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149Y1 - 공기조화기용 판넬 연결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판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149Y1
KR200232149Y1 KR2020010003967U KR20010003967U KR200232149Y1 KR 200232149 Y1 KR200232149 Y1 KR 200232149Y1 KR 2020010003967 U KR2020010003967 U KR 2020010003967U KR 20010003967 U KR20010003967 U KR 20010003967U KR 200232149 Y1 KR200232149 Y1 KR 200232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ont support
rear support
air condition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3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산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산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산세원
Priority to KR2020010003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149Y1/ko

Link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자형 구조체를 갖는 공기조화기(냉방기, 난방기, 냉동기, 항온항습기 등등)의 측판판넬을 지지후레임에 분해 및 조립이 가능토록 하는 공기조화기용 판넬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볼트가 삽치되는 구멍을 각각 갖는 전면지지구와 후면지지구를 가지며, 전면지지구 및 후면지지구의 내측 맞닿는 단부는 서로 맞접하는 각진 단부를 가지며, 전면지지구 표면에는 방향표시 삼각요홈 및 전면지지구를 회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조작요홈을 가지며, 후면지지구에는 사각 또는 육각의 각진 너트가 삽치되는 삽치요홈을 가지며, 고정편이 돌출 형성토록 한 것으로, 측판판넬의 가장자리 근처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본 고안을 체결하고 본 고안을 회동 및 나사를 조작하여 측판판넬을 지지후레임에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게 연결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판넬 연결구 {panel joint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상자형 구조체를 갖는 공기조화기(냉방기, 난방기, 냉동기, 항온항습기, 제습기, 현열교환기 등등)의 측판판넬을 지지후레임에 분해 및 조립 가능토록 고정하는 공기조화기용 판넬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가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어 실내기로 공기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실외기로 구분되어진다. 본 고안은 내측에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을 설치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지지후레임과 외곽케이스를 구성하는 판넬을 연결 고정하는 것으로, 실내기 및 실외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공기조화기 측판의 해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통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케이스는 사각파이프를 용접에 의해 서로 붙여 육면체의 후레임을 구성한다면 그 외측에 측판을 부착하여 캐비넷 형태(박스형태)의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그 용량이 적을 경우에는 그 부피가 작아 조립된 상태 그대로 이동하여 설치하는데 별문제가 없지만 용량이 클 경우에는 그 부피 또한 커져 조립된 상태로는 이동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부피가 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부품을 분해한 후 설치현장에서 사각파이프를 서로 용접에 의해 육각체 후레임을 형성한 후, 그 내측에 응축기, 모타, 송풍팬, 히타, 가습기, 필터 등의 각종 설비를 장착 연결한 후, 후레임에 판넬을 덧씌워 조립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조화기 특히 대용량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용접에 의해 후레임을 연결 고정하고, 이에 측판판넬을 고정하여 케이스를 완성함으로 인해 조립에 많은 시간 및 작업 인원이 요구되며, 한번 조립된 공기조화기는 해체가 거의 불가하며, 장소의 이동이 곤란하며, 설비의 축소나 확장을 위한 개수 또는 보수가 곤란한 것을 감안하여 본 고안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용 조립식 후레임의 구조'를 개발한 바 있으며, 이는 실용신안으로 출원되어 실용신안등록 제106880호로 등록된 바 있다.
상기 본 고안자의 선등록 고안으로부터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후레임을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시킨 후, 볼트를 체결토록 하여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있도록 하며, 만일 공기조화기의 용량 확장이나 용량 축소시 후레임을 임의로 연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분해하여 이전설치를 용이하게 한 것을 볼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선등록고안을 더욱 개량 발전시킨 것으로, 조립식 후레임에 측면을 구성하는 판넬을 용이하게 연결 고정토록 한 공기조화기용 판넬 연결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를 구축하는 외곽후레임에 측면을 구성하는 판넬을 연결 고정토록 하는 판넬 연결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후레임과 판넬을 견고하며, 틈이 발생되지 않게 밀착토록 하며, 기계 고장수리 및 점검을 위해 측판판넬을 해체하거나 이를 재차 조립할 경우 간단한 수공구로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기조화기의 외측에서 판넬과 후레임의 고정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 - 본 고안의 결합상태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결합상태단면도.
도3 - 본 고안의 분해단면도.
도4 -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5 - 본 고안의 사용상태단면도.
내측에 각각 구멍(12)(22)을 갖는 전면지지구(11)와 후면지지구(21)를 가지며, 상기 전면지지구(11) 및 후면지지구(21)의 내측 단부는 서로 맞물려 일체로 되는 각진 단부(13)(23)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전면지지구 구멍(12) 일측에는 원형머리 나사홈(14)을 가지며, 후면지지구 구멍(22) 일측에는 각형 너트 삽치홈(24)을 가지며, 이에 원형머리 나사(31) 및 각진 너트(32)가 삽치되며, 상기 전면지지구(11)의 테두리(15) 표면에는 방향표시 삼각요홈(16)과 전면지지구(11)를회동하는 복수개의 조작요홈(17)을 가지며, 상기 후면지지구(21)에는 고정편(26)을 돌출 형성토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1은 측판판넬(42)의 체결구멍에 삽치되는 부싱이며, 45는 측판판넬(42)과 후레임(43)의 지지턱(44)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측판판넬(42)의 테두리 근처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전면지지구(11)는 외표면에 후면지지구(21)는 내표면을 향하게 조립된 후, 측판판넬(42)과 측판판넬(42)을 지지하는 후레임(43)을 연결 고정하게 된다.
각각의 내측구멍(12)(22)에 일체로 삽치되는 원형머리 볼트(31) 및 각진머리 너트(32), 사각머리 너트 또는 육각머리 너트에 의해 전면지지구(11) 및 후면지지구(21)는 일체로 연결 고정되며, 특히, 전면지지구(11)와 후면지지구(21)의 서로 맞닿는 면은 '' 및 '' 형상의 각진 단부(13)(23)를 갖게 되며, 전면지지구(11)와 후면지지구(21)가 서로 맞접합된 결합상태에 있어서, 전면지지구(11)의 테두리에 복수개로 형성된 조작요홈(17)에 수공구를 사용하여 전면지지구(11)를 회전시킬 때 전면지지구(11)와 동시에 후면지지구(21)가 같이 회동하게 된다.
또한, 전면지지구(11)와 후면지지구(21)의 각진 단부(13)(23)가 서로 맞물려진 상태에 있어서, 후면지지구(21)에 돌출 형성한 고정편(26)의 돌출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표시 삼각요홈(16)이 전면지지구(11)의 테두리(15) 표면에 형성되어 후면지지구(21)의 고정편(26)의 위치를 외측에서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측판판넬(42)의 테두리 근처에 형성한 체결구멍에 전면지지구(11)는 외측면을 향하게 하며, 후면지지구(21)는 내측면을 향하게 조립한 후, 후면지지구(21)의 고정편(26) 내측에 후레임(43)의 지지턱(44)을 위치시킨 방향으로 조정한 후, 볼트(31)를 조여 후면지지구(21)의 너트 삽치홈(24)에 삽치된 너트(32)를 체결할 경우 전면지지구(11)와 후면지지구(21)는 압착되어짐과 동시 후면지지구(21)의 고정편(26)이 후레임(43)의 지지턱(44)을 가압하여 측판판넬(42)은 후레임(43)에 고정되어지게 된다.
만일, 후레임(43)으로부터 측판판넬(42)을 분리할 경우 볼트(31)를 풀어 너트(32)를 후진시켜 후면지지구(21)의 고정편(26)과 후레임(43)의 지지턱(44)을 이완시킨 후, 전면지지구(11)의 테두리(15)에 복수개로 형성한 조작요홈(17)에 수공구를 사용하여 전면지지구(11)를 90°회동시킬 경우 전면지지구(11)와 동시에 후면지지구(21)가 90°회동되어 후면지지구(21)의 고정편(26)이 후레임(43)의 지지턱(44)으로부터 회전되어 잠금 상태를 해제하므로 측판판넬(42)을 후레임(43)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면지지구(11) 테두리(15)의 방향지시 삼각요홈(16)에 의해 후면지지구(21)의 고정편(26) 방향을 파악할 수 있어 측판판넬(42)과 후레임(43)과의 연결상태를 외측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볼트(31)를 조여줌으로 인해 전면지지구(11)와 후면지지구(21)가 밀착될 때 후면지지구(21)의 고정편(26)이 후레임(43)의 지지턱(44)을 가압하여 측판판넬(42)과 후레임(43)을 일체로 고정하게 되며, 반대로 볼트(31)를 이완시킨 후, 전면지지구(11)를 회동시켜후면지지구(21)를 회동시킬 때 후면지지구(21)의 고정편(26)이 후레임(43)과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간단히 측판판넬(42)을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공기를 여과, 가열, 냉각, 가습, 제습하는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외곽케이스를 구성하는 측판판넬을 후레임에 연결 고정함에 있어 측판판넬 테두리 가장자리에 본 고안을 체결하는 구멍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고 고정편이 형성된 후면지지구를 내측으로 향하며, 볼트머리가 체결되는 전면지지구를 외측으로 향하도록 체결한 후, 전면지지구의 방향표시 삼각요홈의 방향에 위치하는 후면지지구의 고정편을 후레임의 지지턱에 체결하고, 볼트를 조여줄 경우 전면지지구와 후면지지구가 압착되면서 후면지지구의 고정편이 후레임의 지지턱을 강압하여 측판판넬을 후레임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게 되며, 후레임에 고정된 측판판넬을 해체시킬 경우에는 볼트를 이완시키고, 전면지지구를 회동시킴으로 후면지지구가 회동되어 측판판넬과 후레임을 간단히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으며, 전면지지구의 방향지시 삼각요홈에 의해 측판과 후레임과의 연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측에 각각 구멍(12)(22)을 갖는 전면지지구(11)와 후면지지구(21)를 가지며, 상기 전면지지구(11) 및 후면지지구(21)의 내측 단부는 서로 맞물려 일체로 되는 각진 단부(13)(23)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전면지지구 구멍(12) 일측에는 원형머리 나사홈(14)을 가지며, 후면지지구 구멍(22) 일측에는 각형 너트 삽치홈(24)을 가지며, 이에 원형머리 나사(31) 및 각진 너트(32)가 삽치되며, 상기 전면지지구(11)의 테두리(15) 표면에는 방향표시 삼각요홈(16)과 전면지지구(11)를 회동하는 복수개의 조작요홈(17)을 가지며, 상기 후면지지구(21)에는 고정편(26)을 돌출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판넬연결구.
KR2020010003967U 2001-02-16 2001-02-16 공기조화기용 판넬 연결구 KR200232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67U KR200232149Y1 (ko) 2001-02-16 2001-02-16 공기조화기용 판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3967U KR200232149Y1 (ko) 2001-02-16 2001-02-16 공기조화기용 판넬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149Y1 true KR200232149Y1 (ko) 2001-07-19

Family

ID=7309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3967U KR200232149Y1 (ko) 2001-02-16 2001-02-16 공기조화기용 판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1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5183B2 (en) Display system
WO1997031556A1 (en) Modular frame assembly for an equipment cabinet
WO2008076089A2 (en) Fastening system with gears for modular construction elements
KR100806124B1 (ko) 친환경 공기조화기
EP1094872B1 (en) Construction system
KR200232149Y1 (ko) 공기조화기용 판넬 연결구
KR101784384B1 (ko) 배관플렌지 체결볼트용 특수렌치
KR101986621B1 (ko) 에어컨 실외기 받침대용 연결구
KR20080097566A (ko) 공조기케이스의 조립구조
CN213745237U (zh) 一种热力管道安装施工用支撑装置
KR970003477Y1 (ko) 공기 조화기용 조립식 후레임의 구조
CN203845141U (zh) 一种密闭保温箱体
GB2070721A (en) Joint member for rods or tubes
KR200266032Y1 (ko) 조립식 구조의 공기 조화기 후레임
KR200287697Y1 (ko) 건축용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롤러 결합장치
CN104973307A (zh) 一种密闭保温箱体
ITBO20010408A1 (it) Comparto integrato scomponibile ad impianti differenziati di riscaldamento e di condizionamento dell'aria ambiente con possibilita' di adatt
JP429781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WO2001091859A1 (en) Clamping connection for a playground structure
CN209085028U (zh) 高效外装配隔冷热空调风机箱体
KR200282034Y1 (ko) 조립식 구조의 공기 조화기 후레임
KR2009000630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설치구조
JPH0875183A (ja) 空気調和機
CA2247845C (en) Modular frame assembly for an equipment cabinet
JPH068399Y2 (ja) 配管用カバー接続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