponding part. Subsequently, the upper end of the placard is inserted into the space 19 through the cutout 23. At this time, since the roller 13 accommodated in the space portion may interfere with the fitting of the placard 30, insert the finger through the opening 24 and push the roller 13 upward so that the placard 30 is easily spaced ( Can be fitted with 19),

그리고, 공간부(19)에 끼워진 플래카드(30)를 아래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롤러(13)가 하향 이동하면서 플래카드(30)를 협지하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협지가 가능한 이유는 롤러(13)가 경사면(21)을 따라 자중 또는 플래카드(30)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하향 이동할수록 슬라이딩벽(15)(15a)과의 공차가 없이 기밀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Then, when the placard 30 inserted into the space 19 is pulled downward, the roller 13 moves downward to sandwich the placard 30. The reason why the pinching is possible is that as the roller 13 moves downward along the inclined surface 21 by pulling the weight or the placard 30 downward, the airtightness of the roller 13 is kept tight without any tolerance with the sliding walls 15 and 15a. It is possible because of the close contact.

이와 같이 플래카드(30)를 협지한 플래카드 걸이구(10)를 피부착물에 부착할 때에는 케이싱(10)의 후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25)를 이용하여 피부착물에 견고하게 부착하는 것이며 피부착물에 양면테이프(25)를 부착할 수 없을 때에는 걸이공(27)을 통하여 못을 박아 견고하게 고정하면 플래카드(30)를 간편하게 현수 할 수 있는 것이다.Thus, when attaching the placard hanger 10 holding the placard 30 to the skin complex, it is firmly attached to the skin complex using the double-sided tape 25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asing 10. When the double-sided tape 25 can not be attached to the complex, it is possible to easily hang the placard 30 by fixing the nail firmly through the hook hole 27.

한편, 플래카드(30)를 깃발과 같이 현수하고자 할 때에는 플래카드 걸이구(10)를 이루고 있는 케이싱(11)의 후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25)를 이용하여 막대에 부착하면 간단하게 깃발형으로 플래카드를 현수할 수 있으며, 또한, 걸이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플래카드(30)는 플래카드 걸이구(10)를 플래카드에 끼워놓은 후 걸이공(27)에 줄을 끼워 현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hang the placard 30 as a flag, simply attached to the bar using a double-sided tape 25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asing 11 forming the placard hanger 10 The placard can be suspended, and the placard 30,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hook hole, can be suspended by inserting the placard hanger 10 into the placard and then attaching the cord to the hook hole 27.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래카드 걸이구(10)는 측벽(17)(17a) 및 슬라이딩벽(15)(15a)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19)와, 공간부 내부에 설치된 롤러(13)에 의해 플래카드(30)를 기밀하게 밀착하여 현수할 수 있고 한편으로 밀착된 플래카드(30)를 프래카드 협지구(1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acard hang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ce 19 formed by the side walls 17, 17a and the sliding walls 15, 15a, and a roller 13 installed inside the space. ), The placard 30 can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tight, and the placard 30 in close contact with the placard 3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placard pincer 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플래카드 걸이구를 피고정물에 간편하게 부착 및 고정할 수 있어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으며, 일정 기간 후 플래카드를 수거할 때도 플래카드 걸이구로부터 플래카드를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플래카드 걸이구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acard hanger can be easily attached and fixed to the fixed objec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ixing device, and even when the placard is collected after a certain period from the placard hanger The placard can be easily removed to provide an easy-to-use placard hanger.

Claims (6)

플래카드 걸이구에 있어서,In the placard hanger, 케이싱과;Casing; 상기 케이싱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 공간부와;A space portion formed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casing; 상기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전/후면에 형성된 슬라이딩벽과;A sliding wall formed on the front / rear surface with the space part therebetween; 상기 슬라이딩벽의 저면으로부터 시작되어 양측벽을 향하여 절개시킨 절개홈과;An incision groove which starts from the bottom of the sliding wall and cuts toward both side walls;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이동되는 롤러와;A roller inserted into the space part and sliding up and down; 상기 롤러에 표면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카드 걸이구.Placard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non-slip means formed 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roll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간부는 상기 전/후면 슬라이딩벽 중 어느 한 면의 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형성된 슬라이딩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카드 걸이구.And the space part further comprises a sliding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angle from the wall of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sliding walls to the insid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롤러는 상기 저면에 형성된 절개홈으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상기 절개홈의 폭보다 큰 폭의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카드 걸이구.And the roller is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cision groove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incision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상기 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콘 및 고무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카드 걸이구.The non-slip means placard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licone and rubber coat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oll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후면부에 상기 케이싱을 피부착물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된 양면테이프와;The casing may include a double-sided tap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casing to attach the casing to the skin complex; 상기 후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이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카드 걸이구.Placard hang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hook hole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전면 슬라이딩벽의 저면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형성된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카드 걸이구.And the casing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formed upwardly from an incision groove formed at the bottom end of the front sliding wall.
KR2020010006912U 2001-03-14 2001-03-14 hanging part for placard KR2002333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912U KR200233367Y1 (en) 2001-03-14 2001-03-14 hanging part for pla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912U KR200233367Y1 (en) 2001-03-14 2001-03-14 hanging part for plac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367Y1 true KR200233367Y1 (en) 2001-10-08

Family

ID=7309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912U KR200233367Y1 (en) 2001-03-14 2001-03-14 hanging part for plac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367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427B1 (en) * 2007-04-12 2008-05-06 주식회사 유일컴 A bulletin board
WO2011149161A1 (en) * 2010-05-28 2011-12-01 (주)아트사인 Advertising-panel mount afford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and manufa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427B1 (en) * 2007-04-12 2008-05-06 주식회사 유일컴 A bulletin board
WO2011149161A1 (en) * 2010-05-28 2011-12-01 (주)아트사인 Advertising-panel mount afford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and manufa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9271B2 (en) Display mounting system and method
US6456772B1 (en) System for removable attachment of two objects
US7296373B1 (en) Apparatus for framing and hanging a sheet-like display item
KR101535456B1 (en) Hook assembly
US7762409B2 (en) Apparatuses for holding hangers
US9186001B2 (en) Offset hanger for minimizing space between frame and wall
KR200233367Y1 (en) hanging part for placard
US20180344067A1 (en) Repositionable Window Covering System
US20050103732A1 (en) Apparatus for fastening items on a mantle or shelf
US5247725A (en) Fixture installation device
US20030024892A1 (en) Banner display device
WO2007067527A3 (en) Hanging system
JP2006144235A (en) Hook member
JP2000245610A (en) Sliding hanger holder
JPH09191989A (en) Frame hanging device for horizontal piece of timber
JPS6013096B2 (en) Hanging device for fixing metal roofing materials
JP2000313187A (en) Sheet holder
KR200415284Y1 (en) A Display Hanger for Slipper
CN217499716U (en) Novel clothes through rod
KR102350353B1 (en) Wallpaper fixing type hanger
KR200417349Y1 (en) A Curtain Hanger
KR200280537Y1 (en) Hanger construct of wall goods
KR200237912Y1 (en) Suspending holder for sheet member
KR200170086Y1 (en) Picture frame hanger board
KR200367977Y1 (en) Supporter inserting into pr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