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979Y1 - movable hanger assembly for wardrobe - Google Patents

movable hanger assembly for wardro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979Y1
KR200232979Y1 KR2019990000884U KR19990000884U KR200232979Y1 KR 200232979 Y1 KR200232979 Y1 KR 200232979Y1 KR 2019990000884 U KR2019990000884 U KR 2019990000884U KR 19990000884 U KR19990000884 U KR 19990000884U KR 200232979 Y1 KR200232979 Y1 KR 200232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drobe
pivot
hanger
clos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8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6069U (en
Inventor
윤이용
Original Assignee
윤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이용 filed Critical 윤이용
Priority to KR2019990000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979Y1/en
Publication of KR200000160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06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979Y1/en

Link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옷장의 내부벽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일측에 넥타이걸이나 바지걸이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걸이구를 일정거리 옷장바깥으로 당겨내걸이물들을 간편히 걸거나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옷장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으로, 옷장(5) 내벽(51)면에 부착 설치되는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본체(A)를 구성함에 있어서, 다수의 부착공(11)을 형성한채 옷장(5)의 내부 측벽(51)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1)에는 받침구(13)에 의해 받쳐지는 지지축(12)(12)을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하고, 이 지지축(12)(12)에는 각각 피봇회동구(3)(3)를 설치하여 버팀대(2)(2)의 하단이 조립되게 하며, 상기 버팀대(2)(2)의 상단에는 각각 각종 걸이구(4)의 일측이 고정되는 피봇회동구(3)(3)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프레임(1)에는 상기 버팀대(2)(2)의 전후 피봇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4)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본체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n the inner wall of the closet, and by installing a tie hanger or a trouser hanger on one side thereof, the user can easily hang or take out the hangers by pulling the hanger out of the closet as needed.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wardrobe, in constituting the wardrobe variable hook main body (A) to be attached to the inner wall (51) surface of the wardrobe (5),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attachment holes (11) In the frame 1 fixed to the inner side wall 51 of the wardrobe 5, support shafts 12 and 12 supported by the support holes 13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upport shafts 12 are provided. Pivot pivoting holes (3) and (3)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12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braces 2 and 2 are assembled, and on the upper ends of the braces 2 and 2, respectively, One side is fixed pivot pivot (3) (3) is installed, while the brace (2) (2) on the frame (1) Positioning hanger body for the wardrobe, characterized in that by installing a stopper 14 for limiting the front and rear pivot range.

Description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 본체{movable hanger assembly for wardrobe}Positionable hanger body for closet {movable hanger assembly for wardrobe}

본 고안은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 본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옷장의 내부벽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일측에 넥타이걸이나 바지걸이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걸이구를 옷장바깥으로 일정거리 당겨내 걸이물들을 간편히 걸어 보관하거나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옷장의 사용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variable hanger body for a closet, and more particularly, it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closet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a tie hanger or a trouser hanger is installed on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user can close the hanger as needed. It is designe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wardrobe by allowing the hangers to be easily walked out and stored or taken out by pulling a certain distance outside.

일반적으로 붙박이장이나 일반 옷장등의 경우 옷장내부에 바지나 넥타이등을가지런한 상태로 걸어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걸이구가 설치,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들 걸이구는 단순히 바지를 걸기 위한 바지걸이구로서 옷장상부에 옷장을 가로 질러 걸이봉을 설치하여 이 걸이봉에 다수의 바지걸이를 이용하여 바지를 걸어 보관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다수의 넥타이를 걸어 보관하기 위한 넥타이걸이구의 경우는 단순히 옷장문짝에 절첩 형태의 넥타이 걸이구를 설치하여 넥타이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이와같이 옷장내에 설치되는 바지걸이구나 넥타이걸이구는 옷장의 구색을 맞추기 위해 설치한 정도에 지나지 않는 것이어서 많은 양의 바지나 넥타이등을 가지런한 상태로 수납 보관할 수가 없게 되어 옷장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built-in cabinet or general wardrobe, various hangers are installed and used for keeping pants and ties in a state of being kept in the closet, but these hangers are simply hangers for hanging pants. Hanger rods are installed across the wardrobe so that the pants can be stored by using multiple trouser hangers. In the case of tie hangers for hanging multiple ties, they are simply folded into the closet door. Since the tie hangers are installed so that the tie can be stored, the trouser hangers and tie hangers installed in the closet are only installed to match the assortment of the wardrobe. It can't be stored, so the interior space of the closet can be There was problem that became impossible to us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이 내부에 적절한 바지걸이나 넥타이걸이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종래 옷장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지걸이나 넥타이걸이가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걸이구본체가 옷장의 측벽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일정범위내에서 전후로 피봇회동하면서 그 설치위치를 가변상태로 되게 함으로써 많은양의 바지나 넥타이를 가지런한 상태로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 옷장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한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본체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ardrobe that is not provided with a proper pants hanger or tie hanger inside as described above, the hanger main body is fixed to one side hanger or tie hanger is wardrobe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variable by pivoting back and forth within a certain range while fixedly mounted on the side wall of the wall, so that a large amount of pants or ties can be easily stored in a neat state, thereby enabling efficient use of the closet. Provided is a variable position hook body for a closet.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2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3d는 고안의 실시사용 상태도3a to 3d is a state of us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프레임 2: 버팀대 3: 피봇회동구1: frame 2: brace 3: pivoting hole

4: 걸이구 11: 부착공 12: 지지축4: hook hole 11: attachment hole 12: support shaft

13: 받침구 14: 스토퍼13: Base 14: Stopp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 본체(A)는, 다수의 부착공(11)을 형성한채 옷장의 내부 측벽(5)에 고정 설치되는프레임(1)에는 받침구(13)에 의해 받쳐지는 지지축(12)(12)을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하고, 이 지지축(12)(12)에는 각각 피봇회동구(3)(3)를 설치하여 버팀대(2)(2)의 하단이 조립되게 하며, 상기 버팀대(2)(2)의 상단에는 각각 각종 걸이구(4)의 일측이 고정되는 피봇회동구(3)(3)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프레임(1)에는 상기 버팀대(2)(2)의 전후 피봇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4)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sitionable hanger main body A for the wardro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a frame 1 fixed to the inner sidewall 5 of the wardrobe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attachment holes 11. The support shafts 12 and 12 supported by the sphere 13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ivot shafts 3 and 3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s 12 and 12 so that the support shafts 2 The lower end of the (2) is assembled, and the pivot turning holes (3) (3) to which one side of the various hooks (4) a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race (2) (2), respectively, the frame (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14 for limiting the front and rear pivot range of the brace (2) (2) is provided.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 본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프레임(1)과, 버팀대(2) 및 피봇회동구(3)로 이루어진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oset position variable hanger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oset position variable hang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s largely frame (1) And, it consists of a brace (2) and the pivot turning hole (3).

상기한 프레임(1)은 옷장의 내부측벽(5)에 고정설치되기 위한 다수의 부착공(11)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축(12)(12)을 설치하고 있다. 이때 프레임(1)에 대한 지지축(12)(12)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지지축(12)(12)하부에는 타단이 프레임(1)에 부착고정된 받침구(13)의 일단을 부착 고정하여 지지축(12)(12)받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에는 이 프레임(1)에 연결 설치되는 버팀대(2)의 전후 피봇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대략 '디긋'자형의 평단면 형태를 갖는 스토퍼(14)가 설치되어 있다.The frame 1 forms a plurality of attachment holes 11 to be fixed to the inner side wall 5 of the wardrobe, and the support shafts 12 and 12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in order to maintain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 shafts 12 and 12 with respect to the frame 1,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s 12 and 12,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rame 1, One end is attached and fixed to support the support shafts 12 and 12. In addition, the frame 1 is provided with a stopper 14 having an approximately 'diffuse' flat cross-sectional shape for limiting the front and rear pivot range of the brace 2 connected to the frame 1.

상기한 버팀대(2)는 일정길이를 갖는 것으로, 그 하단이 피봇회동구(3)를 개재하여 지지축(12)(12)에 피봇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버팀대(2)상단에는 실질적으로 바지나 넥타이를 걸어 보관한 수 있는 걸이구(4)가 또 다른 피봇고정구(3)를 개재하여 버팀대(2)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brace 2 has a certain length, the lower end of which is pivot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s 12 and 12 via the pivot swivel 3, and is substantially above the brace 2. Hangers (4) that can be stored by hanging pants or ties are install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brace (2) via another pivot fixture (3).

상기 피봇고정구(3)는 상기 버팀대(2)의 상하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의 피봇고정구(3)는 각종 걸이구(3) 일측에 설치되는 연결구에 연결 설치되고, 하단의 피봇고정구(3)는 프레임(1)의 지지축(12)에 연결 설치되어 버팀대(2)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피봇고정구(3)를 기점으로 하여 부드럽게 피봇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pivot fixture (3)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race (2), the pivot fixture (3) at the top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arious hooks (3), the pivot fixture (below) 3) is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12) of the frame (1)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race (2) to enable a pivot pivot smoothly with the pivot fixture (3) as a starting point.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본체의 다양한 실시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먼저 본 고안의 걸이구본체(A)의 버팀대(2) 상단에 설치된 피봇고정구(3)에 넥타이걸이 또는 바지걸이등의 걸이구(4)를 그 일측의 연결구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걸이구본체(A)에 걸이구(3)가 연결 설치되게 한다.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use of the wardrobe variable hook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ie the pivot fixture (3)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race (2) of the hook body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 tool 4 is connected to the hook tool body A by connecting the hook tool 4 such as a hook or a trouser hanger to the hook tool body A.

이 상태에서 걸이구본체(A)를 이루는 프레임(1)에 다수 형성된 부착공(11)을 통해 나사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해 옷장의 내부측벽(5) 일정위치에 고정설치하게 되면 옷장에 대한 본 고안의 걸이구본체(A)의 설치는 간단히 완료된다.In this state, through the fixing holes 11 formed in the frame (1) constituting the hanger main body (A) by means of fixing means such as screws, the inner side wall (5) of the closet is fixed to a certain pos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hook body A of the invention is simply completed.

이와같이 옷장의 내부측벽(5)에 설치된 걸이구본체(A)의 걸이구(4)에 다수의 넥타이나 바지등을 걸어 보관하던중, 이들 걸이구(4)에 걸려 보관중인 넥타이나 바지등을 옷장으로 부터 꺼내 착용하려 할 경우에는 걸이구(4)를 잡고 그대로 옷장(5)외부로 당겨내면 걸이구(4)가 연결 설치된 버팀대(2)가 프레임(1)의지지축(12)을 기점으로 피봇회동하면서 걸이구(4)가 옷장(5) 바깥쪽으로 일정부분 이동하게 된다. 이때 옷장(5)바깥쪽으로 이동되는 걸이구(4)의 이동범위는 프레임(1)에 설치된 스토퍼(14)에 의해 그 최대이동거리가 제한되게 되며, 상기한 걸이구(4)가 옷장(5)바깥측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한채 일정거리 이동되는 것은 버팀대(2)의 상단에 설치된 피봇회동구(3)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때 걸이구(4)의 전후 이동거리는 프레임(1)에 설치된 스토퍼(14)에 의해 제한된다.In this way, while holding a plurality of ties or pants on the hanger 4 of the hanger main body A installed on the inner side wall 5 of the closet, the tie or pants hanged on the hanger 4 are stored. If you want to take it out of the closet and hold it, hold the hook (4) and pull it out of the closet (5) as it is. The brace (2) on which the hook (4) is connected is based on the support shaft (12) of the frame (1). While pivoting, the hook (4) is moved to a certain portion out of the closet (5). At this time, the movement range of the hook sphere (4) moved to the outside of the closet (5) is limited by the stopper (14) installed in the frame (1),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the hook sphere (4) is closet (5) The fixed distance is moved to the outside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state by the pivot pivot (3)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brace (2), wherein the front and rear movement distance of the hook (4) is a stopper (installed in the frame (1) 14).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걸이구본체(A)를 옷장의 일측의 내부측벽(5)에만 고정설치하지 않고, 도 3c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측벽(5) 양측모두에 본 고안의 걸이구본체(A)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한후 이 걸이구본체(A)의 버팀대(2)에 설치된 피봇고정구(3)(3)에 걸이구(4)양단의 연결구를 연결 조립함으로써 옷장의 가로길이(폭)전체에 걸쳐 걸이구(4)가 자연스럽게 일정거리 만큼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걸이구(4)의 사용을 한결 간편히 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ok bod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fixed to only the inner side wall 5 of one side of the wardrobe, and as shown in FIG. 3C, the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wall 5. After installing the main body (A) to face each other, the side of the wardrobe by connecting and connecting the connectors on both ends of the hook hole (4) to the pivot fixture (3) (3) installed on the brace (2) of the hook body (A) Since the hook tool 4 is naturally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ver the entire length (width), the use of the hook tool 4 can be simplified more easily.

또한 본 고안의 걸이구본체(A)에 바지나 넥타이를 걸기 위한 걸이구(4)를 연결 설치하는 대신에 도 3d에 도시한 바와같이 옷장이나 장농 내부 양측벽에 걸이구본체(A)를 설치하고, 이 걸이구본체(A)에 바지나 넥타이를 걸기 위한 걸이구(4)가 아닌 일반 선반(6)을 연결 설치하게 되면, 선반(6)이 옷장이나 장농바깥으로 일정거리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할수도 있는등 본 고안의 걸이구본체(A)에 연결 설치되는 걸이구(4)나 선반(6)의 형태 또는 걸이구본체(A)의 설치 갯수등은 제한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stead of installing a hook (4) for hanging pants or ties to the hook sphere body (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d, the hook sphere (A) is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the wardrobe or the farmhouse. And, if the hook body (A) is connected to the general shelf (6) instead of the hook (4) for hanging pants or ties, the shelf (6) can be moved back and forth outside the closet or cabinetry for a certain distance. The shape of the hanger (4) or shelf (6) or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hanger body (A) that is connected to the hook sphere body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에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본체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걸이구나 선반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는 걸이구본체를 옷장의 내벽에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걸이구 본체를 이루는 버팀대가 옷장의 내부공간 전후로 이동되게 하는 것에 의해 각종 걸이구나 선반이 옷장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수평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옷장의 사용성 제고와 아울러 옷장내부공간에 대한 수납성을 좋게 하여 옷장이나 붙박이장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position hook body for the wardro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er main body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wardrobe with the hook body main bod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various types of hooks or shelves. By making the supporting braces move around the inner space of the wardrobe, various hangers and shelves can be moved horizontally from the inner space of the wardrob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wardrobe and improve the storage of the inner space of the wardrobe and improve the productability of the closet or built-in cabinet. It can be useful, such as being able to increase it.

Claims (1)

옷장(5) 내벽(51)면에 부착 설치되는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본체(A)를 구성함에 있어서,In constructing the wardrobe variable hook body (A) for the closet (5) attached to the inner wall (51) surface, 다수의 부착공(11)을 형성한채 옷장(5)의 내부 측벽(51)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1)에는 받침구(13)에 의해 받쳐지는 지지축(12)(12)을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하고, 이 지지축(12)(12)에는 각각 피봇회동구(3)(3)를 설치하여 버팀대(2)(2)의 하단이 조립되게 하며, 상기 버팀대(2)(2)의 상단에는 각각 각종 걸이구(4)의 일측이 고정되는 피봇회동구(3)(3)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프레임(1)에는 상기 버팀대(2)(2)의 전후 피봇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4)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장용 위치 가변 걸이구본체.The support shafts 12 and 12 supported by the support hole 13 are fixed to the frame 1 fixed to the inner sidewall 51 of the wardrobe 5 with a plurality of attachment holes 11. And the pivot shafts 3 and 3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shafts 12 and 12 so that the lower ends of the braces 2 and 2 are assembled. At the upper end, pivot pivot holes (3) and (3) on which one side of the various hooks (4) are fixed are respectively installed, while the frame (1) restricts front and rear pivot ranges of the braces (2) and (2). Positionable hanger body for a wardrobe, characterized in that by installing a stopper (14) for.
KR2019990000884U 1999-01-23 1999-01-23 movable hanger assembly for wardrobe KR20023297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884U KR200232979Y1 (en) 1999-01-23 1999-01-23 movable hanger assembly for wardro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884U KR200232979Y1 (en) 1999-01-23 1999-01-23 movable hanger assembly for wardro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069U KR20000016069U (en) 2000-08-16
KR200232979Y1 true KR200232979Y1 (en) 2001-10-27

Family

ID=5475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884U KR200232979Y1 (en) 1999-01-23 1999-01-23 movable hanger assembly for wardro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979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069U (en)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6036B2 (en) Hanging apparatus for hanging laundry and the like
EP3162260A1 (en) Towel rack
JP2007090016A (en) Rack also used as additional towel horse and its usage
KR20150137604A (en) Folding shelf frame
KR20100008123U (en) Wall union type hanger
KR200232979Y1 (en) movable hanger assembly for wardrobe
JP7055332B2 (en) Hanger device
JP3684960B2 (en) Clothes hanger hanger
JP7264628B2 (en) article hanger
KR20170100949A (en) A hanger device for furniture
US20070080125A1 (en) Corner closet
KR20140112233A (en) Storage and shelves apparatus installed wall
CN210871221U (en) Article placing shelf
JP5783350B2 (en) Clothes dryer
KR100808556B1 (en) Clothes rack and lundary dry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09136617A (en) Object hanger
CN217839462U (en) Windproof telescopic rod and drying device using same
KR200219485Y1 (en) A movable trousers hanger
KR200332561Y1 (en) A hanging stand regulator for the laundry drying stand
KR200343537Y1 (en) hanger
KR20220002863U (en) Cabinet combination type stand hanger
KR200177387Y1 (en) An available household stand on the ground or the wall
KR200211942Y1 (en) Foldable Shelf
KR200311561Y1 (en) Unfold while folded shelf support device
JP2021191369A (en) Indoor clothes dry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