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110Y1 -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 Google Patents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110Y1
KR200232110Y1 KR2020010001693U KR20010001693U KR200232110Y1 KR 200232110 Y1 KR200232110 Y1 KR 200232110Y1 KR 2020010001693 U KR2020010001693 U KR 2020010001693U KR 20010001693 U KR20010001693 U KR 20010001693U KR 200232110 Y1 KR200232110 Y1 KR 200232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cutting
guide bar
guide
portabl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의만
김정곤
Original Assignee
양의만
김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의만, 김정곤 filed Critical 양의만
Priority to KR2020010001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1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110Y1/ko

Links

Landscapes

  • Sa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에 관한 것이다.
이 재단 가이드 바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작업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일단이 끼워져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위치 조정구와; 상기 위치 조정구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일단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위치 조정구와 함께 이동하면서 재단작업중 재단물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특히 상기 위치 조정구는 지지몸체와; 상기 연결 부재의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지지몸체에 연결하고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위치 조정구를 상기 연결 부재의 일부분에 고정 또는 분리하는 조절나사와; 상기 연결 부재의 가이드 홈에 상기 걸림부재와 나란히 끼워지고 상기 위치 조정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가이드 홈의 면과 마찰하여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는 작업장소에서 재단물을 재단하는 등의 이동 재단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Portable Cutting Guide Bar}
본 고안은 작업대에서 분리 가능하고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이나 토목의 분야에서와 같이 대량 재단을 하거나 재단물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목공소 등의 분리된 장소에 재단장치를 설치해 두고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 작업 등에서와 같이 간단한 재단이 필요하고, 작업장소에서 직접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에는 재단 장치를 구비하지 못한 채 작업자가 임의로 재단물을 자르는 등의 작업을 하였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재단 장치 없이 임의로 작업을 할 경우 정확하고 신속한 작업이 어려우며, 종래의 재단 장치는 부피가 크고 고정 설치되는 것이어서 휴대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재단작업을 일일이 목공소 등의 장소로 이동하여 작업을 하는것은 시간의 낭비가 많고,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 206385 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의 사시도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용신안의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1)는 작업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 부재(11)와; 상기 연결 부재(11)의 가이드 홈(13)에일단이 끼워져서 가이드 홈(13)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위치 조정구(15)와; 상기 위치 조정구(15)와 함께 이동하면서 재단작업중 재단물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17)로 구성된다.
특히 연결부재(11)의 가이드 홈(13)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위치 조정구(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연결 부재(11)의 가이드 홈(13)에 끼워지고 내부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구(23)를 구비한 몸체(21)와; 외부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21)의 관통구(23)에 삽입되는 조절 나사(25)와; 상기 조절 나사(25)의 끝단에 접촉 설치되는 판 스프링(27)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몸체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때 그 이동이 원활하지 않아 사용상 불편이 있으며 판 스프링의 성능에 따라 장비 자체의 수명이 짧아 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위한 위치조정구의 이동이 더 매끄럽고, 더욱 간단한 구조를 갖는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의 위치 조정구 설치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의 위치 조정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102: 연결 부재
104: 위치 고정구 106: 가이드 부재
108: 가이드 홈 110: 지지몸체
112: 걸림부재 114: 조절나사
116,117,118,119: 베어링 120: 조절레버
122: 미세조절볼트 124: 고정너트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작업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일단이 끼워져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위치 조정구와, 상기 위치 조정구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일단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위치 조정구와 함께 이동하면서 재단물의 위치를 조정함과 동시에 재단작업중 재단물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힌 본 고안의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는 특히 상기 위치 고정구가 지지몸체와; 상기 연결 부재의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지지몸체에 연결하고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위치 조정구를 상기 연결 부재의 일부분에 고정 또는 분리하는 조절나사와; 상기 연결 부재의 가이드 홈에 상기 걸림부재와 나란히 끼워지고 상기 위치 조정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가이드 홈의 면과 마찰하여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미세한 각도 조절을 위한 미세조절볼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미세조절볼트에는 고정너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지지몸체에 수직으로 직접 설치되어 위치 조정구의 이동마찰을 감소시키는 수직베어링일 수도 있고, 상기 지지몸체와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수평으로 설치되어 위치 조정구의 이동 마찰과 가이드 홈에 걸리는 위치 조정구의 접촉마찰을 감소시키는 수평 베어링일 수도 있으며, 상기 수직 베어링과 수평 베어링이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나사에서 상기 지지몸체가 연결되는 단부에는 나사의 회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일면에는 필요에 따른 일정 단위의 눈금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100)는 가이드 홈(108)을 구비하고 작업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 부재(102)와, 상기 연결 부재(102)의 가이드 홈(108)에 일단이 끼워져서 가이드 홈(108)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위치 조정구(104)와, 상기 위치 조정구(104)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일단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위치 조정구(104)와 함께 이동하면서 재단물(도시되지 않음)의 위치를 조정함과 동시에 재단작업중 재단물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특히 상기 위치 고정구(104)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위치 조정구(104)는 지지몸체(110)와; 상기 연결 부재(102,도 4 참조)의 가이드 홈(108)에 끼워지는 걸림부재(112)와; 상기 걸림부재(112)를 상기 지지몸체(110)에 연결하는 조절나사(114)와; 상기 연결 부재(102)의 가이드 홈(108)에 상기 걸림부재(112)와 나란히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116,118)으로 구성된다.
걸림부재(112)를 지지몸체(110)에 연결하는 상기 조절나사(114)는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위치 조정구(104)를 상기 연결 부재(102)의 일부분에 고정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조절나사(114)에서 상기 지지몸체(110)가 연결되는 단부에는 나사의 회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1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106,도 4 참조)와 함께 이동하는 위치 조정구(104)의 고정 또는 분리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06)와 함께 이동하는 위치 조정구(104)의 위치가 결정되면 조절레버(120)를 돌려 조절나사(114)를 회전시키게 되고, 따라서 가이드 홈(108)에 걸려 있는 상기 걸림부재(112)가 지지몸체(110)와 가까와지면서 상기 가이드 홈(108)의 면과 접촉,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02)의 가이드 홈(108)에 상기 걸림부재(112)와 나란히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116,117,118,119)은 상기 위치 조정구(104)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02)의 가이드 홈(108)의 면과 접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따라서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100)를 설치 또는 사용할 때 위치 조정구(104)를 부드럽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은 수직 베어링(116,117)일 수도 있고, 수평 베어링(118,119)일 수도 있으며, 상기 수직 베어링(116,117)과 수평 베어링(118,119)이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수직 베어링(116,117)을 지지몸체(110)에 수직으로 직접 설치되어 위치 조정구(104)의 이동마찰을 감소시키고, 수평 베어링(118,119)은 지지몸체(110)와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수평으로 설치되어 위치 조정구(104)의 이동 마찰과 가이드 홈(108)에 걸리는 위치 조정구(104)의 접촉마찰을 감소시키도록작용한다.
상기 지지몸체(110)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106)가 접하는 일단에는 미세조절볼트(122)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100)를 사용하여 재단물을 재단할 때 가이드 부재(106)와 접촉하여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미세조절볼트(122)는 또한 고정 너트(124)를 구비할 수 있는데, 미세조절볼트(122)로 가이드 부재(106)의 정확한 각도를 조절한 후 상기 고정 너트(124)로 고정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106)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해 주게 된다.
상기 연결 부재(102)의 일면에는 필요에 따른 일정 단위의 눈금(126)이 표시되어 재단작업을 보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는 위치조정구의 이동 및 고정,분리를 위한 구조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미세조절볼트를 구비하여 가이드 부재의 미세 각도 조절 및 고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를 이용하여 재단 작업을 할 경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또한 정확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작업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일단이 끼워져서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위치 조정구와; 상기 위치 조정구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일단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위치 조정구와 함께 이동하면서 재단작업중 재단물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구는 지지몸체와; 상기 연결 부재의 가이드 홈에 끼워지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지지몸체에 연결하고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위치 조정구를 상기 연결 부재의 일부분에 고정 또는 분리하는 조절나사와; 상기 연결 부재의 가이드 홈에 상기 걸림부재와 나란히 끼워지고 상기 위치 조정구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가이드 홈의 면과 마찰하여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미세한 각도 조절을 위한 미세조절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수직베어링과 수평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일면에는 필요에 따른 일정 단위의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KR2020010001693U 2001-01-20 2001-01-20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KR200232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93U KR200232110Y1 (ko) 2001-01-20 2001-01-20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693U KR200232110Y1 (ko) 2001-01-20 2001-01-20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110Y1 true KR200232110Y1 (ko) 2001-07-19

Family

ID=7309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693U KR200232110Y1 (ko) 2001-01-20 2001-01-20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1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466B1 (ko) * 2001-04-23 2003-08-02 김정곤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KR101802084B1 (ko) * 2016-07-26 2017-11-27 장용희 휴대용 절첩식 목공 재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466B1 (ko) * 2001-04-23 2003-08-02 김정곤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KR101802084B1 (ko) * 2016-07-26 2017-11-27 장용희 휴대용 절첩식 목공 재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7847B2 (en) Fence
US7721632B2 (en) Power tool machine with a holding apparatus
EP1765546B1 (en) Optical alignment system for power tools
US20030097922A1 (en) Circular sawing machine having indication device
JPS649163B2 (ko)
US4082474A (en) Drill attachment
US6412179B1 (en) Cutting guide apparatus for guiding portable power cutting tools
AU2002240365A1 (en) Fence with a fine adjustment mechanism
US4391558A (en) Drill jig
EP1592528B1 (en) Tool attachment system and router attachment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4656742A (en) Portable compass saw
US6691423B2 (en) Miter gauge
US8757938B2 (en) Drill alignment tool
US20070151432A1 (en) Optical Alignment System for Power Tools
US7467651B2 (en) Tool attachment system and router attachment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7524151B2 (en) Power tool with cutting depth adjustment mechanism
US6584698B1 (en) Angle indicating apparatus capable of positioning at predetermined angles
KR200232110Y1 (ko)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KR200240197Y1 (ko)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US6574873B2 (en) Arch cutting jig
KR100393466B1 (ko)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US11485041B2 (en) Table saw jig
KR200206385Y1 (ko) 휴대용 재단 가이드 바
US5224682A (en) Drill holding mechanism
US4965964A (en) Portable apparatus for processing marble 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