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412Y1 - 의자용 안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안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412Y1
KR200232412Y1 KR2020010003971U KR20010003971U KR200232412Y1 KR 200232412 Y1 KR200232412 Y1 KR 200232412Y1 KR 2020010003971 U KR2020010003971 U KR 2020010003971U KR 20010003971 U KR20010003971 U KR 20010003971U KR 200232412 Y1 KR200232412 Y1 KR 200232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chair
massage device
neck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필
Original Assignee
성낙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필 filed Critical 성낙필
Priority to KR2020010003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41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와 목받이 사이에 설치되되, 경첩방식에 의해 접철가능토록 이루어져 있어 간단한 조작레버에 의해 사용자의 목부위(후두부)를 연속·반복적으로 눌러주어 간편·용이한 안마가 이루어지도록 한 의자용 안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용 안마기에 있어서, 일측방으로 접철가능토록 경첩방식으로 연결되되, 일측면 양측단부에는 와이어 선단이 고정되고 반대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코일스프링이 탄설된 몸체부와, 일면 양쪽 단부와 중심부에 소정 곡률을 갖는 돌기가 융기되고 중앙 하단부에는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돌편이 내설된 외피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된 와이어의 끝단이 연결된 조작레버가 구비됨에 따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고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취급 및 사용이 간편하므로 누구라도 쉽게 안마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두부의 안마 및 마사지를 통해 목디스크를 예방하고 눈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안마장치의 휴대가 가능하고 판매단가를 낮춰 구입에 따른 비용부담을 줄여 널리 보편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용 안마장치{MASSAGE DEVICE FOR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안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와 목받이 사이에 설치되되, 경첩방식에 의해 접철가능토록 이루어져 있어 간단한 조작레버에 의해 사용자의 목부위(후두부)를 연속·반복적으로 눌러주어 간편·용이한 안마가 이루어지도록 한 의자용 안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마라 함은 손으로 몸을 두드리거나 주물러서 운동 및 피로에 의해 뭉친 근육이나 혈액순환을 돕기 위해 행해지는 것으로서, 현재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안마기로는 안마 받고자 하는 신체부위와 안마를 위한 안마기의 구동방식에 따라 다종을 이루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신체의 특정부위(목이나 허리)에 안마가 행해지고 있는 의자용 안마기로는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의자용 안마기에서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의자용 안마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 중 첫번째로는 안마기 판매단가가 너무 고가이므로 보편화되지 못하고 구입·사용계층이 일부계층(부유층)에 국한된다는 것이고, 두번째로는 안마기의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난해하므로 수리 및 취급에 따른 전문기술이 요구되므로 사용이 용이하지 않고 사용자로 하여금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며, 세번째로는 복잡한 구조로 인해 부피가 크므로 설치시 많은 공간이 요구되며, 네번째로는 안마기 부피가 크므로 운반 및 설치장소가고정적일 수 밖에 없어 사용장소에 제한을 받을 뿐만 아니라, 휴대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마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경첩방식에 의해 접철가능토록 이루어지고 간단한 조작레버에 의해 안마가 이루어짐에 따라 안마장치 구조를 간편화하여 설치 및 취급·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후두부(목부위)의 안마 및 마사지를 통해 목디스크를 예방하고 눈의 피로를 해소함과 동시에 안마기 단가를 낮춰 널리 보편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의자용 안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의자용 안마장치에 있어서, 일측방으로 접철가능토록 경첩방식으로 연결되되, 일측면 양측단부에는 와이어 선단이 고정되고 반대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코일스프링이 탄설된 몸체부와, 일면 양쪽 단부와 중심부에 소정 곡률을 갖는 돌기가 융기되고 중앙 하단부에는 힌지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돌편이 내설된 외피와, 상기 몸체부에 고정된 와이어의 끝단이 연결된 조작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와이어가 전동모우터의 회전축에 감겨지도록 연결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안마장치 2, 2':와이어
4:코일스프링 10:몸체부
12:요홈부 14, 14':돌기
16:힌지축 18:돌편
20:외피 22:열선
30, 30':진동부재 32:조작레버
40:의자 42:목받이
44:등받이 46:회전축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안마장치(1)의 몸체부(10)는 일측방으로 접철가능토록 경첩방식으로 연결되되, 정면 양측단부에는 와이어(2) 선단이 고정되고 배면에는 횡방향으로 코일스프링(4)이 탄설되고, 외피(20)는 전면에 요홈부(12)가 형성된 신축성이 좋고 질긴 성질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면 양쪽 단부와 중심부에 소정 곡률을 갖는 돌기(14, 14')가 융기되고 중앙 하단부에는 힌지축(16)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돌편(18)이 내설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돌기(14, 14')가 융기된 외피(20)에는 각각의 소정위치에 진동부재(30, 30')가 내설되고 중앙 하단부에 내설된 돌편(18)은 와이어(2')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0)와 연동되어지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경첩방식에 의해 연결되고 정면 양측단부에 고정된 와이어(2)에 의해 당겨져 접어지며 배면에 횡방향으로 탄설된 코일스프링(4)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펼쳐지도록 된 몸체부(10)와, 전면에 절곡을 위한 요홈부(12)이 형성되고 양쪽 단부와 중심부에 돌기(14, 14')가 융기되되, 각각의 돌기(14, 14')에는 진동부재(30, 30')가 내설되며 중앙 하단부에는 돌편(18)이 힌지축(16)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돌출되도록 설치된 외피(20)로 이루어진 안마장치(1)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힌지축(16)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돌출되는 돌편(18)은 와이어(2')에 의해 당겨지는 것으로서, 양쪽 선단이 몸체부(10) 정면 양측단부에 고정되고 끝단이 조작레버(32)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2)와 연동되도록 고정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경첩방식에 의해 연결되고 정면 양측단부에 고정된 와이어(2)에 의해 당겨져 접어지며 배면에 횡방향으로 탄설된 코일스프링(4)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펴지도록 된 몸체부(10)와, 전면에 절곡을 위한 요홈부(12)이 형성되고 양쪽 단부와 중심부에 돌기(14, 14')가 융기되되, 각각의 돌기(14, 14')에는 진동부재(30, 30')가 내설되며 중앙 하단부에는 돌편(18)이 힌지축(16)에 의해 전방으로 회동·돌출되도록 설치된 외피(20)로 이루어진 안마장치(1)가 의자(40)의 목받이(42)와 등받이(44) 사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안마장치(1)는 밴드나 체결수단(보울트 및 너트 또는 나사,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로서, 의자(40)의 목받이(42)와 등받이(44) 사이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된 안마장치(1)가 의자(40)에 앉은 사용자의 신체 중 목부위를 안마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때, 안마장치(1)는 사용자의 조작레버(32)에 의해 와이어(2)가 당겨짐에 따라 몸체부(10)가 접어지고 외피(20)가 몸체부(10)를 따라 절곡되어 외피(20)에 형성된 돌기(14, 14')가 의자(40)에 앉은 사용자의 목부위에 접촉되어 안마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안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로서, 몸체부(10)의 정면 양측단부에 고정되어 당김작용시 몸체부(10)가 접어지도록 하는 와이어(2)의 끝단이 전동모우터(M1)의 회전축(46)에 고정되어 전동모우터(M1) 구동시 회전축(46)에 감겨지도록 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전동모우터(M1)의 구동은 전원공급부 및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안마장치(1)를 사무실이나 가정용 의자에 적용할 경우에는 통상적인 전원을 사용하게 되고 자동차용 이나 휴대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건전지(축전지)나 자동차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은 고정축, 22는 열선, 48은 속도조절부, SW는 전원스위치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으로 접철가능토록 경첩방식으로 연결되되, 정면 양측단부에는 와이어(2) 선단이 고정되고 배면에는 횡방향으로 코일스프링(4)이 탄설된 몸체부(10)와, 전면에 요홈부(12)가 형성된 신축성이 좋고 질긴 성질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면 양쪽 단부와 중심부에 소정 곡률을 갖는 돌기(14, 14')가 융기되고 중앙 하단부에는 힌지축(16)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돌편(18)이 내설된 외피(20)로 이루어진 안마장치(1)를 의자에 장착시켜 안마를 받고자 할경우에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마장치(1)를 의자(40)의 목받이(42)와 등받이(44) 사이에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착탈가능토록 장착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의자(40)에 안마장치(1)가 장착되면, 사용자가 의자(40)에 앉아 조작레버(32)를 움직이게 되면 조작레버(32)에 의해 와이어(2, 2')가 당겨져 이에 연결된 경첩방식의 몸체부(10)가 내측방(사용자쪽)으로 접어지게 되며, 이를감싸고 있는 외피(20)가 함께 절곡되어 양쪽 단부와 중심부에 융기된 돌기(14, 14')가 사용자의 목부위에 접촉된다.
따라서, 안마장치(1)가 접어진 상태로 사용자의 목부위에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속도절부 및 전원스위치)에 의해 상기 외피(20)에 내설된 진동장치(30, 30')가 구동되며 그 진동에 의해 사용자의 목부위에 접촉된 상태를 취하고 있는 돌기(14, 14')에 의해 안마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는 배면에 횡방향으로 탄설된 코일스프링(4)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반발력이 작용되고 외피(20) 중앙 하단부에 형성된 돌편(18)은 와이어(2') 당김작용시 힌지축(16)을 기점으로 회동·돌출되어 융기된 돌기(14, 14')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목부위에 접촉되어 접촉된 부위를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이, 안마가 진행된 후, 사용자가 안마를 멈추기 위해 조작레버(32)를 원위치시키게 되면, 안마장치(1)의 몸체부(10) 배면에 탄설된 코일스프링(4)의 반발력에 의해 원상태로 펴지게 되고 전원스위치(SW)를 'off' 시키게 되면 진동장치(30, 30')의 구동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의 목부위(후두부) 안마가 연속·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안마장치(1)는 의자(4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토록 장착된 것이므로 자동차 운전시 또는 장소 이동에 따라 의자가 바뀌게 될 경우에는 체결장치를 해제시켜 의자(4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면,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므로 자동차 시트나 사용자가 옮겨 앉고자 하는 의자에 다시 장착하면 위에서와 같은 안마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항시 원하는 안마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마장치(1)의 몸체부(10)를 접어 사용자의 목부위에 접촉되도록 하는 와이어(2)의 당김작용을 전동모우터(M1)를 이용하게 되면 간편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서, 전동모우터(M1) 구동에 의해 와이어(2)가 회전축(46)에 감기게 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10)가 접어져 외피(20)에 융기된 돌기(14, 14')가 목부위에 접촉되며 상기 와이어(2)와 연동되는 와이어(2')에 의해 상기 외피(20) 중앙 하단부에 힌지축(16)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 돌편(18)이 내측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목부위(후두부)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전동모우터(M1)의 구동이 멈추게 되면,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0)가 배면에 탄설된 코일스프링(4)의 반발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피(20)에는 열선(22)이 내장됨에 따라, 안마시 사용자의 목부위(후두부)에 안마 뿐만 아니라, 열마사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목디스크 예방과 눈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첩방식에 의해 접철가능토록 이루어지고 간단한 조작레버에 의해 안마가 이루어지도록 된 의자용 안마기를 이용함에 따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고 간단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취급 및 사용이 간편하므로 누구라도 쉽게 안마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부위(후두부)의 안마 및 마사지를 통해 목디스크를 예방할 수 있고 눈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안마장치의휴대가 가능하고 판매단가를 낮춰 구입에 따른 비용부담을 줄여 널리 보편화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부각된 것이다.

Claims (2)

  1. 의자용 안마기에 있어서,
    일측방으로 접철가능토록 경첩방식으로 연결되되, 일측면 양측단부에는 와이어(2) 선단이 고정되고 반대측면에는 횡방향으로 코일스프링(4)이 탄설된 몸체부(10)와;
    일면 양쪽 단부와 중심부에 소정 곡률을 갖는 돌기(14, 14')가 융기되고 중앙 하단부에는 힌지축(16)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돌편(18)이 내설된 외피(20)와;
    상기 몸체부(10)에 고정된 와이어(2)의 끝단이 연결된 조작레버(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안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가 전동모우터(M1)의 회전축(46)에 감겨지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용 안마장치.
KR2020010003971U 2001-02-16 2001-02-16 의자용 안마장치 KR200232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71U KR200232412Y1 (ko) 2001-02-16 2001-02-16 의자용 안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71U KR200232412Y1 (ko) 2001-02-16 2001-02-16 의자용 안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412Y1 true KR200232412Y1 (ko) 2001-10-25

Family

ID=7309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971U KR200232412Y1 (ko) 2001-02-16 2001-02-16 의자용 안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4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873B1 (en) Hand-held massaging apparatus
US5925002A (en) Hand-held vibratory massager
US6261251B1 (en) J-shaped massage device having a vibrator
JP5335256B2 (ja) 美容ブラシ器具
WO1996003958A1 (en) Scalp massager
US20020183665A1 (en) Back-mountable massage device
CN112294626A (zh) 美容仪
US5097822A (en) Vibrating belt massager
EP1420740A2 (en) Leg massage and exercise device
CN116211664A (zh) 颈部按摩仪
KR200232412Y1 (ko) 의자용 안마장치
JP4629343B2 (ja) マッサージ機
CN217409254U (zh) 颈部按摩仪
CN116211687A (zh) 颈部按摩装置
JP5828730B2 (ja) マッサージ装置及び当該マッサージ装置を内蔵したクッション
US20060224092A1 (en) Massaging apparatus
JPH0628095Y2 (ja) 携帯用振動指圧マッサージ機
GB2274395A (en) Massager
KR20210127420A (ko) 진동 온열 마사지 스틱
CN220275909U (zh) 颈部按摩仪
KR200392518Y1 (ko) 안마겸용 때밀이 장치
CN220175530U (zh) 颈部按摩仪
CN211272225U (zh) 一种拍打抖动机构
CN214910313U (zh) 按摩棒
CN219646234U (zh) 颈部按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